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19B1 -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19B1
KR890000219B1 KR1019850005641A KR850005641A KR890000219B1 KR 890000219 B1 KR890000219 B1 KR 890000219B1 KR 1019850005641 A KR1019850005641 A KR 1019850005641A KR 850005641 A KR850005641 A KR 850005641A KR 890000219 B1 KR890000219 B1 KR 89000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delay time
video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553A (ko
Inventor
이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5000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219B1/ko
Publication of KR87000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2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using signals recorded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제1도는의 (a) (b) (c)는 영상헤드가 자기 테이프의 트랙을 트래킹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트랙을 정상으로 트래킹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b)는 영상헤드가 트랙을 약간 이탈하여 트래킹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c)는 영상헤와 트랙이 서로 바뀌어 트래킹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 자동 트래킹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 트래킹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폭기 2 : 적분기
3 : 디지탈/아날로그 콘버터 4 : 버퍼
5 : 마이크로 프로세서 6 : 파형정형기
7 : 프로그래머블 모노멀티 8 : 트리거러블 적분기
9 : 에러신호 출력장치 10 : 지연시간신호 출력장치
11 : 디스플레이장치 12, 13 : 발진기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용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를 녹화 및 재생하는 영상녹화 재생기에 있어서, 재생시 영상헤드가 녹화한 트랙을 정확히 트래킹하여 영상신호를 깨끗이 재생할 수 있게한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트래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녹화 재생기는 제1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개의 영상헤드(CH1)(CH2)가 자기테이프(T)의 트랙(A)(B)을 수평방향에서 대략 60°정도 경사진 헬리컬상으로 트레이스하면서 영상신호를 녹화하게 되고, 재생시에는 영상헤드(CH1)(CH2)가 트랙(A)(B)에 녹화시와 일치되게 트래킹을 해야만 영상신호를 깨끗이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정상신호를 재생시킬 경우에 제1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헤드(CH1)(CH2)가 트랙(A)(B)을 정확하게 트레이스하지 못하면 재생된 영상신호의 출력레벨이 낮아지고, 영상 잡음비가 높아지게 되고, 심하면 화면에 잡음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제1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헤드(CH1)(CH2)가 서로 다른 트랙(B)(A)을 트레이스 즉, 영상헤드(CH1)가 트랙(B)을 트레이스하고, 영상헤드(CH2)가 트랙(A)을 트레이스할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영상신호를 깨끗하게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이와같이 영상신호를 깨끗이 재생하기 위하여 영상헤드(CH1)(CH2)가 트랙(A)(B)을 정확히 트레이스하게 제어하는 것이 서어보회로이고, 이는 자기테이프(T)를 주행시키는 캡스턴 모우터 또는 영상헤드(CH1)(CH2)가 설치된 헤드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모우터의 위상 및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데, 이러한 서어보회로는 녹화시 자기테이프(T)에 기록된 제어펄스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제어펄스신호를 자기테이프(T)에 기록 및 재생시키는 제어헤드의 설치위치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즉, 제어헤드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면 제1도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헤드(CH1)(CH2)가 트랙(A)(B)을 정확하게 트레이스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녹화 재생기에 제어헤드를 설치하는 위치를 규격화하고 있으나, 그 규격 범위내에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오차는 영상녹화 재생기 자체에서 직접 녹화하지 않고 다른 영상녹화 재생기에 의해 녹화되어 시판되는 자기테이프를 구입하여 재생할 경우에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외부에 트래킹 조정용 가변저항을 설치하고, 그 가변저항으로 헤드 절환신호와 소정의 시간간격을 갖게 제어펄스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를 제어하여 영상헤드(CH1)(CH2)가 트랙(A)(B)을 정확히 트레이스하게 조정하였다.
