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841B1 -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41B1
KR890001841B1 KR1019840001462A KR840001462A KR890001841B1 KR 890001841 B1 KR890001841 B1 KR 890001841B1 KR 1019840001462 A KR1019840001462 A KR 1019840001462A KR 840001462 A KR840001462 A KR 840001462A KR 890001841 B1 KR890001841 B1 KR 89000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or
osc
transistor
transform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343A (ko
Inventor
이흥규
Original Assignee
이두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훈 filed Critical 이두훈
Priority to KR101984000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841B1/ko
Publication of KR85000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송신부 블록도(a)와 수신부 블록도(b).
제2도는 본 발명의 송신부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수신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본파 발진부 2 : FM 변조부
3 : 암호펄스 발진부 4 : AM 변조부
5 : 암호복합음차 발진부 6 : 송신기
7 : 수신기 8 : AM 검파부
9 : 암호복함음차 필터 10 : 분석회로 제어부
11 : 암호펄스 발진부 12 : 암호신호 분류기
13 : 시동회로 제어부 14 : 도어로크 제어부
15 : 트렁크로크 제어부 16 : 경보회로 제어부
17 : 암호 조합기 18 : 변조기
19, 19' : 복합음차 발진기 20 : 검파기
21 : 검파신호 분석기 22 : 진동자
23 : 전자석 24 : SCR
TR1-TR20: 트랜지스터 T1-T6: 트랜스
R1-R44: 저항 C1-C26: 콘덴서
D1-D5: 다이오우드 RY1, RY2: 릴레이
L1: 코일 OSC1-OSC3: 발진기
B1-B3: 버튼 SW1: 스위치
E1: 전지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나 트렁크, 유리문등을 원격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특히 한 캐리어가 여러개의 주어진 암호신호를 발신하는 송신기를 휴대하고 일정한 거리내에서 자동차에 접근하면 자동차 내부의 수신기는 그 암호를 해석하여 미리 폐쇄되어 있던 엔진 시동회로를 복구하면서 잠겼던 도어 및 트렁크, 유리문이 풀리도록하는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원격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해 자동차 도어의 내부에 도난방지기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키를 사용하지 않은 여타의 방법으로 외부에서 도어를 열 경우에는 도난방지기가 이것을 감지하여 벨을 구동시켜 도난방지의 역할을 하였으나 이것은 원격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키를 잃어버리거나 차내에 두고 나온 경우 외부에서 억지로 도어를 여는 과정에서 차내에서 구동되는 벨의 울림을 멈출수가 없어 소음 공해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기본파 발진부(1)가 암호펄스 발진부(3)와 함께 FM 변조부(2)를 거친후 암호복합음차 발진부(5)와 함께 AM 변조부(4)를 거쳐 송신기(6)에 연결되는 송신부 블록도(a)와, 수신기(7)의 수신 신호가 FM 검파 및 AM 검파부(8) 암호복합음차 필터(9), 분석회로 제어부(10)를 거쳐서 FM 검파 및 AM 검파부(8)를 거친 신호와 함께 암호펄스 분석부(11)에서 암호분석된 후 암호신호 분류기(12)를 거쳐 시동회로 제어부(13), 도어로크 제어부(14), 트렁크로크 제어부(15), 경보회로 제어부(16)에 연결되는 수신부 블록도(b)를 나타낸 것이다.
