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898B1 - 권선(卷線)방법 및 그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권선(卷線)방법 및 그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98B1
KR890001898B1 KR1019840001363A KR840001363A KR890001898B1 KR 890001898 B1 KR890001898 B1 KR 890001898B1 KR 1019840001363 A KR1019840001363 A KR 1019840001363A KR 840001363 A KR840001363 A KR 840001363A KR 890001898 B1 KR890001898 B1 KR 89000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uction pipe
electric wire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519A (ko
Inventor
아기라 도오사가
Original Assignee
이까리 고오산 가부시기가이샤
구로사와 마사쯔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544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58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7054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58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74106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0409A/ja
Application filed by 이까리 고오산 가부시기가이샤, 구로사와 마사쯔구 filed Critical 이까리 고오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Winding conductors onto closed formers or cores, e.g. threading conductors through toroidal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권선(卷線)방법 및 그 권선장치
제 1 도는, 코어(Core)의 평면도.
제 2 도는, 코어 베이스 및 코어의 평면도.
제 3 도는, 권선 방법의 공정 순서도.
제 4 도 내지 제 9 도는, 권선 방법의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 권선 장치의 정면도.
제11도는, 헤드(Head)부분의 정면도.
제12도는,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의 헤드의 정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잡는 기구의 평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흡인 파이프의 측면도.
제17도는, 제 15도에서의 A-A선 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위치 결정판 부분의 확대 평면도.
제20도는, 흡인판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21도는, 흡인판 지지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22도는, 흡입 구동 부분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삽통(揷通) 공정 B : 이송 공정
C : 위치결정 공정 D : 안내 공정
1 : 코어 2 : 구멍
3 : 주행면 4 :전선
5 : 코어 베이스 6 : 흡입 파이프
7 : 잡는 기구 8 : 잡는면
9 : 커터 10 : 이송 로울러
11 : 권선 장치 12 : 호울더
13 : 이송장치 14 : 안내장치
15 : 누름판 16 : 베이스
17 : 회전축 18 : 아암
19 : 구동기구 20 : 슬라이더
21 : 구동 유니트 22 : 구동 로드
23 : 가요성 튜우브 24 : 진공부
25 : 반전축(反轉軸) 26 : 구동기구
27 : 헤드 28 : 안내축
29 : 커버 30 : 유지체
31 : 판 스프링 32 : 가이드 칼라 스톱퍼
32a : 홈 33 : 부착나사
34 : 스톱퍼 35 : 판스프링 링(Ring)
35a, 35b : 맞닿음부 36 : 압축스프링
37 : 송풍 파이프 38 : 불어내는 구멍
39 : 커버 40 : 흡인구(吸引口)
41 : 위치 결정판 42 : 위치 결정홈
43 : 흡인판 44 : 파이프
45 : 브라켓트 46 : 전자밸브
46a : 구동부 47 : 리미트 스위치
48 : 접속공 49 : 전원
50 : 흡착판 51 : 긴 구멍
52 : 스프링
본 발명은 트로이덜형 코어(Troidal Core)의 작은 구멍에, 가느다란 전선을 자동적으로 감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헤드(head)는, 원반 형상으로서, 그위 바깥둘레 테두리에 여러 개의 코어를 가지고 있다. 이 코어에는, 작은 권선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에 직경 0.03mm정도의 가느다란 전선이 감겨져 있다. 이 전선은 자기 테이프등의 주행시에 자기 테이프의 자기적 기록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종래의, 이 전선 감는 방법은, 코어의 구멍을 광학적으로 확대하여 보면서, 수 작업에 의하여 행하여져 왔다. 