KR890002039B1 -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039B1
KR890002039B1 KR1019840005090A KR840005090A KR890002039B1 KR 890002039 B1 KR890002039 B1 KR 890002039B1 KR 1019840005090 A KR1019840005090 A KR 1019840005090A KR 840005090 A KR840005090 A KR 840005090A KR 890002039 B1 KR890002039 B1 KR 89000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rd
card holder
hol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900A (ko
Inventor
싱 이찌 스가노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
도면은 발명의 실시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1도 및 제2도, 제3도는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소형 콤퓨터의 외관도, 확대 종단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카드홀더의 격납부의 카드홀더 격납상태 및 카드홀더 격납부의 카드홀더 상태 및 카드홀더인출 상태의 저면도.
제6도는 제4도의 A-A선을 따라 표시한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메모리 카드의 분해 사시도.
제8도~제9도는 메모리 카드의 입출력단자를 샷터판으로 씌운 상태 및 샷터판을 이동 시켜서 입출력단자를 노출시킨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B-B선을 따라 표시한 단면도.
제11도는 카드홀더의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12도는 카드홀더의 깊은속에 형성된 정전기 어스용 스프링판의 붙이기 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카드홀더의 메모리카드 삽입방법을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15도는 콤퓨터 본체내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콤퓨터 본체 1a : 케이스체
1b : 저면판넬 4 : 액정 표시판넬
5 : 베선기판 7 : 카드홀더 격납 하우징
8 : 하우징 저판 10 :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
11 : 카드홀더 격납공간 12 : 카드홀더
12a : 엷은 상자부 12b : 돌출판부
12c : 전면판 12d : 엷은 상자부 저면의 구멍트인부
12e : 카드 지지편 12f : 절연카버
14 : 카드홀더 압출용 코일스프링 20 : 메모리 카드
21 : 지지판 22a, 22b : 표면판넬
23 : 배선기판 27 : 입출력단자
32 : 절연시트 35 : 샷터판
36 : 선스프링 50 : 안내돌조
60 :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 70 : 제1전원스위치
71 : 제2전원스위치
[발명의 기술분야]
이 발명은 필요에 맞추어 전자기기 본체내에 장착될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기술적 배경과 그 문제점]
예를들면 휴대용 소형 콤퓨터는 콤퓨터 본체에 내장되여 있는 메모리의 용량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코퓨터 본체의 메모리 용량을 넘는 데이터를 기억시키고져 할 경우에는 콤퓨터 본체에 별도의 메모리 증설용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여 이 메모리카드에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류의 콤퓨터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로서는, 종래 콤퓨터 본체의 저면에 메모리 카드를 재운 상태에서 수용하는 카드 장착 오목한부를 형성, 이 카드 장착 오목한부에 메모리카드를 끼워서 이 메모리 카드를 뒷뚜껑으로 눌러 고정 하도록된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카드의 장착 오목한부를 콤퓨터 본체의 저면에 형성한 것은, 콤퓨터 본체의 상면에는 표시부나 키보드부가 있기 때문에, 콤퓨터 본체의 상면에 다시 카드 장착 오목한부를 형성한 것으로서는 전자기기 본체가 대형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모리 카드 장착기구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장착 및 꺼냄에 있어서, 뒷뚜껑을 떼어 내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의 장착 및 꺼내는 것이 대단히 번잡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전자 캐슈레지스터(Cache-Registor)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매상(賣上)데이터등의 기억용 메모리카드는 레지스터 본체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여 있는 카드 삽입구에서 삽입하여 레지스터 본체내에 장착되여 있으며, 최근에는 이 장착방식을 휴대용 소형 콤퓨터등의 소형 콤퓨터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로 응용됨을 생각하고 있으나, 이 전자 캐슈레지스터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의 장착 기구는, 메모리카드를 직접 카드 삽입구에 삽입하는 것임으로, 메모리 카드의 삽입시에 메모리 카드의 선단을 카드 삽입구에 합쳐줄 필요가 있으며, 메모리 카드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만큼의 매누 좁은 혹의 카드 삽입구에 메모리카드의 선단을 맞추는 것은 매우 번잡하기 때문에, 이 장착기구에 의하여도 메모리 카드의 장착을 요이하게 조작하게는 할수가 없었다.
[발명의 목적]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된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것은 종래의 메모리 카드 장착기구에 비하여 메모리 카드의 장착 및 꺼냄을 용이하게, 조작성이 좋게 할수가 있는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개요]
즉, 이 발명은, 콤퓨터 본체내에, 상기 메모리 카드를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유지할 카드홀더를 콤퓨터본체외로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카드홀더에 있는 메모리카드를 이 카드홀더의 콤퓨터 본체내로 누름으로서, 콤퓨터 본체내의 소정위치로 삽입하여 메모리 카드면의 입출력 단자를 콤퓨터 본체내의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에 접촉시킨 구성의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제1도는 메모리 카드 장착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소형 콤퓨터의 외관을 표시한 것으로, 도면중(1)은 콤퓨터 본체이고, 이 콤퓨터 본체(1)은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면에 표시창(2)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종 입력 키(3), (3)…를배설한 합성수지제의 케이스체(1a)와, 금속판제의 저면판넬(1b)등으로 되여 있으며, 이 콤퓨터 본체(1)내에는,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체(1a)의 표시창(2)에 대향시켜서 액정표시판넬(4)이 배치되여 있으며, 이 표시판넬(4) 그 아래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기판(5)과 상기 표시창(2)에 끼워져 있는, 유리판(2a)과의 사이에 협지되여 있다. 또, 상기 표시판넬(4)은, 하면에 반사판(4a)을 갖는 반사형의 것이고, 이 표시판넬(4)은, 하면에 반사판(4a)을 갖는 반사형의 것이고, 이 표시판넬(4)은 인터콘넥터(6)을 통하여 상기 배선기판(5)의 상면에 배열 형성되여 있는 표시 판넬 접속단자(도시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여 있다.
