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673B1 - 슬라이더 방출기구를 갖는 우산(Umbrelle with slider release mechanism) - Google Patents

슬라이더 방출기구를 갖는 우산(Umbrelle with slider release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673B1
KR890000673B1 KR1019840007969A KR840007969A KR890000673B1 KR 890000673 B1 KR890000673 B1 KR 890000673B1 KR 1019840007969 A KR1019840007969 A KR 1019840007969A KR 840007969 A KR840007969 A KR 840007969A KR 890000673 B1 KR890000673 B1 KR 89000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sleeve
umbrella
stick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198A (ko
Inventor
슐테즈 틸만
스틸러 클라우즈
Original Assignee
코르텐바흐 베르발퉁스 운트 베타일리궁스 게젤샤프트 엠베하 운트 콤파니
디이터 보링, 틸만 슐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르텐바흐 베르발퉁스 운트 베타일리궁스 게젤샤프트 엠베하 운트 콤파니, 디이터 보링, 틸만 슐테즈 filed Critical 코르텐바흐 베르발퉁스 운트 베타일리궁스 게젤샤프트 엠베하 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85000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2Devices for holding umbrellas closed, e.g. magne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더 방출기구를 갖는 우산(Umbrelle with slider release mechanism)
제1도는 본 발명에 일치하여 구성된 우산 프레임 하부의 처음 방출준비 위치에 있는 스틱, 핸들 및 슬라이더의 끝부분의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90°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입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유사하고 스틱과 평행인 제2당김쇠의 작용으로 방출된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와 유사하나 스틱의 반경방향으로 제2당김쇠의 작용으로 방출된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5도는 다른 프레임의 핸들과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다른 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일부분을 90°회전하였을때 보여주는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틱 2 : 핸들
2e : 단부 4 : 슬라이더
6 : 잠금부재 6 : 슬리이브
8e : 경 사면 8f : 슬롯
본 발명은 잠금부재에 의하여 스틱에 상대적으로 잠길 수 있는 슬라이더와 고정된 핸들을 지지하는 스틱으로 구성된 종류의 우산에 관한 것으로, 잠금부재(locking member)는 핸들에 의하여 지지된 당김쇠 슬리이브(trigger sleeve)의 스프링 작용에 반발하여 스틱에 관한 작동 축방향 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방출하도록 작용된다.
우산의 핸들을 붙잡아 우산 슬라이더의 비의도적인 방출을 막는 기구는 예를 들어 DE-B-1242813호에서와 같이 이미 공지의 사실이다. 그 경우에 우산의 핸들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부시(bush)에 의하여 스틱에 접촉하여 가이드되는 당김쇠 슬리이브는 준비상태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당김쇠 슬리이브에서 가압함으로써 행해지는 스프링의 압력에 대한 슬리이브에 동작이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도중에 슬리이브는 스틱위로 미끄럼운동을 하며 슬라이더와와 걸어 잠금을 해제하여 잠금부재를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공지의 기재사항을 더 변경한 것으로, 슬라이더의 잠금부재의 이완은 스틱에서 미끄럼운동하고 스틱에 이루어진 웨지(wedge)와 서로 조화를 이루는 부분을 경유하여 슬라이더에서 잠금부재에 힘을 가하여 스틱에서 맞물린 잠금을 해제하게 한다.
상기 두 경우에 당김쇠 슬리이브는 우산핸들을 잡는 손에 대해 제동된 파지부분이 방출기구를 기능적으로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자유롭게 유지하는 그러한 크기로 우산핸들의 내외측 선단부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결과 그러한 종류의 방출기구가 부착된 우산의 사용자는 우산을 살때 사용지시서를 무심코 던져버렸을 경우 상기 우산을 사용할 때에 올바르게 우산을 펴는데 상당히 곤란하여 우선 우산을 돌려보고 방출 당김쇠를 찾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에 예를 들어 DE-GBM-1916932에 우산의 슬라이더용 푸쉬 버튼형태의 방출기구가 공지되어 있으며 핸들을 잡는 부위내에 아주 눈에 띄기 편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푸쉬버튼은 우산핸들 또는 우산스틱에 탄력있게 부착되어 있다.