이 수 작업에 의하면, 생산의 능률이 나쁘고, 대량 생산이 곤란하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이 상당히 고가로 되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 권선 작업의 자동화가 요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인 가동 부분과 공기적인 전선의 끼워통하게 하는 수단을 유기적으로 조합시켜서, 전선 감는 작업을 고속화 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하에서, 본 발명은, 진공 흡인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서, 전선의 선단을 직선상으로 교정하면서 위치를 결정하고, 그 선단을 코어의 구멍에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코어의 구멍에 전선을 감는 경우에, 중간 부분에서 자유로운 상태의 전선에 공기의 흐름을 보내어, 이것에 의하여 전선을 소정의 공간 방향으로만 휘어지게 하여, 감는 도중에 주위의 기계 부품등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의 구멍에 안내된 전선을 흡인 파이프의 앞끝단에 형성된 한쌍의 마찰적 유지수단에 의하여 유지하고,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전선을 코어에 정연하게 감고,동시에 마찰적인 미끄럼 유지에 의하여 전선의 감김 상태를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흡인 파이프가 전선을 감기 위하여 선회 운동을 할때에, 진공 흡인용 튜우브도 흡인 파이프와 함께 끌리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흡인 파이프의 운동은, 튜우브의 움직임에 제한되고, 또한 그 튜우브의 무게 때문에 고속화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회 운동이 가능한 흡인 파이프와, 진공 흡인용 튜우브를 분리하여, 흡인 파이프의 운동상의 장해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하에서, 본 발명은 일정 위치에 흡인용 큐우브를 붙임 고정하고, 그 앞끝단의 흡인판을 진공부의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흡인 파이프에 대해서 탄성 변형에 의하여 흡착 또는 이탈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코어(1)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코어(1)는 두께 0.4mm정도의 페라이드(Ferrite)제의 판형상체로서 종횡 2 내지 3mm정도의 크기로 성형되어 있다.
이 코어(1)의 주행면(3)의 가가이에, 0.3mm이하 정도의 권선용 구멍(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과 대응하는 양끝단의 둘레부에 직경0.03mm정도의 유연한 전선(4)이 감겨져 있다.
이 전선(4)의 감김수는 제품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좌, 우,공히 5 내지 15회 정도이다. 그리고, 이 트로이덜형 코어(1)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코어 베이스(Core Base)(5)의 앞끝단 위치에 접착등에 의하여 붙임고정되고, 이 코어 베이스(5)에 의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헤드의 바깥둘레 테두리에 붙임고정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권선 장치(11)의 전제로 되는 권선 방법의 공정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권선 방법은 삽통 공정(A), 이송 공정(B), 위치결정 공정(C) 및 안내 공정(D)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4 도는 삽통 공정(A)을, 제 5 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이송 공정(B)을, 제 8 도는 위치결정 공정(C)을 마지막 제 9 도는 안내 공정(D)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삽통 공정(A)에서는, 소정 길이의 전선(4)을 감김시작 끝단이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코어(1)의 한쪽으로 부터 구멍(2)가까이까지 안내되고, 그후에 흡인 파이프(6)의 앞그ㅌ단이 코어(1)의 다른쪽으로 부터 구멍(2)의 중심위치에 접근하여 그위 바깥둘레에 밀착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 파이프(6)가 진공 흡인을 행하여서 구멍(2)에 전선(4)이 까워져 통하는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일으킨다. 이 공기의 흐름은, 전선(4)의 끝단부를 끌러들여, 그 전선(4)과 함께 구멍(2)을 통하여 흡인 파이프(6)의 내부에 도달한다.
이 흡인시에 코어(1)의 한쪽이 주위로 부터 구멍(2)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기때문에, 전선(4)의 끝단부는, 대략 구멍(2)의 가가이에 위치하여 두면 좋고, 정확한 위치 결정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이렇게 하여 전선(4)의 한쪽 끝단은 진공 흡인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코어(1)의 구멍(2)을 통과한다. 계속하는 이송 공정(B)에서는, 흡인 파이프(6)가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무등의 한쌍의 유지체(30)에 의하여 전선(4)을 마찰적으ㅗ 유지한 그대로 휴퇴하고, 계속하여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코어(1)의 타측으로 부터 일측으로 반전하면서 이동하여 전선(4)을 코어(1)의 감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에, 한쌍의 유지체(30)는, 전선(4)에 대하여 일정한 장력을 가하고, 마찰적으로 미끄러지면서, 전선(4)을 코어(1)의 구멍(2)에 감아가기 때문에, 전선(4)은 직선상으로 교정되어, 코어(1)의 능선 부분에서도 면을따라 정연하게 감는다.
또한, 이때의 흡인 파이프(6)는 선회 운동시의 회전 중심은, 코어(1)의 구멍(2)가까이에 설정되지만, 흡인 파이프(6)는 반전후에 약간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전선(4)의 앞끝단을 약 5cm정도만 내부로 끌어 들인다.
