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17B1 - 4방 포핏 밸브 - Google Patents

4방 포핏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17B1
KR890001017B1 KR1019850008420A KR850008420A KR890001017B1 KR 890001017 B1 KR890001017 B1 KR 890001017B1 KR 1019850008420 A KR1019850008420 A KR 1019850008420A KR 850008420 A KR850008420 A KR 850008420A KR 890001017 B1 KR890001017 B1 KR 89000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ppet valve
bore
poppet
sp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263A (ko
Inventor
어거스트 네프 제임스
알렌 파저리 리챠드
Original Assignee
맥 밸브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어거스트 네프 제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 밸브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어거스트 네프 제임스 filed Critical 맥 밸브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6000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15B11/04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by means in the return line, i.e. "meter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5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seat valves, i.e. popp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s positioned between 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valve seats positioned between movable valv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22Motor-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86Plural disk or pl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방 포핏 밸브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되며 유동조절기능을 갖는 4방 포핏밸브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선 2-2를 절취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본 본 발명벨브 몸체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의 선 3-3을 절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확대하여 본 본 발명 4방핏밸브 스푸울의 수평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의 선 4-4를 절취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본 본 발명 밸브에 적용되는 유동조절밸브 덮개평판의 하부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에서 선 5-5를 절취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본 본 발명 밸브의 정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서 선 6-6을 절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본 본 발명 밸브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에서 도시된 본 발명 유동조절밸브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서 선 8-8을 절취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본 본 발명의 부분 정단면도.
제9도는 제7도에서 선 9-9를 절취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본 본 발명 밸브의 부분 정단면도.
제10도는 제3도에서 선 10-10을 절취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본 본 발명벨브의 부분 정단면도.
제11도는 제1도 밸브구조물에서의 유입구 배출구 및 실린더구가 그 측면 대신에 하단부에 배치되는 변경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4방포핏밸브 (11) : 밸브몸체
(16) : 유입구 (25) : 배출구
(36, 36a) : 배기실 (37, 37a) : 유동조절밸브
(74) : 복귀스프링 (75) : 솔레노이드
본 발명은 공기 밸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유동조절기능을 갖는 개량된 4방포핏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4방포핏밸브는 예를들면 공기 실린더의 단부에 연결된 공기 공급관과 같은 도관내에서 공기의 유동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환상 밀봉수단과 함께 슬라이딩형 밸브 스푸울을 적용하는 4방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당 공기밸브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또한, 직접적인 솔레노이드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밸브 스푸울과 같은 것을 작동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 4방밸브의 단점은 공기와 같은 유체외 고속유동을 위해서는 밸브스푸울의 긴 행정이 필요하고 또한 밸브스푸울의 작동을 위한 대형의 솔레노이드와 밸브스푸울 및 솔레노이드를 피복하기 위한 대형의 밸브구조물이 필요하다. 또한, 유체 유동제어시스템에서 공기와 같은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3방 포핏밸브를 사용하는 것도 당 공기밸브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포핏밸브의 장점은 짧은 행정으로 최대유량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제까지, 4방 포핏밸브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포핏밸브를 지지하는 밸브스푸울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직접 작동될때 한쌍의 포핏설치부를 효과적이고 동시에 밀봉할 수 있는 포핏밸브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종래 3방 포핏밸브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 4,271,868호, 4,298,027호 및 4,407,323호에 명세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4방 포핏밸브는 공기 실린더등의 양단부로의 공기의 유동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공기공급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다. 4방 포핏밸브는 한쌍의 포핏밸브를 지지하는 포핏밸브스푸울을 구비하여, 이때 포핏배르스푸울은 단일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포핏스푸울 밸브는 유동포울을 갖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직접 작동된다. 밸브는 포핏밸브스푸울에 지지되는 포핏밸브에 관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각각이 포핏밸브설치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조절가능한 부싱을 포함하여, 포핏밸브스푸울이 제1 즉 초기작동위치에 있을 때는 물론 제2작동위치에 있을때에도 두개의 포핏밸브가 각각의 포핏밸브설치부에 설치되도록한다. 4방 포핏밸브스푸울은 밸브 스푸울이다.
본 발명의 밸브는 4방 포핏밸브를 제공하며, 이는 유동제어기능을 가지며, 짧은 행정을 갖는 소형이지만 포핏밸브스푸울이 두 작동위치중의 하나에 있을 때 대량의 유체 유동을 제공한다. 밸브의 짧은 행정특성 및 소형인 점은 유동포울을 갖는 저와트수 또는 고와트수의 일반목적의 소형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밸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되는 유동조절기능을 갖는 4방포핏밸브(10)의 실시예가 되시된다. 밸브(10)은 상단부 유동 조절밸브 덮개판(12)에 의하여 그 상단부가 덮히는 밸브몸체(11)을 포함한다. 유동조절밸브 덮개판(12)는 다수의 적절한 나사(13)에 의하여 밸브몸체(11)상단의 적소에서 해체가능하도록 고착된다.
제1도 내지 4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10)은 밸브 몸체(11) 및 덮개판(12)를 통해 신장하는 한쌍의 보울트공(14)가 구비된다. 보울트공(14)는 적용될 장치상의 작동위치에 밸브(10)를 고착시키도록 적절한 설치보울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10)은 적절한 압축공기원에 연결될 밸브몸체(11)내의 나사부가 형성된 유입구(16)을 구비한다. 유입구(16)은 상방향의 만곡통로부(17)과 연통하는 수직 통로부(17)과 그 내부단부에서 연통한다. 통로부(17)의 상단부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판(12)의 통로부(19)와 연통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12)의 통로부(19)와 연통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부(19)는 덮개판의 중심을 향하여 만곡되어 수직통로부(20)상부의 적소에서 종결된다. 제3도에서와 같이, 수직통로부(20)은 밸브스푸울보어(22) 주위의 적소에서 밸브몸체(11)에 형성된 환상원통형 가압공기실(21)과 함께 그 하단부에서 연통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10)은 밸브몸체(11)내에 나사부가 형성된 배출구 (25)가 구비된다. 배출구(25)의 내부 단부는 상방향으로 신장하는 통로부(26)과 연통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로(26)은 종방향과 배출통로부(28)과 함께 밸브몸체(11)의 후측에서 연통하는 상방향 및 내방향으로 신장하는 횡단통로부(27)과 그 상단부에서 연통하여 T형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제4도에서와 같이, 덮개판(12)의 하측은 덮개판(12)가 밸브몸체(11)에 설치될 때 밸브몸체(11)내의 통로부(27, 28)에 적소에서 보족되는 T형의 유사한 통로부(29, 30)이 구비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판(12)의 통로부(29)는 수평통로부(31)을 통해 유동조절밸브(37)이 설치되는 밸브실(32)로 연결된다. 수평통로부(31)에 인접한 밸브실 (32)의 내부 단부는 원통형이며, 하방향으로 신장하는 통로부(33)을 통해 밸브몸체 (11) 상단부의 통로부(34, 35)와 연통한다. 통로부(35)의 하단부는 밸브스푸울보어 (22)와 동심이며, 밸브몸체(11)에 형성되는 환상의 원통형 배기실(36)과 연통한다. 배기실(36)은 통로부(35)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위치한다. 배기실(36)은 종방향 내부 단부에서 원통형챔버(71)로 종결되는 확대 종방향 보어(38)의 벽에 형성된다.
