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151B1 - 관형 열교환기의 세척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관형 열교환기의 세척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151B1
KR890000151B1 KR1019830002565A KR830002565A KR890000151B1 KR 890000151 B1 KR890000151 B1 KR 890000151B1 KR 1019830002565 A KR1019830002565 A KR 1019830002565A KR 830002565 A KR830002565 A KR 830002565A KR 890000151 B1 KR890000151 B1 KR 89000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downstream
stage
gri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358A (ko
Inventor
비자르 엠.앙드레
Original Assignee
떼끄노 에 꽁빠니에
비자르 엠.앙드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2748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900001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떼끄노 에 꽁빠니에, 비자르 엠.앙드레 filed Critical 떼끄노 에 꽁빠니에
Publication of KR84000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2Fluid-propelled scrapers, bullets, or like soli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형 열교환기의 세척물질 분리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Ⅰ-Ⅰ을 따라 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 3 도는 이러한 분리장치의 구성요소인 하류단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제 4 도는 제 3 도와 유사한 설명도.
제 5 도는 Ⅵ-Ⅵ을 따라 절단한 축단면도.
제 6 도는 Ⅴ-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의 실시예를 도시한 축단면도.
제 9 도는 이러한 분리장치의 비대칭적 변형을 도해한 선도
제 10 도 및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의 실시예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관 2 : 세척물체
3 : 콜렉터 4 : 그리드
6 : 깔때기 7 : 격벽
본 발명은 두 유체사이에 열을 교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큰 덴서 모양으로된 관형연교환기가 포함되어 있고, 그 안에서 순환유체에 의하여 관속으로 유입되는 탄력성 있는 구형(求刑)고체에 의하여 관의 내부가 청정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세척물체를 관의 입구쪽으로 재순환시키기 위하여 관의 출구에서 그 운반유체로 부터 분리시키는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열교환기의 도관(導管)속에 설치되어 있는 2단(段)연속 그리드 또는 아날로그 분리기와 제 2 단분리기의 출구에 연결되고, 유체의 주류(主流)에서 분리된 세척물체를 받아서 도관 밖으로 배출할 수 있또록 배치된 콜렉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콜렉터가 재순환펌프의 흡인관(吸引菅)으로 되어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단분리기는 위에서 말한 도관으로 부터 Z축에 대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가로방향 X 및 Y에 따라, 세척불체를 집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2단분리기의 제 1 단, 다시 말하면 상단(上段)에는 세척물체중에서 가장 작은 치수보다 더 좁은 간격으로 등거리(等距離) 평행배열된 여러개의 살로 구성되어 있는 1개 이상의 그리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그리드는 출구도관을 가로질러 비스듬히 설치되고, 그리드의 살은 X 방향과 관의 축(Z)에 포함된 평면과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우체는 그리드를 관통하되, 세척물체는 그리드에 걸려서 그리드살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상단(上端)까지 안내된 다음에, 그리드살에 의하여 X방향에 따라, 구부러진다.
2단분리기중 제 2 단, 다시 말하면 하단(下段)은 대개 방향에 따라 하류하류(下流)쪽으로 수렴(收斂)되는 비교적 편편한 깔때기 모양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깔때기는 제 1 단의 하단(下端)에서 나오는 세척물체를 받아들일 수 있또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깔때기의 횡단면은 Y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적어도 그 격벽(隔璧)중 1은 Y 방향을 따라 뻗어 있으 유체는 투과할 수 있으되, 세척물체는 투과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 그 격벽중 적어도 1이상은 X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고, Y방향에 따라 하단 콜렉터까지 세척물체를 우회시키는데 적합한 전향(轉向)장치를 구성한다.
앞으로 상세히 설명하려는 2단분리기는 서로 완전히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2단분리기는 서로 연속되는 형태로 합체(合體)시킬 수도 있는데, 예컨데, 제 2 단을 구성하는 깔때기의 투과성 격벽을 제 1 단을 구성하는 그리드의 하단을 연장시켜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분은 안쪽으로 구부러진 부분에 의하여 예각예각(銳角)을 형성함이 없이 그리드의 나머지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분리장치를 관류하는 유체에 세척물체와 비슷한 크기의 많은 불순물(조개껍질, 나무부스러기 등과 같은)이 들어 있는 때에는 제 1 단의 그리드에 의하여 세척물체와 동시에 제 2 단의 깔때기 속으로 들어간 불순물은 어떤 상태에서는이러한 깔때기의 투과 격벽에 달라 붙어서 그 구멍을 메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폐색(閉塞)으로 인하여 투과격벽을 관통하는 유량(流量)이 감소되는 한편, 까때기 않에 있는 세척물체를 콜렉터 쪽으로 흡인하는 힘도 감소된다.