또,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7)은 상기 배선기판(5) 아래에 배치된 합성수지제의 카드홀더 격납 하우징, (8)은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저판이며, 이 하우징 저판(8)과 상기 하우징(7)및 배선기판(5)은 저면판넬(1b)위에 적층되며, 상기 저면판넬(1b)은 케이스체(1a)의 저면측판과 저면판넬(1b)의 저면측판과를 절결하여 형성된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가 좌, 우 2개 형성되여 있고, 상기 하우징(7)과 하우징 저판(8)과의 사이에는 상기 2개의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 (10)와 각각 대응시켜서 카드홀더 격납공간(11), (11)이 형성되여 있다. 이 카드홀더 격납공간(11), (11)은, 상기 하우징(7)의 하면과 하우징저판(8)의 상면과를 요입시켜서 형성된 것으로서, 각 카드홀더 격납공간(11), (11)은, 상기 하우징(6)의 하면과 하우징저판(8)의 상면과를 요입시켜서 형성된 것으로서, 각 카드홀더 격납공간(11), (11)내에는 카드홀더(12), (12)가 격납되여 있다.
이 카드홀더(12)는, 메모리 카드를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지지한 것으로, 대체로 전체가 콤퓨터 본체(1)내에 들어갈수 있도록 카드홀더 격납공간(11)에 격납되여 메모리 카드의 장착 및 꺼낼시에 상기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에서 인출되도록 되여 있다. 이 카드홀더(12)는 합성수지제의 것으로, 전단면(인출방향의 단면)이 개방된 엷은 상자부(12a)와 이 엷은 상자부(12a)의 저면에서 외측방(인출방향)으로 연장한 돌출판부(12b)와 이 돌출판부(12b)의 선단에 형성된 전면판(12c)등으로 되여 있으며, 상기 전면판(12c)은 상기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100를 완전히 씌워질 크기로 하며, 또, 상기 돌출판부(12b)는 그 두께를 엷게 함으로서 상하로 휘거나, 변형시킬수 있는 탄성판으로 되여 있다.
그리고, 이 카드홀더(12)는, 제4도~제6도에서와 같이 그 엷은상자부(12a)의 양측부를 상기 카드홀더격납공간(11)의 양측부에 스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여 있으며, 이 카드홀더(12)는 그 엷은상자부(12a)의 양측면에 돌설한 스프링받이(13)와 카드홀더 격납공간(11)의 내 깊이면과의 사이에 삽입된 카드홀더 압출용 코일스프링(14)의 탄력에 의하여 인출 방향으로 밀어져 있다.
또, 상기 카드홀더(12)는, 이것을 콤퓨터 본체(1)내에 격납 했을때에, 그 전면판(12c)의 상부 가장자리를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상부 가장자리 내면에 제2도시와 같이 걸어 붙여서 불필요하게 콤퓨터 본체(1)외로 벗겨지지 않도록 록크하도록 되여 있으며, 이 카드홀더(12)의 인출시에의 록크해제는 상기 전면판(12c)의 전면에 돌설한 조작부(15)를 손끝으로 눌러 돌출판부(12b)를 휘어 변형시키면서 전면판(12c)을 내림으로서 이루어지도록된 것이다. 또, 카드홀터(12)를 콤퓨터 본체(1)내로 격납할때는, 카드홀더(12)의 콤퓨터(1)내로 누름에 따라서, 전면판(12c)은 그 상부 가장자리를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상부 가장가리에서 눌이워져 상기 돌출판부(12b)를 아래쪽으로 휘어 변형시키면서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돌출판부(12b)의 복원력으로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상부 가장자리 내면에 걸어 붙여진다.
또, 상기 카드홀더(12)의 인출은, 상기 코일스프링(14)의 탄력으로 이루어지게 되여 있으며, 상기 조작부(15)를 눌러서 카드홀더(12)의 록크를 해제하면, 탄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카드홀더(12)가 튀어나와 제5도시와 같이 엷은 상자부(12a)의 전단부가 콤퓨터 본체(1)밖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받이(13), (13)을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양측 가장자리 내면에서 받아 걸어붙여지도록 되여 있다.
다음에, 메모리 카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제10도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등의 메로리카드(20)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 메로리 카드(20)는 길이 60mm, 폭50mm, 두께3.5mm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이 메모리 카드(20)는, 합성수지제의 지지판(21)과, 이 지지판(21)의 상하면을 씌울 상하 한쌍의 표면판넬(22a), (22b)등으로 된 엷은틀 케이스내에 프린트 기억기판(23)을 수용한 구성으로 되여 있으며, 상측의 표면판넬(22a)은 멈춤나사(24)에 의하여 지지판(21)의 하면에 접착되여 있다. 또 상기 표면판넬(22a), (22b)은 외부에서의 정전기를 시일하기 위하여 예 : 스텐레스판등의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되여있다.