배기실(36)으로부터 배출구(25)로의 배출공기의 유동은 제5도 및 7도에서 도시된 유동조절밸브(37)에 의하여 조절된다. 유동조절밸브(37)은 밸브실(32)원통부로의 미끄럼결합을 위하여 그 중앙부 및 전단부를 따라 원통형상을 이루는 밸브몸체부 (41)을 갖는다. 밸브몸체부(41)의 내부단부상에는 배출통로인 수평통로부 (31)의 내부단부에 형성된 밸브설치부(40)를 지나는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채택되는 대략 원추형상의 밸브(42)가 통합적으로 배치된다.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42)는 밸브설치부(40)에 관하여 폐색된 위치에 있지만, 후방향 즉 우측으로 이동할 시에는 유체는 밸브설치부(40)을 경유하여 통로(29, 28, 27, 26)을 통해 배출구(25)로 배출된다.
유동조절밸브(37)은 비상승형 밸브이며, 밸브(4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될때 종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조절헤드(43)을 갖는다. 조절헤드(43)은 적절한 공구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그 외부표면에 횡단슬롯(44)를 갖는다. 조절헤드 (43)은 보어(45)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내측에 소직경 샤프트(46)이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샤프트(46)의 내부단부는 한쌍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환상플랜지(47)의 외부단부에 통합적으로 부착된다. 환상플랜지(47)은 그 외부단부에서 보어(45)와 연통하는 보어(48)내에 위치하며 보어(45)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적절한 0-링 시일(49)가 환상 플랜지(47)사이의 홈에 설치되어 보어(48)의 표면과 밀봉적으로 결합한다. 최내측 플랜지(47)의 내측에는 그 내부단부에 신장된 나사샤프트 (53)이 통합적으로 형성된 샤프트(52)가 통합적으로 부착된다. 나사 샤프트(53)은 밸브몸체(41)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밸브몸체(41)의 후단부로 부터 내측종방향으로 신장하는 나사보어(54)에 설치된다.
제5도 및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실(32)의 외부단부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부(57)로 이루어진다. 밸브몸체(41)의 후단부(58)도 또한 육각형으로 이루어져서 육각부(57)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조절헤드 (43)이 일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나사 샤프트(53)을 밸브몸체(41)내 보어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나사 샤프트(53)을 회전하면서 그 종방향위치에서 고정된다. 나사보어 (54)내에서의 나사샤프트(53)의 회전은 육각부(58)내에서의 육각 후단부(58)의 미끄럼효과로 인하여 밸브몸체(41)이 아무런 회전없이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리하여, 밸브설치부(40)에 관한 밸브(42)의 위치설정은 비상승형 유동조절밸브(37)에 의하여 조절된다.
제5도, 7도 및 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헤드(43)의 종방향 이동은 저지판 (61)에 의하여 저지된다.
제7도 및 제9도에서와 같이, 저지판(61)은 덮개판(12)의 하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신장하는 직선슬롯(62)에 설치된다. 제9도에서와 같이, 저지판(61)의 상단부는 나사 샤프트(46)이 수용되는 U형 즉 반원형의 요부(63)으로 되어있다.
직선슬롯(62)는 덮개판(12)의 하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신장한다. 조절헤드 (4 3)이 회전될 때, 저지판(61)이 조절헤드(43)의 후면 및 최외측플랜지(47)의 외부면과 미끄럼가능하게 결합하여 조절헤드(43) 및 나사 샤프트(53)의 종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저지판(61)의 하단부는 덮개판(12)의 슬롯(62)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저지판 (61)은 고정위치로 유지되어 조절나사(53)이 회전할 때 조절헤드(43) 및 나사샤프트 (53)의 종방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덮개판(12)의 하측에 있는 배출 통로부(29)는 보어 (31a) 및 하방향으로 신장하는 통로(33a)와 연통하며, 이는 다시 제5도에서의 통로(34, 35)와 같은 통로를 통해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제2환상배기실(36a)로 연결된다. 제2환상배기실(36a)는 또한 밸브스푸울보어(22)와 동심이며, 제1배기실 (36a)반대편인 밸브스푸울보어(22)측의 적소에서 대직경보어(64)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조절밸브(37)과 그 구조 및 기능에서 동등한 제2유동조절밸브(37a)가 통로부 (26-28)을 통하여 배출구(25)로 연결되는 배출통로부(29)로 통로(34a)를 통한 제2환상배기실(36a)로 부터의 유체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덮개판(12)에 배치된다.