그런, 이와같은 트래킹장치는 다른 영상녹화 재생기에 의해 녹화된 자기테이프를 구입하여 재생시킬 때마다 트래킹 조정용 가변저항을 조정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그 가변저항이 지연회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지연특성이 변화되고, 또한 제어펄스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주위의 온도 및 습도변화에 따라 가변되어 최량의 상태로 지연회로를 조정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조정해야 되는 결함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같은 종래의 수동 트래킹장치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자동트래킹장치가 있으나 이들의 대부분은 자기테이프(T)의 트랙(A)(B)에 자동트래킹장치를 위한 별도의 파이로트(pilot)신호를 기록시키는 등 특별한 녹화방법을 필요로 하므로 기존의 영상녹화 재생기와 호환성이 없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별도의 파이로트 신호등을 이용하지 않고, 영상헤드(CH1)(CH2)에 의해 재생된 영상신호의 크기가 가장 큰 시간까지 즉, 헤드스위칭 신호와 일정한 시간간격을 갖게 제어펄스신호를 자동으로 지연시킴으로써 영상헤드(CH1)(CH2)가 트랙(A)(B)을 정확히 트레이스하게 함은 물론 기존의 영상 녹화 재생기와 호환성이 있는 자동 트래킹장치를 창안한 것으로, 이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헤드(CH1)(CH2)에 의해 테이프(T)에서 재생된 영상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1)와, 상기 증폭기(1)의 출력신호를 적분하는 적분기(2)와, 상기 적분기(2)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3)와, 레지스터(Reg1-Reg15)(Reg X)(Reg Y) 및 지연카운터(DEC), 지연카운터 플래그(DCF), 데이터카운터(DAC)로 구성되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3)의 출력신호 및 버퍼(4)을 통한 헤드 절환신호로 재생 영상신호의 크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크기에 따라 제어펄스신호의 지연시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5)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파형 정형기(6)를 통한 제어펄스신호를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는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모노멀티(7)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모노멀티(7)의 출력신호를 기존의 서어보회로에 입력시키는 트리거러블(Triggerable) 적분기(8)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의 제어로 에러신호 및 지연시간 신호를 각기 출력시키는 에러신호 출력장치(9) 및 지연시간 신호 출력장치(10)와, 상기 에러신호 및 지연시간 신호 출력장치(9)(10)의 출력신호로 에러 및 지연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 13은 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 및 프로그래머블 모노멀티(7)의 클럭신호를 출력시키는 발진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녹화 재생기를 동작시켜 영상헤드(CH1)(CH2)가 테이프(T)에 녹화된 영상신호를 재생시키면, 그 재생된 영상신호는 증폭기(1)에서 증폭되고, 적분기(2)에서 적분되며,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3)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5)에 입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영상녹화 재생기가 동작될 때 제3도에 도시한 신호 흐름도에서와 같이 레지스터(Reg X) 및 지연카운터(DEC), 지연카운터플래그(DCF)는 세트시켜 일정 초기값을 갖게 하고, 레지스터(Reg Y) 및 데이터카운터(DAC)는 리세트시켜 0으로 만들며, 지연카운터(DEC)에 세트된 초기값을 프로그래머블 모노멀티(6)에 입력시켜 서어보회로의 초기 동작을 제어한 후 모오드 신호로 영상녹화 재생기의 모우드를 확인하여, 재생 모우드가 아닌 녹화 모우드일 경우에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서오보회로가 초기 동작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하고, 재생모우드일 경우에는 버퍼(4)를 통해 입력되는 헤드절환 신호의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시간 즉, 헤드 절환 신호의 상태가 반전될 때까지 대기한다.
여기서, 제로 크로싱 시간까지 대기하는 것은 영상헤드(CH1)(CH2)가 그 시간부터 테이프(T)의 트랙(A)(B)을 트레이스하기 시작하여 녹화된 영상신호를 재생하게 되기 때문이고, 그 한 프레임의 재생영상 신호를 얻기 위한 것이다.
