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804B1 - 책낭독장치 - Google Patents

책낭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04B1
KR890001804B1 KR1019860004325A KR860004325A KR890001804B1 KR 890001804 B1 KR890001804 B1 KR 890001804B1 KR 1019860004325 A KR1019860004325 A KR 1019860004325A KR 860004325 A KR860004325 A KR 860004325A KR 890001804 B1 KR890001804 B1 KR 89000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tape
page
flip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904A (ko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이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환 filed Critical 이종환
Priority to KR101986000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804B1/ko
Publication of KR88000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책낭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책페이지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책내용이 녹음된 테이프의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구본체 2 : 책
5, 6 : 걸림고리 7, 8, 9 : 롤러
10 : 테이프 11, 12 : 재생레드
S0-S7: 광센서 15 : 절결부
16 : 스피커 21 : 디코더
22 : 아나로그멀티플렉서 24 : 제어부
25 : 모터 26 : 모터제어부
본 발명은 유아용 그림책이나 내용이 단순하고 페이지수가 적은 어린이용 동화책의 내용을 각페이지별로 녹음한 테이프의 책을 제본된 부분에 내장하고 이를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들려줄수 있도록한 책 낭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유아용 그림책이나 설명이 단순한 동화책등을 교육자가 직접 읽어주거나 또는 각권에 해당하는 책 내용을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녹음한 카셋트 테이프를 별도의 카셋트테이프레코더를 이용하여 재생하여 들려주게 되었으나, 이는 일일히 책을 펼텨가면서 읽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아직 글에 익숙치 목한 저연령의 어린이에게는 현재재생되고 있는 내용이 어느 페이지의 내용인가 쉽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음 페이지의 내용이 재생되고 있는데도 페이지를 넘기지 않고 그냥 듣는 경우가 빈번하여 그에 해당하는 삽화를 보지 않고 있게 되므로 책 내용의 이해를 위해 삽입한 삽화가 제대로의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많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질 단위의 동화책이나 그림책의 경우에는 책 내용을 녹음한 카셋트테이프가 다수개가 되므로 선택한 책내용의 부합되는 카셋트테이프를 일일히 선별하여 사용해야 되는 불편이 있었으며 이와같이 책과 테이프가 별개로 된 것은 각 페이지에 따른 내용을 맞추기가 어려워서 어른이 대신 맞춰주어야 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책 내용을 각페이지 별로 녹음한 테이프를 책속에 내장하여 이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하여 별도로 책 내용을 녹음한 카셋트 테이프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서 각권 각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을 정확히 낭독해줄수 있게하고 또 책페이지를 넘기면 이를 광센서나 스우치로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다음 페이지의 내용이 읽혀질 수 있게 하므로서 이해를 돕기위해 삽입한 삽화와 그 삽화가 수록된 페이지의 내용이 항상 맞춰진채 유아나 어린이에게 들려줄수 있게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도록함은 물론 사용이 간편하여 글을 모르는 어린이도 각 페이지별로 정확한 내용을 이해 시킬수 있게하여 글자를 익히고 글자에 숙달될 수 있게하며 책으로부터 내용이 낭독되는데 따르는 호기심을 유발시키므로서 어린이로 하여금 반복하여 책을 보고 듣도록 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품에 의해 테이프가 장착된 책과 이를 재생 하기 위한 기구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즉, 직사각형 기구본체(1)의 일측 상, 하단에는 책(2)의 제본부(3)상하단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스프링(4) 탄지된 가동 걸림고리(5)와 고정걸림고리(6)를 각각 설치하되 제본부 책속에는 롤러(7, 8, 9)에 지지될 테이프(10)를 장착하고 기구본체(1)속에는 이 테이프(1)에 접촉되는 2개의 헤드(11, 12)와 상측롤러(7)이 밀착되는 롤러(13) 및 롤로구동부(14)를 각각 설치하되 테이프(10)에는 끝을 감지하기 위한 은박지(10')를 부착하고 기구본체(1) 상면 일측에는 책(2)의 각 페이지를 검출하는 다수의 광센서(S0-S7)를 횡으로 하는 계단식으로 배열하되 페이지를 넘길때마다 이 광센서(S0-S7)를 순차적으로 가렸다가 해재시킬 수 있도록 책(2)의 각 낱장(2')상측 일부를 소정길이로 차등을 두어 절결한 절결부(15)를 형성하고 광센서(S0-S7)상부에는 스피커(16)를 설치하며 또한 책(2)의 제본부(3)하면에 형성된 고정구멍(17, 17')에는 본체(1)의 고정돌기(18, 18')가 끼워져서 책(2)이 모동되지 않게함과 동시에 제본부(3)하면 중앙부에는 스프링(19)이 탄지된책 분리용 버튼(20)에 압압 되도록 한 것이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도, 제2도의 광센서(S0-S7)대신 스위치(S0-S7)을 설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의 작용효과는 광센서(SW0-SW9)의 경우와 대동 소이한 것임을 알수 있다.