송신부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암호 조합기(17)의 단자(P0)와 단자(P1-P3) 사이에 선택버튼(B1-B3)을 접속하고 단자(P4, P5)에는 발진기(OSC1)를 연결하며 출력단(OUT)은 변조기(18) 및 발진기(OSC1)를 거쳐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전지(E1)의 (+)단은 스위치(SW1)를 거쳐 트랜스(T1)의 중간단자, 저항(R3, R4), 암호 조합기(17)의 전원단(VCC) 및 발진기(OSC1)와 복합음차 발진기(19, 19')에 연결하며 전지(E1)의 (-)단은 암호 조합기(17)의 전원단(-VCC) 및 발진기(OSC2)에 접속하고 복합음차 발진기(19, 19')는 변조기(18)와 저항(R2, R3, R5), 콘덴서(C2) 및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에 연결되며 또한 저항(R6)을 거쳐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스(T1, T2)의 1차축은 각각 콘덴서(C1, C2)와 폐회로를 이루어서 트랜지스터(TR1, TR2)의 콜렉터에 연결하며 트랜스(T1)의 2차측은 트랜지스터(TR2, TR3)의 베이스와 콜렉터 및 저항(R4)에 접속되고 트랜스(T1)의 2차측은 송신기(6)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수신부는 제3도에서와 같이 수신기(7)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트랜스(T3-T5)와 저항(R7-R14) 및 트랜지스터(TR4, TR5), 발진기(OSC3), 콘덴서(C3-C10)를 통해 검파기(20)에 입력되고 검파기(20)의 출력단은 검파신호 분석기(21)의 단자(P1)에 연결되며 코일(L1)과 콘덴서(C11-C13)로 구성된 필터는 검파신호 분석기(21)의 단자(P2)와 검파기(20) 사이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에미터는 검파신호 분석기(21)의 단자(P3, R4)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는 다이오우드(D1, D2) 및 저항 (R15, R16)을 통해 접지되고 검파신호 분석기(21)의 단자(P5)는 진동자(22)와 콘덴서(C15, C16)를 거쳐 접지되며 한편 트랜스(T6)와 저항(R35-R44) 및 트랜지스터(TR18, TR19), 콘덴서(C22-C26)로 구성된 저주파신호 필터는 트랜지스터(TR20)와 릴레이(RY1)를 거쳐 검파신호 분석기(21)의 단자(P6)에 연결되고 저항(R28, R34)과 트랜지스터(TR13, TR17) 및 콘덴서(C18, C19), 다이오우드(D3, D4)로 구성된 지연부는 검차신호 분석기(21)의 단자(P7)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R7-TR12) 및 콘덴서(C20, C21), 다이오우드(D5), 저항(R18-R27)과 SCR(24), 전자석(23)로 구성된 출력제어 회로부는 검파신호 분석기(21)의 단자(P8)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기본파의 발진기로부터 제1암호펄스의 발진 및 제2암호복합음차 발진신호를 차례로 주파수 변조 및 진폭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도면 제1(a)도)와,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AM 또는 FM 검파한 후 암호복합음차 필터와 분석제어 회로를 거쳐 제1암호의 펄스를 분석하고 암호 신호를 각각 분류하여 시동회로 및 경보회로와 도어, 트렁크로크를 제어하는 수신부(도면 제1(b)도)의 암호신호 교환으로 자동차의 도난방지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며 이를 도면 제2도, 제3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송신기의 한 기본파를 이용하여 다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전지(E1)의 전원 온-오프용 스위치(SW1)를 접속하여 발진기(OSC1)로부터 지정된 기본파를 발생시킨 다음 송신기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버튼(B1-B3)의 스위칭을 조작하여 암호 조합기(17)의 입력을 조절하면 암호 조합기(14)에서 암호 로직펄스를 구성하고 발진기(OSC1)에서 발생한 기본파를 변조기(18)와 복합음차 발진기(19.19')를 거치는 동안에 주파수 및 진폭변조하여 트랜지스터(TR1-TR3)와 트랜스(T1, T3) 및 저항(R1-R6)의 동작으로 송신기(6)를 통해 보내어진다.