제1도에서 제2유동조절밸브(37a)가 도시된다. 상술한 유동 조절밸브(37)과 같은 제2유동조절밸브(37a)는 동일도면번호에 소문자 a가 첨가될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나사 실린더 즉 배출구(67, 68)이 밸브몸체 (11)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또한 각각 유입구(16) 및 배출구(25)가 형성된 밸브몸체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형성된다. 배출구(67, 68)은 각각 통로부(69, 70)을 통하여 한쌍의 환상 실린더챔버(71, 72)로 연통된다. 실린더 챔버(71, 72)는 가압공기실 (21)로 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두개의 배기실(36, 36a)로 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공기실(21)로 부터 배출구(67, 68)을 통과한 후 밸브 몸체(11)로 역유동하여 배출구(25)로 배출되는 가압공기의 유동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포핏밸브스푸울(73)을 포함하는 포핏밸브에 의하여 조절된다. 밸브스푸울 (73)은 복귀스프링(74)에 의하여 제3도에 도시한 초기 즉 제1작동위치로 이동한다. 밸브스푸울(73)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직접연결된 솔레노이드(75)는 조절되는 행정과 함께 저와트수 또는 고와트수로 작동될 수 있는 적절한 일반목적의 유동포울형이다. 밸브스푸울(73)을 좌측 즉 제2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데에 사용되는 유동 포울을 갖는 솔레노이드는 미합중국 특허 제4,438,418호에 도시된 솔노이드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3,538,954호에 명세된 유동포울을 갖는 솔레노이드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 스푸울(73)은 통합된 대직경의 단부(80, 81)과 함께 소직경의 중앙부(79)를 갖는 신장된 밸브스푸울 몸체(78)로 이루어진다. 포핏밸브는 적절한 에라스토머 물질에 의하여 소직경의 중앙부(79)상에서 밸브스푸울몸체 (78)주위에 주조되며, 중앙에 배치된 포핏밸브(82)와 한쌍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단부포핏밸브 (85, 86)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에 배치된 포핏밸브(82)는 밸브스푸울표면의 중앙부(79)로 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신장하며, 서로를 향해 수렴하며 양 종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포핏밸브표면(83, 84)가 구비된다. 중앙에 배치된 포핏밸브 (82)는 각각 통합주조된 일레스토머 재료의 슬리이브(87, 88)에 의하여 단부 포핏밸브 (85, 86)과 통합적으로 연결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포핏밸브(85, 86)은 각각 그 외부 지점에서 밸브의 외주와 직각을 이루는 내부의 방사상 표면을 가져서 각각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밸브표면(91, 92)를 형성하도록 한다. 예리한 모서리의 밸브표면(91, 92)는 한쌍의 부싱(93, 94)상에 형성된 포핏밸브설치부와 상호작용하도록 채택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보어(22)는 가압공기실(21)과 직각으로 연통하여 각각 포핏밸브표면(83, 84)와 상호작용하도록 채택된 한쌍의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포핏밸브설치부(97, 98)을 형성하도록 한다. 밸브스푸울 보어(22)는 각각의 측면에서 각각 설린더 챔버(71, 72)와 연통하는 경사를 이루며 모서리를 죽인 경사부(95, 96)을 갖는다. 포핏밸브(82)의 외부표면(90)은 밸브스푸울보어(22)보다 대직경이다. 따라서, 포핏밸브 (82)는 일단 제3도에 도시한 위치로 삽입되면 이탈되지 않는다. 밸브스푸울 보어(22)의 경사부(95, 96)은 밸브스푸울이 밸브몸체(11)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하여, 가압공기실(21)내로 이동할때까지 포핏밸브(82)을 압축하기 위하여 경사부(95) 혹은 경사부(96)에 포핏밸브(82)가 유도되도록 한다.
단부 포핏밸브(85, 86)의 설계는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밸브몸체(11)내로의 밸브몸체(11)내로의 밸브스푸울(73)의 조립에 중요하다. 일단 밸브스푸울(73)이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포핏밸브(82)가 가압공기실(21)내에 있으면, 밸브스푸울(73)은 포핏빌브(82)를 파괴시킴이 없이는 제거될 수 없다. 경사를 이루는 포핏밸브 표면(83, 84)는 포핏밸브스푸울(73)이 포핏밸브보어(22)의 어느 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공기실(21)내로의 포핏밸브(82)의 삽입에 조력이 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단부의 부싱(93)은 외부단부(101)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 밸브 몸체를 포함하며, 외부단부(101)은 밸브보몸체(11)내의 나사 보어 (103)에 나사결합된다. 밸브몸체(11)내의 나사보어(103)은 밸브스푸울 보어(22)와 공축이다. 부싱(93)의 밸브 몸체는 부싱밸브몸체의 외부단부(101)의 외부 나사부 (102)직경보다 그 크기가 감소된 직경의 원활한 원통형 외주면을 갖는 통합 원통형 내부단부 (104)를 갖는다. 부싱(93)의 직경이 감소된 원통형 내부단부(104)는 그 내부단부가 실린더 챔버(71)에 인접하도록 보어(38)내에 미끄럼 운동적으로 삽입된다. 적절한 0-링 시일 (105)가 내부단부(104)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어 보어(38)의 표면과 밀봉적으로 결합한다.
부싱(93)은 그 외부단부에 형성된 내부로 신장하는 보어(106)를 가지며, 이는 다수의 외주 슬롯(108)을 통해 횡방향 환상배기실(3)과 연통하는 횡방향 환상배기실 (107)과 연통한다. 부싱몸체인 외부단부(101)내의 환상배기실(107)은 그 내부단부에서 모서리를 죽인 포핏밸브설치부(113)을 통해 축방향 보어(109) 및 내방향으로 분기되는 모서리를 죽인 보어(112)와 함께 연통하여 실린더 챔버(71)과 연결된다.