푸쉬버튼은 우산핸들의 표면에 개방구를 통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가압될 때 슬라이더의 잠금부재에 대해 작용한다.
핸들표면의 눈에 띄는 위치에 있는 푸쉬버튼으로 인해 우산의 사용자는 필요할 때 우산 슬라이더를 방출해야 하는 방법 및 장소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타입의 푸쉬버튼 방출은 부주의로 예를 들어 핸들을 좀 험하게 잡을때엔 쉽게 작동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자동으로 펴는 우산의 경우엔 불쾌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 공지된 방출기구로서 예를 들어 DE-GBM-1958868과 같이 우산핸들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되었으나 핸들위에 설치되고 슬라이더 자체의 잠금부재의 직접 쌍을 이룬 슬라이더의 형태로서 우산의 슬라이더용 방출 기구가 있다.
이 방출기구는 신축이 될 수 없는 강체에 스틱종류의 우산엔 제한을 받으며 핸들에 설치된 슬라이더 슬리이브의 배치 구성에 필요한 부가적인 길이는 이 방출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핸들에 일체로 유지되면서 간단한 방법으로 아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술된 종류의 우산프레임의 슬라이더 방출기구를 개량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술된 종류의 우산프레임은 당김쇠 슬리이브가 핸들의 상부에 돌출하고 당김쇠 슬리이브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서든지, 또는 그것에 상관없이 내측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잠금부재를 작동하는 제2당김쇠를 지지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방식으로 우산의 슬라이더용 방출기구는 제작되고 이러한 종류의 상기 기구보다 아주 쉽게 소위 간단한 방법으로 잘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이것은 슬라이더의 잠금부재의 방출은 스틱에 평행으로 하향압력중에 당김쇠 슬리이브의 축방향이동 및 관련 제2당김쇠에 반경방향 압력을 동시에 가하여, 또한 제2당김쇠에 반경방향의 가압 즉, 반경방향압축만을 통하여서, 또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압력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이루어진다.
이러한 움직임은 전술한 사항을 필요로 하는 이들의 반사작용(reflexes)이 없이 사람의 손의 자연적인 반사작용으로 직접 변경되므로 결국 기능적으로 모르거나 서투를지라도 우산사용자는 어떤 문제점없이 방출기구를 작용시키는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상기와는 별도로, 우산핸들을 쥐는 부위가 우산을 잡는 손이 핸들을 감아서 파지하도록 보유되어 있어 의도하지 않는 방출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당김쇠 슬리이브의 작동 축방향 운동시에 제2당김쇠 슬리이브의 스윙이 가능한 부분이면 이 부분은 스틱에 고정되거나 핸들상의 단부와 협동하여 상기 단부위의 내측반경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2당김쇠는 단부와 결합하여 본래의 그 탄성력하에서 잠금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작동 축방향운동에 대한 그의 준비위치로 당김쇠 슬리이브를 축상으로 가하는 경사 미끄럼면을 가질 수 있다.
당김쇠 슬리이브는 제2당김쇠가 돌출하는 플레어선단을 갖고 있으며, 이 제2당김쇠는 플레어(flare)와 본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구성에서, 제2당김쇠는 당김쇠 슬리이브에 방사상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며 한쪽편엔 단부와 맞물리는 경사미끄럼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단부는 핸들에 있거가 스틱에 상대적으로 고착되어 있고 다른편엔 잠금 부재와 맞물리는 표면을 갖춘다.
당김쇠 슬리이브는 긴슬롯에서 결합하는 예를 들면 텅(tongue) 또는 핀과 같은 돌출부에 의하여 축방향 및 일렬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돌출부 및 슬롯은 당김쇠 슬리이브에 의해 구비되며, 다른 돌출부 및 슬롯은 핸들 또는 스틱에 의해 구분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다음에 더욱 자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일치하는 프레임의 슬라이더 방출기구는 손으로 펴야하는 종류의 우산과 우산을 단출할 수 있거나 또는 없거나, 이에 대한 제한이 없이 자동적으로 펴고 또는 접는 종류의 우산 모두에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설명은 단지 슬라이더 방출기구에 제한되며 상기 슬라이더 방출기구는 우산의 하부에 대한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대부분 스틱은 속이 비어 있는 것을 보여주며, 만일 스틱(1)이 단축 가능한 우산의 일부일때는 스틱은 2, 3 또는 그 이상의 겹으로 끼워지는 신축부재(telescopic member)로 나뉘어 진다.
