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200B1 - 전동 제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제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200B1
KR890001200B1 KR8203424A KR820003424A KR890001200B1 KR 890001200 B1 KR890001200 B1 KR 890001200B1 KR 8203424 A KR8203424 A KR 8203424A KR 820003424 A KR820003424 A KR 820003424A KR 890001200 B1 KR890001200 B1 KR 890001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brake
disc
drive shaft
contro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702A (ko
Inventor
렝스펠트 칼
링크 에리히
에론트 한스
Original Assignee
로테 비스트
프랑클 운트 키르히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파브릭 퓌어 에렉트로모로렌 유.에렉트리쉐 아파라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테 비스트, 프랑클 운트 키르히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파브릭 퓌어 에렉트로모로렌 유.에렉트리쉐 아파라테 filed Critical 로테 비스트
Publication of KR84000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 F16D67/06Clutch-brake combinations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05B69/125Arrangement of clutch-brak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in combination with brakes
    • H02K7/1125Magnetically influenced friction clutches an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 제어 구동장치
제1도는 축길이 방향 단면으로 도시된 모터와 브레이크/클러치 유닛을 갖춘 구동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 클리치/브레이크 유닛에 대한 확대도.
제3도는 클러치/브레이크 유닛의 변경된 단면도.
제4도는 변경된 크러치 조절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변경된 브레이크 조절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변경된 클러치 조절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다른 형태의 클러치 조절장치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2 : 브레이크/클러치 유닛
3, 35, 51, 58 : 하우징 7 : 회전자
8 : 모터샤프트 13, 21, 41, 42, 41', 42' : 로울링 베어링
14, 22, 63, 70, 70' : 내부링 12, 20,39, 40 : 보어(bore)
16, 24, 61, 76 : 외부링 17, 25 : 환형 스프링
30, 45, 54' : 허브(hub) 38 : 구동샤프트
43, 43' :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 46 : 아마츄어링
47 : 스파이더(spider) 48 : 클러치 라이닝
53 : 크러치 코일 55 : 브레이크 라이닝
59 : 브레이크 코일 54, 60 : 자기통로
66, 71 : 판 스프링 67 : 브레이크 조절장치
75 : 클러치 조절장치 91 : 조절 슬리드
본 발명은 전동제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모터와 그 모터에 연결된 브레이크/클러치 유닛을 구비한 산업용 재봉틀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디스크는 구동 샤프트와 회전하도록 부착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러치의 공극을 없게함으로써 클러치 지지장치와 마찰할 수 있는데, 클러치 지지장치는 회전하도록 부착되는 방식으로 모터의 회전자와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또한 회전하도록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하도록 부착된 브레이크 지지장치와 마찰될 수 있다. 이런 장치에는 클러치 코일과 브레이크 코일이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일반적인 형태의 구동장치에 대한 브레이크/클러치 유닛은 분리형 브레이크/클러치 디스크를 갖고 있으며, 브레이크 지지장치와 클러치 지지장치를 각각 갖추고 서로 독립적으로 마찰될 수 있다. 클러치와 브레이크 디스크는 기어에 의해서 구동 샤프트 상에서 변위할 수 있거나 또는 탄력성이 있으면서 축방향으로 구동 샤프트와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디스크를 구비할 경우 가격이 비싸고 제조와 조립이 힘들며 장치가 크게 구성되므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구동장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조작을 하루에 8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30000번 까지 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조작과 관련된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하다.