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142B1 - 램 프 - Google Patents

램 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142B1
KR890001142B1 KR1019840001559A KR840001559A KR890001142B1 KR 890001142 B1 KR890001142 B1 KR 890001142B1 KR 1019840001559 A KR1019840001559 A KR 1019840001559A KR 840001559 A KR840001559 A KR 840001559A KR 890001142 B1 KR890001142 B1 KR 89000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glass frit
wall
lam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474A (ko
Inventor
다까오 다께다
요시데루 다니꾸찌
히도시 야마자끼
노리히꼬 다나까
히로시 이도
미노루 우찌다
즁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5000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램 프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예를 표시한 것으로써, 제1도는 램프의 일부 단면도.
제2도는 동요부 확대단면도
제3도는 다른 램프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써, 요부 확대단면도.
제6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써 제6도 내지 제9도는 요부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일부 단면약도.
제11도 일부 절결 단면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벌브(Bulb) (2) : 벌브개구단
(22) : 벌브의 내측벽 (3) : 단판
(5) : 글래스프리트
본 발명은 벌브개구단을 단판으로 글래스프리트를 통하여 봉착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램프의 일예로써, 본 출원인은 먼저 제1도에 표시한 형광램프를 제안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내면에 형광체층(11)을 피착한 양단(2)이 개구된 u자상 벌브, (3)은 상면에 한쌍의 전극 (4)을 장설한 단판, (5)는 벌브개구단 (2)내에 전극 (4)를 내포한 상태에서 벌브개구단(2)와 단판(3)을 봉착한 글래스프리트이다.
(6)은 배기관, 이 램프의 벌브개구단(2)와 단판(3)과의 봉착은 제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미리 전극(4)을 장설한 단판(3)의 봉착예정장소에 환상으로 글래스프리트 (5)를 도포하고, 이 도포면위에 벌브개구단(2)을 재치한후 가열용착시킨다. 이때문에 첫째로, 벌브개구단(2)의 외측주연에도 글래스프리트(5)가 빠져나와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로, 환상의 글래스프리트(5)는 개구단(2)의 내외경보다도 넓은 대상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글래스프리트(5)의 사용량이 많아지는 문제도 있었다. 셋째로, 벌브의 양개구단(2)을 봉착하는 글래스프리트(5)의 도포 두께(T)를 양개구 안측에서 균등하게 하는게 곤란하였고, 두께(T)의 언밸런스에 의하여 벌브(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봉착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심할경우는 봉착완료후에도 벌브(1)이 기울어져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단판(3)과 벌브개구단(2)의 봉착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벌브개구단 (2)의 단면(23)을 단판(3) 면상에 재치시키고, 벌브개구단(2)의 외측벽(21)에서 단판 (3)과 봉착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 경우는 벌브개구단(2)의 단면(23)이 평단한 단판면상에 재치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제3의 문제 해결에는 유효하지만 제1, 제2의 문제해결은 거의 되지 못한다. 또 외부와 벌브(1)과의 기밀성은 개구단(2)의 외측벽(21)에서만 갖게되는데 이 외측벽(21)에는 봉착전의 벌브재치작업 또는 글래스프리트(5)의 가열용융시 먼지등이 붙기쉬우며 이 장소에서 기밀(氣密)이 새기쉬운 새로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써, 개구단에 봉착되는 단판을 글래스프리트를 개재시켜 봉착 벌브를 갖는 램프에 있어서, 벌브개구단의 내측벽에 대응시켜 글래스프리트를 배치하고, 단판과 벌브개구단과의 봉착을 벌브개구단의 내측벽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4도 및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양단(2)이 개구된 u자상 벌브, (3)은 상면에 한쌍의 전극 (4)을 장설한 단판이다. 다시 이 단판(3)면상에는 벌브(1)의 양개구단(2)을 각전극 (4)을 내포한 단판(3)면상에 재치하였을때 벌브개구단(2)의 내측벽(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벌브개구단(2)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환상으로 글래스프리트(5)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벌브(1)과 단판(3)과의 봉착은 각 개구단(2)가 전극(4)과 글래스프리트(5)를 내포한 단판면상에 재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글래스프리트(5)를 가열용착시켜 이루어진다. 제5도는 가열후의 봉착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글래스프리트(5)가 용착되어도 벌브개구단(2)의 내측벽(22)에서 계합되므로, 개구단(2)의 외주연으로 삐져나오는 일이 없게된다. 또 글래스프리트(5)의 도포는 벌브개구단(2)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환상으로 하여도 되므로 도포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 하여도 상기한 제1도의 램프에 비해 도포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벌브(1)의 개구단 내경이 0.5㎜, 두께 0.85㎜의 벌브를 양자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사용량은 램프 1개당 약 2.5g인데 대하여, 제1도의 램프의 경우는 4.5g이었다. 또 외부와 벌브(1)과의 기밀성은 주로 개구단(2)의 내측벽(22)에서 갖도록 되어 있으나, 외측벽(21)에 비하여 내측벽(22)에는 먼지등이 붙는 일이 없으므로 기밀이 새는 문제도 없게된다. 더구나, 외측벽(21)에 비해 내측벽(22)의 주위의 길이는 당연한 것이지만, 짧으므로 기밀면적이 감소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다시 벌브(1)의 개구단(2)은 평단한 단판(3)면상에 재치되므로 벌브의 기울어짐도 없게된다. 또 이 글래스프리트(5)는 미리 벌브개구단(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환상성형품으로 하여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써, 단판(3)에는 글래스프리트(5)를 배치하여 벌브개구단(2)의 내측벽(22)을 봉착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각 실시예의를 합쳐 제6도에 있어서는 성형한 글래스프리트(5)가 벌브(1)을 봉착할때의 위치결정도 된다. 한편, 제7도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제8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써 단판(3)에는 글래스프리트(5)의 내경에 대응하는 돌기(33)을 설치하고 이돌기(33)의 주연에 성형한 글래스프리트(5)를 배설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9도는 전극(4)을 미리 플레어(Flare)상 글래스스템(41)에 장설한 것인데 이러한 전극(4)을 사용한 경우, 단판(3)과 벌브개구단(2)의 내측벽(22)을 봉착할때 스템(41)을 동시 봉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램프의 벌브는 모두 u자상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특히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0도에 표시한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는 제11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기밀공간을 형성하는 외관(11)내로 굴곡시킨 벌브(1)를 배설한 것과 같이 이중관 구조의 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개구단에 봉착되는 단판을 글래스프리트를 개재시켜 봉착한 벌브를 갖인 것에 있어서, 벌브의 내측벽에 대응시켜 글래스프리트를 배설하였으므로 램프의 상품가치가 높아짐과 동시에 재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등이 있다.

