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357B1 -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된 다수의 이산 단위의 오디오 메시지들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된 다수의 이산 단위의 오디오 메시지들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357B1
KR890000357B1 KR1019830000028A KR830000028A KR890000357B1 KR 890000357 B1 KR890000357 B1 KR 890000357B1 KR 1019830000028 A KR1019830000028 A KR 1019830000028A KR 830000028 A KR830000028 A KR 830000028A KR 890000357 B1 KR890000357 B1 KR 890000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audio
vide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504A (ko
Inventor
레이 데이킨 웨인
미첼 고울딩 스콧트
Original Assignee
디스 커비젼 어소시에이츠
로놀드 제이 클라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 커비젼 어소시에이츠, 로놀드 제이 클라아크 filed Critical 디스 커비젼 어소시에이츠
Publication of KR84000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H04N5/915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with sound multiplex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sound signal being pulse code modulated and recorded in time division multiplex with the modulated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된 다수의 이산 단위의 오디오 메시지들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정지모우션 오디오 복호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2도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타 블록의 포맷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데이타가 가하여진 RAM의 데이타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제4도(a 및 b)는 제1도에 도시된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20 : 비디오 데이타 회수회로
28 : 제어회로 36 : 오디오 데이타 회수회로
50 : RAM 64 : 어댑티브 델타복조기
70-84 : 단위 메시지 포인터
92, 104, 106, 118, 122, 124 : 멀티플랙서
94, 100, 102, 130 : 비교기 120, 126, 138 : 계수기
본 발명은 오디오 주파수 정보의 부호화(encoding) 및 복호와(decoding)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 말하면 오디오 메시지를 기록 매질상에 부호화시켜 기록하고, 차후에 그 기록매질상에 오디오 정보와 함께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정보와 함께 상기 오디오 정보를 회수, 복호화시켜 재생함에 관한 것이다.
"정지모우션(stop-motion)"이란 기록된 비디오 정보를 재생시킴에 있어서의 한가지 기술방식으로서, 기록된 비디오 신호의 1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플레이시킴으로써 이와같이 플레이되고 있는 단일의 프레임내에 포함되어 있는 시각 정보의 연속적인 비디오 화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정지모우션 방식은 TV 방송업계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잘 알려진 예로서는 TV 에서 운동경기를 중계방송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와같은 방송에 있어서, 정지모우션 효과를 창출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록매질은 비디오 테이프이다.
방송이 아닌 기타의 분야에서도 정지모우션 효과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 결과로서는 광학 디스크가 있다. 광학 디스크는 투명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대략 LP전축판 크기로 만들어진 평평한 디스크로서, 광학적으로 독취가능한 표시의 나선형 혹은 원형 트랙의 형태로써 정보를 이 디스크의 내부표면상에 기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트랙상의 작은 점에 광비임을 조사하고, 디스크를 회전시켜서 광비임이 트랙을 따라 선형으로 주사될 수 있도록 하여주며, 광탐지기를 이용하여서 선택된 방향에서의 트랙으로 부터 방출되는 광량(光量)을 탐지하면, 광학 디스크로 부터의 독취가 가능하다. 정보는 그 표시 부분이 트랙상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디스크내에 기억된다. 디스크가 광비임이 조사되는 작은점에 의해 주사됨에 따라, 탐지되는 광량은 표시부분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교대로 변화하게 되며, 정보는 트랙상의 특정 표시패턴에 따라 발생되는 광탐지기 출력의 전기신호 변화를 탐지함에 의해 회수되는 것이다.
광학 디스크상에 비디오 정보를 기록하거나 그 기록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포맷은, 비디오 반송파 및 1개 혹은 그 이상의 오디오 부반송파를 주파수 변조시키고, 이와같이 주파수 변조된 반송파 및 부반송파를 결합시키고, 주파수 변조된 반송파와 부반송파 신호에 따라서 표시부분 사이의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표시부분의 상대적 길이 및 공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광학 디스크상에 비디오 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는, 수직 동기간격에 대응하는 트랙영역들이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여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디스크에서 비디오 정보를 기록 혹은 재생시킬 때에는 이 디스크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디스크는 일정 각속도(CAV)디스크라고 불리워진다.
CAV 디스크는 디스크상의 모든 트랙에서의 수직 동기 간격이 동일한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여러가지 유용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플레이어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텔레비젼 혹은 모니터의 수평 및 수직동기 오실레이터회로의 동기성을 유지하면서도 디스크를 독취하는 동안 비교적 쉽게 트랙과 트랙 사이를 건너뛸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사실은, 광비임이 조사되는 점이 트랙을 건너뛰어 새로운 트랙에 도달하였을때, 그 트랙내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정보의 동기성이 바로 전번의 트랙에 있어서의 비디오 정보의 동기성과 완전 동일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트랙사이를 건너뛴 다음에도 동기성을 재정립하여야 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비디오 정보의 플레이가 중단없이 원활하게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비디오 정보의 프레임 사이를 원활하게 건너뛸 수 있는 능력때문에, 광학 디스크는 정지모우션 형태로 플레이되기 위한 비디오 정보에 대하여 매우 적합한 기록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광학 디스크 1매 전체에 정지모우션 비디오 정보만이 함유되도록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은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상에 기록된 각각의 비디오 프레임에는 서로 다른 화상이 함유되며, 이 디스크는 각각의 프레임을 정지모우션 형태로 플레이시키고 개개의 프레임을 접근하는 방식으로 1개 프레임씩, 다시 말하면 사람들이 책을 읽듯이 1개 화상씩 순차적으로 독취된다. CAV디스크의 한쪽 면에는 50,000개 이상의 비디오 프레임이 기억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이와같은 포맷을 이용할 수 있는 범위는 분명히 매우 넓다. 예컨대, 1개의 광학 디스크상에는 100,000개의 교육용 프로그램 혹은 어느 부서의 서류 기록을 완전히 기억시킬 수 있다.
광학 디스크의 정지모우션 특성은, 비디오 정보를 정지모우션으로 플레이시키는 동안에 오디오 재생 능력과 결합된다면 더욱 매력적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정지모우션의 비디오 프레임과 함께 재생될 수 있도록 오디오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현재 제안되어 있다.
그와같은 한가지 기술에 의하면, 수반하는 정지모우션 비디오 프레임과 함께 재생되기 위해 "정지모우션 오디오"는 예컨대 어댑티브 델타변조 등에 의하여 디지탈형으로 부호화된 후, 디스크상의 이용가능한 2개 오디오 채널중의 어느 하나에 기록된다. 재생시에는, 대응하는 정지모우션 비디오 프레임을 재생시키기에 앞서, 상기와 같이 디지탈형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를 채널로부터 독취하여서, 예컨대 RAM과 같은 기억장치내에 기억한다. 정지모우션 프레임이 플레이되면, 디지탈화되어 있는 오디오 정보가 기억장치로부터 독취되어서 복호화되고, 그후 정지모우션 비디오와 함께 플레이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상의 한가지 제약으로서는, 디지탈화된 오디오 데이타를 디스크로부터 독취할 때의 비트속도를 이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채널의 대역폭 한계치내로 유지시켜야만 됨을 열거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독취 비트속도는 20KHz이다. 어댑티브 델타변조를 사용할 경우, 부호화 단계에서의 표본화 비트속도는 통상 16KHz 혹은 그 이상이어야만, 필요로 하는 명료도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즉, 이 기술에 의하면, 기억장치내에 부호화되어 있는 정지모우션 메시지를 독취하기 위하여서는 정지모우션 메시지의 지속시간보다 약간 더 긴 시간동안 디스크를 정상적인 작동형태로써 플레이시켜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술은 밀접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 다수의 정지모우션 프레임을 가진 기록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유용한 것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정지 모우션 프레임들이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프로그램상에 위치하고 있는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시킴에 있어서는, 이 기술에 의해 기록 및 재생을 비교적 값싸게 행할 수는 있다.