스틱(1)의 하부끝에 핸들(2)은 크로스핀(3)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우산핸들(2)은 본래 비어 있으며 우산 사용자의 손에 적합한 그립부위 (2a)와 하부에서 고리형채널(2c)속으로 연장된 원통형 내측벽 (2b)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국 몇몇 종류의 외측 디자인을 갖는 우산핸들은 단부(2e)를 갖는 칼라 같은 벽(2d)이 있으며 단부(2e)는 라운딩하거나 경사지게 만든다.
우산스틱(1)상의 그립칼라(4a)를 갖는 우산 슬라이더(4)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수가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시안된 커노피 스포우크(canopy spokes)용 스트러트(struts)(5)가 공지의 방법으로 힌지된 우산 슬라이더(4)는 잠금부재(locking member)(6)에 의하여 우산이 접힌상태에서 잠겨진다.
잠금부재(6)는 우산스틱(1)에 고착되며 우산스틱(1)의 2개의 코(6a, 6b)는 코에 일치하는 우산스틱(1)의 개방구(openings)(1a, 1b)를 통하여 스프링텐션 (spring tension)하에서 돌출된다.
코(6a)는 우산슬라이더(4) 내의 개방구(4b)는 걸려 있으며 화살표(7) 방향운동에 반하여 걸려있다. 만일 코(6b)가 잠금부재(6)의 원래 스프링텐션에 대하여 우산 스틱(1) 내측 반경방향으로 눌러 코(6a)가 우산슬라이더(4)의 개방구(4b)의 물림에서 풀리면 우산슬라이더(4)는 우산을 펴는 축방항으로 움직이도록 방출된다. 그러나 잠금부재(6)의 상기 구성 및 배치는 다른 많은 가능한 변형실시예중 단지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5도에 도시한 것처럼, 잠금부재(6)은 잠금 코(6'a)에 의한 스프링 작용하에서 결합되고 잠금 포올(pawl)(6')의 형태로 우산 슬라이더(4)에 추축(樞軸)으로 지지되며 우산스틱(1)의 잠금걸림으로부터 레버아암(6'b)의 반경방향작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어떻게 해서든지 잠겨진 우산슬라이더(4)의 방출은 우산핸들(2)에 가이드된 당김쇠 슬리이브(8)의 스틱과의 평행운동(제3도) 및 또는 제2당김쇠를 이루고 슬리이브 (8)의 표면(8b)으로부터 절단된 스프링 텅의 형태로 적절히 이루어지거나 슬리이브와 함께 일체적으로 사출성형된 탄성력을 갖는 부분(8a)의 반경방향 작동에 의해 마음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제4도).
스틱과 평행인 축방향으로 슬리이브(8)의 변위는 그립부위(2a)외측에 있는 우산의 핸들(2) 밖으로 돌출한 슬리이브의 끝에 의하여 화살표(9)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탄력성을 갖는 부분(8a)의 반경방향 작용은 핸들 상부에서 우산핸들(2)의 칼라 단부(2e)를 넘어 버튼의 형태로 돌출한 스키드(8d)에 의하여 화살표(10)방향으로 작용한다.
슬리이브(8c)는 벌어진 깔대기 모양으로 적절히 이루어져 있다.
스키드(8d)는 적어도 어떤 범위에서는 이 깔대기 형상에 일치하고 굴곡지거나 경사진 면(8e)을 갖고 있으며 상기면은 탄성을 갖는 부분(8a)의 고유의 텐션하에서 우산핸들(2)의 칼라단부(2e)에 대하여 마찰하면서 지지된다.