한편, 헤드 절환신호의 제로크로싱 시간이 되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3)신호를 레지스터(Reg1-Reg15)저장 즉, 500μsec를 지연시키고, 데이타 카운터(DAC)에 저장된 값에 1을 가산하며,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3)의 출력신호를 입력시켜 레지스터(Reg1-Reg15)에 저장한 후 데이터 카운터(DAC)에 저장된 값을 조사하여 그 저장된 값이 15가 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면서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터(3)의 출력신호를 레지스터(Reg1-Reg15)에 차례차례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카운터(DAC)에 저장된 값이 15가 되면 레지스터(Reg X)에 저장된 값을 레지스터(Reg Y)에 이동시키고, 다음의 동작 수행을 위하여 데이터 카운터(DAC)를 리세트시키며, 레지스터(Reg1-Reg15)에 저장된 값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그 평균값을 레지스터(Reg X)에 저장한 후 레지스터(Reg Y)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상태를 조사한다.
결국, 이때 레지스터(Reg X)에 저장된 값은 현재 프레임의 평균값이고, 레지스터(Reg Y)에 저장된 값은 바로 이전 프레임의 평균값이다. 따라서, 제1도의 (a)에서와 같이 영상헤드(CH1)(CH2)가 트랙(A)(B)을 정확히 트레이스할 경우에는 레지스터(Reg X)(Reg Y)에 저장된 값이 같게 되나, 제1도의 (b)(c)와 같이 트레이스하는 경우에는 레지스터(Reg X)(Reg Y)에 저장된 값이 서로 다르게 된다.
여기서, 레지스터(Reg X)에 저장된 값이 레지스터(Reg Y)에 저장된 값보다 클 경우와, 작거나 같을 경우에 각기 다른 동작 즉, 비교된 값에 따라 제어펄스신호의 지연시간을 연장 또는 단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제1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헤드(CH1)(CH2)가 좌측으로 치우쳐서 트랙(A)(B)을 트래킹 할 경우에는 영상헤드(CH1)(CH2)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야 되므로 제어펄스 신호의 지연시간을 단축시켜 자기 테이프(T)의 진행 위상을 영상헤드(CH1)(CH2)에 비하여 빠르게 해야되고, 상기와는 반대로 우측으로 치우쳐 트래킹할 경우에는 제어펄스신호의 지연시간을 증가시켜 자기테이프(T)의 진행위상을 영상헤드(CH1)(CH2)보다 늦게 해야 되며, 그리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는 제어펄스신호의 지연시간을 연장하고 있었는지 또는 단축하고 있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레지스터(Reg X)에 저장된 평균값이 레지스터(Reg X)에서 이송되어 레지스터(Reg Y)에 저장된 바로전의 트래킹한 평균값보다 크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값을 1로 하여 제어펄스신호의 지연시간을 연장시키고 있었다면, 지연카운터(DEC)의 값에 1을 가산하여 그 지연시간을 좀더 연장함과 동시에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값을 1로 계속 유지하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값을 0으로 하여 제어펄스 신호의 지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었다면 지연카운터(DEC)의 값에 1을 감산하여 그 지연시간을 좀더 단축시키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값을 0으로 계속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레지스터(Reg X)의 값이 레지서트(Reg Y)의 값보다 작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값을 1로 하여 지연시간을 연장하고 있었으면 지연카운터(DEC)에 1을 감산하여 지연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값을 0으로 하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의 값을 0으로 하여 지연시간을 단축하고 있었으면, 지연카운터 (DEC)에 1을 가산하여 지연시간을 연장함과 동시에 지연플래그(DCF)의 값을 1로한다.
이와같은 동작은 방금 트래킹하면서 재생하여 레지스터(Reg X)에 저장한 영상신호의 평균값과 레지스터(Reg Y)에 저장한 레지스터(Reg X)의 초기값 또는 바로전에 트래킹하면서 재생하여 저장한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제어펄스 신호의 지연시간을 연장 또는 단축시키면서 영상헤드(CH1)(CH2)가 최적의 상태로 트랙(A)(B)을 트레이스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이와같은 동작은 헤드 절환신호의 한 프레임에 한번씩하게 된다.