이러한 감소는 세척물체를 깔대기의 상부 또는 적어도 콜렉터의 상부에서 움지이지 못하게 하고, 이를 그 곳에 축적시켜서 결국에는 분리를 달성하지 못하게 한다.
투과 격벽을 관류(貫流)하는 유체의 정상유량이 세척물체를 콜렉터 쪽으로 이끌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정상유량은 세척물체를 따라 콜렉터안으로 유입된 유체의 잔여 유량보다 약 20배 정도 더 많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불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깔때기의 격벽을 가로 질러 일시적으로 유체를 역류(逆流)시켜서 이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 발명은 깔대기의 투과성격벽이 폐색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다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위에서 발한 분리장치에는 세척물체가 장전(裝塡)된 유체의 흐름을 구획(區劃)하는 수로의 격벽으로 부터 Y 방향이 아니라 X방향으로 대향대향(對向)하는 격벽까지 뻗어 있는 방아쇠고리와 상류도관이 그물눈의 1과 마주 뚫려 있어서 우체가 아래로 흐르는 도중에 이러한 방아시 고리가 있기 때문에 생기는 소용돌이가 배출될 수 있또록 배치된 하류 콜렉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본질적인 특징이다.
많이 사용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에 설명한 장치 이외에도 다음에 기술하는 장치도 이용한다.
방아쇠고리는 편편하거나 부분적으로 안으로 굽은 금속판으로 만든다.
분리기, 즉 이를 위하여 깔때기의 내부에 방아쇠고리를 배치한 분리기 속에서, 깔때기의 투과성격벽중 방아쇠고리의 상류쪽에 위치한 부분을 구멍이 없이 온전하다.
깔때기의 투과성격벽은 공간의 넓이가 약 50퍼센트의 비율로 구멍이 뚫려 있는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방아쇠고리의 Y방향 치수(1)와 Y방향으로 방아쇠고리에 이르는 수로(水路)의 내부폭(L)사이의 비(比)는 0.2 내지 0.9 이며, 대개는 0.3 내지 0.4의 비를 이용한다.
방아쇠고리와 깔때기의 하류단 사이의 축(Z)과 평행되는 거리는 바앙쇠 고리의 Y 방향치수(1)의 0.5 내지 2배에 해당한다.
방아쇠고리는 수로의 내부폭의 중앙에 Y방향으로 배치되고, X방향에 대하여 수직면으로된 깔때의 우측단면은 2등변 사다리 꼴로 되어 있고, 이 2등변 사다리꼴의 윗변은 방아쇠고리의 Y방향치수의 2분의 1에 상당한다.
깔때기는 비대칭적(非對稱的)이며, 방아쇠고리는 Y방향으로 뻗어 있고 깔때기의 2격벽뿐 아니라, X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는 깔때기의 격벽중 1과도 인접되어 있다.
방아쇠고리는 용접에 의하여 수로의 경계를 정하는 투과성 격벽에 이를 고정시킨다.
방아쇠고리를 도관에 고정시킨다.
콜렉터의 상류공(上流孔)은 방아쇠 고리 바로 하류에 뚫려 있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는 별도로, 많이 이용되는 다른 실시예로 포함되는데, 이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분리기는 관형 열교환기에서 나오는 유체가 순환하는 Z축 도관(1)을 가로 질러 설치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유체는 화살표 F로 표시되어 있다.
이 유체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개는 탄성재료(彈性材料)로 만들어지고, 즉 직경이 세척될 관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공(球)으로 되어 있는 세축물체를 대동(帶同)한다.
이러한 본리기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된 X 및 Y 방향에 세척물체(2)를 집결시키고, 유체가 그 운반장치에 의하여 흐르는 과정에서 세척물체를 분리시킨 다음에, 이를 도간(1) 밖에 설치된 콜렉터(3)의 상류공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는데 이용되는 2개의 층(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상류공(上流孔)은 재순환펌프의 흡인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기의 제 1 단, 다시 말하면 상류단(上流段)에는 축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어서 우체(F)는 관통할 수 있으나, 세척물체(2)는 통과할 수 없는 그리드(4)가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그리드(4)는 등거리로 평행배열된 여러 개의 살로 구성되어 있으며, 살 사이의 간격은 세척물체(2)중에서 가장 작은 치수보다 더 작다.