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클러치/브레이크 조립체는 독일 연방공화국 특허 공고 제 DE-OS 22 31 501호에서 알려진 바 있으며 거기서 클러치 디스크는 회전하도록 부착되었지만 촉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구동 샤프트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쪽 측면상에서, 디스크는 클러치 라이닝(clu tch lining)을 갖추며 클러치 자석의 여자에 의해 디스크는 모터의 플라이 휠의 회전하는 클러치 지지장치와 결합하게 될 수 있다. 다른 측면상에서, 클러치 디스크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갖추며, 클러치의 자석이 여자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라이닝은 이미 응력을 가한 스프링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된 브레이크 지지장치와 결합된다.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는 조절된 브레이크 작동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처음에 설명한 일반적인 형태의 제어 구동장치에 적당하지 않다. 더우기 이러한 실시예는 작동소음이 크게 난다. 처음에 논의된 일반적인 형태의 전동제어 구동장치는 캐나다 특허 제749,148호에서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클러치 코일과 브레이크 코일은 클러치 베어링 브레키트와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외측 베어링 브레키트에 모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골치아픈 작동소음을 없애고 브레이크/클러치 유닛의 제조가격을 감소하도록 위에서 논의된 일반적인 형태의 구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하나의 공통된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를 갖추며 클러치를 작동시켰을때 브레이크는 동시에 풀어지는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를 구비하므로써 달성된다. 클러치가 작동되었을때 이동 거리와 충격소음이 아주 제한되도록 클러치의 공극이 조절된다. 클러치 라이닝과 클러치 지지장치상의 클러치면 사이에 클러치 공극을 약 0.1미리미터 간격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작동하는 동안 클러치 라이닝의 열적인 팽창에 의해서 생기는 클러치 공극의 변화가 자동적으로 보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러치 공극의 조절이 유용하게 수행되는 기본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클러치 공극의 조절을 장치의 외측면에서부터 수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위에서 최초에 논의한 클러치/브레이크 유닛의 두가지 기본형태중의 한 형태에 클러치 공극을 조절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지지장치 사이의 공극을 조절하거나 또는 브레이크 지지장치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힘을 조절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하는 동안에 클러치 공극을 재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러치 공극을 조절하기 위한 여러가지 구조의 배열과 브레이크 조절과 클러치의 재조절을 위한 장치의 다양한 변화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단 하나의 조절장치를 갖추며 구조상 값싸고 조작이 간편하다. 판 스프링의 특성 때문에,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는 브레이크 코일이 여자되지 않았을때 클러치 공극의 세팅에 관계없이 브레이크 지지장치에 대해 일정한 힘을 가한다.
본 발명의 장점과 특성은 몇가지 선택된 실시예에 대한 도면과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구동장치는 모터(1)와 브레이크/클러치 유닛(2)을 갖추고 있다. 모터(1)는 원통형 고정자 하우징(3)을 갖추며 고정자는 고정자 권선(4)으로써 싸여져 있고 고정자의 철판묶음(5)은 통상 동심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회전자(7)는 모터샤프트(8)에 부착되어 있으며 중심 길이 방향의 축(6)에 대해 동심적으로 위치한다. 모터샤프트(8)은 베어링 브레키트(9, 10)에 의해 지지된다. 브레이크/클러치 유닛(2)에서 멀리 떨어진 베어링 브레키트(10)는 나사에 의해 고정자 하우징(3)에 부착된다. 모터샤프트(8)은 베어링 브레키트(10)의 베어링보어(12)에 삽입된 로울링 베어링(13)에의해 지지되며, 로울링 베어링(13)의 내부링(14)은 모터샤프트(8)의 칼라(15) 위에 지지된다. 또한 축의 단부에서 로울링 베어링의 외부링(16)은 베어링 보어(12)내에 고정된 조임링(18)에 대해 버티고 있는 환형 스프잉(17)을 통하여 지지되므로 로울링 베어링(13)은 모터샤프트(8)상의 축운동에 대해 고정되며 한편 환형 스프링에 의해 미리 결정된 활동범위에서 모터샤프트(8)의 축운동의 재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베어링 브래키트(10)와 특히 베어링 보어(12)는 덮개(19)로 씌워져 있다. 브레이크/클러치 유닛(2)에 인접한 다른 베어링 브레키트(9)는 고정자 하우징(3)을 갖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고정자 하우징(3)은 컵모양으로 된다.
베어링 브레프트(9)의 베어링 보어(20)에서 모터샤프트(8)는 축방향의 볼베어링으로써 실시되는 로울링 베어링을 통하여 다시 지지되며 여기서 로울링 베어링(21)의 내부링(22)은 모터샤프트(8)의 칼라(23)에 의해 지지되지만 로울링 베어링(21)의 외부링(24)은 다른 측면 즉 베어링 보어(20)의 내에서 고정된 조임링에 대해 버티는 환형 스프링(25)를 통하여 브레이크/클러치 유닛(2)쪽으로 향하는 측면상에서 지지된다.