또 다른 기술에 의하면,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를 예컨대 어댑티브 델타변도 등에 의해 부호화시킴은 동일하지만, 이와같이 디지탈형으로 부호화된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를 1개 혹은 다수의 연속 프레임상에 비디오 정보 대신에 기록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 메시지는 예컨데 16KHz와 같은 소기의 표본화속도로 부호화되며, 그후 시간적으로 압축시켜 비트속도가 7.2MHz로 되어서 대역폭이 비디오 전자회로의 용량내에 위치하도록 부호화된다. 이와같이 부호화된 데이타는 비디오 프레임의 수평선 내에 비디오 정보 대신에 기록된다. 디지탈화된 오디오 정보를 시간적으로 크게 압축시키면, 약11초까지의 지속시간을 갖는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를 1개 비디오 프레임의 비디오 데이타부분에 기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후자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회로는 상기 전자의 기술에 관련된 전자회로에 있어서보다 더욱 비싸기는 하지만, 이 후자의 기술에 의하면 1개의 광학 디스크상에 상당한 분량의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 정보를 더욱 기억시킬 수 있다. 즉, 이 광학 디스크에는 정지모우션 비디오 프레임과 정지모우션 오디오 프레임이 교대로 배열되어서,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를 가진 각각의 비디오 프레임이 11초까지의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비디오 부호화"기술은, 디지탈형으로 부호화된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를 광학 디스크상에 기억시키는 능력에 있어서 커다란 진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 비디오 부호화 기술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제약이 존재한다.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정지모우션 메시지의 지속시간이 상당히 달라져야 한다. 비디오 프로그래머는 대부분 정지모우션 프레임에 대해 단지 2-3초 정도의 지속시간을 필요로 할때도 있으나, 종종 20초 혹은 그 이상의 지속시간을 필요로 할때도 있다. 이와같은 사실은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의 포맷을 결정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경제적인 이유에서, 정지모우션 능력을 가진 비디오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를 프로그램이 바뀔 때마다 개조하지 않도록 하려면,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의 기록 및 재생에 대한 표준 포맷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정지모우션 오디오 부호화에 대한 적절한 표준포맷으로서는, 16KHz의 속도로 표본화된 1개의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에 대하여 2개의 연속적인 비디오 필드 프레임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포맷에 의하면, 22초까지의 지속시간을 가진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의 기록 및 재생을 바람직한 명료도와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대개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가장 긴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를 기록 및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준다. 그러나, 대개의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는 그 길이가 상당히 짧으며, 어떤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지 2-3초 정도로 지속되기도 한다. 이와같은 정지모우션 메시지에 대해서는 커다란 기억능력이 오히려 낭비적으로 되는 것이다. 1개의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에 1개 프레임만을 제공하더라도 16KHz의 비트속도에 대한 11초의 지속시간은 어떤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에 대해 역시 불필요하게 많은 것이며, 또한 이렇게 한다면 좀 더 긴 오디오 메시지를 이 포맷으로는 기록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어댑티브 델타변조에 있어서의 16KHz의 비트속도는 명료도와 데이타 저장밀도를 모두 고려한 적절한 타협안이기는 하지만, 오디오 메시지 정보를 16KHz의 표본화 속도로 재생시키면 완전 충실도(fidelty)를 얻을 수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명료도를 더욱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도 있지만,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그와같은 융통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결점을 극복한 정지모우션 오디오 기록 및 재생 능력이 있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그 제조원가를 값싸게 하기 위해 표준화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록매질상의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를 더욱 융통성있게 제공할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은 이들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메시지를 선택된 비디오 데이타와 함께 재생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측면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타의 소정메시지 부분을 선택적으로 회수하여서 비디오 데이타의 선택된 부분과 함께 개별적으로 복호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디지탈형으로 부호화된 일련의 오디오 데이타 신호를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타와 함께 기록 매질상에 기록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오디오 데이타열(列)의 대응하는 다수의 메시지 부분의 최초 데이타를 나타내는 다수의 번지 데이타신호가 발생된다. 이들 다수의 번지 데이타신호는 오디오 데이타신호와 소정의 상관관계로 결합되어서 복합적인 데이타블록을 형성한다. 이 복합적인 데이타블록은, 기록매질로부터 회수되어서 소정번지의 기억 위치에 기억될 수 있도록 비디오 데이타와 함께 기록 매질상에 기록되며, 이때 소정 기억 위치의 번지는 번지 데이타 신호와 상호 관련을 갖는다.
복합적인 디지탈 데이타신호 블록은 재생시에 기록매질로부터 회수되어서 다수의 번지기억 위치에 기억된다. 다수의 개별적인 오디오 데이타부분으로부터 선택된 어떤 부분에 대응하는 번지 데이타부분은 선택된 기억위치로부터 접근된다. 그후, 선택된 오디오 데이타부분이 그 기억위치로부터 접근된다. 이 선택된 오디오 데이타부분은 복호되어서, 선택된 비디오 데이타부분과 함께 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타신호를 회수하여서 소정의 가변 표본화속도로 복호하고 또한 비디오 데이타와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가변 표본화속도로 부호화된 연속적인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 신호열을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타 신호와 함께 기록 매질상에 기록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소정의 표본화속도를 나타내는 소정 디지탈신호가 발생되며, 이 디지탈 신호는 오디오 데이타신호와 소정의 상관관계로 결합되어서 복합적인 디지탈신호 그룹을 형성한다. 이 복합적인 디지탈신호 그룹은, 소정의 디지탈신호가 디지탈신호 그룹으로 부터 회수됨으로써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표본화속도를 소정의 가변 표본화속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비디오 데이타신호와 함께 기록된다. 이 복합적인 오디오 데이타 신호 그룹은 재생시에 기록 매질로부터 회수되어서 기억장치내에 기억된다. 그후, 소정의 디지탈신호가 회수되면 소정의 표본화속도에 관련된 상시 신호내의 정보를 이용하여서 복호기의 비트속도를 고정시킨다. 오디오 데이타신호는 소정의 표본화속도로 복호되며, 회수된 오디오 신호는 비디오 데이타의 소정 부분과 함께 플레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오디오 데이타의 기억부분에 있어서는 물론, 정지모우션 오디오 기록 및 재생 부분에 있어서의 중요한 진보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은 정지모우션 오디오 메시지를, 대응하는 정지모우션 비디오 데이타와 함께 차후에 재생시킬 수 있도록 기억시킴으로써 이들 메시지의 질 및 지속시간에 대한 융통성이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의 측면 및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을 참고로 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정지모우션 오디오 데이타 복호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표준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10)는 광학 디스크(도시하지 않았음)를 독취하여서, 회수된 비디오 정보가 함유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신호선(12)으로, 비디오 디스크상의 2개 오디오 채널중의 하나인 제2오디오 채널로 부터 회수된 오디오 정보가 함유된 오디오 신호를 신호선(14)으로, 그리고 지령신호를 지령신호선(16)으로 출력시킨다. 비디오 신호선(12)상의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데이타 회수회로(20)에 가하여진다.