상기 배선기판(23)은 그 하면에 소요수의 메로리 칩(25), (25)및 콘덴서등의 칩 부품(26), (26)을 붙이도록 함과 동시에, 상면에 그 폭 방향에 줄지어 다수의 입출력단자(27), (27) : 을 형성한 것으로 이 배선기판(23)은 상기 지지판(21)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부(21a)내에 끼워 맞추어져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21)의 오목한부(21a)저면에는 상기 메모리 칩(25), (25) 및 칩부품(26), (26)이 끼워지게될 오목한부(28), (28)가 형성되여 있다. 또, (29)는 기억유지를 위한 백업 전원으로서 형성된 전지이고, 이 전지(29)는, 상기 지지판(21)의 오목한부(28), (28) 저면에 형성된 전지 수용 오목한부(30내로 수용되여있다.
(31a), (31b)는 상기 전지(29)에 접촉하는 한쌍의 단자 스프링이며, 일측단자 스프링(31a)은 상기 배선기판(23)의 하면에 붙여져 있으며, 타측의 단자 스프링(31b)은 상기 전지 수용 오목한부(30)내로 형성되여있고, 그 단부에 있어서, 배선기판(23)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잔자(도시않음)와 접촉 접속되여 있다.
(32)는 상기 배선기판(23)의 상면을 씌울 절연시트이며, 이 절연시트(32)와 상측 표면판넬(22a)에는 각각 배선기판(23)면의 입출력단자(27), (27)배열부와 대응한 부분에, 입출력단자(27), (27)…를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33), (34)이 형성되여 있다.
또, (35)는 상기 절연시트(32)와 상측 표면판넬(22a)과의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금속판으로된 샷터판이며, 이 샷터판(35)은 메모리 카드 길이 방향(카드홀더(12)의 삽입방향)으로 스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샷터판(35)은 메모리 카드(20)를 사용하지 않을때(콤퓨터 본체(1)내에 장치하고 있지 않을때)에 상측표면 판넬(22a)의 구멍(34)를 막아서 상기 배선기판(23)면의 입출력단자(27), (27)…를 씌워 가리우게 하기위한 것으로, 이 샷터판(35)에는, 상기 상측 표면판넬(22a)의 구멍(34)을 막을 눈가림판부(35a)와 상기 구멍(34)과 대체로 같은 크기의 창부(35b)등이 샷터판(35)의 스라이드 방향으로 줄지어져 형성되여 있다.
그리고, 이 셧터판(35)은 일단을 지지판(21)의 오목한부 전단벽(21b)에 지지될 선스프링(36)의 탄력에의하여 메모리 카드 선단방향(카드홀더 12의 삽입방향)에 눌러져 있으며, 이 탄력에 의하여 상기 눈가림판부(35a)는 구멍(34)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샷터판(35)은 그 돌출편(35c)을 지지판(21)의 양측부에 형성된 절결부(37)에 끼워 달라붙여지는 것으로, 통상은 선스프링(36)에 의해 절결부(37)의 길이쪽방향의 전단면에 절결부(37)가 닿도록 하는 위치에 보호지지되며, 이 상태에서 눈가림판부(35a)가 표면판넬(22a)의 구멍(34)아래에서 대응하도록되어 있다. 또, 상기 눈가림판부(35a)는, 배선기판(23)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원호상으로 만곡되여 있으며, 메모리 카드(20)의 불 사용시에 배선기판면 전체의 입출력단자(27), (27)…를 단락시켜서 배선기판(23)면의 배선에 정전기가 발생했을때에 이 정전기를 샷터판(35)에서 상측 표면판넬(22a)로 모피하게 하도록 되여 있다.
또, 상기 샷터판(35)의 양측부에는 상기 지지판(2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서된 절결부(37), (37)에서 지지판(21)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35c), (35c)이 형성되여 있으며, 상기 샷터판(35)은, 이 돌출편(35c), (35c)을 메모리 카드 후단측에 밀어 줌으로서, 선스프링(36)이 탄력에 저항하여 상기 창부(35b)가 상측 표면판넬(22a)의 구멍(34)과 대향한 위치에 스라이드 이동되여, 제9도에서와 같이 배선기판(23)면의 입출력단자(27), (27)…를 노출시키도록 되여 있다. 이때는, 샷터판(35)의 눈 가림판부(35a)는 절연시트(32)위에 올려져 이 절연시트(32)위에 지지된다.
상기 샷터판(25)은 메모리 카드(20)를 카드홀더(12)에 삽입했을때에, 상기 돌출편(35c), (35c)을 카드홀더(12)의 엷은 상자부(12a) 양측단에서 눌리워 선스프링(36)의 탄력에 저항하여 입출력단자(27), (27)…를 뒤집어 씌울 상태에 복귀하도록 되여 있다.
