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25B1 - 형체 장치 - Google Patents

형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25B1
KR880002525B1 KR1019850700136A KR850700136A KR880002525B1 KR 880002525 B1 KR880002525 B1 KR 880002525B1 KR 1019850700136 A KR1019850700136 A KR 1019850700136A KR 850700136 A KR850700136 A KR 850700136A KR 880002525 B1 KR880002525 B1 KR 88000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o motor
mold
toggle mechanism
togg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700123A (ko
Inventor
야스시 이시까와
다께시 후꾸로이
Original Assignee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filed Critical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4/000555 external-priority patent/WO1985002363A1/ja
Publication of KR85070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70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형체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토글(toggle)식 형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사출성형기의 토글식 형체 장치의 구동은, 종래 유압 기구에 의하여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유압펌프나 밸브등을 필요로 하고, 형체 구동기구의 구성이 복잡하였다. 또 유압에 의하여 형체 공정을 제어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형체 속도의 제어도 복잡하고 곤란하였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개선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형체 공정의 제어가 행하기 쉬운 토글식의 형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토글기구에 의하여 형체를 행하는 사출성형 장치에 있어서의 형체 장치에 있어서, 서어보 모우터와, 이 서어보 모우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스크루우와 너트 기구로써 된 전동기구와, 이 전동기구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토글기구를 구동시켜서 형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형체를 행하는 토글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서어보 모우터를 사용하였으므로, 형체속도의 제어가 대단히 간단하게 되어, 임의의 형체속도를 얻을 수가 있다. 또 토글 기구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소형의 서어보 모우터로서 가능하며, 구조도 간단하여, 유지하기 쉬운 특징도 있다. 또한 체결력을 제어할때는, 서어보 모우터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에 의하여, 스크루우의 위치와 토글기구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체결력의 제어가 대단히 간단해진다.
또, 형이 닫히고, 형을 일정 압력으로 계속 체결하면 토글 기구의 링크는 완전 늘어난 상태로 되며, 이 토글 기구 자체는 안정한 상태로 되어, 금형을 체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토글기구 자체가 작용한다. 그러므로, 서어보 모우터에는 거의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며, 진동등에 의하여 금형이나 토글 기구의 링크가 이동함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약간의 전류를 서어보 모우터에 공급 하면 되므로,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할수가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유압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높아지고, 또한 유압기구의 경우에는 전력에 의하여 유압펌프를 가동 시켜서, 그 유압에 의하여 구동 기구를 구동시키며, 그리고, 항상 일정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손실이 컸으나, 본 발명은 전력에 의하여 서어보 모우터를 구동시키고, 그 서어보 모우터의 출력에 의하여 직접 구동 기구를 작동 시키므로, 에너지 손실은 적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에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로서, (1)은 서어보 모우터, (2), (3)은 치차, (4)는 치차(3)에 고착된 너트. (5)는 이 너트와 계합하는 스크루우로서, 이들 치차(2) (3), 너트 (4), 스크루우(5)등에 의하여 서어보 모우터(1)로 부터 토글 기구(6)에의 전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6)은 이 중 토글식의 토글기구로서, 링크(9) (9')의 일단이 상기 스크루우 (5)의 선단에 형성된 크로스헤드 (10)에 회동 자재하게 고착되어 있으며, 타단은 