비디오 데이타회수회로(20)는 비디오 신호선(12)상의 비디오 신호 입력을 처리하여서, 2개의 연속적인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회수된, 논리레벨로 디지탈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타를 4개의 병렬선에 출력시킨다. 이 비디오 데이타 회수회로(20)는 또한 클럭신호를 도선(24)상에 출력시키는데, 이것은 도선(22)상의 부호화된 데이타 출력의 클럭속도와 같다. 도선(24)상의 클럭펄스들은 통상의 4비트병렬-8비트병렬 변환기(26)로 가하여지며, 이 4비트병렬-8비트병렬 변환기(26)는 도선(22)상의 4비트병렬 입력데이타를 8비트병렬 데이타("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로 변환시키고, 이 8비트병렬 데이타는 도선(30)을 통해 제어회로(28)에 가하여진다. 도선(24)상의 클럭펄스들은 또한 통상의 2분할회로(32)에도 가하여지며, 이 2분할회로(32)의 출력("비디오 클럭데이타")은 도선(34)을 통하여 제어회로(28)에 가하여진다.
오디오 신호선(14)상의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데이타 회수회로(36)에 가하여지며, 이 오디오 데이타 회수회로(30)는 논리레벨로 디지탈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타를 오디오 신호선(14)상의 오디오 신호로부터 연속적인 비트흐름(bit stream)의 형태로 회수한다. 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타는 도선(38)을 통해 출력되어서 통상의 1비트직렬-8비트병렬 변환기(40)로 가하여지며, 이 1비트직렬-8비트병렬 변환기(40)로 가하여지며, 이 1비트직렬-8비트병렬 변환기(40)는 도선(38)상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직렬흐름을 8비트병렬 데이타("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로 변환시키고, 이 8비트병렬 데이타는 도선(42)을 통해 제어회로(28)에 가하여진다. 오디오 데이타 회수회로(36)는 또한 회수된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와 같은 속도로 도선(44)을 통하여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클럭신호는 직렬-병렬변환기(40)에 가하여진다. 도선(44)상의 클럭신호는 통상의 8분할회로(46)에 가하여지며, 이 8분할회로(46)는 클럭펄스의 흐름을 8분할한 출력("오디오 클럭 데이타")을 도선(48)을 통해 제어회로(28)에 가하여준다.
이 제어회로(28)는, 클럭기록 선(52), 데이타기록 선(54), RAM번지 선(56), 클럭독취 선(58), 그리고 데이타독취 선(60)에 의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48K RAM(50)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회로(28)는 RAM(50)으로부터 회수된 데이타를 도선(62)을 통해 어댑티브 델타복조기(64)로 보낸다. 또한 도선(66)을 통해서는 클럭펄스가 어댑티브 델타복조기(64)에 가하여져서, 도선(62)을 통해 회수된 데이타를 적절한 속도로 복호화한다. 어댑티브 델타복조되어 회수된 오디오 신호는 도선(68)을 통해 출력되어서, 대응하는 비디오 정보와 함께 플레이되기 위한 여과 및 증폭단계로 가하여진다.
도선(30)상의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와 도선(42)상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는 서로 다른 속도로 클럭화된다. 도선(30)상의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는 약900KHz의 속도로 클럭화됨에 비하여 도선(42)상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는 약1500Hz의 속도로 클럭화된다. 그러나, 이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와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는 서로 동일한 포맷을 갖는 것이다.
제2도는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 및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의 포맷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 혹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의 초기에 있어서는 일련의 16비트단위 메시지포인터(70-84)가 제공되며, 이들 모두는 데이타의 도입부(header)(88)를 이룬다. 도입부(88)의 다음에는, 디지탈화된 오디오 데이타(86)의 연속적인 흐름이 위치한다. 이 오디오 데이타(86)에는 8개까지의 개별적인 단위 오디오 메시지가 일렬로 배열되어서 하나의 완전한 오디오 데이타(86)를 구성하게 된다. 각각의 단위 메시지 포인터(70-84)는 16비트의 바이트(byte)로 구성되며, 이 바이트는 오디오 데이타(86)내의 단위 오디오 메시지에서의 데이타의 첫번째 바이트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그리고 단위 오디오 메시지내의 데이타의 표본화속도에 각각 대응하는 디지탈 숫자를 나타낸다.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 혹은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 블록은 RAM(50)내의 8비트 기억위치에 직렬적으로 신호가 가해지기 때문에, 이와같이 데이타가 RAM(50)내에 가해지면 단위 메시지 포인트는 번지0000으로부터 시작하여 관련 단위 메시지내의 데이타의 처음 8 비트의 RAM번지를 나타내도록 선택된다.
작동시,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 혹은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은 지령신호 선(16)상의 지령신호에 반응하여서 제어회로(28)에 의해 RAM(50)내로 독취된다. 그후, 도선(16)상의 또다른 지령신호에 반응하여, 선택된 단위 메시지 포인터는 회수 및 처리되어서 관련 단위 메시지의 처음 8비트의 번지 및 그 단위 메시지의 표본화속도가 결정된다. 이어서,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 모두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타(86)의 부분은 RAM(50)으로부터 회수된 후에 적절한 속도로 클럭화되어서 어댑티브 델타복조기(64)로 보내지며, 단위 오디오 메시지의 데이타는 이 어댑티브 델타복조기(64)내에서 복조되어서 도선(68)을 통해 출력됨으로써 차후의 단계로 향하여진다.
제3a도는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 혹은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이 가해진후에 RAM(50)내에 저장된 데이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다이어그램내에서, "0"으로 표시되어 있는 RAM(50)의 기억위치는 다이어그램의 가장 좌측을 나타내며, 다이어그램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기억위치의 번지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모든 번지는 16진법으로 표현되어 있다. 즉, 48K RAM(50)내의 이용 가능한 기억위치의 번지는 0000으로부터 BFFF까지이다.
제3a도에서와 같이 데이타가 RAM(50)내에 기억되어 있을때, 도입부(88)가 점유하는 RAM(50)기억장치의 부분은 그 번지가 0000으로부터 000F까지이다. 첫번째 단위 메시지, 즉 "단위메시지1"(Mu1)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타 부분은 번지 0010 내지 1F3F의 기억영역을 점유한다. 단위 메시지2(Mu2)는 번지 1F40 내지 2AFF 범위의 기억영역을 점유하며, 이하의 모든 단위 메시지에 대해서도 이와같이 계속된다. RAM(50)에는 모두 5개의 단위 메시지(Mu1-Mu5)가 가하여져 있다.
제3b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도입부(88)를 포함하는 RAM(5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다이어그램이다. 도입부(88)의 데이타는 16개의 8진법 기억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RAM(50)의 각각의 8비트 기억위치를 나타내는 그들의 번지(90)는 각 수직열의 아랫쪽에 나타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데이타는 각 기억위치의 가장 낮은 자릿수(LSB)가 수직열의 상부에 위치하고 가장 높은 자릿수(MSB)가 수직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도와 함께 설명되었던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메시지 포인터(70-84)는 16비트의 바이트로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단위 메시지 포인터는 RAM(50)내에서 2개의 8비트 기억위치를 점유한다. 제1단위 메시지 포인터(70)는 번지 0000 및 0001을,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72)는 번지 0002 및 0003을 점유하며, 이하의 모든 단위 메시지 포인터에 대해서도 이와같이 적용된다. 이예에 있어서는 000A 내지 000F의 번지를 갖는 RAM(50) 기억장치가 필요없으므로, 모두 0가 가하여져 있다.