이와같은 창살(5)은 그리드(4)의 가장 큰 사선(斜線)과 평행으로 뻗어 있고, 이 사선자체는 Z축과 X방향이 포함된 평면(P)내에 들어 있다.
유체(F)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운반된 세척물체(2)는 그리드(4)에 부딛치면 이 그리드에 의하여 X방향으로 비스듬히 구부러진 다음에 살(5)을 따라 미끄러져서 그리드의 하단(下端)에 이르게 된다.
이 깔때기(6)은 그리드(4)의 하류단에 이하여 전달된 세척물체를 자동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대개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깔때기의 황단면은 Y방향으로 길게 늘어나 있다. 깔때기의 Y방향으로 뻗어 있는 격벽(7)중의 적어도 1은 유체(F)만 투과할 수 있고, 세척물체(2)는 투과하지 못하며, 여기에서 제 2 격벽(7)은 도관(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X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는 깔때기(6)의 2격벽(8)중 적어도 1은 세척물체(2)를 Y방향으로 깔때기의 하류단까지 우회시킬 수 있는 전향장치를 구성하며, 여기에서는 2격벽(8)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위에서 말한 깔때기(6)안에는 콜렉터(3)의 흡인구(吸引口)가 뚫려 있다.
이 발명에 의한 투과성격벽(7)이 폐색되는 위험을 막기 위하여 이 깔때기와 Y방향이 아니라 X방향으로 대향하여 격벽과 한쪽에서 한쪽으로 연결된 작은 다리(脚) 또는 방아쇠고리(9)를 깔때기 속에 제공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아쇠 고리는 우체(F)가 정상적으로 깔때기 속에 삼투(渗透)할 수 있도록 유체의 주류(主流)를 가로 질러서 배치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유체의 주류중 일부가 X방향이 아니라, Y방향으로 굴절하게 된다.
세척물체(2)와 경우에 따라서는 불순물이 실려 있는 우체의 전량은 "접선적(接線的)"으로 주어진 수량만큼 삼투한 다음에는 깔때기의 하류부분, 다시 말하면 방아쇠고리(9)의 하류에 배치된 부분으로 집결된다.
이러한 유체는 제 4 도의 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에서 말한 하류부분에서 심한 소용돌이 운동을 하게되며, 따라서, 사실상 이러한 흐름을 구성하는 유체(F)의 대부분이 격벽(7)을 가로질러서 다시 말하면 소용돌이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제 1 도에서 화살표 G방향)배출되기 전에는 위에서 말한 용적(容積)의 내부에서는 달리 순환할 수 없다.
경험에 의하면 선회망(旋回網)(T)에 의하여 운반되고, 격벽(7)을 통과할 수 있을만한 크기의 세척물질과 기타의 불순물이 자동적으로 신속히 콜렉터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또록 콜렉터의 상류흡인공(3)을 선회망중 1 에 근접시켜 배치하면 충분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위에서 설명한 방아쇠고리를 깔때기에 가로 질러 덧대는 것만으로써 얻게 된 이러한 결과는 실제로 매우 큰 이점(利點)을 제시하는데, 사실상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이제까지 깔때기의 투과성격벽에서 제기되었떤 폐색, 다시 말하면 이러한 격벽의 청소량과 회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폐색의 위험을 거의 전부 저지할 수 있다.
유체가 깔때기의 하류부분에서 선회운동을 하는 형태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방아쇠 고리(7)가 깔때기의 너부 중앙지점에 Y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깔때기 자체가 평면(P)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때에는 이 평면(P)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2개의 소용돌이 형태로 된ㄷ.
