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374Y1 - 편평형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편평형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374Y1
KR880003374Y1 KR2019810007777U KR810007777U KR880003374Y1 KR 880003374 Y1 KR880003374 Y1 KR 880003374Y1 KR 2019810007777 U KR2019810007777 U KR 2019810007777U KR 810007777 U KR810007777 U KR 810007777U KR 880003374 Y1 KR880003374 Y1 KR 880003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flat
deflection
plat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7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150U (ko
Inventor
히로끼 사또오
다까오 나까노
다께히사 나도리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2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1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4Flat display tubes using electron beam scan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평형 음극선관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편평형 음극선관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및 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종래의 성형방법의 공정도.
제 6 도 내지 제 8 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퍼널설형방법의 일례의 공정도.
제 9 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퍼널의 평면도.
제10도는 그 측면도.
제11도는 그 종단면도.
제12도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다른 측면도.
제13도는 또 다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평관체 1a : 기판(패널)
1b : 퍼널(funnel) 1b1: 평판부
1b2: 둘레 측벽부 1b3: 플랜지부
1b4: 끝면 1b5: 성형재의 도피돌출부
1b6: 당접부 2 : 형광면
3 : 배면전극 4 : 전자총
5 : 타겟전극 6 : 편향수단
7 : 코어 8 : 선륜
9a, 9b : 내부플피스 겸 정전평향판 81, 83 : 위틀 및 아래틀
85 : 공동부 72 : 유리판
본원 고안은 편평형(扁平型)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편평관체(扁平管體)를 구성하는 퍼널(funnel)을 특수 구조로 하여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본원 고안에 의한 편형형 음극선관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편평형 음극선관은 편평관체(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관체(1)내에 그 각기 편평면에 따라서 형광면(2)과 배면전극(3)이 대향 배치된다.
편평관체(1)는 평판형의 유리기판 즉 패널(pannel)(1a)과 그 한쪽의 면에 접합되어 기판(1a)과의 사이에 편평공간(10)을 형성하는 유리퍼널(1b)과, 이들의 한쪽에 편평공간(10)과 연통하도록 이 공간(10)에 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접합되어 내부에 전자총(4)이 수용되는 유리네크판(1c)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자총(4)은 도시하지 않지만 캐소드, 제 1 그릿(grid), 제 2 그릿, 제 3 그릿 및 제 4 그릿이 순차 배열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패널(1b)은 패널, 즉 기판(1a)과 대향하는 평판부(1b1)와, 그 주변에 기판(1a)을 향해서 뻗는 둘레 측벽부(1b2)와, 그 끝에지에서 바깥쪽으로 굴곡하며, 기판(1a)에 프릿(frit) 부착에 의해 기밀(氣密)하게 접합되는 끝면(1b4)를 갖는 플랜지부(1b3)를 가지며, 이 퍼널(1b)은 그 평판부(1b1) 측에서 보아 한쪽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이른바 퍼널형, 즉 깔대기 모양으로 된다. 그리고, 이 퍼널(1b)의 폭이 좁은 끝부분에는 둘레 측면부(1b2)가 절결(切缺)되며, 여기에 예를 들면 대략 반원통형의 통면부(筒面部)(1b7)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통면부(1b7)과 기판(1a)과의 사이에 네크판(1c)의 끝부가 삽입되어서 3자가 프릿 부착되어서 기밀하게 결합된다.
한편, 기판(1a)도 그윤곽 형상이 퍼널(1b)의 주변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지만, 그 폭이 좁은 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부에서 관 밖으로 도출되는 고압단자(11)의 도출부에 이 좌측 또는 우측에 돌출하는 연장판부(1a1)가 배설된다. 그리고, 이 연장판부(1a1)에 의해서 이 편평형 음극선관을 기기의 예를 들면 캐비닛내에 배설한 상태로 고압단자(11)와 다른 부분 예를 들면 캐비닛과의 사이의 연면방전(沿面放電)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어 내압의 향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퍼널(1b)의 내주면, 즉 둘레 측면부(1b2)의 내면에는 카본층 등의 도전층(도시생략)이 입혀져서, 이것에 양극 전압 VH가 부여된다.