여분의 몇몇 스프링 분리요소를 이루는 칼라단부(2e)와 스키드(8d)사이 탄성마찰 조화는 슬리이브(8) 스트로크(stroke)의 제한, 바람직하게는 크로스핀(3)에 의하여 확실하게 되며, 이때 크로스핀(3)은 우산핸들을 우산스틱(1)에 고정하여 또한 슬리이브의 벽(표면)(8g)에 서로 반대로 위치한 두개의 긴 슬롯(8f)을 통과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2도에 점쇄선(dash-dot line)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핀-긴 홀가이드 (hole guidance)는 우산스틱(1)의 긴슬롯(1c)과 슬룻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맞물리고 슬리이브(8)에 위치한 핀이나 다른 돌출부(8f")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배치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리이브(8) 스트로크의 상기 상향 한계에 의하여 방출의 준비위치 및 칼라의 단부(2e)에 대한 스키드(8d)의 움직임 없는 접촉이 보증된다.
칼라는 스틱에 고정된 또 다른 부분의 단부일 수도 있다.
슬리이브(8)의 스트로크에 대한 정지부재(3, 8f)는 예를 들어 제6도에 도시된 텅이 긴 슬롯가이드(8f', 2f)의 형태와 같은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텅(8f') 또는 슬롯(2f)은 하나는 핸들(2)상의 스틱 및 다른 것은 슬리이브(8)상에 설치된다. 적절하게 가요성인 재료의 캐치(material catch)로 구성한 경우에 결과적으로 슬리이브(8)는 슬롯(2f)에서 텅(8f')을 간단히 조정하면 쉽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다.
슬리이브(8) 스트로크의 상향제한은 제6도에서와 같이 텅이 핸들측에 있으면 슬롯(2f)의 상단끝에 텅(8f')의 접촉을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슬리이브(8)측에 있으면 하부끝에 텅(8f')의 접촉에 따라 이루어진다.
슬리이브(8)의 방출에 대한 준비위치를 한정하는 이 위치는 부분(8a)에 유사하게 반경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스윙하는 레버의 형태가 아니라 슬리이브(8)에 반경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는 슬라이더의 형태를 갖는 제2당김쇠의 잠금부재(6)로부터의 가압작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브(8a')로서 이루어진 이 슬라이더는 한쪽끝에서는 잠금주재(6)의 코(6b)를 지지하고 다른쪽끝에서는 측면을 접한 경사면(8e')에 의하여 우산핸들에 고정된 사각(斜角)의 베벨(2e)를 지지한다.
노브(8a') 위에 잠금주재(6)의 반경방향 압력은 슬리이브(8)의 상향으로 유도된 축방향 압력으로 결국 편향시키게 된다.
슬리이브(8)의 하향 작용으로 노브(8a')는 벽(2d)의 슬롯(2g)속으로 미끄러져 경사면(8e')는 베벨(2e)을 따라 미끄러져 잠금부재(6)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자동으로 노브(8a')를 조정하게 된다.
슬라이더의 이러한 제어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하여 경사면(8e')을 갖는 노브 (8a')의 내측부는 단면에 있어서 슬롯(2g)보다 넓고 노브(8a')의 부분은 상기 슬롯을 통하여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다.
만일 제1내지 제5도에 따라 슬리이브가 하향으로 움직이면(제3도) 슬리이브 (8)는 우산 핸들(2) 및 고리형채널(2c)속으로 미끄럼 운동한다.
그러는 동안에 슬리이브(8) 내의 슬롯(8f)은 강체의 크로스핀(3)을 따라 움직이고 스키드(8d)상의 구부러지고 경사진면(8e)은 칼라의 단부(2e)를 따라 미끄러져 부분(8a)의 가요성 굽힘으로 스키드(8d)는 우산스틱(1)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움직이므로써 코(6a)가 손으로 혹은 자동적으로 우산을 펴기위해 슬라이더(4)를 방출할때까지 우산스틱(1) 속으로 잠금부재(6)의 반대편으로 위치한 코(6b)를 동시에 가압하게 된다.
방출 당김쇠(8a)를 놓을때 탄성을 갖는 부분(8a)의 원래의 복원력과 칼라의 단부(2e)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스키드(8d)상의 깔대기 형태의 곡면을 이룬 경사면(8e)으로 인한 곡선 모양의 변위때문에 슬리이브(8)는 부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특수한 복원스프링과 관련없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 스트로크를 수행한다.