축방향 보어(106)은 밸브스푸울보어(22)와 그 직경이 같으며 공축이다. 밸브설치부(113)은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밸브표면(91)과 상호작용한다. 축방향보어(109)는 밸브스푸울 보어(22)의 직경보다 소직경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스푸울(73)의 좌단부는 보어(106)의 표면과 밀봉적으로 결합하는 적절한 0-링 시일(114)가 설치되도록 확대직경단부(81)의 외주에 환상홈을 구비한다. 포핏밸브스푸울(73)의 좌단부는 복귀스프링(74)의 내측단부가 설치되는 축방향 보어(115)가 구비된다. 복귀스프링(74)의 외부단부는 원형유지판 (116)의 내부표면에 반하여 설치되며, 원형유지판(116)은 적절한 유지링(117)에 의하여 스프링(74)에 반해 유지된다. 유지링(117)은 보어(106)의 외부단부 외주에 형성된 환상홈(118)내에 설치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스푸울(73)의 우단부에 있는 부싱(94)는 외부나사부(122)와 함께 외부단부(121)을 갖는 원통형밸브몸체를 포함하며, 외부나사부 (122)는 밸브스푸울보어(22)와 공축인 밸브몸체(11)내의 축방향나사보어(123)에 나사결합된다. 부싱(94)의 내부단부(124)는 밸브몸체 외부단부(121)의 직경보다 소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외주면이 구비된다. 부싱(94)의 감소된 직경의 내부단부 (124)는 그 내부단부가 실린더 챔버(72)에 인접하도록하여 보어(64)내에 미끄럼운동적으로 설치되며, 보어 (64)의 표면과 밀봉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0-링 시일(125)가 설치되는 외주홈을 갖는다. 보어(133)은 부싱몸체(121)내에서 그 외부단부로부터 내방향으로 형성되며, 밸브스푸울 보어(22)와 그 직경이 동일한 동시에 공축이며, 그 내부단부는 다수의 외주슬롯 (127)을 통해 제2배출실 (36a)와 연통하는 환상배출실 (126)로 종결된다. 환상배출실 (126)은 밸브스푸울 보어 (22)의 직경보다 소직경인 종방향의 축방향보어(130)을 통해 실린더 챔버(72)와 연통한다. 보어(130)의 외부단부는 밸브스푸울보어(22)와 공축이며,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포핏밸브표면(92)나 상호작용하는 경사를 이루는 포핏밸브설치부 (132)를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분기된다. 보어(130)은 보어(130)으로부터 실린더 챔버 (72)를 향하여 분기되는 테이퍼보어 (131)을 통해 실린더 챔버(72)와 연통한다.
적적한 0-링 시일(134)가 확대직경의 우측단부(80)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어 보어(133)의 표면과 밀봉적으로 결합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스푸울(73)은 솔레노이드의 작동봉(136)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작동되도록 채택된다. 작동봉(136)의 확대헤드(137)이 포핏밸브스푸울 (73)의 우측단부에 설치된다. 솔레노이드 작동봉은 밸브몸체(11)의 우측단부에 위치하는 포울설치부(140)에 반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편심됨으로써 밀봉결합되는 통상의 포울부재(139)내의 보어(136)을 통해 미끄럼운동적으로 삽입된다. 밸브(10)의 구조는 밸브의 갖가지 부품의 공차축적을 최소화하여 밸브스푸울의 정확한 제어 행정을 제공하도록 한다. 밸브몸체(11)을 기계가공하는 데에 대한 공차는 포울설치부(140)의 좌측으로의 방향에서 결정된다.
제11도에는 변경실시된 밸브몸체(11b)의 부분정단면도가 도시되며, 변경된 밸브몸체(11b)부분은 동일 도면번호에 소문자 ″b″가 첨가된다. 제11도에는 밸브몸체의 양측면 대신에 밸브몸체의 하측에 유입구, 배출구 및 실린더구가 위치설정되는 것이 도시된다. 유입구(16b)는 실린더구(67b)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배출구는 유입구(16b)의 후측에서 밸브몸체(11b)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실린더구는 그 뒤쪽에 배치되는 실린더구(67b)와 정렬된다. 밸브스푸울 보어(22b)주위에 형성된 유입실, 두개의 배출실과 두 실린더실과 같은 갖가지 챔버는 상술된 밸브몸체(11)과 동등한 배열로 배치된다.
조립체에서, 포핏밸브스푸울(73)이 밸브몸체(11)내로 조립된 후에 부싱(93, 94) 및 솔레노이드(75)가 밸브몸체(11)에 조립된다. 0-링 시일(114, 134)가 그 상부에 설치되고 윤활유가 공급되는 밸브스푸울(73)이 밸브몸체(11)의 일단부로 부터 중앙 포핏밸브(82)가 중앙가압 공기실(21)로 유도되면서 원추형 보어(95, 96)중의 하나에 반하여, 정지할 때까지 밸브스푸울 보어(22)내로 삽입된다. 이때부터, 밸브스푸울 (73)은 직경이 감소된 밸브 스푸울 보어(22)를 통하여 중앙 가압공기실(21)로 통과함에 따라서 포핏밸브 (82)를 압축하면서 제어방식으로 원추형보어인 밸브스푸울 보어 (22)내로 삽입된다. 포핏밸브(82)가 중앙가압공기실(21)내에 위치하면 팽창하여 본래의 크기와 형태로 복귀한다. 일단 포핏밸브(82)가 중앙가압공기실(21)내측에 위치하면 밸브스푸울(73)은 고정적이며 중앙포핏밸브(82)를 파괴시킴이 없이는 밸브 몸체 (11)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밸브스푸울(73)의 밸브몸체(11)내로의 상기 삽입중에 0-링(114, 134) 및 단부 포핏밸브(85, 86)을 포함하는 밸브스푸울(73)의 단부는 밸브스푸울 보어(22)를 통하여 비교적 원활하게 통과하여야 한다. 밸브스푸울(73)의 상술된 방법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0-링(114, 134) 및 단부 포핏밸브(85, 86)은 밸브스푸울 보어(22)의 직경과 완전히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야 한다. 0-링(114, 134) 및 단부 포핏밸브(85, 86)의 직경이 밸브스푸울보어(22)의 직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밸브설치부 (97, 98)은 밸브스푸울(73)이 밸브몸체(11)내로 삽입될때 상기 0-링 및 단부포핏밸브를 훼손시키지 않을 것이다.
단부부싱(93, 94)는 단부부싱보어(109, 130)과 밸브스푸울(73)의 단부를 정렬시킴으로써 설치되며, 그후에 각자의 부싱(93, 94)를 소정의 초기 설치위치에서 나사결합시킨다. 단부부싱보어(109, 130)은 밸브스푸울보어(22)보다 작다. 밸브 스푸울 0-링 시일(114, 134) 및 단부 포핏밸브(85, 86)은 보어(109, 130)을 통해 환상챔버 (107, 126)으로 통과한 후에 정상크기를 역팽창한다.