또한, 공정중에, 송풍 파이프(37)는, 그 불어내는 구멍(38)으로 부터 앞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때문에 루우프(Loop)형의 전선(4)은, 주위의 기계 부품등에 휘감겨 붙지 않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
다음의 위치결정 공정(C)에서는, 제 8 도와 같이 흡인 파이프(6)의 하단 위치에, 한쌍의 잡는 기구(7)가 이동해와서 그의 V자형의 잡는면(8)(제13도 및 제14도 참조)으로 전선(4)의 앞끝단 부분을 위치 결정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선(4)의 앞끝단 부분이 커터(9)에 의하여 절단된다.
한쌍의 잡는 기구(7)는, 구멍(2)의 중심선상에 전선(4)을 잡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전선(4)의 앞끝단은, 직선상으로 교정되면서 정확하게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전선(4)의 앞끝단 부분은, 흡인 파이프(6)에 빨려들어가 있을때, 흡인시의 진동에 의하여 복잡하게 굴곡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커터(9)가 그 앞끝단 부분을 절단하기 때문에, 전선(4)의 앞끝단 즉, 절단부분은, 구멍(2)의 중심선상의 위치에 정확하게 결정된다.
또한, 전선(4)의 소정 길이는 감는데 필요한 길이 이외에 절단되는 길이를 합친 길이로 설정된다. 마지막의 안내 공정(D)에서는, 제 9 도와 같이, 한쌍의 잡는 기구(7)가 상, 하 반대로 반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전선(4)의 절단구측 앞끝단 부분을 구멍(2)의 위치로 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 파이프(6)는, 재차 코어(1)의 다른쪽 즉, 아래쪽으로 복귀하여 재차 진공 흡인을 시작한다.
이와같이 하여 재차 삽통 공정(A)이 개시된다. 물론, 이때에 한쌍의 잡는 기구(7)는, 전선(4)의 앞끝단 부분의 유지를 풀게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한쌍의 이송 로울러(10)가 부설된다. 이 한쌍의 이송 로울러(10)는 전선(4)을 구멍(2)의 방향으로 송출한다. 이와같이 하여 전선(4)은 코어(1)의 구멍(2)을 통하여 코어(1)에 감긴다.
이상의 일련의 공정은, 전선(4)의 감김수에 대응하는 회수만큼 연속이고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행하여 진다.
상기의 권선 방법은, 권선 작업의 기계화를 위하여 아래의 점에 유리하다.
즉, 삽통 공정(A)에서는, 구멍(2)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전선(4)의 끝단부를 코어(1)의 한쪽으로 부터 다른쪽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전선(4)의 삽입 끝단에 대하여 특별한 위치 결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이송 공정(B)에서는, 유지체(30)가 전선(4)을 미끄러지게 하는 상태로 마찰적으로 사이에 끼워넣고 있기 때문에, 전선(4)의 소정의 장력이 걸리고, 또한 전선(4)의 감김 불량 습관이 고정된다.
더우기, 위치결정 공정(C)에서는, 커터(9)가 전선(4)의 선단 굴곡 부분을 절단하기 때문에 전선(4)의 절단측 선단 즉, 삽입 끝단이 제먹대로의 방향을 향하지 아니하고, 항상 구멍(2)의 중심선상에 있으므로, 전선(4)의 구멍(2)에 대한 삽통이 획일화되고, 또한 한쌍의 잡는 기구(7)가 진퇴 운동에 의하여 전선(4)의 절단측구 선단 부분을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면서 잡기 때문에, 전선(4)의 선단부의 위치 결정 수단이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전선(4)을 감는것도 수작업보다도 빠르고 기계적으로 원활하게 행하여 진다.
다음에, 제10도 내지 제22도는, 상기 권선 방법에 기초를 둔 본 발명 권선장치(11)을 나타내고 있다. 이 권선 장치(11)는 상기 흡인 파이프(6), 한쌍의 잡는 기구(7), 커터(9), 한쌍의 유지체(30) 및 송풍 파이프(37)이외에 호울더(12), 이송장치(13) 및 안내장치(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울더(12)는, 안내장치(14)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어, 상면으로 코어(1)를 지지하고, 또한 그 코어(1)를 탄성체인 누름판(15)에 의하여 정위치에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고정하고 있다.