한편, 상기 카드홀더(12)의 엷은상자부(12a)의 내 깊은 곳에는, 제11도시와 같이 상기 메모리 카드(20)의 표면판넬(22a), (22a)에 접촉하여 메모리카드 표면에 대전하고 있는 정전기를 어스시킬 정전기 어스용스프링판(40)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판(40)은, 그 양단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표면판넬(22a), (22b)의 선단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이 스프링판(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엷은 상자부(12a)에 형성한 절결부(16)에서 외부로 돌출한 리드선 접속편(40a)이 형성되여 있다. 이 리드선 접속편((40a)에는 제2도시와 같이 리드선(41)이 납땝되어 있으며, 이 리드선(41)은 콤퓨터 본체(1)내의 배선기판(5)의 접지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 리드선(41)의 길이는 카드홀더(12)의 인출 행정보다도 어느 정도 길게 잡혀져 있으며, 카드홀더(12)를 콤퓨터 본체(1)내에 밀어 넣음에따라 카드 홀더 격납공간(11)내에서 굴곡 하도록 되여 있다.
또, 상기 스프링판(40)은, 제12도시와 같이 상기 리드선 접속편(40a)의 양측에 형성한 입상편(40b)을 엷은상자부(12a)의 절결부 양측에 설치한 홈(17)에 삽입한후 엷은 상자부(12a)의 내깊은면 하단에 형성한 훅크부(18)에 스프링판(40)하단 가장자리가 끼워져 설치되여 있다.
제13도 및 제14도는 카드홀더(12)에 상기 메모리 카드(20)의 삽입하는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 메모리 카드(20)의 삽입은 카드홀더(12)를 그 인출한계(스프링받침(13), (13)이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양측 가장자리 내면에 받아 멈추워지는 위치)까지 인출한후 후에, (제5도참조)제13도의 점선에서와 같이 메모리 카드(20)의 선단을 카드홀더(12)의 돌출판부(12b)위에 밀어대고, 이 상태에서 메모리카드(20)를 누이면서 상기 돌출판부(12b)에서 메모리카드 선단을 안내 시켜서 메모리카드(20)를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로부터 엷은상자부(12a)내로 밀어 삽입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엷은 상자부(12a)내에 메모리카드(20)를 삽입 하면서 메모리카드(20)를 누이면, 카드홀더 전면판(12c)의 상부 가장자리 메모리카드(20)의 하면이 닿아 그 전면판(12c)에 메모리카드(20)의 후단측이 지지됨으로 그 후는 메모리카드 후단을 누르는 것만으로, 메모리 카드(20)의 삽입을 할수 있는 것이다.
또, 카드홀더 전면판(12c)에 메모리 카드(20)가 닿으면, 메모리 카드(20)는 그 선단부 하면이 엷은 상자부 저면에서 지지되고, 후단측 하면이 전면판(12c) 상부가장자리에 지지된 경사상태로 눌러들어가게 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20)의 상면은 엷은 상자부 상면의 전단연 또는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상부가장자리에 닿으면서 메모리카드(20)의 삽입에 저항이 걸리게되나, 이 경우에도, 메모리 카드(20)를 강하게 눌러주면, 메모리 카드(20)는 엷은상자부(12a)상면의 전단가장자리 또는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상부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눌리워 전면판(12c)을 돌출판부(12b)를 휘면서 하측으로 변위시킴으로, 메모리 카드(20)를 다시 뉘어서 엷은상장부(12a)의 내깊은곳까지 메모리 카드(20)를 삽입할수가 있다. 단, 이와같이 메모리 카드 삽입초기에 메모리 카드(20)를 강하게 누르는 것은 메모리 카드(20)의 선단부 하면이 엷은상자부(12a)저면과 강하게 마찰되여 손상의 엶려가 있다.
그래서, 이 메모리 카드 장착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카드홀더(12)의 엷은상자부(12a)의 저면을 그 전단부분을 남기고 열리게 함과 동시에, 카드홀더(12)의 하측에 있는 하우징저판(8)에도 카드홀더 격납공간(11)의 대체로 전역에 걸치는 크기의 구멍(8a) (제3도참조)을 형성하고, 콤퓨터 본체(1)의 저면판넬(1b)에는 상기 하우징 저판(8)의 구멍(8a)내로 대응시켜서 메모리 카드(20)의 선단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돌조(50), (50) (제3도 및 제6도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안내돌조(50), (50)는 카드홀더(12)의 저면에 대하여 충분히 떨어져서 형성되며, 또 이 안내돌조(50), (50)의 선단부는 이 안내돌조 (50), (50)에의 메모리카드 선단에 올라 앉아 스므스하게 이루어지게하기 위하여 경사시킨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카드홀더(12)에 대하여 경사 상측에서 삽입된 메모리카드(20)의 선단부는 엷은상자부 저면의 개구부(12b)에서 카드홀더(12)아래로 제13도의 실선표시와 같이 돌출하여 상기 안내돌조(50), (50)로 안내되면서, 삽입하면서, 메모리카드 (20)를 경사상태 그대로 깊이 삽입할수가 있다.
따라서, 이 메모리 카드 장착기구에 의하면, 메모리 카드(20)를 가볍게 누르는것만으로 카드홀더(12)의 엷은상자부(12a)내에 깊이 메모리 카드(20)를 삽입할수 있음으로 메모리 카드를 강하게 누르는것은 삽입말기에만 하면 된다.