그리고, 평판형을 이루는 기판(1a) 내면에는 예를 들면 인쇄법에 의해서 형광면(2)을 도포해서 형성한다. 이 경우, 기판(1a)의 내면에 투명도전층이 입혀져서 타겟전극(5)이 구성되며, 이것의 위에 형광면(2)이 도포되거나 또는 형광면(2)을 도포한 다음, 이것 위에 A1층착막으로 이루어지는 메탈백을 하여 이것이 타겟전극(5)으로 된다. 또한, 형광면(2)의 유효 화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창문을 갖는 액자모양으로 되며, 그 액자의 에지에 걸쳐서 형광면(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타겟전극(5) 즉 형광면(2)에는 고압의 양극 전압 VH가 부여되고, 배면전극(3)에는 이것보다 낮은 고압이 주어져서 형광면(2)와 배면전극(3)과의 사이에 제 1 의 편향계(扁向系)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자총(4)과 형광면(2)의 배치부와의 사이에 제 2 의 편향게를 구성한다. 이 제 2 의 편향계는 전자총(4)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 편향한다. 여기서 수평편향이란 전자총(4)으로부터의 전자빔을 이 전자총(4)의 축심 방향과 대략 직교하며, 또한 형광면(2)의 면방향으로 편향시켜서 형광면(2) 상에 빔을 이른바 수평주사시키는 편향을 가리키며, 수직편향이란 똑같은 빔을 형광면(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켜서 형광면(2) 상에 빔을 상술한 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른바 수직주사 시키는 편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6)은 이 수평 및 수직편향 수단이며, 이 수단(6)은 예를 들면 비교적 큰 편향각을 필요로 하는 수평반향을 전자(電磁) 편향에 의해 행하고, 다른쪽의 수직편향은 상술한 전자수평편향에 사용하는 예를 들면 한쌍의 내부 폴피스를 정전편향판으로서 겸하게 해서 정전(靜電)편향에 의해서 행한다.
이 편향수단(6)은 도시한 것과 같이, 전자총(4)의 후단측에 있어서 관체(1)의 외주를 둘러싼 고투자율(高透磁率)의 예를 들면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환상(環狀)의 자기코어(7)와 수평편향전류를 통하는 전자선륜(電磁線輪)(8)((8a), (8b))와 관체(1) 내에 배치되는 고투자율 자성체로 이루어진 한쌍의 내부 풀피스겸 정전편향판(9a) 및 (9b)에 의해서 구성된다. 자기코어(7)는 관체(1)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으로 되지만, 관체(1)의 전자빔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관체(1)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외부 센터폴(7a) 및 (7B)를 내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들 외부 센터플(7a) 및 (7b)의 외주에 선륜(8a) 및 (8b)를 감거나 또는 그 어느 판쪽의 외주에 선륜을 감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선륜(8) ((8a), (8))에 통하는 수평편향전류에 따른 자속(磁束)을 양외부 센터플(7a) 및 (7B) 사이에, 또한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내부 폴피스 겸 정전평향판(9a) 및 (9b)간의 전자빔의 통로를 가로질러서 관체(1)의 두께방향으로 자장을 주도록 한다. 관체(1)내의 내부 폴피스 겸 정전편향판(9a) 및 (9b)는 전자빔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관체(1)의 두께방항에 관한 양측에 서로 대향해서 즉 관체(1)의 편평면에 대략 따르도록 배치 대향시켜, 전자총(4)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즉 제 1 의 편향계를 향해서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또한 마찬가지로 전자총(4)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폭이 넓어진 사다리꼴 형성 판형 고투자율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이들 내부 폴피스 겸 정전편향판(9a) 및 (9b)에 의해서 외부 센터폴(7a) 및 (7b) 사이의 자속을 전자빔의 통로에 집속(集束)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내부 폴피스 겸 정전편향판(9a) 및 (9b)는 107Ω㎝이하, 바람직하게는 104Ω㎝의 표면의 비저항(比抵抗)을 갖는 고자율체(高磁率體), 예를 들면 페라이트로 구성하고, 이들을 전자빔에 대한 상술한 수직편향을 하는 정전편향판으로 한다. 즉, 양 내부 폴피스 겸 정전편향판(9a) 및 (9b) 사이에 수직편향신호전압을 인가한다. 이 경우 편향수단(6)의 배면전극(3)의 배지축에 있는 한쪽의 내부 폴피스 겸 정전편향판(9b)은 배면전극과 예를 들면 도전성 스프링(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단자 t1이 도출되며, 이것에 고압 VB에서 VB-Vdef예를 들면 4KV-3.75KV로 변화하는 대략 톱니 모양의 수직편향신호전압의 중첩 전압이 주어지며, 다른쪽의 정전편향판(9a)은 전자총(4)의 최종단의 전극 예를 들면 제 4 그릿(양극)에 기계적으로 끼워 맞추어지며, 또한 전기적으로는 도전성 금속 가이드통체(15)와 도전성 금속탄성편(17)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단자 t2가 도출되어, 고정전압의 예를 들면 3.875KV가 주어지고, 타겟전극(5)에서 단자 t3가 도출되어 이것에 고압 HV예를 들면 5KV가 주어진다 또는 단자 t1에 3.875KV를, 단자에 t2에 4-3.875KV를 주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및 제 2 의 편향계의 공동 작용에 의해 전자총(4)으로부터의 전자빔이 형광면(2)상에 수평수직주사하도록 된다.