또한, 이송장치(13)는, 흡인 파이프(6)를 반전시키면서, 전선(4)이 감기는 방행으로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16)상에 부착되고, 회전축(17), 아암(18)에 의하여 흡인 파이프(6)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다. 회전축(17)은, 구동기구(19)에 의하여 구동되고, 180도 회전하여 흡입 파이프(6)의 상,하를 반전시킨다.
또한, 흡인 파이프(6)는, 선단에 테이퍼형의 흡인구(40)을 갖추고 있고, 슬라이더(20)에 의하여 아암(18)에 대한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더(20)는 아암(18)의 선단에 부착된 구동 유니트(21) 및 구동 로드(22)에 의하여 구동되는 관계에 있다.
또한, 송풍 파이프(37)는 이송장치(13)의 일부이고 역"U"자형으로서, 반전축(25)을 타고넘는 상태로 안내장치(14)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장치(14)는, 한쌍의 잡는 기구(7)를 반전축(25)으로서 지지하고 있다. 이 반전축(25)은, 구동 기구(26)에 의하여 구동되고, 180도 회전하며, 또한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반전축(25)의 선단에 헤드(27)가 부착되고, 한쌍의 잡는 기구(7)가 헤드(27)의 안내축(28)에 대하여 전진, 후퇴가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한편, 한쌍의 잡는 기구(7)의 구동원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전자 플런저(plunger)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한쌍의 잡는 기구(7)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빗살형으로 되어 있고, 그 대향면으로 "V"자형의 잡는면(8)을 형성하고 있다.
이 한쌍의 자는 기구(7)는 이론적으로는 제 8 도 및 제 9 도와 같이 1개로도 좋지만, 전선(4)의 교정 길이를 길게하기 위하여, 제12도와 같이 복수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잡는 기구(7)의 윗쪽 부분에 한상의 이송 로울러(10)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이송 로울러(10)는 도시하지 아니한 내장된 모우터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터(9)는 어느 쪽인가의 잡는 기구(7)의 반전에서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27)의 전면 및 측면에 전선(4)이 끌려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 위치 분할형으로 미끄러운 곡면의 커버(39)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5도 내지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흡인 파이프(6)의 상단 소경부에는 판 스프링 링(35)이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 링(35)은 압축 스프링(36)에 의하여 항상 흡인 파이프(6)의 앞끝단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 가이드 칼라 스톱퍼(32)에 맞닿아 있다. 판 스프링(35)에, 부착나사(33)에 의하여 부착된 한쌍의 판 스프링(31)은, 가이드 칼라 스톱퍼(32)의 홈(32a)의 내부에 있고, 그것에 안내되어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31)의 선단 대향면에는 각각 유지체(3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유지체(30)는, 예를들어 고무등의 유연하고 마찰계수가 큰 재료로 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판 스프링(31)의 앞끝단 부분에는, 각각 위치 결정판(41)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위치 결정판(41)은, L잘형으로 대향 상태에 있고 대향면에 V자형의 위치 결정홈(4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판 스프링 링(35)의 맞닿음부(35a)는 스톱퍼(34)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맞닿음부(35b)는 스위치(47)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톱퍼(34) 및 스위치(47)는 호울더(12)등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흡인 파이프(6)의 뒤끝단 부분에는, 제10도 및 제 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평판형의 흡착판(50)이 부착되고 이 흡착판(50) 및 흡인 파이프(6)에 접속공(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공(43)은 흡인 파이프(6)의 내부로 통하고, 또한 이 흡인 파이프(6)가 삽통 공정(A)의 위치에 있는때에, 흡인판(43)과 대향하고 있다.