또, 삽입말기에는 메모리 카드(20)가 엷은상자부 상면의 전단가장자리 또는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상부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눌리워지기 위하여 제14도시와 같이 전면판(12c)이 돌출판부(12b)를 휘이면서 하측으로 변위하게되나, 이때는 메모리 카드(20)가 상당히 수평의 가깝게 되여 있고, 또 메모리 카드 선단은 상기 안내돌조(50), (50)에 안내되여 적은 습동저항으로 삽입됨으로, 그만큼 메모리 카드를 누르는 힘도 적은 것을 끝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 선단의 손상도 방지할수가 있다.
또, 상기 카드홀더(12)의 엷은상자부(12a)의 내깊은곳 저면에는, 그 양측에 카드홀더(12)내에 경사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20)의 선단을 상측으로 밀어올려서 메모리 카드 선단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카드 지지편(12e), (12e)이 설치되여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20)는, 카드홀더(12)에의 삽입에 따라, 샷터판(35)이 그 돌출편(35c), (35c)을 엷은 상자부(12a)양측단부에서 눌리워 이동함으로서, 입출력단자(27), (27)…를 노출시킨 상태가 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20)의 선단부는 엷은상자부(12a)의 내깊이에 도달할때까지 삽입되었을때에, 그 선단부를 상기 카드 지지편(12e), (12e)으로 들어올려져 수평한 자세가 되며, 또 메모리 카드 후단이 전면판(12c)을 타고 넘어선때에, 돌출판부(12b)의 복원력으로 복귀하는 전면판(12c)으로 후단을 눌러서 엷은 상자부내 깊은곳의 정전기 어스용 스프링판(40)에 접촉되여져서 이 상태에서 카드홀더(12)내에 수용되게 되여 있다.
이와같이 하여 카드홀더(12)에 메모리 카드(20)를 수용한 후는, 카드홀더(12)를 콤퓨터 본체(1)내로 눌러서 카드홀더(12)에 유지되여 있는 메모리 카드(20)를 콤퓨터 본체(1)내의 소정위치에 삽입해주면 된다.
또, 메모리 카드(20)를 빼낼때는, 카드홀더(12)를 콤퓨터 본체(1)외로 인출하고, 그 전면판(12c)을 눌러내리면서 카드홀더(12)에서 메모리 카드(20)를 받아내면 된다.
한편, 콤퓨터 본체(1)내의 배선기판(5)의 하면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20)의 각 입출력단자(27), (27)…와 접촉할 다수의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가 배설되여 있다.
이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는 판스프링으로 되며, 그 선단부는 카드 홀더 격납 하우징(7)에 형성한 구멍트인부(7a), (7a)에서 카드홀더 격납공간(11), (11)내에 돌출되여 있다.
또, 상기 카드홀더(12)의 엷은상자부(12a)의 상면판은, 카드홀더(12)에 지지된 메모리 카드(20)의 표면을 씌울 절연카버(12f)로 되여 있다.
이 절연카버(12f)는 카드홀더(12)에 메모리 카드(20)를 보유한 상태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20)의 입출력단자(27), (27)배열부에서 선단측의 메모리 카드 표면을 씌울 크기로 되여 있으며, 이 절연카바(12f)의 선단가장자리는 카드홀더(12) 전면측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되여 있다.
이와같이 카드홀더(12)에 메모리 카드(20)의 표면을 그 입출력단자(27), (27)…의 배열부를 제외하고 씌울 절연카버(12f)를 설치하는 것은, 콤퓨터 본체(1)내에의 카드홀더(12)를 누룰때에 메모리 카드(20)의 표면에 상기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가 직접 접촉되면, 만일 메모리 카드 표면에 정전기가 대전하고 있을 경우에, 이 정전기는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에 흘러서 콤퓨터 본체(1)내외 전자회로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며, 상기와 같이 카드홀더(12)를 완전히 콤퓨터 본체(1)내로 누룰때까지는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는 제13도 및 제14도에서와 같이 절연카버(12f)위에 올려져 있어서 메모리 카드(20)의 표면에 상기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메모리 카드 표면에 대전하고 있던 정전기가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에 흐르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또, 상기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는 카드홀더(12)를 콤퓨터 본체(1)내를 눌룸으로서 상기 절연카버(12f)의 선단 가장자리에서 벗어나, 그 탄성에 의하여 메모리카드 표면의 구멍(34)내로 들어가 제2도시와 같이 메모리 카드(20)의 입출력단자(27), (27)…에 접촉하나, 이때는,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가 절연카버(12f)의 선단 가장자리의 경사를 따라 천천히 내려감으로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 (60)…는 메모리 카드(20)의 입출력단자(27), (27)…에 접촉할때의 충격을 적게 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도에 있어서, (61)은 콤퓨터 본체(1)내에 그 표면의 키 배열부 아래에 위치시켜서 배치된 고무시트이고, 이 고무시트(61)는 배선기판(5)의 상면을 중복하고 있으며, 이 고무시트(61)에는 각 입력키(3), (3)…와 각각 대응시켜서, 상기 입력키(3)를 상측으로 팽출부(61a)가 형성되여 있다.
이 팽출부(61a)의 하면에는, 배선기판 상면에 형성된 고정접점(63)과 마주한 가동접점(62)이 형성되여있으며, 이 가동접점(62)는 상기 입력키(3)가 조작됐을때에 팽출부(61a)의 하측으로 탄성변형에따라 상기 공정접점(63)에 접촉 하도록 되여 있다.