본원 고안은 특히 상술한 퍼널(1b)에 있어서 그 주변, 즉 플랜지부(1b3)의 둘레면에 성형재의 도피돌출부(1b5)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도피돌출부(1b5)가 형성되는 면, 즉 이 돌출부(1b5) 전체가 존재하는 면이 특히 플랜지부(1b3)의 패널 즉 기판(1a)과 접합되는 끝면(1b4)과는 다른 평면으로 되도록 한다. 즉 기판(1a)과의 접합 끝면(1b4)과는 일치되지 않고 평판부(1b1)측에 치우친 위치에서 돌출부(1b5)가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퍼널(1b)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며, 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 일반의 퍼널, 즉 성형재의 도피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퍼널의 일반적 제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일례로서는 유리판을 가열 연화시켜서, 그 윗쪽으로부터 위틀을 강화시켜서 그 성형을 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凹部)(70)이 배설된 예를 들면 고정된 아래틀(71)을 설치하고, 이것의 위에 요부(70)위를 가로질러서 피성형 유리판(72)을 배치하고, 이것의 위에 안내벽(73)을 배치하여, 이 안내벽(73)내에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되는 위틀(74)을 배설한다. 이 위틀(74)은 최종적으로 얻으려고 하는 퍼널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들 아래위틀(71), (74) 및 안내벽(73)과 유리판(72)을 가열하고, 유리판(72)을 연화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제 4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리 및 위틀(74)의 자중에 의해 또는(및) 위틀(74)의 누르는 힘에 의해 유리판(72)을 변형시켜서 위틀(74)에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체 즉 퍼널(1b)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해서 성형한 퍼널(1b)은 제 5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판부(1b1)과 둘레 측벽부(1b2)와 플랜지부(1b3)을 갖는다. 이 경우, 플랜지부(1b3)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래틀(71)과 안내벽(73)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주변은 그 형상에 불균일성이 있으므로 제 5 도 중 쇄선 d로 나타낸 것과 같이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한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1b3)의 끝면을 퍼널(1b)의 깊이 D 및 높이 H가 각기 소정의 값이 되도록 래핑하며 또한 평탄 평활한 끝면(1b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끝면(1b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a)에 프릿 부착된 면으로 되지만, 이 경우 래핑시에 이 끝면(1b4)에는 미세한 상처가 나기 쉽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해서 형성하여 끝면(1b4)에 기판(1a)을 프릿 부착하면, 이 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상처가 열처리시에 균열의 원인이 되어, 관체내를 고진공도로 유지할 수 없다거나 폭축(爆縮)을 초래하는 등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또 이와 같이 해서 얻은 퍼널(1b)은 평판부(1b1)에 있어서는 거의 초기에 있어서의 유리판(72)의 판두께에 해당하는 두께의 예를 들면 2.8mm로 되지만, 그 둘레 측벽부(1b2) 및 플랜지부(1b3)에 있어서는 평판부(1b1)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판(72)이 신장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는 평판부(1b1)에 비해 그 두께는 얇으며, 더구나 불균일성이 커진다. 특히 이 현상은 플랜지부(1b3)에서 현저해지며, 또 둘레 측벽부(1b2)에서 플랜지부(1b3)에 걸쳐서의 굴곡부(1b9)에서는 이것이 지나치게 얇아져서 충분한 기계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조차 발생한다.
