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12476A -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12476A
KR880012476A KR870003410A KR870003410A KR880012476A KR 880012476 A KR880012476 A KR 880012476A KR 870003410 A KR870003410 A KR 870003410A KR 870003410 A KR870003410 A KR 870003410A KR 880012476 A KR880012476 A KR 88001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ft truck
control system
truc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0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슐츠 도날드
아서 하독·쥬니어 루이스
Original Assignee
버나드 디·헤네리
크라크 이퀴프먼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나드 디·헤네리, 크라크 이퀴프먼트 캄파니 filed Critical 버나드 디·헤네리
Priority to KR87000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12476A/ko
Publication of KR88001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476A/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서서 운전하는 리프트 트럭(lift truck)의 측면 및 평면의 개략도. 제 4 도는 리프트 트럭의 핸들 제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유압 시스템의 주요 구성품의 계통도.

Claims (35)

  1. 운전실이 있는 공업용 리프트 트럭에 있어서, 운전실로부터 지지되는 샤프트장치 및 샤프트장치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서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어장치에 연결 작동되어서 트럭의 특정 기능들을 제어하고, 샤프트 장치를 따라 앞으로 움직여서 전술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제 1 모드에서 트럭의 기능의 작동을 제어하며, 뒤로 움직여서 제어부에 의해서 제 2 모드에서 트럭의 기능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 운전석이 있는 공업용 리프트 트럭에 있어서, 운전석으로부터 지지되는 샤프트장치 및 샤프트장치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서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어장치에 연결작동되어 트럭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제어장치를 샤프트장치를 따라 앞으로 움직여서 제어장치에 의해서 제 1 모드에서 각각의 트럭의 기능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중립위치로부터 뒤로 움직여서 제어장치에 의해서 제 1 모드에서 각각의 트럭의 기능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작동되는 연결체가 샤프트 장치에서 돌지 못하도록 제어장치를 맞물리게 하는 위쪽 및 바깥쪽으로 뻗은 부분을 갖는 고정된 제어부품을 포함하며 제어장치에 연결작동되어 제어장치를 샤프트장치상에서 움직일때 제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전술한 작동되는 연결체가 제어장치와 제어장치로서 작동되는 제어장치의 부품 사이에 있는 고정된 각이 진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연결장치느 제어장치가 샤프트장치상에서 돌지못하게하기에 적합하며 제어장치의 부품을 작동시키기에 적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의 부품이 축 중심으로 돌 수 있는 레버장치, 샤프트장치상에서 작동하는 동안 제어장치를 따라서 축 중심으로 돌 수 있게 설치된 고정된 연결장치 및 제어장치를 작동시키는 동안 레버장치를 가진 축 중심으로 돌 수 있게 설치 된 레버장치의 움직일 수 있는 끝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장치의 움직일 수 있는 끝부분은 맞무는 장치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고정된 연결장치는 각이 진 로드부로 이루어지며, 한쪽 끝부분에는 제어장치가 물리고, 다른 쪽 끝에는 레버장치가 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7. 운전실, 운전실로부터 지지되는 샤프트장치 및 샤프트장치를 따라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샤프트장치상에 설치된 제어장치로 구성된 제어 어셈블리를 가지며, 제어장치는 트럭의 다양한 유압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밸브장치에 작동되도록 연결되며, 전술한 작동되는 연결체는 밸브장치에 연결되어 운전실로부터 지지되는 축 중심으로 돌 수 있는 레버장치 및 제어장치와 레버장치를 연결하는 고정된 각이 진 장치를 포함하여 제어장치를 샤프트장치를 따라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서 제어장치를 따라서 축 중심으로 돌 수 있는 각이 진 연결장치를 작동시켜서 레버장치가 축 중심으로 움직이고 밸브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용 리프트 트럭.
  8. 제 7 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 및 레버장치는 일반적으로 샤프트장치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횡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용 리프트 트럭.
  9. 제 2 항에 있어서, 전술한 샤프트장치가 리프트 트럭의 중심 세로 축의 바이어스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전술한 샤프트장치가 아래 및 좌측으로 경사져서 트럭의 앞쪽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기는 다른 것들로부터 제어장치를 보호하며,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게 제어장치상에 설치된 다수의 베어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베어링장치가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게 샤프트장치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 2 의 베어링장치가 하나의 베어링장치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보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제 2 의 베어링장치는 각이 진 로드부품의 수직한 다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제 3 의 베어링장치는 제어장치의 제어핸들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다른 베어링장치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제 2 의 베어링장치의 축에 평행한 축상에서 돌 수 있게 레버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제 2 의 베어링장치는 제 1 의 베어링장치를 보호하고, 제 2 의 베어링장치의 축에 평행한 축상에서 돌 수 있게 레버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각이 진 연결장치의 제 1 의 다리는 제 2 의 베어링장치에 설치되어 있고, 제 2 의 다리는 레버장치의 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를 샤프트장치를 따라 움직이면 각이 진 연결장치가 작용하여 제 2 의 베어링장치에서 축 중심으로 돌고, 전술한 평행한 축상에서 레버장치를 축 중심으로 돌려서 밸브장치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0. 제 7 항에 있어서, 전술한 연결장치가 오른쪽으로 각이 진 연결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1.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작동되는 연결체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제어장치를 샤프트장치에서 앞으로 뒤로 움직이는 동안 주어진 시간내에 트럭기능의 작동을 단지 하나로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2.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는 스위치장치를 포함하여 운전자가 쉽고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스위치장치가 한 방향으로 작용할 때는 제 1 의 트럭 기능인 어떤 한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스위치장치가 반대방향으로 작용할 때는 제 2 의 트럭 기능인 어떤 한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3.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는 어떠한 방향으로 리프트 트럭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축에 대해 회전시키기에 알맞는 제어핸들을 포함하며,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샤프트장치를 따라 앞으로 밀기에 알맞게 되어 있어서, 수압작용기로 작동되는 연결체에 의해서 다수의 트럭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4.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트럭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유압작용기에 연결된 밸브장치에 연결 작동되어 있으며 밸브장치가 제어장치를 중립 위치에서 어떤 한 방향으로 샤프트장치를 따라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으로 열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5. 제7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트럭의 기능을 제어하는 움직이는 연결체는 단지 하나의 트럭 기능이 주어진 시간내에 작동되고 트럭의 모든 기능은 운전자가 샤프트장치상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어떤 선택된 차례로 작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6. 제 7 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리프트 트럭은 짐 지지장치를 펴고 접기 위한 장치를 가진 적립체를 포함하며, 짐 지지장치는 직립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장치는 샤프트장치를 따라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옮겨 놓는 동안 수압작용기를 어떤 방향으로 제어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제어장치는 전기 및 유압 시스템 장치에 의해서 유압작용기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측면 이동 실린더 작용기는 짐 확장장치에 비례하여 짐 지지장치를 좌우로 측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이동 작용기는 전기 및 융압시스템 장치에 의해서 제어장치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유압 작용기는 유압 시스템 리프트 및 경사 작용기 실린더를 포함하며,래프트 선택 밸브장치는 리프트 및 틸트 실린더가 서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리프트 트럭은 엎라이트 짐 지지장치를 절첩하기에 적합한 팬토그래프 장치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올려지도록 엎라이트에 연결된 짐 지지장치, 팬토그래프 장치를 절첩하도록 연결된 리치 실린더 장치, 리치 실린더 장치를 신장.수축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선택 밸브장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리프트 실린더, 틸트 시린더 및 리치 실린더가 한번에 하나씩 정해진 순서로 샤프트장치를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제어장치를 움직여서 작동되는 방법으로 기능하는 함께 작용하는 전기 및 유압 시스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29. 제22항에 있어서, 스위치장치는 작동시키지 않고 제어기의 위치를 샤프트장치를 따라 앞으로 옮기면 하강 기능의 효과를 나타내며 반면 뒤로 옮기면 상승기능의 효과를 나타내고, 스위치장치를 한 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제어장치를 앞으로 옮기면 앞으로 경사지는 기능의 효과를 나나태며 반면에 뒤로 옮기면 뒤로 경사지는 기능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를 다른 반향으로 작동시켜서 제어장치를 앞으로 옮기면 뻗는 기능의 효과를 나타내며 반면에 뒤로 옮기면 수축기능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전술한 각 기능이 실행되는 속도는 제어장치의 위치를 샤프트장치를 따라 중립 위치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옮기는 데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32. 제29항에 있어서, 전기 제어시스템은 트럭의 기능들의 작동을 한번에 하나씩으로 제한하는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유압 시스템은 다수의 기능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전술한 각 기능의 작동을 제어하는 밸브부가 한번에 한 기능씩 작동되도록 제한하여 서로 상호 작용하는 방법으로 전기 제어시스템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유압 시스템 밸브장치와 협동하여 각 기능들의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장치의 위치를 샤프트장치를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옮기는데 따라 변위되는 단일 스풀밸브에 의해서 유압 시스템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35.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트럭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유압 밸브 장치 및 작동기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 압력 유체를 단일 밸브장치를 통하여 흐르게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870003410A 1987-04-10 1987-04-10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KR880012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70003410A KR880012476A (ko) 1987-04-10 1987-04-10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70003410A KR880012476A (ko) 1987-04-10 1987-04-10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76A true KR880012476A (ko) 1988-11-26