그리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책2 내용이 녹음된 테이프(10)와 재생헤드(11, 12)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책(2)의 각 페이지에 따른 내용은 8페이지짜리 책이라면 테이프(10)의 각트랙(DH0-DH7)마다 1페이지씩 내용이 녹음되게 되고 이 8개의 트랙(CH0-CH7)은 각각 2개의 헤드(11, 12)에 이해 4개씩 나뉘어서 재생되어지고 이재생 되어진 신호는 제5동의 아날로그멀티플렉서(22)에 입력되게 된다.
또 테이프(10)에는 각 트랙(CH0-CH7)의 끝을 감지하기 위한 은박지(10')가 붙어있고 이 은박지(10')와 트랙(CH0-CH7)의 시작부 까지는 소정의 간격(d)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책 낭독 장치의 회로도이다. 즉, 디코더(21)의 입력(I0-I7)에는 광센서(S0-S7)가 연결되어지고 출력(A, B, C)은 아날로그 멀티 플렉서(22)의 제어입력(T0, T1, T2)에 연결하되 출력(A)은 단 안정 멀티바이브레타(23)를 D플립플톱(241, 242)과 지연회로(243)로된 제어부(24)의 D플립플톱(241) 세트입력(S)과 D 플립플톱(242)의 클럭입력(CK)에 각각 연결하며 디코더(21)의 출력(D)은 D 플립플톱(241)의 리세트 입력(R)에 연결하고 D 플립플톱(241, 242)의 출력(Q)은 각각 테이프 구동용 모터(25)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26)의 입력(IL,IH)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지연회로(27)를 통해 음성 뮤팅회로(28)의 제어압력(C)에 연결하되 음성뮤팅회로(28)의 입력은 음량 조절용 가변저항(29)과 Q 증폭기(30)를 통해 아날로그(22) 출력(D)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증폭기(31)를 통해 스피커(16)에 연결하며 제어부(24)의 D 플립플톱(241)의 세트입력(S)은 스위치(Sw)와 저항(R1, R2)으로된 반복 재생 스위치부(32)에 연결하고 D 플립플톱(241)의 클럭입력(K)은 테이프(10)의 은박지(10') 부분이 헤드(11, 12)에 접촉되었을 때 트리거 되어 끝을 감지하는 재트리지 가능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타(33)의 출력(Q)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2도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최초에 본 발명의 책(2)를 기구본체(1)의 가동 걸림고리(5)와 고정걸림고리(6) 사이에 끼워 넣으면 기구본체(1)의 롤러(13)는 책 재본부(3)속의 최상단롤러(7)에 데이타를 사이에 두고 밀착 되어지고 헤드(11, 12)는 각각 테이프(10)에 접촉되어지며 제본부하면에 버튼(20)이 밀려서 스프링(19)은 압축되어진다.
또한 제본부 하면의 구멍(17, 17')에 기구본체(1)의 돌기(18, 18')가 끼워지게되어 책(2)의 요동이 방지된다.
이때 책(2)은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서 각 광센서(S0-S7)는 책(2)의 각 낱장(2')에 가려지게되어 광이 감지되지 않으며 이상태에서 정원 Sw를 온하면 본 발명 창치에 전원(Vcc)이 공급되어 지는 것이다.
책의 내용을 듣기위해 제일 첫장을 넘겨서 첫페이지가 교육자에게 보여지게 되는 순간 첫페이지의 상면의 절결부(15)를 통해 8개의 광센서중 도면에서 우측으로 부터 제일 첫번째 광센서(S0)가 노출되므로 광센서(S0)로 감지되어진 신호가 제 5도의 디코더(21)의 입력(I0)에 가해지게 된다.