5개 단위 메시지(Mu1-Mu5)의 각각에 있어서, 그 메시지의 처음 8비트의 16진법 번지는 각각0010, 1F40, 2AF0, 32D0, 6590임을 제3a도로 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RAM(50)의 도입부(88)내에 기억된 단위 메시지 포인터(M1P-M5P)는 각각 0018, 1F45, 2AF0, 32DB, 659F이다(제3b도 참조). 즉, 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최상위(最上位)의 3개 16진법 숫자는 단위 메시지 번지의 최상위의 3개 16진법 숫자와 일치하지만, 최하위 숫자는 서로 같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로, 단위 메시지 번지의 최하위 숫자는 모두 0이지만, 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최하위 숫자는 해당 포인터의 단위 메시지내의 오디오 데이타에 대한 표본화속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은 표본화속도 부호에 관하여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어회로(28)를 나타내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비디오 클럭(VC)의 도선(34)은 제1멀티플렉서(92)의 낮은 입력(L)에 연결되어 있고, 오디오 클럭(AC)의 도선(48)은 이 제1멀티플렉서(92)의 높은 입력(H)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1멀티플렉서(92)의 선택입력(SHL)은 비교기(94)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제1멀티플렉서(92)의 출력은 AND게이트(98)의 한쪽 입력에 연결되어 있고, 이 AND게이트(98)의 출력은 클럭 기록선(52)에 연결되어 있다. 지령신호 선(16)상의 8비트 지령신호는 비교기(94)의 첫번째 입력에, 또다른 비교기(100)(102)의 첫번째 입력에, 그리고 제2멀티플렉서(104) 및 제3멀티플렉서(106)의 선택입력(SEL)에 모두 연결된다. 16진법의 숫자 56에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108)는 비교기(100)의 두번째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16진법의 숫자 41에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110)는 비교기(94)의 두번째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16진법 숫자 3에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112)는 비교기(102)의 두번째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비교기(100)의 출력은 OR게이트(114)의 첫번째 입력에 연결되며, 이 OR게이트(114)의 출력은 AND게이트(98)의 두번째 입력 및 삼상 완충기(tri-state buffer)(116)의 제어입력에 연결된다. 비교기(94)의 출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92)의 선택입력(SEL)에 연결되며, 또한 OR게이트(114)의 두번째 입력 및 제4멀티플렉서(118)의 선택입력(SEL)에도 연결된다.
도선(30)상의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VD)는 제4멀티플렉서(118)의 낮은 입력(L)에 인가되며, 도선(42)상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AD)는 제4멀티플렉서(118)의 높은 입력(H)에 인가된다. 이 멀티플렉서(118)의 출력은 삼상 완충기(116)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삼상 완충기(116)의 출력은 데이타 기록 선(54)으로 연결된다. AND게이트(98)의 출력은 16비트 계수기(12)의 클럭입력(CLK)에 연결된다. 계수기(120)의 출력은 제5멀티플렉서(122)의 낮은 입력(L)에 연결되고, 제5멀티플렉서(122)의 출력은 제6멀티플렉서(124)의 낮은 입력(L)에 연결되며, 제6멀티플렉서(124)의 출력은 RAM번지선(56)으로 연결된다.
비교기(102)의 출력은 또하나의 16비트 계수기(126)의 부하입력(LOAD)과, 완셔트(one shot)(128)의 상승단 입력과, 제5멀티플렉서(122)의 선택입력(SEL)에 연결된다. 계수기(126)의 출력은 제5멀티플렉서(122)의 높은 입력(L)에 연결된다. 제2멀티플렉서(104)의 출력은 계수기(126)의 입력에 연결되며, 제3멀티플렉서(106)의 출력은 또다른 비교기(130)의 입력에 연결된다.
비교기(130)의 출력은 OR게이트(131)의 첫번째 입력에 연결되며, 이 OR게이트(131)의 출력은 완셔트(132)의 상승단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OR게이트(131)의 두번째 입력은 외부도선(133)으로 연결된다. 완셔트(132)의 출력(Q)은 개시(開始)펄스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 출력(Q)은 비교기(130)의 클리어 입력(CLR)과, 제1플립플럽(134)의 세트입력(SET)과, 계수기(120)의 클리어입력(CLR)과 제2플립플럽(136)의 리세트입력(RESET)에 연결되어있다. 이 완셔트(132)의 출력은 또한 비교기(94)(100)(102)의 각각의 클리어입력(CLR) 및 16비트 계수기(138)의 클리어입력(CLR), 그리고 제3플립플럽(140)의 리세트입력(RESET)에도 연결되어 있다.
제1플립플럽(134)의 출력(Q)은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홀드입력(HOLD)에 연결되어있다. 이 가변속도 클럭발생기(142)의 출력은 8분할장치(144)의 입력과,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클럭입력(CLK)과, 또다른 AND게이트(148)의 첫번째 입력에 연결된다. 상기 8분할장치(144)의 출력은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부하입력(LOAD)과, 제3플립플럽(140)의 세트입력(SET)과, AND게이트(150)의 한쪽 입력과, 계수기(138)의 클럭입력(CLK)에 모두 연결된다. 제3플립플롭(140)의 출력(Q)은 AND게이트(148)의 두번째 입력에 연결되며, 이 AND게이트(148)의 출력은 도선(66)으로 연결되어있다.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출력은 도선(62)으로 연결된다.
계수기(138)의 출력은 비교기(130)의 두번째 입력 및 제6멀티플렉서(124)의 출력은 RAM번지선(56)으로 연결된다.
완셔트(128)의 출력(Q)은 레지스터(152)의 부하입력(LOAD)과, AND게이트(154)의 첫번째 입력과, 완셔트(156)의 상승당입력에 연결된다. 완셔트(156)의 출력(Q)은 AND게이트(154)의 두번째 입력에 연결되며, 이 AND게이트(154)의 출력은 또다른 AND게이트(150)의 두번째 입력에 연결된다. AND게이트(150)의 출력은 클럭 독취선(58)으로 연결된다. 완셔트(156)의 출력(Q)은 또한 지연회로(158)의 입력과, 레지스터(160)의 부하입력(LOAD)과, 계수기(126)의 클럭입력(CLK)에도 연결된다.
지연회로(158)의 출력은 제2플립플럽(136)의 세트입력(SET)과, 계수기(138)의 부하입력(LOAD)과, 제1플립플럽(134)의 리세트입력(RESET)에 연결된다. 제2플립플럽(136)의 출력(Q)은 제6멀티플렉서(124)의 선택입력(SEL)에 연결된다.
데이타 독취선(60)은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입력 및 레지스터(152)(160)의 입력에 연결된다. 레지스터(152)의 8비트 병렬 출력 및 레지스터(160)의 8비트 병렬 출력은 상호 결합되어서 하나의 16비트 병렬선(161)을 이루며, 이들중의 4개의 최하위 비트(LSB)는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선택입력(SEL)에, 그리고 나머지 12개의 최상위 비트(MSB)는 계수기(138)의 입력에 연결된다.