이러한 경우에는 2개의 소용돌이는 어떠한 형태로든 평면(P)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서로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제 9 도에 도해된 바와같이, 비대칭적 깔때기도 구상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대칭적 깔때기는 대칭적인 경우의 예에 따라, 깔때기의 하류부분에 격벽을 만들어 위에서 말한 평면(P)을 구체화(具體化)시켜서, 이 하류부분의 1/2씩을 비대칭적 깔때기에 상응하게 함으로써 이를 실현시킬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방아쇠고리는 깔때기의 2격벽에 Y방향과 평행으로 인접시킬 뿐 아니라 이 깔때기의 격벽중 1에 X방향과 평행으로 인접시킨다. 방아쇠고리는 일반적으로 편편한 금속판으로 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대개 그 중앙에서 구부러지거나 안쪽으로 휜 부분이 포함되어 있따. 이러한 방아쇠고리의 방향 너비는 깔때기의 너비와 같다. 그러나, 방아쇠고리는 반드시 그 연결된 2격벽과 연동(連動)될 필요는 없다.
더구나, 분리기가 가로축의 둘레는 Y방향과 평행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청소를 하기 위하여 그 경사를 반대로 하여 우체(F)의 순환방향을 일시적으로 역전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방아쇠고리를 투과성격벽(7)에 용접을 하여 고정시키면,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해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의 변형으로서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아쇠고리를 도관(1)위에 고정시키는 것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콜렉터(3)의 상류구멍이 방아쇠고리(9)의 바로 하류에 뚫려 있다. 이러한 변형에서는 방아쇠고리의 중앙부분(91)하류쪽로 트여있는 반원형 단면으로 되어 있고, 콜렉터(3)의 상류관을 구성하고 있다.
투과성격벽(7)중 방아쇠고리의 상류에 위치한 부분(11)은 격벽으로 만드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의 실시예는 위에서 말하는 격벽(11)이 관(91)과 연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뼈대(12)을 제공하여 그리드(4)와 깔때기(6)의 투과성격벽(7)사이를 연동시키는 배치에 적합하다.
방아쇠고리의 Y방향 폭은 Y방향으로 이 방아쇠고리 수준까지의 깔때기 너비(L)의 몇분의 1이다(제 4 도 참
이러한 너비는 0.3 내지 0.4이고, 대개는 0.2 내지 0.9를 이용하는데, 그 값이 0.2보다 적은 때에는 방아쇠고리가 너무 좁아서 소용돌이가 이 방아쇠고리의 하류에 위치한 깔때기 용적의 매우 적은 부분에만 미치게 되고, 그 값이 0.9를 초과하면, 깔때기의 하류부분에 도달하는 세척물질을 실은 유체의 유량이 소용돌이의 크기에 비하여 너무 적기 때문에소용돌이의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실제의 폭(L)은 대개 20 내지 60센티미터이다. 방아쇠고리(9)와 깔때기의 바닥사이의 거리를 Z축에 평행으로 측정하여 이를 h라고 하면, 이 거리(h)는 0.5(1)에서 2(1)사이가 유리하며, 유리한 값은 1.2이다.
이러한 깔때기의 바닥은 대개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있어서, 깔때기는 3각형이 아니라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그 너비(L)는 대개 0.5(1)에서 L사이며 (1)과 동일한 너비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너비가 값에 달하면, 깔때기의 하류부분은 장방형의 종단면으로 되어, 그 자체는 별로 관심의 대상에 되지 않고 기능면에서 보면, 이 깔때기의 하류의 그 모서리에는 콜렉터 쪽으로 빠져 나가지 못한 세척물체와 불순물이 가득 차게 되고, 이와같이 축적된 세척물체와 불순물 집단의 표면은 추출효과가 좋은 사다리꼴의 자유로운 내부용적의 범위를 정한다. 투과성격벽(7)은 그리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그리드(4)는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그 하류단(下流端)이 Z축과 평행으로 접혀져 있는 경우가 있다.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에서 말한 투과성격벽은 공간의 비율이 예를 들면 50퍼센트정도로 비교적 높게 구멍이 뚫려 있는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많이 이용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에서 말한 투과성격벽은 공간의 비율이 예를 들면 50퍼센트 정도로 비교적 높게 구멍이 뚫려 있는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제 7 도 및 8 도의 실시예는 도관(1)속에 자리한 분리기가 Y방향과 평행되는 축평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어 있는 2개의 기본 분리기로 분해되는, 제 1단분리기가 세척물체를 X방향에 따라 도관(1)의 측벽이 아니라, 이 도관의 축 쪽으로 집결시키느 것이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이 2개의 분리기중 제 2 단 분리기를 구성하는 깔때기는 단일 중앙깔때기(6)로 합류되고, Y방향과 평행으로 된 그 격벽(7)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도면상에서는 이러한 깔때기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 콜렉터(3)의 상류 취수구(上流取水口)(31,32)에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기본깔때기(61,62)로 구성되어 있는데(제 8 도 참조), 이러한 구조는 깔때기의 축방향 치수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제 7 도 및 8도에서는 제 6 도에서 설명한 프레임(12)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프레임(12)과 도관(1) 내부에 설치되고, 이 도관속에서 평면세로격벽에 의하여 경계까 확정되어 유체(F)가 도관의 중앙으로 접근할 수 있는 용량을 정함으로써 가로유극(游隙)없이도, 분리기가 그 가로회전축(101,102)둘레를 회전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가로상자(13)를 볼 수 있다.