Family

ID=6846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3410A KR880012476A (ko) 1987-04-10 1987-04-10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124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5100A (en) Operator control system
US6152676A (en) Multi-function lever for an industrial truck
KR970059864A (ko) 스키드 조향 로더의 전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522664A (ja) 車両ギヤボックスを操作するための制御装置、ギヤシフト及び駐車ブレーキ作動用システム、ならびに制御装置及び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
GB2304397A (en) A joystick for controlling three hydraulic valve spools
US4392544A (en) Controller for electric traction motor
US3241394A (en) Double pedal actuator assembly
CA1128836A (en) Control mechanism
US4164121A (en) Control apparatus for industrial trucks
JP5305085B2 (ja) 車両用操舵装置
US4817760A (en) Displacement detecting mechanism for hydraulic circuit of fork lift
KR880012476A (ko) 리프트 트럭의 제어시스템
JPS6192906A (ja) 自動車
EP1335850B1 (en) Hydraulic tilting device for tilting a vehicle cab, and vehicle provided with a tilting device of this type
KR910019824A (ko) 시트현가장치
JPH021574Y2 (ko)
JPH05310400A (ja) マニピュレータ装置
JP2579989Y2 (ja) 油圧バルブ操作装置
JP2575088Y2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スリップ防止装置
RU2162625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колесный трактор
US4365687A (en) Controller for electric traction motor
JPS5820638Y2 (ja) 産業車両における荷役安全装置
JP3213173B2 (ja) 作業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S58180331A (ja) ダンプトラツクにおける荷箱傾動角規制装置
JP4276878B2 (ja) 架装作業車のアクセル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