또 제3도에 있어서, (64)는 콤퓨터 본체(1)내에 설치한 전원전지이며, 이 전지(64)는, 카드홀더 격납하우징(7)에 형성한 전지 수납공(65) 수납되여 하우징 저판(8)위에 지지되여 있다.
다시, 제1도에 있어서, (70)은 콤퓨터 본체(1)의 표면에 형성된 제1의 전원 스위치, (71)은 콤퓨터본체(1)의 전면에 형성한 제2전원스위치이며, 이들 전원스위치(70), (71)은 각각 스라이드 스위치로 되여 있으며, 또 상기 제2전원스위치(71)은, 콤퓨터 본체(1)의 전면에 형성되여 있는 2개의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 (10)사이에 설치되여 있다.
이제2전원스위치(71)는 제3도시와 같이, 콤퓨터본체 (1)의 전면을 스라이드 하는 손잡이부(72)와, 이 손잡이부(72)에서 콤퓨터 본체(1)내에 연출된 암부(73)와, 이 암부(73)의 선단에 형성된 가동접점 유지틀(74)과, 이 유지틀(74)에 지지된 판스프링제의 가동접점(75)과, 배선기판(5)의 하면에 형성된 공통 고정접점(76)및 선택고정접점(77a), (77b), (77c)등으로 구성되여 있으며, 상기 가동접점(75)은 2개의 고정접점접촉부(75a), (75b)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가동접점 유지틀(74)은, 상기 하우징(7)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부(78)내에 스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여 있으며, 또, 상기 암부(73)는 하우징(7)의 전단부에 형성된 단부(79)에 스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여 있다.
또, 상기 배선기판(5)에 형성된 각 고정접점 중 공통고정 접점(76)은 가동접점(75)에 이동방향을 따르는 횡장접점으로 되여 있고, 상기 가동접점(75)에 이동방향을 따르는 횡장접점으로 되여 있고, 상기 가동접점(75)의 일측 고정접점 접촉부(75a)는 이 공통 고정접점(76)에 항상 접속하며, 타측의 고정접점 접촉부(75a)는, 상기 손잡이부(72)의 스라이드 조작에 의한 가동접점(75)의 이동에 따라, 가동접점(75)의 이동방향에 나란히 하고 있는 선택 고정접점(77a), (77b), (77c)에 선택적으로 접촙하도록 되여 있다.
제15도는 상기 콤퓨터 본체(1)내의 회로 개요를 표시한 것으로서, 도면중(80)은 중앙 정보처리장치(이하 CPU 이라한다)이며, 콤퓨터 본체(1)내에 장치된 메모리 카드(20)내의 메모리 회로는, 메모리 카드(20)측의 입출력단자(27)와 콤퓨터 본체(1)내의 메모리 카드 접속단자(60)등으로된 콘넥터(81)에 의하여 상기 CPU(80)와 접속하도록되여 있다.
또, (82)는 전원회로이며, 이 전원회로(82)에서의 전력은, 상기 CPU(80)의 DD단자에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콘넥터(81)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20)의 메모리회로의 DD단자에도 공급하도록 되여 잇다.
상기 CPU(80)는 콤퓨터 본체표면의 입력키(3), (3)…의 조작으로 키 입력부(83)에서 주는 신호에 맞추어 정보처리를 함과 동시에, 표시정보를 표시부(84)에 보내서 표시부(84)의 액정 표시판넬(4)를 표시구동시키는 것을 이 CPU(80)와 상기 메모리 카드(20)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주고 받음은 상기 콘넥터(81)를 통하여 하도록 되여 있다.
또, 이 CPU(80)는 그 SW단자에의 스위치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되여 있으며 이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회로(82)에서 상기 제1전원스위치(70) 및 제2전원스위치(71)를 통하여 입력하도록 되여 있다.
상기 제2전원스위치(71), 그 손잡이부(72)를 중간위치로 이동시켰을때에 ON상태가 되며, 손잡이부(72)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켰을때에는 어떤 경우에도 OFF상태가 되는 것으로 손잡이부(72)를 중간위치로 이동시키면, 가동접점(75)은 공통 고정접점(76)과 선택 고정접점(77b)등을 단락시킨 상태가 되여 스위치(71)는 ON하도록 되여 있다.
그리고, 제1전원스위치(70)를 ON시켜 다시 제2의 전원 스위치(71)도 ON시키면, CPU(80)의 DD단자 입력과 같은 전위의 스위치 신호를 전원회로(82)에서 CPU(80)의 SW 단자에 입력되여, 이에 따라서 DD단자 입력이 CPU(80)에 주어져 CPU(80)는 동작한다.
또, 상기 제2의 전원스위치(71)의 손잡이부(72)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그 가동접점(75)은 공통 고정접점(76)과 접지라인에 접속되여 있는 선택 고정접점(77a)또는 (77c)등을 단락시킬 상태로 되여 제2의 전원스위치(71)는 OOF상태가 된다. 이때에, 제1전원스위치(70)는 ON되여 있어도 CPU(80) SW 단자에는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으로, CPU(80)의 DD단자 입력은 제2전원스위치(71)측에 홀러, 가동접점(75)과 접속하고 있는 선택 고정접점(77a)또는 (77c)에서 접지라인으로 흐르게 된다.