우산 사용자가 스틱과 평행하여 축방향으로 방출 당김쇠를 가압하여 슬라이더 방출이 안되면(제3도), 제4도와 같이 스키드(8d)에 대한 우산스틱(1)을 가로질러 유도된 가압에 의하여 방출기구를 작동함으로써 또 다른 작동 가능성으로 사용자에게 방출을 보다 쉽게 한다.
이 경우 방출버튼과 같이 형상을 눈에 잘띄게 형성되는 스키드(8d)는 화살표 (10)의 방향으로 직접 반경방향으로 가압되므로써 코(6b)를 가압하여 상기 스키드 (8d)는 슬라이드(4)로부터 잠금부재(6)를 풀게 되며, 스키드(8d)를 움직이게 한다음 부분(8)이 갖고 있는 원래의 탄성력으로 개시위치에 다시 돌아오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에서와 같이 슬라이더 잠금부재를 푸는 데에 끌어당기고 가압하거나 단지 압력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5도의 변경예의 경우 잠금부재(6)의 코(6d)대신에 단지 스키드(8d)에 작동되는 잠금부재의 레버아암(6'd)일수 있으며 그 결과 잠김작용을 하는 코(6'a)는 우산스틱(1)에서 캐치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제6도의 변형실시예인 경우, 부분(8a)의 반경방향 스윙운동 대신에 단지 노브(8a')의 반경방향운동을 하게 한 것이다.
슬리이브(8)는 핸들(2)의 원통형 내측벽면(2b)에 대하여 (제6도)및/또는 고리형채널(2c)에서 및/또는 칼라(8h)에 의한 우산스틱(1)에 대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제1-제4도).
탄성력을 갖는 부분(8a)은 슬리이브(8)에 분리된 부분으로서 또한 고정될 수 있으며 우산스틱(1)과 평행하여 직선으로 연장된 리이프스프링(leaf spring) 또는 우산스틱(1)을 가로지르거나 경사지게 위치되는 곡선형 리이프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다.
슬라이브의 벽단면의 너무 두껍거나, 너무 얇아서 슬리이브(8)에 직접 성형된 부분(8a)이 그 자신의 복귀 및 슬리이브(8)의 복귀를 일으키고 제1도와 같이 방출을 위한 준비위치에서 마찰하여 슬리이브를 유지하기 위한 반경방향의 스윙에 대하여 너무 낮은 원래의 가요성을 가진다면 슬리이브(8)는 또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그 자신의 복원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우산 핸들(2)에 지지될 수 있다.

Claims (6)

  1. 스틱, 이 스틱에 고정된 핸들, 스틱을 따라 활주 가능한 슬라이더, 스틱에 관하여 슬라이더를 잠그도록 배열된 잠금부재와 상기 핸들에 의해 지지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상기 스틱에 관한 작동 축상운동을 하도록 배열되는 당김쇠 슬리이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가 상기 잠금부재와 협동하므로써 당김쇠 슬리이브의 상기 작동 축상운동이 상기 잠금부재를 작동하여서 상기 스틱상의 활주운동을 위해 슬라이더를 방출하게 되는 우산에 있어서, 한쌍의 수동으로 작동되어 일체화된 당김쇠수단이 제1당김쇠와 제2당김쇠를 이루는 상기 제1당김쇠상의 반경 내측방향으로 작동되는 스프링요소로 이루어지는 상기 축상 이동가능한 당김쇠 슬리이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당김쇠가 상기 잠금부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우산핸들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제2당김쇠가 상기 잠금부재를 결합하여 작동하기 위해서 방사상으로 이동하도록 위치되는 제1당김쇠에 무관하게 상기 잠금부재를 결합하여 작동하도록 수동으로 대치가능하며, 상기 방사상 운동이 상기 제1당김쇠의 상기 제2당김쇠 작동 축상으로부터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에 관하여 고정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당김쇠가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의 대치가능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치가능한 부분이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의 작동축상운동에 대하여 상기 고정된 단부와 협동하여 반경,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당김쇠가 상기 스틱에 관해 고정된 단부와 ; 결합하는 경사면을 갖추며, 상기 제2당김쇠가 본래 탄성적이어서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를 상기 고유 탄성체를 통하여 축상으로 비작동 위치로 가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는 상기 제2당김쇠가 돌출하는 플레어 선단을 갖추며, 상기 제2당김쇠는 상기 플레어 선단에 대략 맞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에 관하여 고정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당김쇠가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 관해 방사상으로 대치 가능하며, 상기 제2당김쇠가 제1및 제2의 대향 양 측면을 갖추며, 상기 제1측면이 상기 잠금부재를 향하여 제2당김쇠를 대치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된 