두 단부부싱(93, 94)의 최종작동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가압공기가 유입구 (16)로 공급되며, 단부 부싱(93, 94)의 상기 초기조립위치는 일정유량의 가압공기가 배출구(25)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연후에, 소정의 공구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밸브스푸울(73)의 좌단부와 같은 밸브스푸울(73)의 일단부에 예를 들면 복귀스프링(74)와 같은 소정의 부하를 적용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언급한 부하는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포핏밸브설치부(98)에 반하여 설치되는 중앙포핏밸브(82)상의 경사면인 포핏밸브표면(84)와 함께 밸브스푸울(73)을 일정장소로 이동시킨다. 좌측단부부싱(93)은 예리한 모서리의 밸브표면(91)이 배출구(25)외부로의 가압공기의 유동을 저지하면서 부싱(93)상에서 원추형의 포핏밸브설치부(113)에 반하여 설치될 때까지 시계반대방향으로 조절된다. 복귀스프링(74)와 동등한 유사한 부하가 밸브스푸울(73)의 우축단부에 적용되어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포핏밸브설치부(97)에 반하여 중앙포핏밸브(82) 및 그 경사를 이루는 포핏밸브표면(83)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우측단부부싱 (94)는 예리한 모서리의 밸브표면(92)가 배축구(25)외부로의 가압공기의 유동을 저지하면서 부싱(93)상에서 원추형 밸브설치부(132)에 반하여 설치될 때까지 시계반대방향 즉 우측으로 회전된다.
동일한 공정이 예리한 모서리의 포핏밸브 설치부(97)에 반한 포핏밸브표면 (83)의 위치설정과 포핏밸브표면(92)의 그 밸브설치부에 대한 위치설정에서 수행된다. 단부부싱(93, 94)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표면(91, 92)를 각자의 설치부(113, 132)에 설치하도록 조절될 때, 각각의 단부포핏밸브(85, 86)을 지나 배출구(25)의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정지되어 단부부싱이 적절히 위치설정되었음을 지시한다. 밸브 스푸울(73)은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밸브의 상기조립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밸브스푸울 (73)은 일 작동위치에 설치될 때 균형을 이룬다. 예를 들면, 밸브설치부(97)에 설치되는 포핏밸브표면(83)은 단부포핏밸브(85)상에서 예리한 모서리의 밸브표면(91)이 밸브설치부(113)상에 설치될 때와 동일한 직경으로 시일을 형성한다. 동일한 균형효과가 포핏밸브(82)와 또다른 포핏밸브(86)사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포핏밸브스푸울(73) 및 단부부싱(93, 94)가 밸브몸체(11)에 설치된 후에, 유동조절 덮개판(12)가 두개의 유동조절밸브(37, 37a)를 지지하면서 복귀스프링(74) 스프링유지판(116), 유지링(117) 및 솔레노이드(75)가 밸브몸체(11)에 작동적으로 설치된다.
포핏 밸브 스푸울(73)이 제3도에 도시한 초기위치 즉 제1위치에 있고 솔레노이드 (75)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공기가 유입구(16)을 통해 가압공기실 (21)로 유입되면, 가압공기는 밸브설치부(97)을 지나실린더 챔버(71)내로 유입되어 실린더구 (67)을 통해 공기실린더 또는 기타 밸브(10)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로 배출된다. 동시에, 상기 공기실린더 또는 기타 장치로 부터의 공기는 실린더구(68)내로 배출되어 실린더챔버(72)를 통해 밸브설치부(132)를 지나 배기실(36a)내로 유동한다. 배출공기는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통로부(33a, 31a)를 통해 배출되며, 유동조절밸브 (37a)를 지나 덮개판 (12)내의 통상의 배출통로부(29)내로 유동하여, 그로부터 통로부 (28, 27, 26)내로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배출구(25)로 배출된다. 두개의 배출구가 요구되는 경우에 배출통로부 (31, 31a)는 배출공기를 실린더구(67, 68)로 부터 통로 (26-29)를 통해 하방향으로 유동시켜 배출구(25)로 배출시킨다.
솔레노이드(75)가 작동되면 포핏밸브스푸울(73)은 좌측의 제2작동위치로 이동하며, 이때 포핏밸브(82)상의 포핏밸브표면(83)과 포핏밸브(86)상의 밸브표면 (92)는 각각 포핏밸브설치부(97, 132)에 반하여 설치된다. 가압공기실(21)로부터의 공기는 실린더 챔버(72)내로 유동하여 실린더구(68)을 통해 공기 실린더 또는 조절되는 기타장치로 배출된다. 동시에, 상기 공기실린더 또는 기타 장치로 부터의 공기는 배출구(67)로 유동되며 실린더 챔버(71)을 통과하여 밸브설치부(113)을 지나 배기실 (36)으로 유입된 후 유동조절밸브(37)을 지나 배출구(25)로 배출된다. 솔레노이드 (75)가 작동정지하면 복귀스프링(74)는 포핏밸브스푸울(73)을 제3도에 도시한 초기 즉 제1작동위치로 우측으로 복귀이동시키며, 이때 밸브표면(84, 91)은 각각 밸브설치부(98, 113)과 밀봉결합에 있게된다.
포핏밸브스푸울(73)은 평형스푸울이다. 본 발명 4방포핏밸브의 장점은 콤팩트형 밸브구조물을 통하여 다량의 가압유체를 이동시키는 데에 제1 및 제2작동치 사이에서 짧은 작동행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유동조절밸브(37, 37a)는 부가적인 유동조절기능을 갖는데, 이들 유동조절밸브는 두 실린더구(67, 68)로 유입되는 배출유체의 유동을 통상의 배출통로로 지향시킨 다음 단일 배출구(25)로 배출시킨다.
유동조절밸브(37, 37a)의 사용은 선택적이며, 적절한 덮개를 마련하거나 또는 밸브(37, 37a)를 제거하고 덮개판(12)내의 보어(45, 45a)를 폐색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밸브 (37, 37a)가 없이 밸브(10)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4방 포핏 밸브는 방향조절밸브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에서 이러한 방향조절밸브기능이 요구되는 경우는 물론 선택적인 유동조절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에 공기유동을 산업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채택된다. 본 발명은 한가지 예로써 공기실린더의 작동을 두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실린더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공기실린더는 갖가지 형태의 산업기계에 적용된다.