본원 고안에 의한 퍼널은 이와 같은 결점을 수반하지 않고 이것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의하여 본원 고안에 의한 퍼널(1b)을 얻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제 6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카본재의 요부(80)를 갖는 위틀(81)과, 철부(凸部)(82)를 갖는 아래틀(83)을 준비한다. (84)는 위틀(81) 및 아래틀(83)의 서로의 위치관계를 규제하는 안내벽이며, 이것은 예를 들면 아래틀(83)과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양자를 고정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위틀(81)을 예를 들면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위아래틀(81) 및 (83)을 제 7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자를 합치시킨 상태로 양자간에 공동부(空洞部)(85)가 생기도록 한다. 이 공동부(85)는 철부(82)의 상면에 위치하며, 최종적으로 얻는 퍼널(1b)외 평판부(1b1)를 성형하는데 제공되는 평판공간(851)과, 이것에 연결되며, 철부(82)의 둘레면에 위치하고, 그 일부를 제외한, 즉 퍼널의 윤곽형상패턴을 가지며,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설명한 통면부(1B7)로 되는 부분을 제외한 U자형 패턴(도면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음)을 가지며, 퍼널의 둘레 측벽부(1b2)를 성형하는데 제공되는 경사진 공간부(852)와, 이것에 연통하여 이것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퍼널의 플랜지부의 성형에 제공되는 플랜지형 공간부(853)를 가지며, 또한 특히 이 공간부(853)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또한 공간부(853)의 저면과는 일치하지 않으며, 이것으로부터 윗쪽에 그 저면을 가지고, 공간부(853)의 두께보다 충분히 두께가 얇은 연장공간부(85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위아래틀(81) 및 (83)에 의해서 유리판을 성형하여 퍼널을 얻는다. 이 때문에 먼저 제 6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래틀(83)의 철부(82)위에 유리판, 예를 들면 두께가 2.8-3mm 정도의 소다유리판(72)을 최소한 철부(82)의 전역에 걸쳐서 그 주벽에 돌출시켜서 얹어 놓는다. 이 경우, 이 유리판은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그 두께, 평면성 등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유리판(72)의 체적을 상술한 공동부(85)의 체적 보다는 작게하지만, 이 공동부(85)의 공간부(851), (852), (853)의 체적의 합 이상으로 선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각 틀(81), (83), 안내벽(84)과 함께 유리판(72)을 약 1000℃로 가열하여 이것을 연화시켜, 위틀을 아래틀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접시키는 예를 들면 위틀(81)을 그 자중에 의해 내리밀어서 양자를 합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연화된 유리판(72)은 변형되고 또는 눌려져서 공동부(85)의 중앙의 공간부(851)에서 그 주변의 공간(852), (853)을 채우고, 다시 넘친 유리재가 공간부(852)로 넘쳐 나와서 도피돌출부(1b5)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열성형한 다음, 서서히 냉각시키고 양 틀(81) 및 (83)을 떼어 놓아 양자 사이에서 성형체를 꺼낸다. 이 경우, 퍼널의 둘레 측벽부(1b2)에 해당하는 위아래틀의 부분을 수직선에서 보아 5˚-15˚, 바람직하게는 12˚이하로 경사지게 하여 구성한다. 카아본은 유리에 비해 α(열팽창계수)가 작으므로 성형된 유리는 서서히 냉각될 때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아래틀로부터 이형(離型)되어서 뜬 상태로 떨어지며, 그와 동시에 위틀이 수축되어 유리 위로 들린다. 이때 유리성형체는 그 둘레 측벽부에 있어서 위틀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이 생긴다. 