제 10 도 및 11 도는 이중 구조를 단순화 한 실시예를 도해한 것으로서, 제 7 도 및 8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변형에서도, ㄷ(6)는 도관(1)의 중앙에 있으나, 여기에서는 Y 방향에 따라 나란히 병열된 2개의 기본 깔때기로 분해되어 있는데, 제 11 도에서는 이러한 기본 깔때기가 4개 있으며, 그외에도 제 9 도에서 도해한 것과 같은 비대칭적 반(半)기본깔때기 2개가 양측단(兩側端)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깔때기의 구멍이 뚫리지 아니한 여러가지의 상류부분(11)과 여러 가지의 방아쇠고리(9)가 상류쪽으로 트여있고, (15)에서 구멍 뚫린 편편한 바닥으로 표시된 모서리가 날카로운 U자 모양의 단일한 동일단면(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콜렉터(3)의 상류부분도 상류쪽으로 트여있는 U자 모양의 단면(16)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상류쪽의 개방부분은 연속되는 모자모양의 끝부분(17)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막혀 있다.
개방부부(15)과 반대쪽에 배치된 여러가지 끝부분(17)은 위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기본 깔때기의 바닥의 범위를 확정하고, 각각 회전실린더의 1/4정도가 구부러져서 서로 악상 시르콩프레스(
Figure kpo00001
)의 모양으로 연겨뢴 2개의 편편한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제 11도 참조).
결과나 채택하는 실시예가 어떠하든 결국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분리기를 배치하면, 그 구조, 기능, 이점, 특히 하류의 투과성격벽이 폐색될 위험을 자동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는 점등, 위에서 설명한 결과를 충분히 얻게 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별히 고찰하였던 적용예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변형이 특히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이에 포함된다.
위에서 말한 방아쇠고리와 깔때기 바닥 사이의 거리(h)가 깔때기의 축방향 치수보다 작지 아니하고, 이것과 같거나 더 큰 변형으로서, 후자의 경우에는 방아쇠고리(9)가 2단분리기와 연결되는 전이(轉移)구역에서 약간 상류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제 7 도에서 (9')로 도해된 바와같이, 이러한 방아쇠 고리가 있는 수준을 일반적으로 "2단 분리기의 하류구역 사이에 포함된"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방아쇠고리를 구성하는 금속판이 전체적으로 로마네스크양식의 기와처럼 구부로져서 그 볼록(凸)면이 상류쪽을 향하게 하거나, 뾰쪽한 끝이 있는 2면체(二面體)를 상류쪽으로 접는 변형으로서, 이러한 2면체의 2면은 그 볼록면과 함께 상류쪽으로 구부려서, 유체를 이 방아쇠고리의 바로 상류까지 안내할 수 있게 한다.
방아쇠고리를 금속판 이외의 요소, 예를 들면, 직단면(直斷面)이 때로는 곡선삼각형으로 되고, 그 직선측면이 방아쇠고리의 상류에서 유체가 흐르는 일반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뻗어 있고, 그 다른 측면은 이 일반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뻗어 있으며, 이와 같이 비스듬히 뻗어 있는 측면은 경우에 따라서는 구부러져서 그 볼록한 부분이 상류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고 속빈 또는 속이 가득 찬 프리즘이나, 볼록면이 상류로 향하여 있고, 반관(半管)의 종단개구부(縱斷開口部)가 하류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어 이를 편편한 널판지 등으로 폐쇄할 수 있는 속빈 또는 속이 가득찬 반관으로 구성한 변형.