이때, 암호 조합기(17)를 이용하여 발진기(OSC2)에서 발생한 펄스 기본파(455[KHz])를 목적에 따라 지정된 단자에 접속시키면 일정한 시간에 각각 다른 암호 로직펄스를 발생하도록 하여 기본파 발진기(OSC1)에서 발생한 주파수를 변조기(18)에서 변조하게 되고 버튼(B1)을 누르면 암호 조합기(17)의 두단자(P0, P1)가, 버튼(B2)을 누르면 암호 조합기(17)의 두단자(P0, P2)가, 버튼(B3)을 누르면 암호 조합기(17)의 두단자(P0, P3)가 서로 접속되어 이에 적당한 암호 로직펄스가 발생되며 이 암호 로직펄스는 발진기(OSC1)에서 발생한 기본파를 주파수 변조하고 다시 복합음차발진기(19, 19')의 복합음차 발진파로 진폭변조하여 송신하는 것인데 이는 암호 로직펄스와 복합음차 발진파의 진폭변조 주파수와 주파수 변조의 펄스간격이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가가 동작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제3도는 송신부에서 주파수 변조 및 진폭변조되어 발신된 신호를 수신기(7)를 통해 수신하여 트랜지스터(TR4, TR5)와, 트랜스(T3-T5) 및 저항(R7-R14), 콘덴서(C3-C10)를 거쳐 증폭된 후 검파기(20)에 입력되면 검파기(20)에서 검파된 후 코일(L1)과 콘덴서(C11-C13)로 구성된 필터를 거쳐 검파신호 분석기(21)에서 각 암호신호가 분류되어 암호신호에 의한 해당 제어단자에 출력 신호가 나타나 지정된 신호를 각 제어회로에 보내서 모터나 전자석등을 제어하도록 한 것인데 트랜지스터(TR18-TR20)와 트랜스(T6) 및 저항(R35-R44), 콘덴서(C22-C26)로 구성되어 수신기에서 검파된 신호중 복합음차 발진 신호만 통과시키는 작용을 하는 저주파 필터의 출력신호가 릴레이(RY1)를 통해서 검파신호 분석기(21)를 제어하며 트랜지스터(TR13-TR17) 및 저항(R28-R34)과 콘덴서(C18, C19), 다이오우드(D3, D4)로 구성된 지연부는 송신기의 보턴을 누른후에 즉시 오프해도 지정된 시간동안 제어회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일정 시간동안의 제어를 필요로할 때 송신기를 온한후 기다리지 않고 다시 보턴을 누르는 것으로 원하는 시간동안 제어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트랜지스터(TR7-TR12)와 저항(R17-R27), 다이오우드(D5), 콘덴서(C20, C21) 및 SCR(24), 전자석(23)등으로 구성된 출력제어 회로는 전자석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한 순간만 전원이 필요한 것에 대해 송신기의 보턴을 누르는 시간이 잠시 지연되어도 전자석에는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르고 즉시 오프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파인 한 캐리어 송수신에서 다수로 분류되는 안정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수정으로 제어 발진되는 일정한 주파수를 암호 로직펄스로 구성하여 기본파에 일차 FM 변조한 다음 정도가 안정한 저주파 음차발진 신호를 2중으로 하여 AM 변조하는 것으로 이것은 일차 변조용 고주파는 간섭 혼신안정도와 변조 주파수의 증대를 위해 주파수를 바꾸지 않고 수정으로 제어된 일정한 주파수를 단속하여 "0"과 "1"로 이어지는 지정된 암호 로직펄스 신호를 구성하며 이차 변조용 고주파는 두개의 음차를 발진시켜 수신축에서 두신호가 일치할 때 제어되도록하여 한정된 수의 음차발진기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더 많은 분류 효과를 얻고 이에 따라 규정 주파수에서 변조 대역폭의 상호 간섭 범위내에서 이상적으로 증가되는 효과를 기할 수 있으며 주파수 분류나 가변 방법보다는 같은 조건에서 외부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동작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캐리어에 다수의 신호가 분류되어 실려도 외부의 잡음과 내부 회로의 상호 간섭등에 의한 오동작을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며 이로 인하여 일차 기본파의 분류에 의한 수, 이차 분류된 로직펄스의 수, 삼차 분류된 저주파 신호의 수로 분류된 암호 신호로 지정된 것이 모두 일치할 때 지정된 암호에 제어가 되므로 1차, 2차, 3차 연속적으로 제곱에 비계하는 수와 같은 이상적인 제어신호의 분류를 얻을 수 있어서 한정된 대역의 지정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수의 목적을 가지고 이용하는 제어방식에 상간섭을 받지 않고 많은 수의 이상적인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암호 조합기(17)의 단자(P0)와 단자(P1-P3) 사이에 버튼(B1-B3)을 접속하고 단자(P4, P5)에는 발진기(OSC2)를 연결하며 출력단(OUT)은 변조기(18) 및 발진기(OSC1)를 거쳐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전지(E1)의 (+)단은 스위치(SW1)를 거쳐 트랜스(T1, T2)의 중간단자, 저항(R1, R4), 암호 조합기(17)의 전원단(+VCC) 및 발진기(OSC1)와 복합음차 