제2멀티플렉서(104)와 제3멀티플렉서(106)는 모두 8:1멀티플렉서로서, 그 선택입력에 존재하는 2진 숫자에 따른 8개의 입력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제2멀티플렉서(104)의 첫번째 입력은 스위치(162)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162)는 제1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처음 8비트의 RAM(50)번지에 고정되어있다. 제2멀티플렉서(104)의 두번째 입력은 스위치(16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164)는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처음 8비트의 RAM(50)번지에 고정되어있다. 이와같이 계속하여서, 제2멀티플렉서(104)의 8번째 입력은 스위치(166)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166)는 제8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처음 8비트의 RMA(50)번지에 고정되어있다.
제3멀티플렉서(106)의 첫번째 입력은 스위치(168)에 연결되어있으며, 이 스위치(168)은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처음 8비트의 RAM(50)번지에 고정되어있다. 제3멀티플렉서(106)의 두번째 입력은 스위치(17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170)는 제3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처음 8비트의 RAM(50)번지에 고정되어있다. 이와같은 관계는 제3멀티플렉서(106)의 7번째 입력까지 동일하게 계속된다. 제3멀티플렉서(106)의 8번째 입력은 스위치(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172)는 정지모우션 오디오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RAM(50)기억영역의 끝부분에 대응하는 RAM(50)번지에 고정되어있다.
이상과 같은 제4도의 회로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표본화속도 부호의 형식에 관해 설명하기로한다. 다음의 표 1은 이와같은 표본화속도 부호를 나타낸다.
[표 1]
표본화 속도부호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단위 메시지 포인터(M1P-M5P)가 다음과 같이 16진법 숫자, 즉 0018, 1F45, 2AF0, 32DB, 659F로 되어 있었으며, 또한 이와같은 각각의 메시지 포인터에서의 최하위 비트는 관련 단위 메시지에 대한 표본화속도 부호로 되어 있었음을 상기하여보자. 즉,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단위 메시지에 대한 표본화 속도는 21KHz이며, 제2단위 메시지에 대해서는 18KHz이고, 제3단위 메시지에 대해서는 13KHz이며, 제4 및 제5단위 메시지에 대해서도 이와같은 방식으로 결정된다.
또한, 지령신호선(16)으로 전달되는 지령부호의 형식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한다. 다음의 표 2는 이러한 지령부호를 나타내고있다.
[표 2]
Figure kpo00003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를 받으라고 하는 지령신호(16진법 숫자 56)는 제어회로(28)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이 제어회로(28)가 비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RAM(50)으로 독취할 수 있도록한다. 한편, 오디오 부호화 데이터를 받으라고 하는 지령신호(16진법 숫자 41)는 제어회로(28)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이 제어회로(28)가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를 받아들여서 RAM(50)으로 독취할 수 있도록한다. 제1-제8단위 메시지를 플레이하라고 하는 지령신호(16진법 숫자 31-38)는 상기 제어회로(28)를 활성화시켜서 RAM(50)으로 부터 제1-제8단위 메시지를 각각 회수한후에, 이들을 적절한 속도로 클럭화하여 어댑티브 델타복조기로 내보낸다.
이하, 제4도에 도시된 제어회로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맨처음, 이 회로에 전원을 가하면 논리레벨"1"의 펄스가 통상의 방식대로 발생되어서 도선(133)으로 가하여진다. 이 펄스는 회로내의 비교기들을 클리어시킴으로써 이 회로가 데이타블록을 받아들이기 위한 준비를 갖추도록한다.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이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10)(제1도)로부터 수신되어진다면,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를 받으라는 지령부호(즉, 표 2에 나타난 바와같이 16진법 숫자 56)가 8비트 지령신호선(16)으로 가하여진다. 이와같이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를 받으라는 부호는, 디스크로부터의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이 독취되기 바로전에 발생된다. 주어진 디스크에 있어서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이 어느곳에 위치하고 있는가는 항상 알려져 있을 것이므로, 지령신호가 지령신호선(16)상에 나타나게 되는 시점을 제어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다. 예를들어,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이 10000번째와 10001번째 프레임의 비디오 부분에 기록되어 있다면,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10)내의 통상의 회로를 이용하여서 10000번째 프레임이 시작될때에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부호"56"을 상기 2개 프레임의 첫부분에서 지령신호선(16)으로 가해주면된다. 지령신호열의 발생시점을 제어함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이미 잘 알려져있다.
16진법 숫자 56의 지령신호가 지령신호선(16)에 가해지면, 비교기(100)는 첫번째 입력과 두번째 입력사이의 동일성 여부를 검사한 다음에, 그 출력을 OR게이트(114)의 한쪽 입력에 가하여준다. 이 OR게이트(114)의 출력은 AND게이트(98)의 한쪽입력 및 삼상 완충기(116)의 제어 입력에 가하여진다. 이때에는 비교기(94)가 출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제1멀티플렉서(92)의 선택입력(SEL)은 낮은 상태이다. 도선(34)상의 비디오 클럭 데이타가 제1멀티플렉서(92)에 재차 가하여지면, 이 제1멀티플렉서(92)는 비디오 클럭펄스들을 선택하여서 이들을 제1멀티플렉서(92)의 출력측으로 통과시킨다. 이들 펄스는 AND게이트(98)의 두번째 입력에 가하여지며, 이때 AND게이트(98)의 첫번째 입력은 높은 상태로 유지 되어있기 때문에, 이들 펄스는 이 AND게이트(98)를 통과하여 클럭기록선(52)상에 나타나게된다. 이 클럭기록선(52)은 RAM의 데이타클럭 독취입력으로 연결된다.(제1도 참조).
이때, 비교기(94)는 낮은 상태의 출력을 나타내므로, 제4멀티플렉서(118)는 도선(30)을 선택하여 이것을 삼상 완충기(116)로 통과시키며, 이때 OR게이트(114)는 높은 상태의 출력을 나타내므로 상기 삼상 완충기(116)는 이 비디오 데이타를 데이타 기록선(54)으로 통과시킨다. 이 데이타 기록선(54)은 RAM의 데이타 기록입력으로 연결된다.(제1도 참조). AND게이트(98)의 출력은 16비트 계수기(120)의 클럭입력(CLK)에도 가하여진다. 이 계수기(120)는 도선(18)상의 개시펄스에 의해 애초에 클리어되어 있으므로, 이 계수기(120)는 0으로부터 계수하기 시작하여 그 계수결과를 제5멀티플렉서(122)의 낮은 입력으로 전달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동에 따른 순수한 결과에 의하면, 도선(30)상에 가해진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는 클럭기로선(52)상의 비디오 클럭펄스들에 의해 결정되는 클럭속도로써 클럭화되어서, RAM번지선(56)으로 가해지는 0000로부터의 일련의 번지위치를 갖고 RAM(50)으로 전달된다.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을 받아들이고 기억하는 것은, 비디오 부호화 데이타블록을 받아들이고 기억하는 상술한 작용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제어회로(28)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를 처리함에 있어서는 비교기(94)의 출력이 "높은"상태로 되므로, 제1멀티플렉서(92)와 제4멀티플렉서(118)의 선택입력(SEL)도 "높은"상태로된다. 즉, 도선(48)상의 오디오 클럭데이타와 도선(42)상의 오디오 부호화 데이타가 각각 클럭기록선(52)과 데이타기록선(54)으로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번지신호는 앞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발생되어 RAM번지선(56)에 나타나게된다.
