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34B1 -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34B1
KR890000934B1 KR1019850009243A KR850009243A KR890000934B1 KR 890000934 B1 KR890000934 B1 KR 890000934B1 KR 1019850009243 A KR1019850009243 A KR 1019850009243A KR 850009243 A KR850009243 A KR 850009243A KR 890000934 B1 KR890000934 B1 KR 890000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space
room
cof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895A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50009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934B1/ko
Publication of KR87000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관 탑재장치의 평면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 탑재장치의 평면예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가)방향에서 본 기계실 및 승강로 내의 구조도.
제4도는 제3도의 좌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시내의 권상장치의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의 좌측면도.
본 발명은 고층건물 특히 여러가구가 거주하고 있는 고층 아파트나, 종합병원의 고층병등 등에 설치운영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시신이 담긴 관을 운구할 수 있게한 엘리베이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거주 인구에 비해 택지와 가옥의 절대부족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고층아파트 등에서 사망자가 발생했을 때 운구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고층건물용 엘리베이터에는 운구에 필요한 탑재장치를 필수적으로 갖추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엘리베이터에 마련되어있는 관(棺) 탑재장치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승강차(1)의 출입구(2) 반대측 벽쪽에 상당면적의 공간부(3)를 더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간부(3)의 형성으로 인하여 이 공간부(3)의 뒷면과 승강로 (4)의 내면사이는 그만큼 여유가 없게된다.
그리하여 승강차(1)와 더불어 설치되는 균형추(5) 설비는 이 승강차(1)와 승강로(4)간의 공간이 넓은 승강차(1)의 일측 옆쪽으로 그 설치위치를 옮길수 밖에 없었다.
이와같이 설계변경이 있다보니 관(6)을 탑재하기 위해 확보한 공간부(3)의 좌.우측 승강로(4)상에는 불필요한 공간부가 남게되므로서 필요 이상으로 승강로 (4)가 커지게 되는 불합리한점이 있다.
이러한 승강로 면적의 확대는 결과적으로 건축면적의 확대와 건축비의 추가 부담이 불가피하며 건물 이용 효율도 감소되는 등의 불이익을 가져오게 마련이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상기한 바와같이 승강로 면적을 확장개조 할필요없이 쓸모없는 공간부를 축소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제2도이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구에 필요한 공간부(3)가 확장된 기존의 승강차(1)와 이 승강차(1)의 통로가되는 승강로(4)의 설비 면적을 변경없이 그대로 적용하고, 상기 승강로(4)상에서 공강부(3)의 좌.우측에 남는 공간통로(7)상에 2등분한 균형(8) (8')시설을 한것이 특징이다.
이들 균형추(8) (8')는 상기 승강차(1)의 공간부(3)외벽을 포위하게 형성하여 그 이면과 마주보는 승강로(4) 내면에 고정설치된 형 레일용 브래킷(9)과 상기 승강로(4)의 좌.우측 내면에 설치된 레일용 브래킷(10) (10')에 각각 안내되도록 가설된다. 그리고 상기 균형추(8) (8')가 두개로 분리됨에 따라 기계실내의 권상기를 비롯한 일련의 구조에도 변경이 불가피하다. 변경된 기계실내의 제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잘 나타나 있다.
이들 그림에 있어서, 승강차(1)는 종래와 같이 권상기(11)의 드럼(12)에 감긴 쌍로우프(13)의 하단에 메달려있으나, 양분된 각 균형추(8) (8')는 상.하 안내활자 (14) (14'), (15) (15')을 경유하여 늘여뜨린 각기 다른 로우프(16) (17)의 하단에 매달려 있다. 그러나 이들 로우프(16) (17)는 상기 승강차(1)가 오르내릴 때 동시에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균형추(8) (8')는 동시에 승강되어 균형추(8) (8')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상기 안내활자(14) (14'), (15) (15')에 있어서,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난바와같이 상부 안내활자(14) (15)는 권상기(11)의 베이스(18)의 저면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 회전하게되어 있고, 하부 안내활자(14') (15')는 상기 베이스(18)의 하방에 위치하여 이를 떠 받치고 있는 가로빔(19)상에 역시 브래킷을 이용설치되어있다.
이와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관 탑재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승강로내에 불필요한 공간부가 남지않아 승강로의 건축면적을 확장할 필요없이 기존의 승강로 면적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 건축면적의 감축과 건축비용의 절감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본 발명은 신설건물의 경우에만 해당되는것이 아니고 건축초기에 관 탑재용이 아닌 일반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및 승강차로 설치하여 운행중인 기존 엘리베이터의 경우 건물의 개조나 변경없이 엘리베이터의 부분적인 구조변경만으로 관탑재 기능을 충분히 추가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응하는 것과 승강로 면적을 확장하기위해 개축, 변경 하는 경우를 비교할때 분명히 승강로 면적 확장분에 대한 해당지가(地價 : 각층의 승강로 점유면적포함)는 발명의 구조적응에 따른 추가발생 비용보다도 월등히 크게 발생 되므로 건물주의 입장에서는 전체비용 경제성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적응이 월등이 유리하고 상업적 가치가 인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개축에 따른 건물손상, 개축시간소요를 방지하만셔 비용증가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관 탑재용 공간부(3)를 가진 통상의 승강차(1)용 승강로(4)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3)의 좌.우측 남는 공간통로(7) (7')상에 2등분한 균형추(8) (8')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3)를 바깥에서 포위하도록한 자형 브래킷(9)을 승강로(4)의 이면에 고정 설하여서된 관 탑재공간을 가진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균형주(8) (8')를 상.하 안내활자(14) (14') (15) (15')를 경유하도록 설치한 개객의 로우프(16) (17)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19850009243A 1985-12-09 1985-12-09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KR890000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243A KR890000934B1 (ko) 1985-12-09 1985-12-09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243A KR890000934B1 (ko) 1985-12-09 1985-12-09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95A KR870005895A (ko) 1987-07-07
KR890000934B1 true KR890000934B1 (ko) 1989-04-14

Family

ID=1924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243A KR890000934B1 (ko) 1985-12-09 1985-12-09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4285A (zh) * 2010-10-31 2012-05-23 张大文 一种仿古悬棺的吊装工具及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4285A (zh) * 2010-10-31 2012-05-23 张大文 一种仿古悬棺的吊装工具及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95A (ko) 198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557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GB2138397A (en) An elevator apparatus
KR890000934B1 (ko) 관 탑재용 공간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JPH0450297Y2 (ko)
JP2549837Y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吊り構造
JPH1081463A (ja) サイドフォーク型エレベーター
CN206273757U (zh) 外挂式架高井道住宅电梯
JPH03166187A (ja) 建物用垂直輸送システム
JPS634058Y2 (ko)
JP2000007253A (ja) 小形エレベータ装置
JPH0530065Y2 (ko)
JPS6211894Y2 (ko)
CN218754595U (zh) 一种无机房低空间主机吊装装置
JPH03102088A (ja) 展望用エレベータ
CN211521291U (zh) 一体式加装电梯
JP4489879B2 (ja) 中低層集合住宅用エレベータ装置
JPH04164793A (ja) ロープレス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
JPH1032447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S6348619Y2 (ko)
JPH01156289A (ja) 低階床用小形エレベータ
JPH08151180A (ja) 昇降機
JPH053505Y2 (ko)
GB2138395A (en) A car assembly for an elevator
JP2727890B2 (ja) 小形エレベーター装置
CN1005000B (zh) 电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