모터 축의 샤프트탱(27)위에 로울링 베어링(21)이 위치하며 디스크 프라이휠( 28)은 핀-홈식 연결수단(29)에 의해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 프라이휠(2 8)은 로울링 베어링(21)의 내부링(22)에 대한 허브(3)을 지지하며 나사 연결부(31)의 수단에 의해 내부링(22)에 대한 허브(30)을 지지하며 나사 연결부(31)의 수단에 의해 내부 링(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여있으므로 모터샤프트(8)에 대해 축방향으로 동시에 고정된다. 디스크 프라이휠(28)은 외측부분이 팬(fan)으로 실시되며 그 단부에 팬브레이드(32)를 갖추고 고정자 하우징(3)의 둘레에 위치하는 환형도관(33)을 통하여 냉각공기를 불어넣으면 동시에 고정자 하우징(3)을 냉각하고 또한 브레이크 베어링 브래키트(34)를 냉각시킨다. 브레이크/클러치 유닛(2)은 원총형 하우징(35)을 갖추며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를 갖춘 하나의 부룸으로 실시되므로 하우징(35)은 일반적으로 컵모양이 된다. 이것은 고정자 하우징(3)의 플렌지(36)에 일치하도록 나사(37)에 의해 부착되어있다. 중심의 길이 방향축(6)에 대해 동심축으로 취치하는 구동 샤프트(38)의 일단부는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의 베어링 보어(39)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는 디스크 프라이휠(28)의 베어링 보어(40)에 의해 지지되어 이러한 샤프트(38)는 디스크 프라이휠(28)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38)는 또한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 각각의 로울링 베어링(41, 42)을 통하여 베어링 보어(39, 40)에서 지지된다.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핀-홈식 연결수단에 의해 로울링 베어링(41, 42)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38) 위에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허부(45)를 갖추며 구동 샤프트(38) 위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외측의 아마추어링(46)은 탄력성 있는 스파이더(47)에 의해 허브(45)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6 25 715호(미합중국 특허 제 3,543,901호에 해당됨)에서 알려져 있다. 허브(45)의 축방향의 고정은 아래에서 다시 논의될 것이다. 클러치 라이닝(48)으로 제공된 환형 마찰 라이닝이 디스크 프라이휠(28)쪽으로 향하고 있는 아마추어링(46)의 측면상에 또는 아마추어링(46)쪽으로 향하고 있는 스파이더(47) 부분위에 아교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아마추어링과 접하고 있는 디스크 프라이휠의 단부면상의 환형 클러치 면(49)은 클러치 라이닝(48)쪽을 향하고 있다. 아마추어링(46)은 디스크 프라이휠에 대해 축방향으로 튀어나온 환형 버팀대(50)를 바깥 둘레에 갖추고 있다. 환형 버팀대(50)는 단지 몇 미리미터 정도의 축방향의 갭(″a″)를 가지고 디스크 프리이휠(28)까지 연장되어 있다.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이키트(34)는 클러치 코일 하우징(51)을 갖추며 이것을 좁은 반경방향의 갭(b)를 가지고 아마추어링(46)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환형 하우징 버림대(52)는 디스크 프라이휠(28) 부분을 좁은 간격으로 떨어져서 둘러싸고 있다. 환형의 전자기 클러치 코일(53)은 고정된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의 클러치 코일 하우징(51)에 위치하고 있다.
클러치 코일(53)이 여자되었을때, 클러치 코일 하우징(51)에서 나오는 자기통로(54), 그리고 아마추어링(46)의 환형 버팀대(50)와 디스크 프라이휠(28)과 하우징 버팀대(52)를 지나서 클러치 코일 하우징(51)으로 다시 들어가는 자기통로가 폐쇄된다. 그 결과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디스크 드라이휠(28)의 클러치면(49)에 대해 클러치 라이닝(48)으로써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디스크 프라이휠(28)에서 멀리 떨어진 측면상에서 아마우어링(46)은 브레이크 라이닝(55)로서 제공되는 마찰라이닝을 갖추고있으며 이것은 아교에 의해 아마추어링(46)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에는 환형의 브레이크 지지장치(56)가 있고 지지장치 나사(57)에의해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에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지지장치(56 )은 비자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브레이크 코일 하우징(58)은 브레이크 지지장치(56 )에 인접한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에서 실시되며, 환형 브레이크 코일(59)이 거기에 위치하고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의 측면 위에서 브레이크 지지장치(56)에 의해 덮혀 있다. 브레이크 코일이 여자되면 자기 통로(60)가 브레이크 코일 하우징( 58)에서 형성되며, 아마추어링(46)과 아마추어링의 환형 버팀대(50) 및 아마추어링 자체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클러치 코일 하우징(51) 부분을 통하여 지나가며 브레이크 지지장치(56)에 대해 브레이크 라이닝(44)를 갖춘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을 당긴다. 브레이크 지지장치는 비자성 재료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자기통로(60)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다. 아마추어링(46)과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는 클러치 코일 하우징(51)과 브레이크 코일 하우징(58)을 갖춘 하나의 부품으로 실시되며 이것은 자성재료인 합금 또는 비합금 철로 만들어졌다.