단위 메시지가 회수되어 독취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즉,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과 함께 제2단위 메시지를 정지모우션 형태로 플레이시킬 경우를 생각하자.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을 공지된 기술에 의해 플레이어 장치에서 정지모우션 형태로 플레이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단위 메시지를 플레이하라는 지령신호를 나타내는 16진법 숫자 32가 발생되어서 지령신호선(16)에 가하여진다. 이때, 이 지령신호의 3개의 최하위비트(LSB)가 제2멀티플렉서(104)와 제3멀티플렉서(106)의 선택입력(SEL)에 모두 가하여진다. 상기 16진법 숫자 32의 3개의 최하위비트(LSB)는 디지탈 숫자 "2"로 이루어지며, 이것이 제2멀티플렉서(104)의 선택입력(SEL)에 가하여지면 스위치(164)에 연결된 두번째 입력을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64)는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RAM(50)내의 번지에 고정되어있다. 이것은 계수기(126)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제2멀티플렉서(104)의 출력으로 가하여진다.
이와 동시에, 16진법 숫자 32의 4개의 최상위비트(MSB)는 비교기(102)의 첫번째 입력으로 가해진다. 이 비교기(102)는 스위치(112)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동일성 여부를 비교하는데, 이때 스위치(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 3에 고정되어있다. 만약 상기의 비교결과 동일성이 판명되면, 비교기(102)의 출력은 "높은"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높은 신호는 계수기(126)의 부하입력(LOAD)에 가하여지며, 이에 의해 제2멀티플렉서(104)의 출력에서의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값이 계수기(126)에 가하여진다.
비교기(102)의 높은 출력은 또한 제5멀티플렉서(122)의 선택입력(SEL)에도 가하여지는데, 이 제5멀티플렉서(122)는 이에 반응하여 계수기(126)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높은 입력을 선택한다. 즉, 이때 RAM(50)내의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번지에 대응하는 디지탈값으로 고정되어 있는 계수기(126)의 출력은 제5멀티플렉서(122) 및 제6멀티플렉서(124)를 통하여 RAM번지선(56)으로 가해진다.
비교기(102)의 출력이 낮은 상태로부터 높은 상태로 옮겨감에 따라, 완셔트(128)가 트리거된다. 완셔트(128)와 완셔트(156)의 출력(Q)들은 AND게이트(154)의 입력에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AND게이트(154)의 출력에 대한 정상상태는 "높은"상태이다. 완셔트(128)가 트리거되면, 이것은 AND게이트(154)의 한쪽 입력에 부지향(negative going)펄스를 가함으로써 이 부지향 펄스가 AND게이트(154)의 출력측에 나타나게된다. 8분할 장치(144)의 출력은 통상 "높은"상태이므로, AND게이트(154)의 출력측에 나타나는 부지향 펄스는 AND게이트(150)을 통해 전달되어서 클럭 독취선(58)상에 나타나게된다.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번지가 RAM번지선(56)상에 나타나고 또한 이와 동시에 부지향 펄스가 클럭 독취선(58)상에 나타나면, RAM(50)은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처음 절반의 번지를 가진 RAM기억영역의 내용을 데이타 독취선(60)상에 제공하게된다. 완셔트(128)의 출력(Q)에서의 부지향 펄스는 또한 레지스터(152)의 부하입력(LOAD)에도 가하여지며, 따라서 데이타 독취선(60)을 통해 RAM(50)으로부터 회수된 8비트는 레지스터(152)내에 기억되게 된다. 완셔트(128)의 출력(Q)에서의 부지향 펄스가 종료되면, 완셔트(156)의 상승단 입력이 트리거된다. 이에 의하면, 500nsec의 지속시간을 가진 부지향 펄스가 완셔트(156)의 출력(Q)에 나타나게된다.
이 부지향 펄스는 AND게이트(154)의 한쪽 입력에 가하여지며, 따라서 부지향 펄스가 AND게이트(154)의 출력측에 나타나게 되고, 결국 AND게이트(100)의 출력측에도 나타나게된다. 이와 동시에, 완셔트(156)의 출력(Q)에서의 부지향 펄스는 계수기(126)의 클럭입력에 가하여지고, 이에 의해 계수기(126)의 계수상태는 1만큼 증가한다. 이것은 RAM번지선(56)상에 나타나는 포인터의 숫자를 1만큼 증가시킨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나중 8비트는 RAM(50)으로부터 회수되어서 데이타 독취선(60)으로 가해진다. 마지막으로, 완셔트(156)의 출력(Q)에서의 부지향 펄스출력은 레지스터(160)의 부하입력(LOAD)에 가해짐으로써,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의 나중 8비트가 이 레지스터(160)에 가해지도록 하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동에 따른 순수한 결과에 의하면, 제2단위 메시지 포인터 전체가 조합되어서 래지스터(152)(160)에 가해지게된다. 이때, 비교기(102)의 출력은 낮은 상태이므로, 제5멀티플렉서(122)는 낮은 입력(L)을 선택하여 계수기(120)의 계수상태 출력을 제6멀티플렉서(124)의 낮은 입력(L)을 통해 통과시킨다. 플립플럽(136)은 완셔트(132)로부터의 개시펄스가 가해짐에 따라 애초에 리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제6멀티플렉서(124)의 선택입력(SEL)은 낮은 상태이며, 따라서 제5멀티플렉서(122)의 출력은 RAM번지선(56)으로 통과한다. 이 RAM번지선(56)은 상술한 바와 같이 RAM(50)의 RAM번지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레지스터(152)(160)의 출력측에 나타나는 제2단위 메시지의 최초번지의 최상위 비트(MSB)12개는 16비트 계수기(138)의 입력으로 가하여진다. 그리고, 이 레지스터(152)(160)의 출력측의 최하위 비트(LSG) 4개는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선택입력(SEL)에 가하여진다.
즉, 계수기(138)는 제2단위 메시지 데이타의 처음 8비트에 대응하는 최초번지를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게 된 것이다. 이 번지값은 계수기(138)에 가하여지며, 또한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RAM(50)에 가하여진다. 완셔트(156)의 출력(Q)측에서의 부지향 펄스는 1usec 만큼의 지연을 나타내는 지연회로(158)에 가하여지며, 이 지연회로(158)는 부지향 펄스 1usec 만큼 지연시켜서 이것을 플립플럽(136)의 세트입력(SET) 및 계수기(138)의 부하입력(LOAD)에 가하여 준다. 따라서, 계수기(138)는 완셔트(156)의 출력(Q)측에서의 부지향 펄스에 반응하여 제2단위 메시지의 최초번지를 받아들이게 되며, 이 번지는 제6멀티플렉서(124)의 높은 입력(H)으로 가해진다. 이와 동시에 플립플럽(136)이 세트되고, 또한 그 출력(Q)은 제6멀티플렉서(124)의 선택입력(SEL)에 가해짐으로써, 제6멀티플렉서(124)는 계수기(138)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높은 입력(H)을 선택하게된다. 최초 번지는 이에 의해 RAM번지선(56)으로 가해진다.
지연회로(158)로부터의 지연된 출력은 또한 플립플럽(134)의 리세트입력(RESET)에도 가하여지며, 이 플립플럽(134)의 출력(Q)은 이에 의해 낮은 상태로 변함으로써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제2단위 메시지의 최초번지에서의 최하위 비트(LSB) 4개(즉, 표본화속도 부호의 숫자를 포함하는 것)는 이때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선택입력(SEL)측에 존재하게 되며, 이 클럭발생기(142)는 그 홀드(HOLD)로부터 풀려났을 때에 그 입력측의 부호에 따라 선택된 속도로 클럭을 발생시켜 출력한다.