이때 나머지 광센서(S1-S7)는 다른 낱장들에 의해 가려져 있기 되므로 빛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디코더(21)는 출력(C, B, A)를 "OOO"로 출력하게 되므로 이"OOO"신호가 아날로그 멀티콜렉서(22)의 제어입력(T0, T1, T2)에 가해지게 되어 아날로그 멀티플렉서(22)는 쳇번째 트랙(CH0)으로 재생되어지는 신호가 입력(I0)을 출력(D0)에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첫번째 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이 제4도의 테이프(10)의 트랙(CH0)에 녹음된 것으로 가정한다면 첫번째 페이지를 낭독하는 음성이 재생되어질 것이다. 즉, 디코더(21)의 최하위 비트출력(A)변화에 의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타(23)가 트리거되어 그 출력(Q)에서 척번째 페이지를 폈다는 것을 알려주는 펄스가 출력되어 지고 이 신혼는 D 플립플톱(24)의 세트입력(S)에 가해지게되어 D플립플롭(241)의 출력(Q)는 세트되어 "1"이 출력되어 진다. 이 신호는 다시 모터제어부(26)의 입력(I2)에 가해지게 되므로 이순간 모터 제어부(26)는 모터를 규정된 속도로 회전시켜 제1도,제2도의 롤로구동부(14)를 통해 로러(13)을 구동시키게 된다. 모터(25)와 롤러구동부(14)로 된 부분은 통상의 카셋트 데크와 유사한 메카니즘이므로 구체적인 도시화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에서 롤러(13)가 회전하면 이에 밀착된 테이프(10)가 진행하게 된다.
테이프(10)가 소정의 규정된 진행속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따른 길이(d)만큼 간격을 두고 책내용을 트랙(CH0-CH7)에 녹음하므로써 잠읍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제4도 참조)
즉, 이길이(d)만큼 음성을 유팅 시킴으로서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테이프가 주행됨에 따라 헤드(11, 12)로 재생되는 신호는 아나로그멀티플렉서(22)로 스위칭되어 첫번째 트랙(CH0)와 신호가 출력(D0)을 통해 헤드 EQ증폭기(30)에 가해져서 EQ 증폭된 후 음량 조절용 가변저항(29)을 통해 뮤팅회로(28)에 입력되어진다. 그런데 뮤팅회로(28)의 제어단자(C)에는 지연회로(27)의 출력(Q)이 연결되어지므로 결국 지연회로(27)의 입력(I0)에 가해지는 플립플롭(241)의 출력(Q)신호의 제어를 받게 된다.
즉 최초의 소정시간 (테이프(10)가 길이만큼 진행하는 시간)동안은 지연회로(27)로 의해 뮤팅회로(28)가 뮤팅 동작을 수행하여 재생되는 잡음이 증폭기(31)을 통해 스피커(16)로 출력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소정 시간이 지난후에는 뮤팅회로(28)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증폭기(30)의 출력이 증폭기(31)를 통해 스피커(16)로 출력되므로서 첫번째 트랙(CH0)에 녹음된 첫번째 페이지의 내용이 낭독되는 것이다.
