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06B1 -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06B1
KR880002606B1 KR1019880012224A KR880012224A KR880002606B1 KR 880002606 B1 KR880002606 B1 KR 880002606B1 KR 1019880012224 A KR1019880012224 A KR 1019880012224A KR 880012224 A KR880012224 A KR 880012224A KR 880002606 B1 KR880002606 B1 KR 880002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bis
phosphite
trimethylsilyl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남
김인오
안범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 기술원
전학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 기술원, 전학제 filed Critical 한국과학 기술원
Priority to KR101988001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구조식( I )로 표시되는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새롭고도 진보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바, 구조식( I )의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는 독성이 적을뿐만 아니라 식물성장 조절제, 제초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아미노 포스포네이트 유도체 제조에 있어서 유용한 출발물질로 사용된다.
Figure kpo00001
구조식( I )에 있어서 메틸기 대신에 탄소수가 5이하인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예컨대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구조식(II)의 아인산에 수조식(III)의 트리메틸염화실란과 구조식(IV)의 헥사메틸디실라잔을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 존재하에 또는 용매없이 40~150℃에서 반응시켜 구조식( I )의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래 1985년 5월 9일자로 특허 출원된 출원번호 제85-3134호의 "아미노알킬포스포네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으로부터 분할 된 것이다.
Figure kpo00002
구조식(III) 및 구조식(IV)에 있어서, 메틸기 대신에 탄소수가 5이하인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구조식( I )의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 예컨대 일본국의 공개특허공보 소화 53-56620호에 의하면 구조식(II)의 아인산과 구조식(III)의 트리메틸염화실란을 반응시키고 반응생성물을 증류하여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를 제조하였다. 드러나 이 경우에는 염화수소가 부산물로 생성되는데 이것이 구조식( I )의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에 침투되어 순도가 저하된다. 더우기 구조식( I )의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트리아진과 반응시켜 아미노 포스포네이트를 제조할 때에는 트리아진과 암모늄염을 형성하므로 반응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구조식( I )의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증류하여 염화수소를 제거하여야 한다.
Figure kpo00003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종래의 기술에 나타난 단점을 개량하고자 예의 주시한 결과 예측 이상으로 효과가 좋은 새롭고도 진보된 구조식( I )의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을 터득하게 되었는바,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조식(II)의 아인산에 구조식(III)의 트리메틸염화실란과 구조식(IV)의 헥사메틸디실라잔을 1 : 1.2의 몰비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면 반응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부산물로 생성되는 염화수소와 암모니아가 서로 반응하여 암모늄 염으로 침전된다. 이 침전물은 종래의 기술에와 같은 별도의 증류공정을 거치지 않고 걸러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공정에는 용매가 필요치 않으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사용하면 수율이 향상되며 반응조건은 50~80℃에서 1~2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식(IV)의 헥사메틸디살라잔을 다소 과량으로 첨가하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과량으로 남아 있는 구조식(IV)의 헥사메틸디살라잔은 2급 아민이므로 이것을 트리아진과 반응할 때에는 염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구조식(III)의 트리메틸염화실란이 과량일 때에는 트리아진과 반응하여 염을 형성하므로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구조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때 부생되는 염화암모늄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Figure kpo00004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예증하여 줄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작가 깔대기, 그리고 콘덴서를 장치한 1l용량의 주둥이가 3개 달린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아인산 고체 82g(1mole)을 넣었다. 플라스크의 온도를 서서히 가열하여 60℃로 유지하면서 트리메틸염화실란 108.6g(1mole)을 적가 깔대기로 첨가하였더니 염화수소 개스가 발생하고 액체가 되었다. 트리메틸염화실란을 전부 넣은 후에 다시 헥사메틸디실라잔 193.6g(1.2mole)을 적가 깔대기로 넣어 주었다. 헥사메틸디실라잔이 반응하면서 염화암모늄의 흰고체가 생성되었다. 적가가 끝난뒤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하여 1시간 동안 더 교반한 후에 정지하였더니 고체가 가라 앉았다. 고체를 여과하고 얻은 액체를 10mmHg의 감압하에 증류하였더니 77-79℃에서 목적물인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 19.4g(수율 86%)이 얻어졌다.
[실시예2]
실시예 1에서 같은 반응을 300ml의 무수 THF을 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시켰더니 92%의 수율로 목적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4)

  1. 구조식(II)의 아인산과 구조식(III)의 트리메틸염화실란 및 구조식(IV)의 헥사메틸디실라잔을 유기용매 존재하에 또는 용매없이 반응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I )의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5
  2. 제1항에 있어서, 구조식(III)의 트리메틸염화실란과 구조식(IV)의 헥사메틸디실라잔의 첨가량이 구조식(II)의 아인산 1몰에 대해 몰비로 1 : 1.2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50~80℃에서 1~2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KR1019880012224A 1988-09-21 1988-09-21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KR880002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224A KR880002606B1 (ko) 1988-09-21 1988-09-21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224A KR880002606B1 (ko) 1988-09-21 1988-09-21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134A Division KR880002435B1 (ko) 1985-05-09 1985-05-09 아미노알킬포스포네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06B1 true KR880002606B1 (ko) 1988-12-04

Family

ID=1927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224A KR880002606B1 (ko) 1988-09-21 1988-09-21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60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5926B1 (en)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n,n-diacetic acid aminomethylenephosphonic acid
CA111265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minoalkyl silanes
EP022104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substituted aminomethylphosphonic acids
EP0112580A1 (en) Process for preparing phosphonomethylated amino acids
US5312972A (en) Conversion of hydroxymethyl-iminodiacetic acid to phosphonomethyl-iminodiacetic acid
KR880002606B1 (ko) 비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의 제조방법
US567984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minomethanephosphonic acid and aminomethylphosphinic acids
US6878846B2 (en) Solvent systems
HU213457B (en) Process for producing aminomethanephosphonic acid and aminomethyl-phosphinic acid
HU218867B (hu) Eljárás amino-metánfoszfonsav előállítására, valamint eljárás N-(foszfono-metil)-glicin előállítására amino-metánfoszfonsavból
US3231327A (en) Preparation of n-dichlorophosphinylimidophosphoric trichloride
CA1290763C (en) Preparation of organic phosphinites
CN1029616C (zh) 从n-羟甲基酰胺制备氨基甲烷膦酸和氨基甲基次膦酸的方法
US4150058A (en) Production of alkyl phosphines
US4248845A (en) Process for preparing crystalline phosphonitrilic chloride oligomers
Maier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101.1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S (AMINOALKYL) PHOSPHINIC ACIDS
CA1070305A (en) Method of producing morpholine compound
SU1618747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трис(диалкиламинометил)фосфинов
KR880002605B1 (ko) 폴리(디메틸실록시 포스포네이트)의 제조방법
JPS6058996A (ja) ホスホノメチル化されたアミノ酸の製法
JPS5888396A (ja) アミノメチルホスホン酸の製造方法
Makomo et al. Catalyzed amination of dithioacid sodium salts: a one pot synthesis of α-phosphonothioamides
CA1074312A (en) Method of producing an n,n'-(disubstituted) piperazine compound
US2654780A (en) Tetraalkyldiamidophosphoryl phosphoric dichlorides
Morimoto et al. N, N-bis (trimethylsilyl) methoxymethylamine as a convenient synthetic equivalent for+ CH 2 NH 2: N, N-bis (trimethylsilyl) aminomethylation of silyl sulphides and phosph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