가변속도 클럭발생기(142)로부터의 클럭은 8분할장치(144)의 입력에 가하여진다. 이 클럭의 8개 계수에 따라, 8분할장치(144)의 출력측에는 출력이 발생되어 AND게이트(150)의 한쪽 입력으로 가하여진다. 이에 의해 클럭 독취선(58)에는 부지향 펄스가 나타나게 되고, 따라서 RAM(50)내의 최초번지 기억위치에서의 데이타는 데이타 독취선(60)에 나타나게된다.
이와같은 도선(60)상의 데이타는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입력에 가하여지며, 이때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부하입력(LOAD)에는 8분할장치(144)의 출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데이타는 즉시 부하된다. 부하된 데이타는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출력으로부터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클럭입력(CLK)에 나타나는 클럭펄스에 반응하여서 즉시 직렬로 클럭화 출력된다. 이와같이 직렬로 클럭화 출력된 데이타는 도선(62)으로 가하여진다.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로부터 4개의 클럭펄스가 가해진 후에, 8분할장치(144)의 출력은 낮은 상태로 변한다. 이에 의해 AND게이트(150)의 출력도 낮아지며, 따라서 RAM(50)에는 RMA번지선(56)상에 존재하는 번지에서의 데이타를 독취하라는 지시가 전달된다. 이와같이 독취된 데이타는 데이타 독취선(60)을 통해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입력으로 가하여진다. 그동안에, AND게이트(148)의 한쪽 입력에는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로부터의 클럭화 출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이 AND게이트(148)의 다른쪽 입력은 플립플럽(140)의 출력(Q)에 의해 낮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로부터의 클럭은 도선(66)상에 나타날 수 없다.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로부터의 최초 4개의 클럭은 또한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클럭입력(CLK)에도 가하여지며, 따라서 도선(62)으로는 랜덤 데이타가 클럭화 출력된다. 그러나, 이때 도선(66)상에는 클럭펄스가 전혀 나타나지 않으므로, 상기 클럭화 출력은 복조기에 의해 처리되지 않는다.
가변속도 클럭발생기(142)로부터 4개의 펄스가 또다시 가해시면, 8분할장치(144)의 출력이 높은 상태로 변한다. 이것은 계수기(138)의 클럭입력(LK)과, 병렬-직렬 변환기(146)의 부하입력(LOAD)과, 완셔트(174)의 입력을 모두 트리거시킨다. 완셔트(174)는 100nsec의 지속시간을 갖는 출력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8분할장치(144)의 출력이 높은 상태로 변함에 따라서 계수기(138)의 계수는 1만큼 증가하며, 따라서 RAM번지선(56)상에 나타나는 번지도 1만큼 증가함으로써 병렬-직렬 변환기(146)에 데이타가 부하되고, 또한 완셔트(174)가 트리거됨으로써 부지향 펄스가 발생되어 플립플럽(140)의 세트 입력(SET)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플립플럽(140)의 출력(Q)이 높은 상태로 변함으로써,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로부터의 일련의 클럭펄스가 도선(66)상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데이타는 병렬-직렬 변환기로부터 도선(62)으로 즉시 클럭화 출력되며, 이와 동시에 도선(62)상에는 클럭펄스들이 제공된다.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로부터 4개의 펄스가 또다시 가해지면, 8분할장치(144)의 출력은 다시 낮은 상태로 변한다. 이에 의해 클럭독취선(58)상에는 또하나의 부지향 펄스가 나타나게되며, 이 펄스는 RAM(50)을 RAM번지선(56)상에 나타난 번지위치를 갖는 기억위치로부터 데이타를 향해 근접시키는데,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2단위 메시지내 열내의 다음번 기억 위치로 된다.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출력측에 4개의 펄스가 또 나타나면, 병렬-직렬 변환기(146)내에 이미 부하되어 있는 모든 데이타는 클럭기록선(52)으로 완전히 클럭화출력된다. 8분할장치(144)의 출력이 높은 상태로 변함과 동시에, 병렬-직렬 변환기(146)에는 데이타 독취선(60)상에 존재하는 데이타의 다음번 8비트가 부하되며, 계수기(138)의 계수는 1만큼 증가하고 완셔트(174)가 트리거된다. 데이타의 다음번 8비트는 이때 데이타의 처음 8비트의 클럭화로부터 어떠한 간섭도 없이 도선(62)으로 즉시 클럭화출력된다. 플립플럽(140)은 8분할장치(144)의 출력측에 나타나는 첫번째 정방향 상승단에 의해 이미 세트되어 있으므로, 이 플립플럽(140)의 출력(Q)은 계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클럭펄스의 흐름은 아무런 간섭없이 계속적으로 도선(66)상에 나타난다.
계수기(138)의 출력은 제6멀티플렉서(124)를 통하여 RAM번지선(56)으로 가하여져서 RAM(50)에 대한 번지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교기(130)의 한쪽 입력에도 또한 가하여진다. 비교기(130)의 다른쪽 입력은 제3멀티플렉서(106)의 출력에 연결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멀티플렉서(106)의 출력측에는 스위치(170)내에 고정된 제3단위 메시지 포인터가 있다. 계수기(138)는 8분할장치(144)의 1회의 출력 사이클마다 그 계수를 연속적으로 하나씩 증가시키며, 따라서 접근되고 있는 단위 메시지(본 명세서의 경우에는 제2단위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타를 갖는 RAM(50)기억장치의 부분의 전체 내용을 그 하나의 기억위치씩 차례차례 클럭화시킨다.
계수기(138)의 출력이 다음번 단위 메시지 포인터(본 명세서의 경우에는 제3단위 메시지 포인터)과 동등하게 되면, 비교기(130)는 그 일치여부를 검사하여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출력은 완셔트(132)의 입력에 가하여지고, 이 완셔트(132)는 그 출력(Q)측에 1usec의 부지향 출력펄스를 발생시킨다. 이 부지향 출력펄스는 플립플럽(134)의 세트입력(SET)에 가해지고, 따라서 이 플립플럽(134)의 출력(Q)은 높은 상태로된다. 이에 의해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홀드입력(HOLD)도 높은 상태로 되어서 이 가변속도 클럭발생기(VRCG)(142)의 작동을 억제한다. 이와동시에, 완셔트(132)로부터의 부지향 출력펄스가 개시도선에 가하여지고, 따라서 개시펄스에 반응하는 각종의 장치를 클리어 및 리세트시킴으로써 이 회로를 차후의 지령신호에 대한 준비상태, 즉 최초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와같이, 정지모우션 형태로 플레이되는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과 함께 개별적으로 재생되기 위한 어떤 특정한 클럭화속도에서 복호될 수 있는 단위 메시지들로 구성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타 단위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특별히 부호화된 단위 메시지 포인터들과 함께 군(群)으로 묶어져서 부호화된 오디오 메시지 데이타블록을 형성하며, 이때 이 오디오 메시지 데이타블록은 예컨대 비디오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질상의 비디오 정보를 위해 예비된 디스크부분 혹은 오디오 주파수 정보를 위해 예비된 디스크부분에 기록될 수 있게된다. 이러한 데이타 블록은 디스크로부터 회수되어서 예컨대 RAM과 같은 기억장치내에 기억되고 이 기억장치로 부터 선택적으로 접근되며, 그후 정지모우션 형태로 플레이되는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과 함께 각각의 단위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처리된다. 실제로, 본 발명에 의하며, 선택된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이 정지모우션 형태로 플레이되고 있을때 뿐만이 아니라 예컨대 슬로우모우션으로 재생하거나 프레임을 건너뛰어 재생하는 것과 같은 비디오 디스크의 어떠한 형태의 재생시에 있어서도 개별적인 단위 메시지들의 재생이 가능하게 될 수 있도록, 단위 메시지들의 접근 및 처리의 제어에 있어서 상당한 융통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28)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데이타의 기억 및 선택적인 접근을 조절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이기는 하지만, 이 제어회로(28)내에 포함된 논리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에 부여하여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하여금 제어회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도 있다. 이와같은 방법은 실제로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내에 설명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원리만 이해한다면 어떤 특정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해서 상술한 기능을 갖도록 효과적으로 프로그램시키는 것은 매우 손쉬운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독특한 형태의 오디오 기록 및 재생분야에 있어서의 특히 정지모우션 오디오 정보의 기록 및 재생분야에 있어서의 상당한 진보를 나타낸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타를 개별적인 단위 오디오 데이타 메시지의 형태로 효과적으로 기억시킴에 있어서, 그리고 이 데이타의 표본화속도를 제어가능하게 선택함에 있어서 훨씬 증가된 융통성을 갖는 효과적인 기술이 제공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몇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도 여러가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다.