책(2)의 페이지를 넘김에 따라 차등을 두어 형성된 절결부(15)에 의해 각 광센서(S0-S7)가 순차적으로 빛을 감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디코더(21)의 출력(C, B, A)은 "1"-"10"..."111"의 순으로 변하게 되고 이신호의 제어를 받아 아날로그멀티플렉서 (22)는 헤드(11, 12)로 재생되는 각 트랙(CH0-CH7)의 신호를 멀티 플렉싱하여 출력(D)으로 트랙(CH0→CH1→CH2...→CH7)의 순으로 내보내게 되므로 해당되는 각 페이지의 내용만이 정확히 스피커(16)로 출력되어지게 된다. 한페이지의 내용이 모두 재생되어지면 테이프(10)에 부착된 은박지(10')에 의해 헤드(11, 12)가 단락되어지므로 이순간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타(33)가 트리거되어 출력(Q)에서 끝을 알리는 펄스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는 D 플립플롭(241)의 클럭 입력(CK)에 클럭으로 가해지게 되어 D 플립플롭(241)의 출력(Q)은 "0"이 된다. 따라서 모터제어부(26)의 입력(IL)에 가해지던 신호가 "1"-"0"으로 변화 되므로 모터 제어부(26)는 모터(25)구동을 중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한페이지의 내용이 재생되어진후에 페이지를 넘기면 상기한 바와같은 작용으로 그다음 트랙을 재생하여 낭독해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임의의 어떤 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다음페이지로 책장을 넘기게되는 경우에는 이때 발생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래터(23)의 출력펄스가 D 플립플롭(242)의 클럭입력(CK)에 가해져서 D 플립플롭(242)의 출력(Q)이 "1"이 되어 모터제어부(26)의 입력(IH)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모터 제업 (26)를 모터(25)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서 변화된 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이 녹음된 트랙을 처음부터 할수 있도록 하며 이때에는 지연회로(27)와 뮤팅회로(28)가 동작하게 되어 빠른 속도로 진행중인 테이프(10)로 부터 재생되는 잡음이 스피커(16)로 출력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 D 플립플롭(242)의 출력(Q)은 지연회로 (243)에 입력되므로 테이프(10)가 처음 위치로 복귀된후 이 지연회로(248)에 의해 재 트리거되어 음성이 처음부터 반복하게 된다. 또한 한번 들었던 페이지의 내용을 다시 반복하여 듣고자 원할때는 스위치(Sw)를 온하면 페이지를 넘기지 않고도 D 플립플롭(241)의 세트입력(S)에 펄스가 입력되어 마치 페이지를 넘겼을때와 같은 작용으로 다시한번 같은 트랙의 내용을 재생하여 반복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권의 책(2)을 끝까지 읽게 되면 디코더(21)의 출력(D)에서 리세트펄스가 발생하여 D 플립플롭(2412)의 리세트 입력(R)에 가해지게 되므로 D 플립플롭(241)이 리세트되어 출력(Q)이 "0"가 된다. 따라서 모든 동작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며 책()을 보다 말고 덮게되는 경우에는 책(2)의 각 낱장에 의해 광센서(S0-S7)가 가려지게 되므로 이때에는 모든 동작이 중기되는 것이다.
또 책(2)를 보다가 앞페이지로 거꾸로 책장을 넘겼을 경우에는 이에따라 광센서(S0-S7)중 빛이 감지되는 광센서가 변하므로 이에 따라 디코더(21)의 출력(C, B, A)이 앞페이지에 해당하는 코드로 변하게 되어 아날로그 멀티플렉서(22)로 멀티플렉싱되는 트랙(CH0-CH7)이 변하게 되어 새로 넘긴 페이지의 비용에 해당하는 음성이 재생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책(2)을 다본 경우에는 가동 걸림고리(5)와 일체로된 버튼(5')을 화살표 방향으로 밑면 책(2) 제봉부(3)상단홈(3')에서 가동 걸림고리(5)가 빠짐과 동시에 스프링(19)에 압축 되었던 버튼(20)이 원 위치되면서 제본부(3)의 하면을 밑게되어 책(2)을 쉽게 빼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는 보고자하는 또다른 책을 상기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면 새로운 책의 각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을 재생하여 낭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테이프(10)의 트랙(CH0-CH7)의 수는 책(2)의 페이지수에 따라 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용 그림책이나 동화책등의 내용이 재생되므로 항상 보고있는 페이지와 설명이 일치하게 되어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으며 책과 책내용이 녹음된 테이프가 한 몸체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어린이의 호기김을 유발시킬수 있는 장치이므로 반복하여 책을 볼수있게 되어 독서를 습관화 할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하여 어린이 스스로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는 광센서가 감지할 수 없으므로 어린이의 시력 보호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책(2)의 제본부(3)속에 각페이지의 내용이 트랙(CH0-CH7)별로 음성으로 녹음된 테이프(10)을 다수의 롤러(7, 8, 9)로 지지되게 설치하되 테이프(10)중간에 끝을 알리는 은박지(10')를 부착하여 이책(2)의 제본부 하면에는 고장구멍(17, 17')와 재생헤드 삽입구멍(17") 및 테이프 구동용 롤러(13) 삽입구멍(17'")을 각각 형성하고 낱장(2') 상단부를 소정길이로 차등을 두어 절결부(15)를 형성하여 각 페이지에 따른 테이프(10)로 부터 재생되어 낭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낭독장치.