발진기(19, 19')에 연결하며 전지(E1)의 (-)단은 암호 조합기(17)의 전원단(-VCC) 및 발진기(OSC2)에 접속하고 복합음차 발진기(19, 19')는 변조기(18)와 저항(R2, R3, R5), 콘덴서(C2) 및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에 연결되며 저항(R6)을 거쳐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스(T1, T2)의 1차측은 콘덴서(C1, C2)와 폐회로를 이루어 트랜지스터(TR2, TR1)의 콜랙터에 연결하며 트랜스(T1)의 2차측은 트랜지스터(TR2, TR3)의 베이스와 콜렉터 및 저항(R4)에 접속되고 트랜스(T2)의 2차측은 송신기(6)에 접속되어 구성하는 송신부에서 발진기(OSC1)의 기본파와 발진기(OSC2)의 변조파를 암호 로직펄스로 바꾸어 변조하고 복합음차 발진기(19.19')에 의해 다음 발진하여 상호 역조합시켜 변조한 송신 신호를 구성하여 수신부의 검파기(20)와 검파신호 분석기(21)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KR1019840001462A 1984-03-21 1984-03-21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KR890001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462A KR890001841B1 (ko) 1984-03-21 1984-03-21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462A KR890001841B1 (ko) 1984-03-21 1984-03-21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343A KR850006343A (ko) 1985-10-05
KR890001841B1 true KR890001841B1 (ko) 1989-05-25

Family

ID=1923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462A KR890001841B1 (ko) 1984-03-21 1984-03-21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8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343A (ko) 198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201A (en) Digital radio control
US5898230A (en) Motor vehicle with a central locking unit and a remote control for its operation
KR950003286B1 (ko) 리모트 송수신 장치
CA2120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ting a carrier frequency
GB2277620A (en) Transmitter control
GB738145A (en) Radio transceiver circuits
JPH0586562B2 (ko)
KR860001241B1 (ko)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KR950007493B1 (ko) Rf 신호 송수신 장치
TW351884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itial frequency acquisition mechanism
EP0970442A1 (de)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s betriebszustandes eines elektronischen geräts
US3522536A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plural modulation
SE8207153L (sv) Anordning for identifiering av information
US6873838B2 (en) Superregenerative oscillator RF receiver with differential output
KR890001841B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 및 트렁크 개폐장치의 원격제어회로
US3798600A (en) Method and system of remote control
US20020070878A1 (en) Radio frequency transmitter hav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6904101B1 (en) Tuneless narrow-band super-regenerative receiver
US5486793A (en) Balanced RF oscillator and transmitter
JPH09144404A (ja) 車両用送受信システム、受信機及び送受信システム
JPS62269497A (ja) 通信装置
US3893121A (en) Remote control system
JPH0731663Y2 (ja) 変調信号伝送装置
US62755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ting a frequency signal
US3823378A (en) Transmitter sub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