Claims (8)

  1. (a) 종방향으로 형성된 소정직경의 밸브스푸울 보어(22)를 갖는 밸브몸체(11)과 ; (b) 상기 밸브스푸울 보어(22)주위의 상기 밸브몸체(11)내에 형성되어 그와 연통하며, 밸브스푸울 보어(22)와의 연통점에서 그의 각 종방향 측면에 형성된 환상의 포핏밸브 설치부(97, 98)을 갖는 환상의 가압공기실(21)과 ; (c) 상기 가압공기실(21)의 각 종방향 측면에 형성된 환상 포핏밸브 설치부(97, 98)에 설치되도록 그 양쪽 종방향 외주면의 각각에 포핏 밸브 표면(83, 84)를 가지며 밸브스푸울 보어(22)보다 직경이 큰 종방향 중앙부에서 그의 주면을 따라 형성된 포핏밸브(82)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스푸울 보어(22)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포핏 밸브 스푸울(73)과 ; (d) 상기 가압공기실(21)에 통로부 (17, 18, 20, 19)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기 밸브몸체(11)내의 가압공기 유입구(16)과, (e) 환상의 가압공기실(21)의 종방향 외부측에서 상기 밸브스푸울보어(22) 주위의 상기 밸브몸체 (11)에 형성되며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환상 실린더 챔버(71,72)와, (f) 상기 각 실린더 챔버(71,72)의 종방향 외부측에서 상기 밸브보어 (22) 주위의 상기 밸브몸체 (11)에 형성되며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환상의 배기실 (36, 36a)와 ; (g) 통로부(26, 27, 28, 29, 30)에 의하여 배기실(36, 36a)로 연결되는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배출구(25)와 ; (h) 각각이 통로부(69, 70)에 의하여 환상 실린더 챔버(71, 72)의 하나에 연결되는 상기 몸체(11)내에 형성된 한쌍의 실린더구 (67, 68)과 ; (i) 밸브 스푸울보어(22)의 직경보다 소직경이며, 상기 밸브 몸체의 일단부에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핏밸브스푸울 (73)의 일단부상에 망원경식으로 삽입되며, 제1외부 단부와 상기 밸브 스푸울 (73) 주위에 형성된 환상 포핏밸브 설치부(113)과를 구비하며, 종방향으로 외측으로 향하고 있는 제1부싱(93)과 ; (j) 밸브 스푸울 보어(22)보다 소직경이며, 상기 밸브몸체(11)의 다른 일단부에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포핏밸브 스푸울(73)의 다른 일단부상에 망원경식으로 삽입되며, 제2외부단부와 상기 밸브 스푸울(73)주위에 형성된 환상 포핏밸브 설치부(32)를 구비하며 종방향으로 외측으로 향하고 있는 제2부싱(94)와 ; (k) 각각 상기 제1 및 제2외부단부 포핏밸브 설치부(113, 132)와 결합되기 위하여 밸브 스푸울 보어(2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포핏 밸브스푸울(73)의 상기 일단부의 외주에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내측으로 배치되는 포핏 밸브표면을 갖는 제1포핏밸브(85) 및, 밸브스푸울 보어 (2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포핏밸브 스푸울(73)의 상기 다른 일단부의 외주에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내측으로 배치되는 포핏밸브 표면을 갖는 제2포핏밸브(86)과 ; (l) 상기 제1부싱(93)내에 작동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포핏밸브 스푸울(73)의 상기 일단부와 함께 그 내부에서 계합하여 상기 포핏밸브 스푸울(73)을 제1작동위치로 이동시켜서, 포핏 밸브 스푸울 일단부상의 제1단부 포핏밸브(85)가 상기 제1부싱(93)상의 제1외부단부 포핏밸브 밸브 설치부(113)에 결합되게하는 동시에 밸브스푸울(73)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포핏 밸브(82)의 제1포핏밸브표면(84)가 환상 가압공기실(21)의 종방향 측면에 형성된 제1포핏 밸브 설치부(98)과 결합되게하여, 환상 가압공기실(21)로부터의 가압공기가 밸브 스푸울 보어(22)를 통하여 환상 실린더 챔버(71)을 거쳐 실린더구(67)로 배출되도록하는 동시에 다른 실린더구(68)로 유입되는 공기를 밸브스푸울 보어(22)를 통하여 환상 배기실(36a)를 거쳐 배출구(25)로 배출되도록 하는 편심기구와 ; (m) 밸브몸체(11)에 작동적으로 설치되며 포핏밸브스푸울(73)의 다른 일단부와 직접 계합하여 밸브스푸울 (73)을 상기 제1작동 위치로부터 제2작동 위치로 상기 편심 기구에 반하도록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 스푸울의 다른 일단부상의 제2단부 포핏 밸브(86)이 상기 제2부싱 (94)상의 제2외부 단부 포핏밸브설치부(132)와 결합되게하는 동시에 밸브스푸울 (73)의 중앙에 배치된 포핏밸브(82)상의 포핏밸브표면 (83)이 환상 가압공기실(21)의 종방향 측면에 형성된 다른 일 밸브설치부(97)과 결합되게하여, 가압공기실(21)로부터의 가압공기가 밸브스푸울보어(22)를 통하여 다른 환상 실린더 챔버(72)로 유입되도록하는 동시에 제1실린더구(67)로 유입되는 공기를 밸브스푸울 보어(22)를 통해 다른 환상 배기실 (71)을 거쳐 배출구(25)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력기구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된 포핏밸브(82)와 포핏밸브스푸울(73)상의 제1 및 제2단부포핏 밸브(85, 86)이 상기 밸브스푸울(73)의 외주에 통합적으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배출통로를 통한 배출구로의 배출공기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각 환상 배기실(36, 36a)에 대하여 별도의 유동 조절밸브(37, 37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조절밸브(37, 37a)의 각각이 비상승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밸브(37, 37a)가 각각 밸브몸체(11)상에 해체가능하도록 설치된 별개의 덮개판(12)에 형성된 배출통로부의 밸브실(32, 32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가압공기 유입구(16)과 가압공기실(21)사이의 가압공기 유입통로의 통로부(19)가 상기 덮개판(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기구가 복귀스프링(7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기구가 유동포울 부재(139)를 갖는 솔레노이드(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 포핏밸브.