이와 같이 하면 제 8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동부(85)의 특히 공간부(851), (852), (853)으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대응해서 평판부(1b1), 둘레 측벽부(1b2), 플랜지부(1b3)를 가지며, 또한 플랜지부(1b3)의 외주에 연장 공간부(855) 사이에 넘쳐 나와서 생긴 얇은 성형재의 이른바 도피에 의한 돌출부(1b5)가 생긴 성형체, 즉 퍼널(1b)이 성형된다. 그리고, 이 경우 이 돌출부(1b5)는 그 돌출부 길이가 각 부에 있어서 반드시 일직선이 아닌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는 제 8 도에 쇄선 e로 나타낸 것과 같이 균일한 돌출길이가 되도록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9 도 내지 제13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퍼널(1b)을 얻을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설명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즉 퍼널(1b)은 평판부(1b1)와, 그 주변에 기판(1a)을 향해서 뻗는 둘레 측벽부(1b2)와, 그 끝 에지에서 바깥쪽으로 굴곡되는 플랜지부(1b3)를 가지며, 평판부(1b1) 측에서 보아 한쪽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이른바 퍼닐형, 즉 깔때기모양으로 되며, 그 폭이 좁은 끝부분에는 둘레 측벽부(1b2)가 절결되며, 여기에 예를 들면 대략 반원통형의 통면부(1b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성형한 퍼널(1b)은 말하자면 그 주된 면을 구성하는 평판부(1b1)를 유리판(72) 위치에 유지하며, 주변부를 소요 형상으로 낙하 변형시키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므로, 더 나아가서 공동부(85)에 연장공간부(855)를 형성하므로써 잉여의 유리재를 넘쳐 나오게 하는 효과를 갖게 함과 아울러 각 부가 성형 변형등을 일으키지 않고, 미리 양 틀(81) 및 (83)의 공동부(85)의 각 공간부(851), (8952), (853)의 두께에 따른 두께로 성형되므로 각 부에 있어서 두께의 불균일성이 없으며, 설계대로의 소요의 두께, 형상치수를 가지며, 따라서 소요의 기계적 강도도 보유한 퍼널(1b)을 수율좋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관련하여 상술한 성형방법에 의하여 공동부(85)의 형상에 따른 성형체를 얻는 것이므로 예를들면 퍼널(1b)에 대한 각 부품의 배설 또는 이것과 기판(1a)이나, 네크관(1c)과의 접합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지그(jig) 등에 의해서 퍼널(1b)의 위치 결정을 하는데 지그와 위치규제를 위한 접촉면으로 되는 당접부(1b6)와 각 고압단자(11)를 관 밖으로 도출하기 위한 도출용 홈(1B8)의 형성을 퍼널(1b)의 성형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에 의할 때는 각 부의 치수형상에 따라서 그 높이 H 및 깊이 D를 설계대로 성형하므로써, 플랜지부(1b3)의 면(1b4)을 절삭 연마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이 작업의 생략에 의한 양산화에 더해서, 이 절삭 연마에 의한 상처, 변형 등에 의해 기판(1a)과의 프릿 접합시에 균열 등의 발생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재의 도피의 돌출부(1b5)를 끝면(1b4)과는 다른 면에 배치했으므로, 이것을 제 8 도 중 e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절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에 수반되는 가공변형이 기판(1a)과의 프릿면에 남는 일이 없고, 상술한 균열 등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으며,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 고안에 의한 평편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배면 전극과 형광면과의 위치관계를 배면전극을 패널측으로 하고, 형광면을 퍼널측으로 할 수도 있고, 배면전극을 투명전극에 의해서 구성하여, 화면의 관찰을 이 투면전극으로 이루어진 배면전극측에서 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본원 고안의 구성을 일탈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한 것이다.