클러치 코일(53)과 브레이크 코일(59)의 설치 그리고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로서 또한 클러치 베어링 브레키트로서 제공되는 하우징의 자성 포올은 하나의 자기회로의 여자에 따라 달성되며 다른 자기회로는 시스템에서 다음 조절회로에 불리한 효과를 미치는 방식으로 작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비용과 공간의 입장에서 많은 장점을 제시한다. 로울링 베어링(41)의 외부링(61)은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 4)에서 지지되며, 베어링 보어(39)의 안에 고정된 조임링(62)에 의해 외부축상에 고정되어 있다. 로울링 베어링(41)의 내부링(63)은 외부측면에서 구동 샤프트(38)의나사로 낙사선이 새겨진 조절니트(65)에대해 지지된다.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쪽을 향한 측면상에 로울링 베어링(41)의 내부링(63)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스톱(67)역할을 하며 구동 샤프트(38)상에 위치한 조임링에 대해 버티는 판 스프링(66)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부품들은 브레이크 조절장치(68)를 서로 구성하고 있다. 허브(45)는 타단부로 부터 스페이서 슬리브(69)를 통하여 조임링에 의해 실시되는 스톱(67)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디스크 프라이휠(28)에서 지지된 로울링 베어링(42)의 내부링(70) 일단부는 판 스프링(71)으로 실시되는 탄성부재를 통하여 허브(45)에 대해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지지장치(72)에 대해 지지되고 이 지지장치(72)는 같은 축으로 위치한 조절나사(73)에 의해 구동 샤프트(38)에 연관되어 조절되고,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조절나사 (73)은 구동 샤프트 속의 관통 보어(74)에 위치하며 스크루드라이브 또는 알렌 렌치에 의해 외부 측면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축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클러치 조절장치(75)를 구성한다. 로울링 베어링(42)의 외부링(76)은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에 대해서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다른 측면상에서 외부링은 재조절부재(78) 즉 바이메탈부재에 대해서 지지링(77)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부품은 베어링 보어(40)의 밑바닥에서 지지되어 있다. 조절터트(65)를 적당하게 회전시키거나 또는 브레이크 조절장치(68)를 적당하게 작동시키므로서 구동 샤프트 (38)의 축방향의 위치와 구동 샤프트(38)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의 축방향 위치는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에 연관되어 조절된다. 그 결과 브레이크 라이닝(55)과 브레이크 지지장치(56) 사이의 공극은 브레이크 코일(59)이 여자되지 않았을때 고정된다. 클러치 면 (49)과 클러치 라이닝(48) 사이의 공극은 클러치 코일(53)이 여자되지 않았을때 조절나사(73)의 회전에의해 조절되거나 또는 클러치 조절장치(75)에 의해 조절된다. 브레이크 공극은 약간의 압력이 가해지면 보통 없어진다.
디스크 프라이휠(28)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재조절부재(78)인 바이메탈링은 지지링(77)과 로울링 베어링(42)의 외부링(76)이 디스크 프라이휠(28)에 대해 편향되고 밀려 나와서 곡육을 가지게 된다. 로울링 베어링(42)은 허브(45)에 대해 부동이므로 디스크 프라이휠(28)은 모터샤프트(8)와 함께 오른쪽으로, 즉 베어링 브레키트(10)를 향하여 변위된다. 이것은 두개의 로울링 베어링(13, 21)의 외부링(16, 24)이 각각 환형 스프링(17, 25)을 통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판 스프링(71)의 힘은 환형 스프링(17, 25)의 힘보다 자연적으로 크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러치 라이닝(48)과 디스크 디스크 프라이휠(2)의 클러치면 사이의 공극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며 디스크 프라이휠(28)에 대한 클러치 라이닝(48)의 계속적인 접촉 때문에 열이 발생하고 상기에서 기술한 재조절 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제3도에서 나타낸 실시예는 제1도와 제2도의 실시예와 단지 약간 다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똑같은 부호를 같은 부품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같은 부호의 부품의 구조는 다르지만 기능은 똑같다. 따라서 유사한 부품이 부호는 생략되었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디스크 프라이휠(28)은 로울링 베어링(21 )의 내부링(22)에 대해 심(shim)(80)을 갖춘 너트(79)에 의해 힘을 받고 있으며, 터트(79)는 모터샤프트(8)의 샤프트 탱(27)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이 탱(81)으로 들어간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단단하며, 허브(45')는 구동 샤프트의 기어(82) 상에서 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위치하고 있다.