Claims (4)

  1.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되는, 다수의 이산 단위 오디오 메시지들(86, Mu1-Mu5)의 연속열로서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되는 복합적인 디지탈 데이타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다수의 이산 단위 오디오 메시지들(86, Mu1-Mu5)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 상기 디스크로부터 상기 복합적인 디지탈 데이타 블럭을 회수하기 위해 플레이어(10)를 사용하는 단계 ; 번지 디지탈 데이타 기억장치(50)내에 상기 회수된 복합적인 디지탈 데이타 블럭을 기억시키는 단계 ;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억장치(50)로부터 회수되어지도록 요구되어지는 상기 다수의 이산단위 오디오 메시지들(Mu1-Mu5, 86)중 상기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확인하는 메시지 선택 지령신호(16)를 발생시키는 단계 ;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억장치(50)로부터 상기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 선택 지령신호(16)에 응답하는 제어회로(28)를 사용하는 단계 ; 그리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억장치(50)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어(10)의 작동을 정지모우션 모드로 개시하는 단계 ; 와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억장치(50)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단계와 함께, 상기 복합적인 디지탈 데이타 블럭과 관련되는 비디오 데이타의 단일 이산 블럭을 재생하는데 정지모우션 모드의 작동으로 플레이어(10)를 사용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는 상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된 복합적인 디지탈 데이타 블럭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억장치(50)내의 소정 기억위치들(0000-BFFF)에 기억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억위치들은 연속적으로 번지 지정되는 상기 방법.
KR1019830000028A 1982-01-25 1983-01-06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된 다수의 이산 단위의 오디오 메시지들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KR890000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229182A 1982-01-25 1982-01-25
US342291 1982-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04A KR840003504A (ko) 1984-09-08
KR890000357B1 true KR890000357B1 (ko) 1989-03-14

Family

ID=2334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028A KR890000357B1 (ko) 1982-01-25 1983-01-06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된 다수의 이산 단위의 오디오 메시지들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084778B1 (ko)
JP (4) JPH0743882B2 (ko)
KR (1) KR890000357B1 (ko)
AT (1) ATE59514T1 (ko)
DE (1) DE3382082D1 (ko)
HK (1) HK34692A (ko)
SG (1) SG134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976A (ja) * 1983-09-26 1985-04-20 Pioneer Electronic Corp ビデオフォーマット信号記録再生方法
US4794474A (en) * 1986-08-08 1988-12-27 Dictaphone Corporation Cue signals and cue data block for use with recorded messages
GB9803623D0 (en) * 1998-02-20 1998-04-15 The Technology Partnership Plc Audio information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1666B2 (ja) * 1975-12-18 1983-07-07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デイスク
JPS5451801A (en) * 1977-10-03 1979-04-24 Hitachi Ltd Picture audio reproducer
JPS54161425A (en) * 1978-06-08 1979-12-21 Kobe Steel Ltd Simulator for showing moved position
JPS5513506A (en) * 1978-07-14 1980-01-30 Nippon Hoso Kyokai <Nhk> Inform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S5625273A (en) * 1979-08-03 1981-03-11 Toshiba Corp Data read system of disk
ATE25907T1 (de) * 1979-08-15 1987-03-15 Discovision Ass Aufzeichnung von video- und audio-information auf einer platte fuer standbildwiedergabe sowie verfahren und geraet zum herstellen und wiedergeben einer solchen aufzeichnung.
FR2464003A1 (fr) * 1979-08-17 1981-02-27 Thomson Brandt Enregistrement video sur disque et dispositif de lecture repetitive d'un tel enregistrement
US4317131A (en) * 1979-09-10 1982-02-2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pictures and related audio information
JPS5647907A (en) * 1979-09-20 1981-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for digital signal
JPS5648771A (en) * 1979-09-29 1981-05-02 Toshiba Corp Recording disk and synchronous controller for its reproduced signal
JPS5672773A (en) * 1979-11-19 1981-06-17 Toshiba Corp Storage retrieval system for picture information
JPS5687237A (en) * 1979-12-14 1981-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or reproduc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9514T1 (de) 1991-01-15
DE3382082D1 (de) 1991-02-07
JPH0743882B2 (ja) 1995-05-15
KR840003504A (ko) 1984-09-08
JP2597083B2 (ja) 1997-04-02
JP2726394B2 (ja) 1998-03-11
EP0084778B1 (en) 1990-12-27
SG13492G (en) 1992-04-16
JPH07134866A (ja) 1995-05-23
EP0084778A3 (en) 1987-03-18
JP2501521B2 (ja) 1996-05-29
JPH07262702A (ja) 1995-10-13
HK34692A (en) 1992-05-22
JPH08255463A (ja) 1996-10-01
JPS58133087A (ja) 1983-08-08
EP0084778A2 (en)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393A (en) Multiple variable rate audio message playback
US4727433A (en) Video/audio coded data recovery from a record medium
US4638377A (en) Selectable video/audio coded data recovery from a record medium
CN100361524C (zh) 消除运动图像专家组特技模式中画面人工因素方法和设备
JP3877759B2 (ja) バッファメモリ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4703368A (en) Multiple variable rate audio message recording and playback
CN100364004C (zh) 记录数据产生和记录介质重放的装置和方法
JPH04216288A (ja) デジタル化されたテレビジョン画像用の転送システム
KR890007213A (ko) 디지탈 신호 기록장치
KR890000358B1 (ko)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된 다수의 이산 단위 오디오 메시지들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KR890000357B1 (ko)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된 다수의 이산 단위의 오디오 메시지들중 선택된 단위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하는 방법
KR940010048A (ko) 고 비트율의 기록 장치 또는 기록 재생 장치
US4587558A (en) Address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a memory circuit
US4672473A (en) Audiovisual disc recording
EP0095715A2 (en) Extended play videodisc
US7551840B2 (en) Video tape recorder and recording method
CN1125563C (zh) 数据记录方法
JP3906610B2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576191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