Claims (4)

  1. 개구단(22)에 봉착시키는 단판(3)을 글래스프리트(5)를 개재시켜 봉착한 벌브를 갖인 것에 있어서, 상기벌브(1)의 내측벽(22)에 대응시켜 글래스프리트(5)를 배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글래스프리트(5)는 성형품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3. 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단판(3)에는 글래스프리트 수용구(31)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4. 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단판(3)에는 글래스프리트 수용돌기(33)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KR1019840001559A 1983-08-12 1984-03-26 램 프 KR890001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47618A JPS6039734A (ja) 1983-08-12 1983-08-12 ランプ
JP???58-147618 1983-08-12
JP147618 1983-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474A KR850003474A (ko) 1985-06-17
KR890001142B1 true KR890001142B1 (ko) 1989-04-24

Family

ID=1543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559A KR890001142B1 (ko) 1983-08-12 1984-03-26 램 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39734A (ko)
KR (1) KR890001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4228A (ja) * 1982-10-21 1984-04-26 Kawasaki Steel Corp 鋼管の浸漬焼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39734A (ja) 1985-03-01
KR850003474A (ko) 198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142B1 (ko) 램 프
KR930024081A (ko) 저압 수은증기방전등
US4145631A (en) Incandescent lamp
JPS59186245A (ja) コンパクトけい光ランプ
US5090931A (en) Method of producing a lamp having a coated layer and the lamp produced thereby
JPH0119226B2 (ko)
US4435669A (en) Arc tube construction
JPH01255126A (ja) 放電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90035A (ja) けい光ランプ装置
JPS63313450A (ja) 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JPS60115145A (ja) 高圧放電灯
JPS62287545A (ja) 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JPH01117265A (ja) けい光ランプ
JPH0546207Y2 (ko)
JPS6313233A (ja) 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JPS6020446A (ja) ランプ
JPS5929347A (ja) 螢光ランプ
JPH117917A (ja) 省電力型放電ランプ
JP2729998B2 (ja) 放電灯
JPH03233854A (ja) 冷陰極けい光ランプ
JPS5949150A (ja) 螢光ランプ
JPS58218743A (ja) 「けい」光ランプ
JPS61240558A (ja) 小形螢光ランプ
JPS59151745A (ja) ランプ
JPS60130047A (ja) 高圧放電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