제1도와 제2도의 브레이크 조절장치(68)와 동등한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조절장치(75')로써 작용하여, 판스프링(66)은 기어(82)를 작동시키는 샤프트 부분(83)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로울링 베어링(70)의 내부링(70)은 기어(82)의 단부에 대한 지지링(84)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71')가 또한 갖추어져 있으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지지링(84) 위에 있고 타단부는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위에 있다. 그 결과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브레이크 지지장치(56 )에 대해 한쪽 측면이 지지되고, 클러치 코일(53)과 브레이크 코일(59)이 여자되지 않았을 때 거의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다른쪽 측면상에서, 디스크 프라이휠(28)은 모터샤프트(8) 및 회전자(7)와 함께 조절너트(65)의 회전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변위되며 그 결과 클러치 라이닐(48)과 클러치면(49) 사이의 공극이 조절된다. 이 실시예는 재조절부재(78)가 가열된 상태에서 베어링 보어(40)에 대해 로울링 베어링의 외부링(76)을 변위시킴으로써 재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디스크 프라이휠(28)은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에서 부터 모터샤프트(8)와 같이 부속적으로 움직인다. 제4도에서 나타낸 클러치 조절장치(75')에서, 로울링 베어링(42')의 내부링(70')은 구동 샤프트(38)에 대해 변위 가능한 시트를 갖지 않으며, 외부링(76')은 베어링 보어(40)에서 변위 가능한 시트를 갖고 위치하며, 재조절부재(78')와 스페이서링(8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재조절부재(78')는 바이메탈 디스크를 갖추고 있으며 압력피스(86)상에 자리잡고 있다. 압력 피스(86)는 몸체부(87)를 갖추며 몸체 위에 바이메탈 디스크와 돌출부(88)가 있으며 이것은 바이메탈 디스크를 관통하여 지나가며 그 자유단(89)은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고 바이메탈 디스크를 지지한다.
돌출부(88)와 몸체부(87)는 나사구멍에 의해 관통되며, 나사구멍은 조절 스리트(91)를 갖춘 조절나사(90)와 같은 볼트를 받아들이며 그 자유단(92)은 조임나사(9 4)의 해드(93)상에 있다. 디스크 프라이휠(28)은 조임나사(94)에 의해 디스크(95)를 통하여 모터의 구동 샤프트(8)와 연결된다. 조절나사(90)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 샤프트(38)에 대해 축방향으로 디스크 프라이휠(28)과 함께 모터의 구동 샤프트(8)를 조절하여 축방향갭(″a″)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도 및 제2도와 관련해서 상기에서 기술한 바 있는 기본 개념은 상기에서 기술한 변경을 제외하고 변하지 않는다.
제5도에서 나타낸 브레이크 조절장치(68)의 수정된 형태의 실시예에서, 조절은 단지 축방향으로 조이는 조절너트(65)를 통하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조절덮개(96)를 통하여 조절된다. 조절덮개(96)를 외부에 나사선(97)을 갖추고 있어서 브레이크 베어링 브래키트(34)의 나사구멍(98)의 내부와 결합된다. 로울링 베어링 (41')은 내부링(63')와 함께 구동 샤프트(38)상에서 고정된 시트를 갖추는 반면, 외부링(61')은 변위 가능한 시트를 통하여 조절덮개(96)와 연결되어 있다. 조절덮개(96)의 보어(99)를 통과하는 가느다란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샤프트(38)의 축방향의 조절은 브레이크 베어링 브레키트(34)에 대해 얻어진다.