이 흡인판(43)은, 유연한 탄성부재, 예를들면 고무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피이프(44)의 앞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44)는, 브라켓트(45)의 긴 구멍(51)의 내부에서 스프링(52)으로 힘이 가하짐과 동시에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안내장치(14)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44)는 뒤끝단은, 가요성 튜우브(Flexible Tube)(23)에 의하여 전자 밸브(46)를 개재시켜서 진공부(24)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자 밸브(46)의 구동부(46a)는,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미트 스위치(47)와 동시에 전운(49)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된 권선 장치(1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에 전선(4)은, 필요한 길이 만큰만 보내 넣어지고, 그 앞끝단 부분을 코어(1)의한쪽으로 부터 구멍(2)의 내부에 면하게 하고 있다. 이 전선(4)의 송출은, 공지의 측장(測長) 공급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다음에, 흡인 파이프(6)는 코어(1)의 다른쪽 즉, 아래방향 위치에 있고, 그곳으로 부터 코어(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중간에서 스톱퍼(34)가 맞닿음부(35)에 맞닿아서 판 스프링 링(35)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때문에, 한쌍의 판 스프링(31)은, 제16도와 같이 흡인 파이프(6)의 앞끝단 곡면에 면하여 개방상태로 된다.
이때에, 맞닿음부(35b)가 스위치(47)에 닿아서 스위치(47)를 온(ON)상태로 하기 때문에, 전자 밸브(46)는 개방 상태로 되어 흡인판(43)으로 부터 외부 공기를 빨아들여 진공부(24)의 방향을 향하여 흐른다.
이때에, 흡인판(43)의 내부가 부압으로 되기 때문에 흡입판(43)은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을 하고, 제20도에 실선으로 나타탠 방와같이 흡착판(50)에 밀착한다.
이와같이 흡인 파이프(6)의 내부에 흡인구(40)로 부터 접속동(48)을 지나서 진공부(24)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그후에도 흡인 파이프(6)가 상승하기 때문에 그 흡인구(40)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대로 코어(1)의 아래면 구멍(2)에 위끝단면을 밀착시켜서, 진공부(24)로 부터의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공흡인을 행하고, 전선(4)을 구멍(2)으로 안내하여 흡인 파이프(6)의 내부로 끌어 넣는다(삽통 공정(A)).
이와같이, 흡인 파이프(6)가 진공부(24)의 배관계로 부터 분리돠어 있기 때문에, 흡인 파이프(6)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고속 선회 운동이 실현 가능하고, 또한 배관계가 흡인 파이프(6)의 운동과 관계없이 정지 상태로 있기 때문에, 다른 부품등에 휘감겨 붙는 일도 없게된다
또한, 흡인판(43)이 진공부(24)의 압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흡인 파이프(6)에 흡착하기 때문에, 특별한 제어나 접속기기가 필요하지 않게되어 그것만큼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다음에, 흡인 파이프(6)는 코어(1)의 아래 방향으로 내려간다. 이때에, 맞닿음부(35a)가 스톱퍼로 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판 스프링 링(35)은 압출 스프링(36)의 탄력을 받아 상승함으로 유지체(30)는 흡인된 전선(4)을 판 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하여 잡는다.
이 사이에 파이프(44)가 긴 구멍(51)에 면하려 스프링(52)의 탄력을 이겨내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흡인판(42)의 흡착판(50)에 대하여 흡착상태 그대로 흡인 파이프(6)와 함께 이동한다.
한쌍의 유지체(30)가 전선(4)을 잡기 직전에 한쌍의 위치 결정핀(41)은 상호 맞닿고, "V"자형의 위치 결정홈(42)에 의하여 전선(4)을 흡인 파이프(6)의 중심 위치로 전확하게 안내한다. 이때문에, 한쌍의 유지체(30)는 전선(4)을 올바른 위치로 잡게된다.
또한, 이 하강과정에 맞닿음부(35b)가 스위치(47)로 부터 떨어지기때문에, 전원(49)이 오프(OFF)로 되고, 전자 밸브(46)가 닫혀서, 흡착판(50)과 흡인판(43)과의 사이의 부압 공기의 흐름이 없어져서, 이들의 흡착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계속해서 이송장치(13)의 구동 기구(19)는, 회전축(17)을 180고 선회시켜, 흡인 파이프(6)의 상하를 반전시키면서 흡인 파이프(6)를 코어(1)의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시에 송풍 파이프(37)는, 그이 불어내는 구멍(38)으로 부터, 공기를 보내어 그 흐름에 의하여, 아래쪽 약 45도 방향으로 전선(4)을 불어 주위의 기계등에 전선(4)이 감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이동 과정에서, 한쌍의 유지체(30)는, 마찰적으로 전선(4)으로 전선(4)을 유지하여, 일정한 장력을 걸면서 감고 또, 전선(4)을 직선산으로 교정한다. 흡인 파이프(6)의 회전중 또는 회전후 구동 유니트(21)는, 슬라이더(20)를 회전축(17)으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흡인 파이프(6)는 위쪽 위치에서 전선(4)의 앞끝단을 조금만 흡인한 상태 그대로, 한쌍의 유지체(30)를 유지하고 있다(이송 공정(B)).