KR1019850008420A 1984-11-13 1985-11-12 4방 포핏 밸브 KR890001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671,083 US4574844A (en) 1984-11-13 1984-11-13 Four-way poppet valve
US671,083 1984-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263A KR860004263A (ko) 1986-06-20
KR890001017B1 true KR890001017B1 (ko) 1989-04-18

Family

ID=2469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420A KR890001017B1 (ko) 1984-11-13 1985-11-12 4방 포핏 밸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574844A (ko)
JP (1) JPS61160675A (ko)
KR (1) KR890001017B1 (ko)
CN (1) CN1004824B (ko)
AU (1) AU554079B2 (ko)
BR (1) BR8505658A (ko)
CA (1) CA1238259A (ko)
DE (1) DE3540310A1 (ko)
FR (1) FR2573166B1 (ko)
GB (1) GB2166848B (ko)
IT (1) IT1182972B (ko)
MX (1) MX162151A (ko)
SE (1) SE4577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0242A1 (de) * 1986-06-16 1987-12-17 Bochumer Eisen Heintzmann Vorsteuerventil, insbesondere 3/2-wegeventil
AT390312B (de) * 1986-11-27 1990-04-25 Hoerbiger Ventilwerke Ag Zweistellungs-sitzventil
US4770209A (en) * 1987-07-23 1988-09-13 Mac Valves, Inc. Valve base with integral flow controls
US4770210A (en) * 1987-07-23 1988-09-13 Mac Valves, Inc. Valve manifold stacking base
US4842020A (en) * 1988-07-29 1989-06-27 Humphrey Products Company Double-solenoid single-stem four-way valve
US4856560A (en) * 1988-12-05 1989-08-15 Neff James A Valve base with integral flow control valves and common exhaust passage
US4880033A (en) * 1988-12-12 1989-11-14 Mac Valves, Inc. Poppet valve
US4915134A (en) * 1989-07-27 1990-04-10 Humphrey Products Company Three-way poppet valve with hollow stem
US4971115A (en) * 1989-07-27 1990-11-20 Humphrey Products Company Four-way poppet valve with hollow stem and four-port body
DE4019073A1 (de) * 1990-06-15 1991-12-19 Rexroth Pneumatik Mannesmann Ventileinrichtung
US5092365A (en) * 1991-03-18 1992-03-03 Mac Valves, Inc. Valve with adjustable valve seat
US5136774A (en) * 1991-03-18 1992-08-11 Mac Vales, Inc. Method of making a valve with adjustable valve seat
US5286282A (en) * 1993-05-04 1994-02-15 Allied-Signal Inc. Continuous flow air dryer with double helix split desiccant bed
JP3451283B2 (ja) * 1994-06-17 2003-09-29 Smc株式会社 バランス形直動電磁弁
US5558125A (en) * 1994-09-06 1996-09-24 Ingersoll-Rand Company Air winch control valve
DE19829530B4 (de) * 1998-07-02 2005-01-20 Hoerbiger Micro Fluid Gmbh Ventilanordnung
SE521634C2 (sv) * 1998-10-06 2003-11-18 Uwe Verken Ab Moduluppbyggt ventilkombinationssystem för fluider av vattentyp
US6095187A (en) * 1998-11-05 2000-08-01 Interface Devices, Inc. Solenoid-actuated zero-leakage fail-safe three-position poppet-style four-way hydraulic directional control valve
DE10014133A1 (de) * 1999-03-23 2000-11-09 Fluoroware Inc Dreiwegeventil
US6192937B1 (en) 1999-04-26 2001-02-27 Mac Valves, Inc. Pilot operated pneumatic valve
US6543481B2 (en) * 2001-09-12 2003-04-08 Mac Valves, Inc. Pilot operated pneumatic valve
US6637451B2 (en) 2001-12-06 2003-10-28 Mac Valves, Inc. Pneumatic pressure regulator assembly
US20040171076A1 (en) * 2001-12-20 2004-09-02 Dejneka Matthew J. Detectable micro to nano sized structures,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6668861B2 (en) 2002-02-08 2003-12-30 Mac Valves, Inc. Poppet valve having an improved valve seat
US6772791B2 (en) 2002-05-17 2004-08-10 Mac Valves, Inc. Directly operated pneumatic valve having an air assist return
US20050145235A1 (en) * 2003-02-11 2005-07-07 Jong Paul G. Trigger system for paintball marker
US6857423B2 (en) * 2003-02-11 2005-02-22 Paul Garfield Jong Paintball marker and kit of parts therefor
US20050001055A1 (en) * 2003-07-01 2005-01-06 Jens Gebhardt Fuel injector assembly
JP2006046414A (ja) * 2004-08-02 2006-02-16 Smc Corp 3ポート電磁弁
US7210501B2 (en) * 2004-09-29 2007-05-01 Mac Valves, Inc. Directly operated pneumatic valve having a differential assist return
JP4019286B2 (ja) * 2005-02-10 2007-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ナログフロントエンド回路及び電子機器
US20070176720A1 (en) * 2006-02-02 2007-08-02 Mac Valves, Inc. Flux bushing for solenoid actuator
US20080099705A1 (en) * 2006-10-25 2008-05-01 Enfield Technologies, Llc Retaining element for a mechanical component
US8453678B2 (en) * 2009-04-01 2013-06-04 Mac Valves, Inc. Piloted poppet valve
CN101956841B (zh) * 2010-08-19 2012-04-04 陕西航空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使用气筒结构的两位四通气阀
US8794266B1 (en) 2011-10-18 2014-08-05 Humphrey Products Company Cam actuated valve assembly with manual and electric activation
CN103727262A (zh) * 2012-10-13 2014-04-16 四川欧润特软件科技有限公司 新型气路机械阀
CN103075380B (zh) * 2013-01-09 2015-05-27 青神格林维尔流体动力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比例减压阀
US9494245B1 (en) 2013-03-15 2016-11-15 Humphrey Products Company Over-molded valve stem and method of making a valve stem for a valve assembly