링크(7) (7')에 회동 자재하게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 (7) (7')는 링크(8) (8')가 회동 자재하게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링크 (7) (7')는 고정 배압판(12)에 회동 자재하게 고착되며, 또한 상기 링크(8) (8')는 가동판(11)에 회동 자재하게 고착되어 있으며, 이들 링크 (7) (7') (8) (8') (9) (9'), 크로스헤드(10)에 의하여 토글기구(6)을 구성하고 있다. (14) (15)는 금형으로서, 각각 상기 가동판(11), 고정판(16)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6), 고정 배압판(12)는 4본의 다이버(17-1) ~ (17-4)에 고착되며, 가동판(11)은, 이 다이버(17-1) ~ (17-4)사이를 토글기구(6)에 의하여 제1도 중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13)은 커플링 장치로서, 서어보 모우터(1)의 출력을 치차(2)에 전도하는 것이다. 또 (19)는 서어보 모우터 (1)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하면, 서어보 모우터 (1)가 회전 하면 커플링 장치 (13)를 통하여 치차 (2)가 회동하며, 이 치차(2)와 치합하는 치차 (3)가 회동하며, 이 치차 (3)에 고착된 너트(4)도 회동한다. 너트 (4)가 회동하면, 너트 (4)에 치합하는 스크루우(5)가 너트(4)의 회동에 의하여, 제1도 중 스크루우 (5)가 우방으로 이동하며, 이리하여 서어보 모우터 (1)의 회전운동이 스크루우 (5)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스크루우(5)가 제1도중 우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스크루우 (5)의 선단에 고착된 크로스헤드 (10)가 링크 (9) (9')를 통하여, 링크 (7) (8)와 링크 (18) (18')을 제1도에서와 같이 상하로 눌러 줌으로써 링크 (7) (8) (7') (8')를 우방으로 이동시켜서, 가동판 (11)과 가동판(11)에 고착된 금형 (14)은 제1도 중 우방으로 이동하며, 그리하여 상기 링크 (7) (8)와 링크 (7') (8')가 완전 늘어나기 직전에서 금형(14) (15)은 형을 닫으며, 상기 링크(7) (8)와 링크 (7') (8')가 완전 늘어난 시점에서 서어보 모우터 (1)을 정지시켜서, 상기 링크 (7) (8)와 링크 (7') (8')의 완전 늘어난 분만큼 다이버 (17-1) ~ (17-4)를 당겨서, 그 다이버 (17-1) ~ (17-4)의 늘어남에 의하여 발생한 탄성 회복력에 의하여, 금형 (14) (15)을 체결하게 된다. 또 금형(14) (15)을 열때는, 서어보 모우터 (1)을 역전시켜서 스크루우 (5)를 제1도중 좌방으로 이동시켜서 제1도와 같은 상태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의 체결시에 있어서는, 상기 토글 기구 (6)의 링크 (7) (8) (7') (8')가 완전히 늘어나서 금형 (14) (15)를 체결 하므로, 이 토글기구 (6)자체는 안정한 상태로 되며, 금형을 체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토글 기구 (6) 자체가 작용하므로, 그 체결력의 반력으로서, 스크루우 (5)에는 거의 힘은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서어보 모우터 (1)에는 거의 전력을 공급할 필요는 없으며, 진동등에 의하여 금형 (14)이나 토글기구 (6)의 링크 (7) (8) (7') (8')가 이동함을 방지하는 정도의 약간의 전류를 이 서어보 모우터 (1)에 공급하면 된다. 또한 토글기구 (6)의 링크(7) (8) (7') (8')가 완전히 늘어나기 전에 서어보 모우터 (1)을 정지하고, 금형 (14) (15)의 체결력을 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크루우 (5)에 가해지는 반력은 대단히 적으므로, 치차 (2) (3)등의 전도장치의 마찰등에 의하여 흡수되어, 서어보 모우터 (1)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브레이크가 부착된 서어보 모우터를 사용하면, 보다 확실하게 일정 위치에 유지할수 있으며, 체결력도 일정한 힘으로서 유지할 수가 있다.
제2도, 제3도는, 단일 토글기구를 사용한 다른 실시예로서, (20)은 서어보 모우터, (21)은 기어박스, (22)는 스크루우, (23)은 토글기구, (24) (25)는 이 토글기구의 링크, (26)은 이 링크 (25)에 회동 자재하게 고착된 너트로서, 이 너트 (26)는 상기 스크루우 (22)와 치합해 있다. (27)은 링크 (24) (25)의 결합점, (28)은 고정 배압판, (29)는 가동판, (30)은 고정판, (31) (32)는 금형, (33-1) ~ (33-4)는 다이버, (34)는 위치 검출기이다.
제2도에서 제시하는 실시예에 있어 동작을 설명하면, 서어보 모우터 (20)가 회전하여, 기어박스 (21)내의 기어를 통하여 스크루우 (22)가 회동하며, 이 스크루우 (22)와 치합하는 너트 (26)가 이 스크루우 (22)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며, 제2도에서와 같이 너트 (26)가 스크루우 (22)를 따라 이동하면, 그 결과, 토글기구 (23)의 링크 (25) (26)가 늘어나며, 가동판 (29)과 금형 (31)을 제2도 중 우방으로 이동시켜서, 금형 (31)과 금형 (32)를 닫으며, 그리고 이 금형 (31) (32)를 체결한다. 이 작용은 제1도에서 제시한 제1의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제3도에서 제시하는 실시예와 제2도에서 제시 하는 실시예의 상위점은,제2도에서 제시하는 실시예가 스크루우 (22)의 회전에 의하여 너트 (26)을 서어보 모우터 (20)측으로 당기는데 대하여, 제3도에서 제시하는 실시예는, 누루는 점에 있어 상위할 뿐 기타는 같다.