이와같이, 흡인 파이프(6)가 코어(1)의 구멍(2)으로 부터 떨어져 나감과 동시에, 한상의 유지체(30)가 흡인된 전선(4)을 잡기 때문에, 공기적 흡인력이 약해지더라도 전선(4)을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이송 가능하고, 또한 흡인 파이프(6)으로 부터 보내져온 전선(4)을 느슨함이 없는 상태로 정연하게 감긴다.
이때문에, 코어(1)의 구멍(2)에 높은 밀도로 감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반전축(25)이 전진하여 전위치에 전진하고 나서, 한쌍의 잡는 기구(7)가 상호 접근한다. 이때에 대향한 잡는면(8)은, 전선(4)을 경사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안내하여 전선(4)을 가볍게 사이에 끼워 지지해서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에, 커터(9)는 전선(4)의 앞끝단 부분을 절단 해낸다(위치결정 공정(C)).
그후에, 반전축(25)은, 180도 회전하여 아래쪽에 있었던 이송 로울러(10)를 위쪽으로 위치시키고, 또한 전선(4)의 절단구 측단부, 즉 삽인 끝단을 구멍(2)의 위치까지 안내한다(안내 공정(D)).
이 사이에, 흡인 파이프(6)는 원래의 아래쪽 위치까지 되돌아가서 다음의 흡인에 대비한다. 흡인 파이프(6)가 진공 흡인을 개시함과 동시에 한쌍의 잡는 기구(7)는 약간 후퇴하여 전선(4)의 구속을 해제한다. 동시에, 이송 로울러(10)가 전선(4)을 구멍(2)의 방향으로 보내 넣기 때문에, 전선(4)은 코어(1)의 구멍(2)으로 부터 재차 흡인 파이프(6)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하여, 전선(4)의 1회 감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여 행함에 의하여, 전선(4)은 코어(1)의 구멍(2)에 소정의 회수 만큼 감긴다. 감김 작업의 진행과 함께 전선(4)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그것에 대응하여 구동 유니트(21)는 슬라이더(20)를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의 일련의 동작은, 리미트 스위치 및 시이퀸스 회로(Sequence Circuit)를 조합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밸브(46)의 닫힘 시점은 타이머로 설정할 수도 있다.

Claims (7)

  1. 트로이덜형 코어(1)의 한쪽으로 부터 전선(4)의 끝단부를 코어(1)의 구멍(2) 가까이 까지 안내하고, 상기 코어(1)의 다른쪽으로 부터 흡인 파이프(6)에 의하여 진공 흡인을 행하여, 코어(1)의 구멍(2)에 전선(4)의 끼워통하게 하는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일으켜서,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전선(4)을 코어(1)의구멍(2)에 끼워통하게 하는 삽통 공정(A)과,이 삽통 공정(A)후에, 상기 흡인 파이프(6)를 코어(1)의 타측으로 부터 일측으로 회전시켜서, 전선(4)을 코어(1)의 감김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공정(B)과, 이 이송 공정(B)후에, 전선(4)의 끝단부를 위치 결정상태로 잡고, 동시에 전선(4)의 앞끝단부를 절개제거하는 위치결정 공정(C)과. 이 위치결정 공정(C)후에, 전선(4)의 절단구측 앞끝단을 코어(1)의 일측에서 코어(1)의 구멍(2) 가까이로 유도하는 안내 공정(D)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방법.