단부와 중첩하여 결합가능한 경사진 캠면을 갖추며, 상기 제2 대향 측면이 상기 잠금부재에 직면하여 상기 제2당김쇠가 상기 고정된 단부에 의해 대치될때 잠금부재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에 관한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의 축상운동 및 배열을 한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운동 및 배열을 한정하기 위한 수단이 슬롯에 결합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슬롯이 상기 당김쇠 슬리이브에 의해 제공되며 다른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슬롯이 하나의 상기 핸들 및 상기 스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19840007969A 1983-12-17 1984-12-14 슬라이더 방출기구를 갖는 우산(Umbrelle with slider release mechanism) KR890000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345725A DE3345725C2 (de) 1983-12-17 1983-12-17 Vorrichtung zum Auslösen des Schiebers eines Schirmes
DEP3345725.5 1983-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198A KR850004198A (ko) 1985-07-11
KR890000673B1 true KR890000673B1 (ko) 1989-03-24

Family

ID=621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969A KR890000673B1 (ko) 1983-12-17 1984-12-14 슬라이더 방출기구를 갖는 우산(Umbrelle with slider release mechanism)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4573487A (ko)
JP (1) JPH07112444B2 (ko)
KR (1) KR890000673B1 (ko)
AU (1) AU564515B2 (ko)
CA (1) CA1230798A (ko)
CH (1) CH665103A5 (ko)
DD (1) DD231284A5 (ko)
DE (1) DE3345725C2 (ko)
DK (1) DK152701C (ko)
ES (1) ES294401Y (ko)
FR (1) FR2556572B1 (ko)
GB (1) GB2151477B (ko)
HK (1) HK78787A (ko)
IT (1) IT1177418B (ko)
NL (1) NL190353C (ko)
NO (1) NO154782C (ko)
PT (1) PT79688A (ko)
SE (1) SE456064B (ko)
SG (1) SG38087G (ko)
TR (1) TR22490A (ko)
ZA (1) ZA8497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1952A1 (de) * 1985-09-07 1987-03-19 Kortenbach & Rauh Kg Schirm mit einer vorrichtung zum arretieren und ausloesen des das schirmdach durch verschieben auf dem schirmstock zu betaetigenden schiebers
DE8525547U1 (ko) * 1985-09-07 1989-07-13 Kortenbach Verwalt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 Co, 5650 Solingen, De
CN2091564U (zh) * 1990-11-05 1992-01-01 托斯有限公司 可自动开伞收伞之伞具
US5186197A (en) * 1992-07-06 1993-02-16 Lavine Edward L Collapsible umbrella handle
US5275186A (en) * 1992-12-21 1994-01-04 Liu Fu Hai Fastening assembly for an umbrella
KR960005932Y1 (ko) * 1993-06-14 1996-07-18 이운 절첩식 텐트
US5458144A (en) * 1993-10-21 1995-10-17 Lavine; Edward L. Extendible umbrella handle
US5588455A (en) * 1996-05-14 1996-12-31 Kuo; Cheng M. L. Securing runner of an umbrella
US5632290A (en) * 1996-08-16 1997-05-27 Ling Kuo; Cheng M. Automatically collapsible umbrellas
US5690132A (en) * 1996-12-26 1997-11-25 Fu Tai Umbrella Works, Ltd. Catch-free safety umbrella
US7216569B2 (en) * 2005-03-10 2007-05-15 Custom Spine, Inc. Screwdriver handle
IT1391173B1 (it) * 2008-08-19 2011-11-18 Pedrazzini Ombrello perfezionato.
CN103222716B (zh) * 2012-01-30 2014-12-24 陈瑞杰 收伞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89A (en) * 1893-11-07 Henry c
US803739A (en) * 1904-04-25 1905-11-07 Alfred H Bamberger Umbrella.