Claims (4)

  1. 토글 기구에 의하여 형체를 행하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서어보 모우터와, 이 서어보 모우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스크루우와 너트기구로써 된 전동기구와, 이 전동기구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토글 기구를 구동하도록 한 형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기구의 링크가 다 늘어나서 금형을 체결하는 체결시에는, 상기 서어보 모우터에는 미소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토글기구의 링크를 다 늘어난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어보 모우터는 브레이크가 부착된 서어보 모우터인 형체 장치.
  4.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기구는 이중 토글식의 토글기구인 형체 장치.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기구는 단일 토글식의 토글기구인 형체 장치.
KR1019850700136A 1983-11-24 1984-11-20 형체 장치 KR880002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51558 1983-11-24
JP???58-219515 1983-11-24
JP219515 1983-11-24
PCT/JP1984/000555 WO1985002363A1 (en) 1983-11-24 1984-11-20 Mold clamp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123A KR850700123A (ko) 1985-10-25
KR880002525B1 true KR880002525B1 (ko) 1988-11-28

Family

ID=6910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136A KR880002525B1 (ko) 1983-11-24 1984-11-20 형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359B1 (ko) * 2011-01-17 2013-04-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토글방식의 형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359B1 (ko) * 2011-01-17 2013-04-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토글방식의 형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123A (ko) 198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2135B2 (ko)
KR910003318B1 (ko) 직압식 형체결기구
US6537057B2 (en) Mold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S61193821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S637923A (ja) 直圧式型締機構
US4642044A (en) Lock
JPS59156726A (ja) 電動式成形機の制御方法
KR880002525B1 (ko) 형체 장치
EP0451294A4 (en) Crank type injection device
KR960040595A (ko) 압축성형기
JPS60115419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クランク式型締機構
JPS60125619A (ja) 型締め装置
EP0277242A4 (en) DIRECTLY ACTIVE MOLDING LOCKING DEVICE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053724A (en) Double toggle mechanism
JPH1128747A (ja) 成形機の型締め装置
GB2022499A (en) Drive for an injection moulding machine
JPH05116195A (ja) 型締装置
JP2531522Y2 (ja) 型締装置
JP2525880B2 (ja) 型締装置
JPH043894B2 (ko)
JPH061784Y2 (ja) 発泡成形機の型閉め装置
JP2516670B2 (ja) 型締装置
JPH0349921A (ja) 成形機の射出装置
JPH07329135A (ja) 成形装置の型締装置
KR910001568B1 (ko) 직압식 형체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