  2. 직사각형 기구본체(1)의 일측 상하단에는 책(2)을 끼워 고정하도록 스프링(4) 탄지된 가동 걸림고리(5)와 고정걸림고리(6)를 설치함과 동시에 본체 일측상부에는 책(2)의 내장된 테이프(10)에 접촉되는 2개의 헤드(11, 12)와 상측 롤러(7)에 밀착되는 롤러(13) 및 롤러 구동부(14)를 각각 설치하고 본체 상면 일측에는 책페이지 감지부로써 다수의 광센서(S0-S7)를 횡으로 설치하며 광센서 상부에는 스피커(16)를 설치하여 각 페이지에 따른 내용이 테이프(10)로 부터 헤드(11, 12)로 재생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6)로 낭독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낭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기구본체(1)에는 책(2)의 제본부(3)의 고정구멍(17, 17')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8,18')와 책분리용 버튼(20)을 스프링(19)에 탄지하여 책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책을 쉽게 분리할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책 낭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책페이지 감지부는 다수의 횡으로 배열된 스위치(Sw0-Sw7)를 기구본체(1)의 상면일측에 설치하여서 된 책 낭독장치.
  5. 디코더(21)의 각입력(I0-I7)에는 광센서(S0-S7)가 연결되어지고 출력(C, B, A)은 아날로그멀티 플렉서(22)의 제어입력(T0, T1, T2)에 연결하되 출력(A)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타(23)를 통해 D 플립플롭(241, 242)과 지연회로(243)로된 제어부(24)의 D 플립플롭(241)의 세트입력(S)과 D 플립플롭(242)의 클럭입력(CK)에 각각 연결하며, 디코더(21)의 출력(D)은 플립플롭(241)의 리세트 입력(R)에 연결되고 D 플립플롭(241, 242)의 출력(Q)은 각각 테이프 구동용 모터(25)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26)의 입력(IL, IH)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지연회로(27)를 통해 음성 뮤팅회로(28)의 제어 입력(C)에 연결하되 음성 뮤팅회로(28)의 입력은 음량조절용 가변저항(29)과 레드 EQ 증폭기(30)를 통해 아날로그(22) 출력()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증폭기(31)를 통해 스피커(16)에 연결하며 제어부(24)의 D 플립플롭(241)의 세트입력(S)은 스위치(Sw)와 저항(R1, R2)으로된 반복 재생 스위치부(32)에 연결하고 D 플립플롭(241)의 클럭입력(CK)은 테이프(10)의 은박지(10')부분이 헤드(11, 12)에 접촉 되었을 대 트리거 되어 끝을 감지하는 제트리지 가능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타(33)의 출력(Q)에 연결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낭독장치.
KR1019860004325A 1986-06-02 1986-06-02 책낭독장치 KR89000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4325A KR890001804B1 (ko) 1986-06-02 1986-06-02 책낭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4325A KR890001804B1 (ko) 1986-06-02 1986-06-02 책낭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904A KR880000904A (ko) 1988-03-30
KR890001804B1 true KR890001804B1 (ko) 1989-05-23

Family

ID=1925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325A KR890001804B1 (ko) 1986-06-02 1986-06-02 책낭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8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904A (ko) 198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5693B2 (en) Interactive picture book with voice recording features and method of use
US5611694A (en) Interactive talking picture machine
US4778391A (en) Sound-producing amusement or educational devices
US5285437A (en) Audio device having control function with use of card
US4273538A (en) Educational aid
US5368488A (en) Talking book
KR890001804B1 (ko) 책낭독장치
US3866020A (en) Braille tape reader
US3029683A (en) Audio-visual device
KR920007533B1 (ko) 카드 내지 책자
US3648387A (en) Educational aid
US3087259A (en) Educational toy device for teaching alphabets or the like by sound
US3711654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for use with an endless recording medium with means for indicating a recordable state with-in one cycle of the endless recording medium
EP0637816A1 (en) Phonic book
US3376657A (en) Audio-visual teaching machine
JPH056135A (ja) カードないし冊子の再生システム
JPH0140431B2 (ko)
KR102270856B1 (ko) 북코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CN2241376Y (zh) 磁卡录音机
JPS63101886A (ja) 音声・視覚組み合わせ装置
JPH08160844A (ja) 視聴覚装置
KR800000031Y1 (ko) 수면중 암기녹음기의 녹음 및 재생헤드의 회로
GB1596080A (en) Educational aid
JPS5676676A (en) Pattern memory device
JPS62264401A (ja) 語学練習用テ−プレ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