Claims (1)

  1. 패널(panel)과 퍼널(funnel)이 접합 합체되어서 이루어진 평평관체를 편평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퍼널의 주변에 성형재의 도피돌출부가 설치되며, 이 돌출부의 현성면이 상기 퍼널과 상기 패널의 접합되는 면과는 다른 면으로 한 편평형 음극선관.
KR2019810007777U 1980-11-26 1981-11-18 편평형 음극선관 KR8800033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8938 1980-11-26
JP1980168938U JPS5790552U (ko) 1980-11-26 1980-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50U KR830002150U (ko) 1983-11-14
KR880003374Y1 true KR880003374Y1 (ko) 1988-09-24

Family

ID=1587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777U KR880003374Y1 (ko) 1980-11-26 1981-11-18 편평형 음극선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64785A (ko)
JP (1) JPS5790552U (ko)
KR (1) KR880003374Y1 (ko)
CA (1) CA1167093A (ko)
DE (1) DE3146728A1 (ko)
FR (1) FR2494903A1 (ko)
GB (1) GB20891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747A (ja) * 1982-12-01 1984-06-12 Asahi Glass Co Ltd フエ−ス突出型ブラウン管
GB2180396A (en) * 1985-09-11 1987-03-25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Flat cathode ray display tube
JPH05225932A (ja) * 1992-02-17 1993-09-03 Sony Corp 透過型扁平陰極線管
TW497115B (en) * 1998-04-28 2002-08-01 Hitachi Ltd Cathode ray tube
TW589654B (en) * 2001-06-01 2004-06-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panel for a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43557A (en) * 1929-01-02 1931-02-20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moulded articl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825129A (en) * 1951-01-20 1958-03-04 Mcdowell Mfg Co Television cone construction
US3309551A (en) * 1964-06-01 1967-03-14 William R Aiken Envelope for flat cathode tubes with lower sections of front and rear walls similarly displaced
GB1354681A (en) * 1970-04-02 1974-06-05 Sanders Associates Inc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S51156761U (ko) * 1975-03-26 1976-12-14
JPS56116256A (en) * 1980-02-15 1981-09-11 Sony Corp Flat cathode ray tube
US4325489A (en) * 1980-04-17 1982-04-20 Rca Corporation Envelope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US4339482A (en) * 1980-08-29 1982-07-13 Lucitron, Inc. Flat-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494903B1 (ko) 1985-05-03
KR830002150U (ko) 1983-11-14
DE3146728A1 (de) 1982-06-24
CA1167093A (en) 1984-05-08
FR2494903A1 (fr) 1982-05-28
US4564785A (en) 1986-01-14
GB2089111A (en) 1982-06-16
JPS5790552U (ko) 198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3374Y1 (ko) 편평형 음극선관
EP007514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for color crt
CA1160672A (en) Flat cathode ray tube
KR900006197B1 (ko) 자동 인덱싱 절연 지지대를 가진 전자총 조립체
US4564786A (en) External neck charge dissipation means for an in-line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85099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조방법
KR880001003B1 (ko) 편평형 음극선관(扁平型陰極線管)
JPS6349333B2 (ko)
US6727640B2 (en) Glass bulb for a cathode-ray tube and a cathode-ray tube device
US5131876A (en) Image pick-up electron tube with molded signal input plat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H03163728A (ja) カラー映像管のインライン電子銃の製造方法
JP2960501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
US5202615A (en) Arc suppressing means for cathode ray tube
US636256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prescribed neck thickness
KR100215612B1 (ko) 칼라 음극 선관
JPS6320047Y2 (ko)
KR970011870B1 (ko) 칼라수상관용 음극지지체와 제1전극의 고정장치
US5047684A (en) Mask support structure for tension mask color cathode ray tubes
JPH0352170B2 (ko)
JPS58128641A (ja) 扁平型陰極線管
JPH06119889A (ja) 平板型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13378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코아
KR860003171Y1 (ko) 수상관용 전자총
JP2000243313A (ja) 陰極線管
KR19990034099U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조립용 스페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