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11839A - 탭단자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탭단자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11839A
KR880011839A KR1019880002939A KR880002939A KR880011839A KR 880011839 A KR880011839 A KR 880011839A KR 1019880002939 A KR1019880002939 A KR 1019880002939A KR 880002939 A KR880002939 A KR 880002939A KR 880011839 A KR880011839 A KR 880011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terminal
tab
manufacturing
terminal structure
chu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44B1 (ko
Inventor
노부히로 나라자와
쥰 오노시로
유기오 이도오
히데유끼 다끼자와
고오이찌 고이께
Original Assignee
나까다 구스오
히다찌 덴시 엔지니어링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다 구스오, 히다찌 덴시 엔지니어링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다 구스오
Publication of KR88001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탭단자의 제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탭단자의 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용접부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이재용 척부재의 주요부분 정면도

Claims (8)

  1. 알루미늄선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CP 선의 선단에 맞닿게해서 용접한 다음에, CP 선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함에 따라 탭단자구성체를 형성하는 용접부와, 그 용점부에서 탭단자구성체에 있어서의 CP 선의 절단하기전의 상태에서 고정하여 절단후에 180℃회동시킴에 따라, 탭단자구성체를 반전시키는 이재용 척부재와 인덱스 테이블위에 설치되어, 이재용 척부재로부터 탭단자구성체를 수납하여, 인텍스 테이블을 회전시킴에 따라 프레스부에 반입하고, 탭단자구성체의 알루미늄선부를 프레스하여 편평하게 되도록 가압변형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형상을 정형함으로서 탭부를 성형하는 프레스부와, 프레스부에서 성형된 탭단자를 수납하는 수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용접부, 프레스부 및 이재용척부재를 장치본체에 설치하였으며, 장치본체에 있어서의 고정부에 용접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프레스부 및 이재용 척부재를 가동부에 설치하고 동가동부를 공정부에 근접,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가동부에 있어서의 각 작동부재를 구동하기 위하여 설치된 주축과, 고정부에 있어서의 각 작동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주축의 사이에 신축할 수 있는 전달용체인을 돌려감고, 동 체인을 회전구동함에 따라, 가동부측의 각 작동부재와 고정측의 작동부재를 동기하여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용접부에 설치하게 되는 CP 선커터를 편심회전하여, 서로 접속이간할 수 있는 한쌍의 회전날개로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용접부에서, 알루미늄선과 CP 선의 용접시에 알루미늄선을 CP선의 축선방향으로 직진하도록 압동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인덱스 테이블에 탭단자구성체의 리이드부를 고정하는 척부재를 설치하고, 그 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목흔들림이 자유롭도록하여, 프레스부에 탭단자구성체를 반입할 경우에는, 그 프레스부에 있어서의 하부펀치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지지하고, 하부펀치에 대면하는 위치로 변위하였을때에 척부재를 하강시켜서, 탭단자구성체를 하부펀치위에 재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배출부에는, 인텍스 테이블에서 배출되는 탭단자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정렬용기를 설치하여, 정렬용기의 양측에 한쌍의 전자석을 각기 이극(異極)이 대면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동전자석을 여자함에 따라서 정렬용기내에 탭단자의 축선에 잇따른 방향으로 자력선을 작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배출부에는, 인텍스테이블에서 배출되는 탭단자를 반전시켜서, 정렬용기에 도입하기 위한 반전바아를 탭단자의 탭부와 리이드부의 연설부분에 하방으로부터 맞닿은 위치와, 탭단자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사이에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성으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단자의 제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02939A 1987-03-20 1988-03-19 탭단자의 제조장치 KR940004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976 1987-03-20
JP62063976A JPS63232283A (ja) 1987-03-20 1987-03-20 タブ端子の製造装置
JP62-63976 1987-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39A true KR880011839A (ko) 1988-10-31
KR940004944B1 KR940004944B1 (ko) 1994-06-07

Family

ID=1324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939A KR940004944B1 (ko) 1987-03-20 1988-03-19 탭단자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32283A (ko)
KR (1) KR940004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91B1 (ko) * 2012-11-05 2014-07-09 세방전지(주) 축전지 연결단자의 정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91B1 (ko) * 2012-11-05 2014-07-09 세방전지(주) 축전지 연결단자의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44B1 (ko) 1994-06-07
JPH0437569B2 (ko) 1992-06-19
JPS63232283A (ja) 198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370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deburring tubes
KR880011839A (ko) 탭단자의 제조장치
US3114828A (en) Manufacture of electrical contacts
CN110560607B (zh) 一种建筑用细铁丝截断设备
US4649253A (en) Apparatus for butt welding automotive wheel rim blanks
JPS56119700A (en) Safety device for machine tool
CN218051537U (zh) 一种用于机械加工的切割下料装置
SU1480034A1 (ru) Оправка дл центрировани пакетов магнитопроводов
CN216655980U (zh) 端面引弧板冲裁装置
CN214654434U (zh) 一种用于制备玻璃器皿的夹持机构
CN208395047U (zh) 一种便于夹紧的玻璃切割设备
CN219665010U (zh) 一种弹簧机
US3060567A (en) Can opener
CN212216910U (zh) 一种装修电线用手动切割装置
SU608606A1 (ru) Установка центробежной отливки многослойных труб
US1907543A (en) Bead trimming apparatus
SU5492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контактов с коническими концами
KR890003774B1 (ko) 플랜지 소재의 제조방법
JPS56126144A (en) Three-dimentional transfer feeder
SU1442289A1 (ru) Листогибочна машина
US1153283A (en) Welding-machine.
SU13507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дмонтажной подготовки электропроводов
SU140771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и пайки радиодеталей
SU1180270A1 (ru) Гид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есс
SU16062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вухсторонней приварки выводов к армированным заготовкам резисто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