제6도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형태는 제3도의 실시예의 형태와 기본적인 구조가 일치하며, 제6도에서 견고한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구동샤프트(38)의 기어(82) 위에 측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되어 있다. 허브(45')의 축방향의 변위는 제5도의 실시예의 형태와 비슷한 방식으로 조절덮개(96)을 통한 실시예에서 유효하게 된다. 제7도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형태에서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분리식 조절은 갖추어지지 않았으며 조절장치는 제5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실현되며, 모터 구동 모터샤프트(8)와 구동 샤프트(38) 사이의 연결부분은 제4도와 마찬가지로 실시되지만 이와 반대로 구동 샤프트(38)는 보어(74)를 갖추지 않고 또한 조절나사(90) 대신에 고정리벳(100)을 갖추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의 조절은 환형 스프링(17) 및 탄성 스파이터(47)의 힘과 작용하는 조절덮개(96')를 통하여 실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클러치 조절과 관게없이 브레이크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스파이더(47)의 스프링의 힘은 이런 부품의 촉방향의 벤딩이 1미리미터로 될 때까지 효력을 발생하도록 설계되어야 하지만 전달되는 회전 모멘트를 고려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지지장치 (56)와 접촉할 때 큰 변화없이 구동 샤프트(38)에서 나오는 회전 로렌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코일(59)에 전기를 전열시켰을 때 재봉틀의 휠을 손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기술한 마지막 실시예의 형태는 그 제조와 서비스 하는 입장에서 특별히 경제적이다. 앞에서 기술한 설명과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러가지의 다른 실시예와 변화가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내에서 가능하게 된다.

Claims (19)

  1. 연속적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1)와, 구동 샤프트(38)와, 상기 모터(1) 및 상기 샤프트(38)를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브레이크/클러치 유닛(2)을 구비하는 재봉틀의 전동제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클러치 유닛(2)은 단 하나의 브레이크/클러치 디스크(43)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클러치 디스크(43)는 클러치 디스크 수단과 : 상기 디스크(43)를 상기 구동 샤프트(38)에 고정시키는 수단과 : 상기 디스크(43)를 상기 구동샤프트(38)에 고정시키는 클러치 라이닝 수단(48)을 구비하는데, 이 클러치 라이닝 수단(48)은 상기 클러치 라이닝 수단(48)과 상기 클러치 디스크 수단 사이에 공극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 상기 공극의 크기를 조절하는 수단과 : 상기 구동 샤프트(38)의 고정부분과 마찰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1)와 클러치 코일 수단의 운동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수단과 : 상기 브레이크 수단 및 상기 구동 샤프트(38)의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단 하나의 디스크(43)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코일수단(5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의 공극을 자동 재조절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라이닝 수단은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에 대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38)와 상기 클러치 라이닝 수단은 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라이닝 수단은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축방향으로 탄력성이 있으며, 상기 디스크(43)의 허브(45)는 구동 샤프트(38)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 샤프트에 있는 보어를 통하여 작동 가능한 클러치 조절장치(75)는 클러치 라이닝 수단의 축방향의 변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38)는 브레이크 코일수단(59)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축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구동 샤프트(38)위에서 변위되도록 배치되며, 구동 샤프트(38)을 브레이크 코일수단(59)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절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38)는 베어링 수단에 의해 회전자(7)에 대해 지지되며 상기 재조절수단은 회전자(7)와 베어링 수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9.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절수단(78)을 열 응답 바이메탈 재조절 부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코일수단(59)은 브레이크 지지장치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 코일수단은 클러치 지지장치에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는 아마추어링(46)을 가지며 상기 클러치 코일 수단은 브레이크 지지장치에 배치되고 클러치 자기장치와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러치 코일 수단이 자석 포올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2. 제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지지장치의 상기 자석포올은 상기 클러치 라이닝 수단을 부분적으로 변경방향을 향해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의 허브(45)에 대해 카우터 작용을 하는 탄성부재, 나사구명과 조절나사를 구비하고, 그의 자유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8)와 회전자(7)을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는 모터 샤프트(8)와 회전자(7)을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장치에서 돌출된 헤드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의 자유단은 모터 샤프트(8)의 단부면에 접근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38)는 브레이크 지지수단의 나사선과 결합하는 조리덮개(96)와 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제어 구동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의 상기 허브(45)는 구동 샤프트(38)와 축방향으로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탄력성 있는 클러치/브레이크 디스크(43)의 상기 스프링은 적어도 첫머리 부분에 평평한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와 브레이크 코일수단은 단 하나의 디스크 부분에 대해 축방향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라이닝 수단은 상기 모터(1)의 프라이휠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제어 구동 장치.