WO2014187199A1 (zh) * 2013-05-24 2014-11-27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杠杆式切换阀
CN103775413A (zh) * 2014-02-13 2014-05-07 黄培华 改进的比例气控换向阀
EP3160776A1 (en) 2014-06-30 2017-05-03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Valve assembly for a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US10228072B1 (en) 2014-11-03 2019-03-12 Humphrey Products Company Valve stem and assembly
FI126989B (fi) 2015-03-16 2017-09-15 Metso Flow Control Oy Virtaavan aineen venttiilikokoonpano, prosessiventtiilin asennoitin sekä virtaavan aineen venttiilikokoonpanon käyttö prosessiventtiilin ohjauksessa
DE102016000760A1 (de) * 2016-01-27 2017-07-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 und Verteilerblock und aus diesen gebildete Bremssteueranordnung für Schienenfahrzeuge sowie Verteilersatz zum Konfigurieren und Verfahren zur Bildung der Bremssteueranordnung
FI128617B (en) 2016-03-30 2020-08-31 Metso Flow Control Oy Fluid valve arrangement, use of process valve positioning and fluid valve arrangement in process valve control
US10753487B2 (en) 2017-04-17 2020-08-25 GE Energy Control Solutions, LLC Contamination resistant poppet valve
CN108105452A (zh) * 2017-12-11 2018-06-01 淮南师范学院 一种无泄漏农业灌溉电磁阀门
CN109990108B (zh) * 2019-04-04 2024-03-29 航空工业(新乡)计测科技有限公司 多规格阀芯组合式精确流量调节阀
EP3734126B1 (en) * 2019-05-03 2021-12-29 Norgren AG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a sealing arrangement therefor
EP3771850B1 (de) * 2019-07-29 2022-04-13 Bieri Hydraulik Ag Ventilsystem
JP7118435B2 (ja) * 2019-08-02 2022-08-16 株式会社不二工機 流路切換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7787B (de) * 1953-08-08 1958-08-28 Erich Herion Mehrwegeventil mit mehreren gleichachsigen Ventilsitzen
DE1157865B (de) * 1953-08-08 1963-11-21 Erich Herion Mehrwegeventil mit mehreren gleichachsigen Ventilsitzen
DE1028841B (de) * 1955-05-07 1958-04-24 Erich Herion Mehrwegeumschaltventil mit besonderer Druckentlastung
CH350160A (fr) * 1958-07-18 1960-11-15 Tech Nucleaires Vanne à commande électromagnétique
CH419756A (de) * 1963-10-23 1966-08-31 Herion Erich Mehrwegeventil mit mehreren gleichachsigen Ventilsitzen
US3587156A (en) * 1967-09-19 1971-06-28 Systems Design Co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urized fluid control valve
US3762443A (en) * 1967-09-19 1973-10-02 Tektro Inc Resilient fluid control valve
US3527253A (en) * 1968-04-22 1970-09-08 King Valve Co Self-cleaning poppet spool valve
BE754257Q (fr) * 1968-10-14 1970-12-31 Mac Valves Inc Soupape d'inversion, notamment a actionnement electromagnetique
US4271868A (en) * 1979-02-21 1981-06-09 Mac Valves, Inc. Pilot operated pilot valve
US4267862A (en) * 1979-02-21 1981-05-19 Mac Valves, Inc. Directional control valve with flow path through valve spool
US4298027A (en) * 1979-02-22 1981-11-03 Mac Valves, Inc. Three-way normally closed pilot valve
GB2103337B (en) * 1981-07-30 1985-04-11 Mac Valves Inc Three-way normally closed pilot valve
US4453565A (en) * 1982-02-24 1984-06-12 Mac Valves, Inc. Four-way valve with cover mounted pressure regulating and flow control valve
US4407323A (en) * 1982-03-01 1983-10-04 Mac Valves, Inc. Cartridge type pilot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73166A1 (fr) 1986-05-16
DE3540310A1 (de) 1986-05-22
SE8505317D0 (sv) 1985-11-11
AU4980285A (en) 1986-06-12
JPH0341707B2 (ko) 1991-06-24
GB2166848A (en) 1986-05-14
CA1238259A (en) 1988-06-21
AU554079B2 (en) 1986-08-07
GB2166848B (en) 1988-06-02
CN85109196A (zh) 1986-09-03
MX162151A (es) 1991-04-03
BR8505658A (pt) 1986-08-12
DE3540310C2 (ko) 1991-03-14
IT1182972B (it) 1987-10-05
KR860004263A (ko) 1986-06-20
CN1004824B (zh) 1989-07-19
SE8505317L (sv) 1986-05-14
GB8527763D0 (en) 1985-12-18
JPS61160675A (ja) 1986-07-21
US4574844A (en) 1986-03-11
FR2573166B1 (fr) 1988-12-09
IT8548774A0 (it) 1985-11-12
SE457743B (sv) 198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017B1 (ko) 4방 포핏 밸브
KR890001019B1 (ko) 평형장치를 지닌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
JP6227998B2 (ja) 螺入弁座付マルチポートノーマルオープンモジュラーバルブ
KR950013529B1 (ko) 조절식 밸브 시이트를 갖는 솔레노이드 직동식 포핏 밸브
US3426799A (en) Automatic valve
US3426797A (en) Multiple orifice valve
US4657222A (en) Valve
JPH03189490A (ja) 圧力均衡形カートリッジチョーク弁
BRPI1000687A2 (pt) conjunto de válvula
US4494572A (en) Four-way poppet valve assembly
KR940701559A (ko) 재순환 밸브
DK164298B (da) Kontraventil
GB2153975A (en) Control valve
US3749353A (en) Membrane shutoff valve
US20020079003A1 (en) Straight through flow cage-type valve
USRE29252E (en) Sequencing valve
CA1168646A (en) Angle globe valve
KR840007946A (ko) 고력이득 밸브
KR920003386B1 (ko) 유압 시스템용 4포트형 밸브 베이스
CN100445619C (zh) 提升式流动控制阀
US3408041A (en) Sliding block valve
GB2213912A (en) Fluid flow control valve
US3586051A (en) Rotary union
EP0173695B1 (en) A pneumatic servo valve (governing valve)
US3430658A (en) Flow contro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