  2. 트로이덜 형 코어(1)를 정위치로 지지하는 호울더(12)와, 코어(1)의 다른쪽에서 코어(1)의 구멍(2)에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하게 진공부(24)에 접속된 흡인 파이프(6)와, 이 흡인 파이프(6)를 코어(1)의 타측으로 부터 일측으로 반전시키면서 전선(4)의 감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13)와, 코어(1)의 타측으로 부터 일측으로 반전시키면서 전선(4)의 감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13)와, 코어(1)의 일측에서 전선(4)을 위치 결정한 상태로 잡는 한쌍의 잡는 기구(7)와, 코어(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선(4)의 앞끝단을 절단 제거하는 커터(9)와, 상기 잡는 기구(7)를 반전시키며서 잡은 상태의 전선(4)을 절단구측 앞끝단을 코어(1)의 일측으로 부터 코어(1)의 구멍(2) 가까이까지 유도하는 안내장치(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한쌍의 잡는 기구(7)의 대향면에, "V"자형의 잡는 면(8)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한쌍의 잡는기구(7)를 전진, 후퇴가 자유롭도록 하고, 한쪽의 잡는 기구(7)에 커터(9)를 붙임 고정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장치(13)는, 이송중의 전선(4)을 소정의 공간방향으로 불어보내는 송풍파이프(37)를 구비하고, 이 송풍 파이프(37)는 흡인 파이프(6)의 이동궤면적에 대하여 평행하며, 호울더(12)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흡인 파이프(6)는, 앞끝단부에 전선(4)을 마찰적으로 유지하는 한쌍의 유지체(30)를 구비하고, 이 한쌍의 유지체(30)는 판 스프링(31)에 의하여 흡인 파이프(6)에 대하여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흡인 파이프(6)의 접촉 및 분리 운동시에 한쌍의 유지체(30)를 흡인 파이프(6)의 앞끝단에 맞닿게 함으로써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흡인 파이프(6)는, 이 흡인 파이프(6)의 접속공(48)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하고 진공부(24)에 접속된 흡인판(43)을 포함하여, 이 흡인판(43)은 유연한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진공부(24)의 압력변화에 의하여 흡인 파이프(6)의 접속공 위치에 붙임고정된 흡착판(50)에 대하여 접촉 및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KR1019840001363A 1983-04-20 1984-03-16 권선(卷線)방법 및 그 권선장치 KR890001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54483A JPS59195815A (ja) 1983-04-20 1983-04-20 巻線装置
JP58-70543 1983-04-20
JP70544 1983-04-20
JP7054383A JPS59195814A (ja) 1983-04-20 1983-04-20 巻線装置
JP70543 1983-04-20
JP74106 1983-04-28
JP7410683A JPS59200409A (ja) 1983-04-28 1983-04-28 巻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519A KR840008519A (ko) 1984-12-15
KR890001898B1 true KR890001898B1 (ko) 1989-05-30

Family

ID=2641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363A KR890001898B1 (ko) 1983-04-20 1984-03-16 권선(卷線)방법 및 그 권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8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519A (ko) 198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7681A1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electric cables
EP0010172A2 (en) Magnetic disk file machine
KR890001898B1 (ko) 권선(卷線)방법 및 그 권선장치
US44912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wires
US2781576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elements of liquid-dispensing containers
US4988047A (en) Winding apparatus
US5163633A (en) Apparatus for winding strips of web material onto spools
JPS6323645B2 (ko)
JP3439791B2 (ja) 巻線装置
JPS59195815A (ja) 巻線装置
JPS59195814A (ja) 巻線装置
JPH0343710Y2 (ko)
JP2580276B2 (ja) 巻線用テ―ピング装置
JPS6322606B2 (ko)
JPH06131637A (ja) 磁気テープ装置のクリーニング機構
JPH0956025A (ja) 電線識別用チューブ搬送設定装置
JPS58206112A (ja) トロイダル型コアの巻線装置
JPS61180417A (ja) 巻線装置
JPS62206807A (ja) 巻線方法
JPS6328871Y2 (ko)
JPS6231106A (ja) トロイダル形コアの巻線装置
JPS62122918A (ja) 偏平チユ−ブ拡開装置
KR960000261Y1 (ko) 티브이 등의 브라운관에 있어 코일 권선기의 선재 유도장치
JPS60170009A (ja) 磁気記録ヘツド用コイルの捲線方法及び装置
JPH08174466A (ja) チューブ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