KR8203424A 1981-08-04 1982-07-30 전동 제어 구동장치 KR890001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130819 1981-08-04
DEP3130819.8 1981-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702A KR840000702A (ko) 1984-02-27
KR890001200B1 true KR890001200B1 (ko) 1989-04-27

Family

ID=613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424A KR890001200B1 (ko) 1981-08-04 1982-07-30 전동 제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4556132A (ko)
JP (1) JPS5829343A (ko)
KR (1) KR890001200B1 (ko)
BR (1) BR8204566A (ko)
ES (1) ES8306428A1 (ko)
FR (1) FR2511102B1 (ko)
GB (1) GB2105429B (ko)
HK (1) HK84786A (ko)
IT (1) IT1153153B (ko)
PH (1) PH252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069A (ko) * 2012-07-30 2014-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9277A1 (de) * 1982-03-13 1983-09-15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aelschungssicherer informationstraeger
DE8316122U1 (de) * 1983-06-01 1983-08-25 Quick-Rotan Elektromotoren GmbH, 6100 Darmstadt Kupplungsmotor
DE3508227C1 (de) * 1985-03-08 1986-06-05 Frankl & Kirchner GmbH & Co KG Fabrik für Elektromotoren u. elektrische Apparate, 6830 Schwetzingen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 Reibungsbrems- und Kupplungsvorrichtung fuer einen elektromotorischen Antrieb,insbesondere fuer Industrie-Naehmaschinen
DE3508310A1 (de) * 1985-03-08 1986-09-18 Frankl & Kirchner GmbH & Co KG Fabrik für Elektromotoren u. elektrische Apparate, 6830 Schwetzingen Elektromotorischer regel- und steuerantrieb, insbesondere fuer industrie-naehmaschinen
DE3516832A1 (de) * 1985-05-10 1986-11-13 Frankl & Kirchner GmbH & Co KG Fabrik für Elektromotoren u. elektrische Apparate, 6830 Schwetzingen Antrieb fuer eine textil-arbeitsmaschine, insbesondere eine stichgruppen-naehmaschine
WO1987001526A1 (en) * 1985-08-30 1987-03-1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Electrical regulator
DE3632064A1 (de) * 1986-09-20 1988-03-24 Frankl & Kirchner Elektromotorischer regel- und steuerantrieb
DE3727173A1 (de) * 1987-08-14 1989-02-23 Danfoss As Durch ein kompressibles fluid, insbesondere pneumatisch schaltbare kupplungs- und bremsvorrichtung
DE3834138C1 (ko) * 1988-10-07 1990-02-15 Danfoss A/S, Nordborg, Dk
DE8908357U1 (ko) * 1989-07-08 1989-11-02 Sueddeutsche Kue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De
US5549186A (en) * 1994-11-30 1996-08-27 Dana Corporation Clutch/brake assembly
US6211590B1 (en) * 1997-10-02 2001-04-03 Stromag, Inc. Spring-applied pad and carrier brake
US7311183B2 (en) * 2005-03-28 2007-12-25 Black Jr Robert A Adjustable clutch brak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750461B2 (ja) * 2005-04-26 2011-08-17 株式会社 五十嵐電機製作所 回転制御機能付モータ
US7493996B2 (en) * 2005-06-10 2009-02-24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Rotational coupling device
US7975818B2 (en) * 2005-06-10 2011-07-12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Rotational coupling device
US7732959B2 (en) * 2005-06-10 2010-06-08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Rotational coupling device
US20070209896A1 (en) * 2006-03-10 2007-09-13 Pardee James A Rotational coupling device
US7527134B2 (en) * 2006-04-03 2009-05-05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Rotational coupling device
US7728475B2 (en) * 2007-02-20 2010-06-0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hermally operated rotatable component restraint system
FR2919442B1 (fr) * 2007-07-27 2011-01-07 Ge Energy Products France Snc Volant d'inertie a lancement progressif.