US1735285A (en) * 1926-02-24 1929-11-12 Jr August Kortenbach Umbrella device
DE1242813B (de) * 1966-03-22 1967-06-22 Bremshey & Co Vorrichtung zum Ausloesen eines Schirmschiebers
DE1958868A1 (de) * 1968-12-02 1970-09-03 Jenoptik Jena Gmbh Einrichtung zur Messung der Abweichungen von einer gleichfoermigen Drehbewegung,insbesondere fuer die Zahnradprueftechnik
DE1916932C3 (de) * 1969-04-02 1979-10-11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1N-substituierten 2,4,5-Triketo-imidazolidinen
DE7022246U (de) * 1970-06-13 1970-11-19 Bauermann W & Soehne Gmbh Verkuerzbarer schirm
IT941806B (it) * 1971-11-26 1973-03-10 Redaelli Spa Giuseppe Fratello Dispositivo per l apertura automa tica di ombrelli
DE2309223C3 (de) * 1973-06-04 1980-04-30 Bremshey Ag, 5650 Solingen Selbstöffnender Schirm
US4418707A (en) * 1982-02-04 1983-12-06 Wu Tsun Z Locking device of an automatic opening umbr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64515B2 (en) 1987-08-13
ES294401U (es) 1987-06-16
FR2556572A1 (fr) 1985-06-21
SE8406382L (sv) 1985-06-18
DK598984A (da) 1985-06-18
DE3345725C2 (de) 1985-10-17
DK598984D0 (da) 1984-12-14
NO154782C (no) 1986-12-29
KR850004198A (ko) 1985-07-11
FR2556572B1 (fr) 1987-12-18
CA1230798A (en) 1987-12-29
JPS60145106A (ja) 1985-07-31
NO154782B (no) 1986-09-15
US4573487A (en) 1986-03-04
NO845040L (no) 1985-06-18
DE3345725A1 (de) 1985-06-20
ES294401Y (es) 1987-12-16
SG38087G (en) 1987-07-24
GB2151477B (en) 1986-12-17
DK152701B (da) 1988-04-25
TR22490A (tr) 1987-08-19
AU3591284A (en) 1985-06-20
GB8431665D0 (en) 1985-01-30
DK152701C (da) 1988-09-19
DD231284A5 (de) 1985-12-24
PT79688A (de) 1985-01-01
NL190353B (nl) 1993-09-01
IT1177418B (it) 1987-08-26
NL190353C (nl) 1994-02-01
CH665103A5 (de) 1988-04-29
JPH07112444B2 (ja) 1995-12-06
SE8406382D0 (sv) 1984-12-14
SE456064B (sv) 1988-09-05
ZA849754B (en) 1985-08-28
NL8403799A (nl) 1985-07-16
HK78787A (en) 1987-10-30
IT8424056A0 (it) 1984-12-14
GB2151477A (en) 198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673B1 (ko) 슬라이더 방출기구를 갖는 우산(Umbrelle with slider release mechanism)
US2136569A (en) Umbrella runner and catch therefor
JP4612652B2 (ja) ハンドストラップを備えた杖取っ手
US4811750A (en) Cane with extensible fingers
US3752149A (en) Vaginal speculum
EP0425071B1 (en) Automatic umbrella
US2906277A (en) Self-opening umbrellas
JP2008528019A (ja) 携帯用動物糞便除去装置
US4713845A (en) Toilet seat disenfecting device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US2917060A (en) One-hand opening and closing umbrellas
WO1996035347A1 (fr) Parapluie canne actionnable d'une main
US3149871A (en) Hand hold face opening and spindle device for insertion or removal of button-operated mechanism
JP3623176B2 (ja)
JP3713505B2 (ja) 安全傘
US3174462A (en) Writing instrument
US2509887A (en) Umbrella
US2515493A (en) Folding umbrella
KR960006345B1 (ko) 자동으로 펼쳐지는 안전우산
JP2990109B2 (ja) 下ろくろ
JPH02279106A (ja) ワンタッチ傘
JPH0432313Y2 (ko)
KR920009878B1 (ko) 자동 개폐식 우산
JPH0753528Y2 (ja) 自動開傘式洋傘
JP3006214U (ja) 洋傘におけるスプリングのガー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