또, 상기 제2의 전원스위치(71)의 손잡이부(72)는 이 제2전원스위치(71)를 끄지않고, 카드홀더(2)를 인출하고져 할 경우에, 이 카드홀더(12)의 인출을 저지하는 스톱퍼도 겸하고 있다.
즉, 이 손잡이부(72)는 이것을 중간위치에 이동시켰을 때에, 그 양단부는 좌, 우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 (10)의 전방에 돌출한 길이로 되여 있으며, 이 손잡이부(72)의 양단부에 있어서, 콤퓨터 본체(1)내에 삽입되여 있는 2개의 카드홀더(12), (12)의 전면판(12c), (12c)을 제4도시와 같이 외측에서 받아 멈추도록 되여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카드홀더 전면판(12c)의 일단부 전면에 상기 손잡이부(72)에 닿는 돌기a를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손잡이부(72)를 콤퓨터본체(1)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넣어서 형성하면, 손잡이부(72)는 카드홀더 전면판(12c)을 직접 고정시킬수 있음으로 카드홀더 전면판(12c)에 돌기 a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와같이 콤퓨터 본체(1)의 표면에 형성한 제1전원스위치(70)외에, 컴퓨터 본체(1)의 전면에도 제2의 전원스위치(71)를 형성하여, 이제2전원스위치(71)의 손잡이부(72)로 카드홀더(12)의 인출을 저지하도록한것은, CPU(80)를 정지시키지 않고, 콤퓨터 본체(1)내에서 메모리 카드(20)를 꺼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콤퓨터 본체(1)에 상기 제1전원스위치(70)를 형성한 것만으로는, 이 전원스위치(70)의 끊는 것을 잊어버리고 CPU(80)를 정지시키지 않고 콤퓨터 본체(1)내에서 메모리 카드(20)를 꺼내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이 CPU(80)를 정지 하지 않고 메모리 카드(20)를 꺼내면, 메모리 카드(20)의 기억이 파괴되고 마는 경우가 있으나, 상기와 같이 콤퓨터 본체(1)의 전면에도 제2의 전원스위치(71)를 형성하여, 그 손잡이부(72)로 카드홀더(12), (12)의 인출을 저지하도록 하여 두면, 이 제2전원스위치(71)의 손잡이부(72)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제2의 전원스위치(71)를 OOF시키지 않는한, 카드홀더(12)를 인출할수는 없게됨으로, 전원스위치의 끄는 것을 잊어서 CPU(80)를 정지하지 않고 콤퓨터 본체(1) 내에서 메모리 카드(20)를 꺼내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다.
또, 우측 카드홀더(12)를 인출하고져할 경우는, 상기 손잡이부(72)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제2의 전원스위치(71)를 OOF시키고, 좌측의 카드홀더(12)를 인출코져 할 경우는, 상기 손잡이부(72)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제2의 전원스위치(71)를 OOF 시키면 되며, 그후는 카드홀더(12)의 전면판(12c)의 조작부(15)를 눌러 내리면 카드홀더 인출용 열린부(10)의 상부 가장자리 내면에서 전면판(12c)을 이탈시켜, 카드홀더 압출용 코일스크링(14)의 탄력으로 카드홀더(12)를 눌러 꺼내면 된다.
이와같이하여 이 메모리 카드 장착기구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콤퓨터 본체(1)내에, 대체로 전체가 콤퓨터 본체(1)내에 격납되며, 콤퓨터 본체(1)에 형성한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에서, 콤퓨터 본체(1)외로 인출될 카드홀더(12)를 설치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20)를 이 카드홀더(12)에 유지시켜서, 이 카드홀더(12)의 콤퓨터 본체(1)내의 밀어 넣음으로서, 콤퓨터 본체(1)내의 소정위치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콤퓨터본체(1)내의 메모리 카드(20)의 장착을 상기 카드홀더(12)에 메모리 카드(20)를 지니게 하여 카드홀더(12)를 콤퓨터 본체(1)내에 밀어 넣는 것만의 조작으로 할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뒷뚜껑을 풀어내고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거나, 카드 삽입구에 메모리 카드 선단을 합쳐서 삽입하거나 하는 번잡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또 메모리 카드(20)를 꺼내는 것도 콤퓨터 본체(1)외에 카드홀더(12)를 꺼내서 이 카드홀더(12)에서 메모리 카드(20)를 꺼내는 것을 간단하게 할수 있음으로서 종래의 메모리 카드 장착기구에 비하여 메모리 카드의 장착 및 꺼냄이 용이하고,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드홀더(12)의 인출을 탄력으로서 자동적으로 카드홀더(12)를 눌러서 하게 되여 있었으나, 이 카드홀더(12)의 인출은 수동에 의하여 할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장착에 대하여 설명 하였으나, 메모리 카드는, 상기 RAM카드에 한하지 않고, 내부에 전원전지를 갖지 않는 ROM(Read Only memory)카드나, ROM/RAM카드이어도 무방하다. 또 표시부나 키 조작부를 갖는 메모리 카드(예 : 극히 얇은형 전탁과 같은 것으로 데이터 터미날로서 사용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며,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드홀더(12)를 콤퓨터 본체(1)의 전방에 인출하고져한 것이나, 이 카드홀더는 콤퓨터 본체(1)의 측방에 인출하게해도 좋고, 또 프린터가 달린 콤퓨터등과 같은 카드홀더를 수직으로 격납할수 있는 만큼의 높이가 있는 기기의 경우는 기기의 상측에 카드홀더를 인출하게해도 무방하다.