US8123012B2 (en) 2008-11-11 2012-02-28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Rotational coupling device with wear compensation structure
CN101710755B (zh) * 2009-12-22 2012-09-05 苏州爱可迈数控机电有限公司 一种伺服电机
CN102195399A (zh) * 2011-03-25 2011-09-21 许晓华 一种电机刹车离合结构
US9148037B2 (en) * 2011-11-13 2015-09-29 Rotonix Hong Kong Limited Electromechanical flywheel
DE102014202279A1 (de) * 2014-02-07 2015-08-13 Bühler Motor GmbH Elektromotorischer Antrieb
EP3496239B1 (en) * 2016-08-05 2021-05-26 Nidec Corporation Motor
CN106545606A (zh) * 2016-12-06 2017-03-29 李金耀 一种电磁离合制动装置
CN111600430B (zh) * 2020-04-24 2021-04-20 浙江奇志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制动电动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49148A (en) * 1966-12-27 E. Block Paul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controlled stop positioning
DE1184849B (de) * 1958-11-17 1965-01-07 Quick Elektromotorenwerk G M B Naehmaschinenkupplungsmotor
GB1003052A (en) * 1961-11-13 1965-09-02 Hansen Glove Corp Tool control mechanisms
US3227253A (en) * 1962-01-19 1966-01-04 Quick Elektromotorenwerk G M B Clutch and brake for sewing machine
FR1360369A (fr) * 1963-03-29 1964-05-08 Groupe moto-transmetteur à commande asservie
BE663887A (ko) * 1964-05-20
US3387157A (en) * 1965-05-10 1968-06-04 Singer Co Electric motor housing in clutchbrake driving device
US3410380A (en) * 1967-05-18 1968-11-12 Davis & Furber Clutch and brake construction for spinning and twisting frames
GB1235168A (en) * 1967-09-27 1971-06-09 Frankl & Kirchner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omagnetic clutches or brakes
US3493796A (en) * 1968-03-20 1970-02-03 Singer Co Electromagnetically actuated,high inertia clutch brake motor
US3512618A (en) * 1968-08-22 1970-05-19 Wolfgang Schafer Electric brake with permanent magnet
DE2031834B2 (de) * 1970-06-26 1979-02-01 Frankl & Kirchner Gmbh & Co Kg Fabrik Fuer Elektromotoren U. Elektrische Apparate, 6830 Schwetzingen Elektromotorischer Regel- und Steuerantrieb, insbesondere für Industrie-Nähmaschinen
US3738462A (en) * 1972-05-26 1973-06-12 Singer Co Automatic adjuster for clutch and brake
DE2231501A1 (de) * 1972-06-27 1974-01-10 Mayr Maschf Kg Chr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kupplungsbremsaggregat
JPS5120659A (ko) * 1974-08-13 1976-02-19 Torio K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069A (ko) * 2012-07-30 2014-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53153B (it) 1987-01-14
GB2105429B (en) 1985-12-18
US4556132A (en) 1985-12-03
JPH0139309B2 (ko) 1989-08-21
FR2511102B1 (ko) 1985-07-26
ES514713A0 (es) 1983-06-01
IT8222686A1 (it) 1984-01-30
PH25209A (en) 1991-03-27
IT8222686A0 (it) 1982-07-30
KR840000702A (ko) 1984-02-27
ES8306428A1 (es) 1983-06-01
HK84786A (en) 1986-11-14
BR8204566A (pt) 1983-07-26
FR2511102A1 (ko) 1983-02-11
JPS5829343A (ja) 1983-02-21
GB2105429A (en) 1983-03-23
US4703841A (en) 198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200B1 (ko) 전동 제어 구동장치
US4643282A (en) Motor hav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friction clutch and friction brake
US3945476A (en) Motor construction
US4823926A (en) Electric motor regulating and control drive having a clutch-brake unit
JPS6052336B2 (ja) 回転伝達装置
GB2057199A (en)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US4709794A (en) Electromotive variable-speed and control drive particularly for use in industrial sewing machines
JPS6127986B2 (ko)
JPS61251448A (ja) 電動式調整・制御装置
US4429773A (en) Electromagnetic clutch and brake
US2368317A (en) Motor brake adjusting means
US3381784A (en) Electromagnetic clutch and brake
US7100747B1 (en) Integral motor brake manual release mechanism
US5579880A (en) Friction clutch,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US4550814A (en) Electromagnetic clutch-brake for industrial sewing machine
US4878568A (en) Electromagnetic clutch/brake assembly
JPH0725470Y2 (ja) 電磁ブレーキ
JPH0725469Y2 (ja) 電磁ブレーキ
JPS6311859B2 (ko)
JPH0217221Y2 (ko)
US2822903A (en) Electric clutch-brake driving devices
JP2562031Y2 (ja) 無励磁作動形電磁ブレーキ
JPS5828460Y2 (ja) クラツチモ−タ−
JPS628660Y2 (ko)
JPH051139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