그리고, 지연카운터(DEC)에 1을 감산 또는 가산하고, 지연카운터 플래그(DCF)를 1 또는 0으로 한 후에는 지연카운터(DEC)의 값을 검사하여 그 값이 0-15를 벗어나면 에러(error)로 판별하고, 이 때 제어펄스신호의 지연시간을 일정시간 범위로 정하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주행계의 불량 또는 기타 다른 부위의 동작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에러신호 출력장치(9)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에 이를 표시하고, 지연카운터(DEC)의 값이 0-15의 값 이내이면 0-15범위 내에 있는 지연카운터(DEC)의 값으로 프로그래머블 모노멀티(7)를 제어하여 파형정형기(6)를 통한 제어펄스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트리거러블 적분기(8)로 적분되어 서어보회로에 입력되게함과 동시에 지연시간 신호 출력장치(10)를 제어하여 제어펄스 신호의 지연된 시간을 디스플레이장치(11)에 표시한 후 상기의 재생모우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동작부터 다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영상헤드가 자기테이프를 트레이스하면서 재생한 영상신호의 평균값과 바로전에 재생한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제어펄스신호의 지연시간을 자동으로 가변함으로써 영상헤드가 최적의 상태로 트래킹하는 것이 자동으로 조절됨은 물론 별도로 파이로트 신호등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영상녹화 재생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호환성이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증폭기(1)를 통한 재생영상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기(2)의 출력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퍼(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콘버퍼(3)의 출력신호 및 버퍼(4)를 통한 헤드 절환신호로 한 프레임당 재생된 영상신호의 평균값을 구하고, 그 평균값과 바로 전 프레임의 평균값을 비교한 후 그 차이에 따라 프로그래머블 모노멀티(7)를 제어하여 제어펄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5)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모노멀티(7)의 출력 제어펄스신호를 적분하여 서보회로에 입력시키는 트리거러블 적분기(8)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의 제어로 에러신호 및 지연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에러신호 출력장치(9) 및 지연시간 신호 출력장치(10)와, 상기 에러신호 및 지연시간신호 출력장치(9)(10)의 출력신호로 에러 및 지연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트래킹장치.
KR1019850005641A 1985-08-05 1985-08-05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KR890000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641A KR890000219B1 (ko) 1985-08-05 1985-08-05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641A KR890000219B1 (ko) 1985-08-05 1985-08-05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553A KR870002553A (ko) 1987-03-31
KR890000219B1 true KR890000219B1 (ko) 1989-03-10

Family

ID=1924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641A KR890000219B1 (ko) 1985-08-05 1985-08-05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2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553A (ko) 198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076000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положением магнитной головки на наклонных строчках записи
KR890000219B1 (ko) 영상녹화 재생기의 자동 트래킹장치
KR100263685B1 (ko) 정보 신호 기록 재생 장치
KR910010184B1 (ko) 앙콜 재생방법
JPS63317996A (ja) ビデオ編集装置
KR100207714B1 (ko) 불량 컨트롤 신호 재생장치 및 방법
JPS622525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73447A (ja) 記録再生装置
JP2626017B2 (ja) タイムコード信号の遅延処理回路
JP270140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4941058A (en) Data signal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of a VCR
KR870000047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제어신호기록 및 재생시스템
KR940001131Y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vcr)의 슬로우 구동장치
JPH01184651A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SU5728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мпенсации временных искажений в видеомагнитофоне с наклонно-строчной записью информации
JPS6234305A (ja) 磁気テ−プ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の調整方法
JPS61196453A (ja) 情報信号再生装置
KR940016086A (ko) 마이콤을 이용한 모터의 서보제어방법
JPH06180831A (ja) アジマス角調整装置
JPS63220495A (ja) デジタル音声情報処理装置
JPH031856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259281A (ja) 回転ヘツド型再生装置
JPS6258446A (ja) 再生装置
JPH04103006A (ja) デジタルテープレコーダ
JPS6260180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