[발명의 효과]
이 발명은 전자기기 본체내에 메모리카드의 장착을, 상기카드홀더에 메모리 카드를 유지시켜서 카드홀더를 전자기기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 조작을 유지시켜서 카드홀더를 전자기기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 조작을 할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뒷 뚜껑을 떼고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거나, 카드 삽입구에 메모리 카드 선단을 모아서 삽입하거나 하는 번잡을 피할수 있을뿐 아니라, 메모리 카드의 꺼냄에 있어서도 콤퓨터 본체외에 카드홀더를 인출하여 이 카드홀더에서 메모리 카드를 꺼내게하는 것으로도 간단히 할수 있어 종래의 메모리 카드장착기구에 비하여 메모리 카드의 장착 및 꺼냄을 용이,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입출력단자(27), (27)와, 이 입출력단자(27), (27)를 노출하는 구멍(34)를 보유하는 메모리 카드(20)와 상기 메모리카드(20)를 수납하는 엷은상자부(12a)를 보유하는 카드홀더(12)와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및 카드홀더 격납공간(11)을 보유하며, 상기 카드홀더(12)를 그 엷은상자부(12a)가 상기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에서 외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에서 상기 카드홀더 격납공간(11)내에 격납하는 위치까지 안내하는 콤퓨터 본체(1)와, 상기 콤퓨터 본체(1)의 상기 카드홀더 격납공간(11)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며, 상기 카드홀더(12)의 엷은상자부(12a)에 수납된 상기 메모리 카드(20)의 상기 입출력단자(27)에 접촉하는 메모리카드 접속단자(60)와를 구비하여 형성된 메모리카드의 장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콤퓨터 본체(1)의 카드홀더 격납공간(11)내에는 이 카드홀더 격납공간(11)내에 격납된 카드홀더(12)를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에서 콤퓨터 본체(1)의 외방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14)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카드(20)는 그 구멍(34)에서 노출되어 있는 입출력단자(27)를 상기 구멍(34)에 대하여 노출 및 막도록하는 샷터판(35)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카드의 장착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콤퓨터 본체(1)는 그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및 카드홀더 격납공간(11)을 복수 개소에 보유하며, 또한, 카드홀더(12)는 이들 각 카드홀더 격납공간(11)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카드의 장착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콤퓨터 본체(1)는 입접하여 배치된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사이에 마련되어있는 전원스위치(7)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의 장착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전원스위치(7)는 카드홀더 인출용 구멍트인부(10)의 내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스라이드 하는 손잡이부(72)및 이 위치에서 전원라인을 오프하는 접점(75), (77a), (77b)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의 장착기구.
KR1019840005090A 1984-04-03 1984-08-23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 KR890002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66174A JPS60209989A (ja) 1984-04-03 1984-04-03 メモリカ−ドの装着機構
JP59-66174 1984-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00A KR850007900A (ko) 1985-12-09
KR890002039B1 true KR890002039B1 (ko) 1989-06-08

Family

ID=1330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090A KR890002039B1 (ko) 1984-04-03 1984-08-23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209989A (ko)
KR (1) KR890002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0989A (ja) * 1986-05-29 1987-12-05 Tokyo Tatsuno Co Ltd Icカ−ド読取り・書込み装置
JPH01288982A (ja) * 1988-05-16 1989-11-21 Minolta Camera Co Ltd Icカードの接続装置
US5032857A (en) * 1988-05-16 1991-07-1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card accommodating device
JPH088538Y2 (ja) * 1990-01-23 1996-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Icカードのイジェクト装置
US5320552A (en) * 1990-03-17 1994-06-1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Contac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contacting apparatus for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JPH062470U (ja) * 1992-06-04 1994-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cカード固定機構
JP4558698B2 (ja) * 2006-10-23 2010-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5079A (ja) * 1982-04-05 1983-10-14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ド読取書込装置のコンタクトユニツ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00A (ko) 1985-12-09
JPS60209989A (ja) 1985-10-22
JPH0366709B2 (ko) 199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322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IC card
US8666449B2 (en) Portable telephone set
US6580923B1 (en) Portable telephone set
US5315478A (en) Memory card tray for portable computer
US7744000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7520766B2 (en) Fixing device for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US7442086B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6226189B1 (en) Data card housing
EP0430252A2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detachable storage unit
US5036313A (en) Portable computer with improved assembly design
JP2660655B2 (ja) Icカード処理装置
JPH06161601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930002920A (ko) 전자 기기, 전자 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카드 형상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확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시스템
KR890002039B1 (ko) 메모리 카드의 장착기구
US688708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shutter mechanism
US7794250B2 (en) Card mounting apparatus
EP0635775A1 (en) Removal prevention for detachable unit
US6923373B2 (en) Device with memory card insertion/removing mechanism
JP2002032715A (ja) 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メモリーカードアダプター装置
JPH0337081Y2 (ko)
EP1603073B1 (en) Device with card-holding mechanism
JPH0313809Y2 (ko)
US5095405A (en) Connector device having large number of connecting terminals arranged on arcuately guided connectors
CN211182583U (zh) 卡座连接器及移动终端
US7116363B2 (en) Digital camera and ejection mechanism for memory card in mobile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