방아쇠 고리의 하류면이 소용돌이를 이 면에 따라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대칭적 깔때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평면 또는 곡선의 이면체 모양으로된 돌출부를 제시할 수 있는 변형.

Claims (1)

  1. 관형 열교환기의 관을 청소한 후, 유체와 함께 이 관형 열교환기에서 나오는 세척물체(2)를 그 운반유체(F)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교환기의 출구도관중 Z축부분(1)속에 설치되고, 서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가로방향으로 세척물체를 집결시키기 위한 2단으로 연속된 2개의 그리도 또는 아날로그 분리기와 제 2단 분리기의 출구에 연결되고, 유체의 주류로 부터 분리된 세척물체를 받아 들여서 이를 도관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2단분리기중 제 1 단, 다시 말하면 상류단(上流段)에는 세척물체중 가장 작은 치수보다 더 작은 간격으로 등거리 평행배열된 살(5)로 구성되어 있는 그리드(4)가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그리드는 위에서 말한 도관을 가로 질러서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을뿐 아니라, 그 살은 이 도관의 X방향과 Z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기 대문에, 우체는 이 그리드를 관통할 수 있으나, 세척물체는 이 그리드에 걸려서 그 살을 따라 하류단(下流段)까지 안내된 다음에 이 살에 의하여 X방향으로 우회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 2 단, 다시 말하면 하류단(下流段)은 대개 Y방향에 따라 하류쪽으로 수렴되는 깔때기(6) 모양으로 되어 있고, 이 깔때기는 제 1 단분리기의 하류단에서 나오는 세척물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깔때기의 횡단면은 Y방향으로 길게 뻗어있고 Y방향으로 뻗어 있는 그 격벽(70중 적어도 1이상은 우체는 투과할 수 있으며, 세척물체는 투과하지 못하며, X방향과 평행으로 된 그 격벽(8)중 적어도 1이상은 Y방향에 따라 하류콜렉터까지 세척물체를 우회시킬 수 있는 전향(轉向)장치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장치에는 세척물체가 실려있는 우체가 흐르는 범위를 한정하는 수로(水路)를 가로 질러 2단분리기의 하류구역, 다시 말하면 위에서 말한 수로의 격벽으로 부터 방향이 아니라 X방향으로 대향(對向)하는 격벽까지의 구역사이에 포함되는 수준까지 뻗어 있는 방아쇠고리(9)가 포함되어 있고, 하류콜렉터3)가 유체의 유로(流路)상에 이러한 방아쇠고리가 있기 때문에 이 방아쇠고리의 하류에서 생기는 소용돌이(T)의 망(網)중 1에 대향하여 그 상류공(上流孔)이 뚫려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교환기의 세척물체 분리장치.
KR1019830002565A 1982-06-09 1983-06-09 관형 열교환기의 세척물질 분리장치 KR890000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2-10055 1982-06-09
FR8210055A FR2528331A1 (fr) 1982-06-09 1982-06-09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pour separer, des fluides qui les transportent, les corps nettoyants des echangeurs a tubes
FR8210055 1982-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358A KR840005358A (ko) 1984-11-12
KR890000151B1 true KR890000151B1 (ko) 1989-03-08

Family

ID=927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565A KR890000151B1 (ko) 1982-06-09 1983-06-09 관형 열교환기의 세척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23634A (ko)
EP (1) EP0096607B1 (ko)
JP (1) JPS59131894A (ko)
KR (1) KR890000151B1 (ko)
AT (1) ATE12141T1 (ko)
CA (1) CA1197792A (ko)
DE (1) DE3360073D1 (ko)
ES (1) ES8402518A1 (ko)
FR (1) FR25283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130A (ko) * 2014-12-24 2016-07-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세정 볼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6982C1 (de) * 1984-02-25 1985-08-01 Taprogge GmbH, 5802 Wetter Schleuse fuer Reinigungskoerper
DE3622396C2 (de) * 1986-07-03 1994-11-24 Taprogge Gmbh Vorrichtung zur Abscheidung von Reinigungskörpern aus einer Kühlflüssigkeit
US5010950A (en) * 1989-09-13 1991-04-30 Water Services Of America, Inc. Ball strainer for circulating ball cleaning system
US5473787A (en) * 1994-06-21 1995-12-12 Betz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ubes of heat exchangers
FR2815548B1 (fr) * 2000-10-25 2003-08-15 Technos Et Cie Grille de separation pour separer des corps nettoyants d'un fluide et dispositif comprenant une telle grille
US20160076832A1 (en) * 2013-05-22 2016-03-17 C.Q.M. Ltd. Blocking Elements for Ball Trap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978A (en) * 1888-07-31 Heating-drum
GB190406128A (en) * 1904-03-12 1905-05-12 Archibald Fraser Burd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ooling, Heating and similar purposes.
US1378715A (en) * 1920-09-11 1921-05-17 Nielsen Harald Heat-exchange apparatus
GB1509204A (en) * 1974-11-14 1978-05-04 Leslie Co Self-cleaning heat exchanger circuit
DE2612905C3 (de) * 1976-03-26 1978-10-05 Ludwig Taprogge, Reinigungsanlagen Fuer Roehren-Waermeaustauscher, 4000 Duesseldorf Vorrichtung zum Abzweigen von Reinigungselementen
US4237962A (en) * 1978-08-11 1980-12-09 Vandenhoeck J Paul Self-cleaning heat exchanger
EP0009137B1 (de) * 1978-09-23 1982-06-09 Josef Koller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abgeriebenen Reinigungskörpern
FR2438814A1 (fr) * 1978-10-11 1980-05-09 Technos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 nettoyage d'echangeurs de chaleur a tubes
JPS55143399A (en) * 1979-04-23 1980-11-08 Hitachi Ltd Cleaner arresting device for tubular heat exchanger
DE2923659C2 (de) * 1979-06-11 1981-12-24 Josef Ing.(Grad.) 4006 Erkrath Koller Vorrichtung zum Abzweigen von Reinigungskörpern
US4350202A (en) * 1979-08-14 1982-09-21 Kleiber & Schulz, Inc. Extractor for recirculating cleaning bodies in a fluid-circulation system
US4351387A (en) * 1980-07-08 1982-09-28 Louis Milia Sieve assembly for cleaning bodies and heat exchanger system including same
US4366855A (en) * 1981-02-27 1983-01-04 Milpat Corporation Self-cleaning recup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130A (ko) * 2014-12-24 2016-07-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세정 볼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4633B2 (ko) 1990-04-09
ATE12141T1 (de) 1985-03-15
EP0096607B1 (fr) 1985-03-13
FR2528331B1 (ko) 1985-01-11
DE3360073D1 (en) 1985-04-18
EP0096607A1 (fr) 1983-12-21
FR2528331A1 (fr) 1983-12-16
ES522729A0 (es) 1984-03-01
US4523634A (en) 1985-06-18
CA1197792A (en) 1985-12-10
KR840005358A (ko) 1984-11-12
JPS59131894A (ja) 1984-07-28
ES8402518A1 (es) 198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202A (en) Extractor for recirculating cleaning bodies in a fluid-circulation system
US37252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ow of fluid
US3885934A (en) Centrifugal tuyere for gas separator
KR20010014570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의 압력손실 저감 장치
KR890000151B1 (ko) 관형 열교환기의 세척물질 분리장치
BG99229A (bg) Сепаратор за разделяне на течност и газ
DE60212692T2 (de) Abfalltrennvorrichtung für staubsauger
US3525197A (en) Separator apparatus
JP3095734B2 (ja) ボイラ蒸気管のスケール捕集装置
US33322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contaminants from gases
US4135574A (en) Device for recovering cleaning elements from a heat-exchanger stream
CA1111784A (en) Deaerator for pulp stock
JPH02223796A (ja) 管束清掃設備から摩耗した弾力性ボールを取り出す装置
DE2022270B2 (de) Geschirrspülmaschine
US411300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leaning elements from a fluid
CZ284499B6 (cs) Zařízení pro odlučování částic z tekutiny obsahující několik komponent
US20220234051A1 (en) Placer recovery of particles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5251690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cleaning bodies for tubular heat exchanger
CN207493362U (zh) 一种高效气液分离设备
SU1066629A1 (ru) Сепаратор
KR970001829Y1 (ko) 흡입관이형성된오일팬스
KR850000806Y1 (ko) 유체 순환 장치의 세척체 재순환용 추출기
JPS62114617A (ja) 濾過器
DE641876C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fluessigen Bestandteilen aus Gasen
JPH08144710A (ja) ボイラの蒸気配管のスケール捕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