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976Y1 -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976Y1
KR880001976Y1 KR2019840010019U KR840010019U KR880001976Y1 KR 880001976 Y1 KR880001976 Y1 KR 880001976Y1 KR 2019840010019 U KR2019840010019 U KR 2019840010019U KR 840010019 U KR840010019 U KR 840010019U KR 880001976 Y1 KR880001976 Y1 KR 880001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scr
stage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88U (ko
Inventor
김주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0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976Y1/ko
Publication of KR860005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30Modification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before switching
    • H03K17/305Modification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before switching in thyris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Landscapes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기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리레이부 20, 20' : 릴레이 구동회로
30 : 스위칭부 D1, D1', D2, D3... : 다이오드
R1, R1', R2, R3... : 저항 1, 1' : SCR
Q1, Q1', Q2, Q2' ... : 트랜지스터 S3: 제1단 스위치
S4: 제2단 스위치 S1: 온스위치
S2, S3: 오프스위치
본 고안은 SCR의 특성을 이용하여 구동신호에 따라 절환되도록 한 SCR을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는 기계적인 스위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감김과 해체작용에 따른 릴레이구동시 단순한 제어기능을 행할 수가 있으나 구동신호에 의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거나 구동후 지속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기억 소자를 이용하는 전자 회로가 바랍직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SCR의 특성을 이용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여러가지 회로들이 제안되었으나 다단 릴레이 구동시에 적용함에 있어 그 회로들이 복잠하여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통사의 릴레이 구동 회로에 상호 역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SCR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구동 신호에 의하여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의 릴레이 구동 회로를 다단 연설시킬 때 단순화를 기할 수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본 회로도로서 다이오드(P1)와 여자코일(L1)을 병설시킨 후 릴레이 스위치(RS)를 구성시켜 통상의 릴레이부(10)를 구성한 것에 SCR(1)의 애노우측을 연결 구성하며 그의 게이트측(G)에는 저항(R1)(R2)으로 분배되어 온스위치(S1)와 연결 접속하고 SCR(1)의 캐소우드측은 상호 역구동하는 트랜지스터(Q1)(Q2)를 통하여 오프스위치(S2)를 연결 구성한 것으로 저항(R3)(R4)(R5)은 분배 저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통상의 릴레이부(10)는 여자코일(L1)에 전류가 흐르면 릴레이스위치(RS)가 접속되고 여자코일(L1)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릴레이스위치(RS)가 개방되는 것으로 릴레이 스위치(RS)의 접속시 교류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이며 다이오드(D1)는 릴레이스위치(RS)의 접속 개방시 스위치 보호용 아이오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릴레이부(10)의 구동시에 온스위치(S1)를 접속시키면 전원(Vcc)이 저항(R1)(R2)을 통하여 SCR(1)의 게이트(G)에 인가시키는 동시에 전원(Vcc)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므로 SCR(1)과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므로 릴레이부(10)의 릴레이스위치(RS)가 접속되어 교류 전원을 인가시킬수 있게 되고 일단 SCR(1)이 "턴온"되면 SCR의 특성에 의하여 온스위치(S1)를 개방되어도 턴온 상태를 계속 유지할수가 있어 구동 신호에 의하여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픈스위치(S2)를 접속시키면 전원(Vcc)이 저항(R4)(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키므로 SCR(1)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는 전원(Vcc)이 차단되므로 SCR(1)에 인가되지 않게 되어 릴레이 스위치(RS)가 화원되면서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제1도의 릴레이 구동회로(20)를 다단 연설시켜 구동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릴레이 구동회로(20)와 동일한 릴레이 구동회로(20')를 연설시켜 릴레이 스위치(RS)(RS')의 구동에 따라 각기 다른 교류 전원(AC)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기 위하여 제1단스위치(S2)는 릴레이 구동회로(20')의 SCR(1')에서 저항(R1)(R2')을 통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다이오드(D2)에서 저항(R4)(R5)을 통하여 릴레이구동회로(20)의 트랜지스터(Q2) 베이스측에 연결 구성하고 제2단 스위치(S4)는 릴레이 구동회로(20)의 SCR(1)에서 저항(R1)(R2)을 통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다이오드(D3)에서 저항(R4')(R5')을 통하여 릴레이구동회로(20')의 트랜지스터(Q2') 베이스측에 연결 구성한후 오프스위치(S5)는 다이오드(D4)(D5)를 통하여 릴레이구동회로(20)(20')의 트랜지스터(Q2)(Q2')를 제어하도록 스위칭부(30)를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도는 제1단스위치(S3) 제2단스위치(S4)로서 교류전원(AC)을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오프스위치(S5)로서 교류전원(AC)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제1단스위치(S3)를 접속시키면 전원(Vcc)이 저항(R1')(R2')을 통하여 SCR(1')의 게이트(G)에 인가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SCR(1')이 "턴온"되어 릴레이부(10')의 릴레이스위치(RS')를 접속시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전원(Vcc)이 제1단스위치(S3)에서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저항(R4)(R5)에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키어 릴레이 구동회로(20)의 SCR(1)를 차단상태로 만들어 릴레이스위치(RS')만 접속된 상태로 교류전원(AC)을 인가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단스위치(S4)를 접속시키면 상기 회로에서 릴레이 구동회로(20)(20')가 서로 역으로 구동하여 릴레이 구동회로(20')의 SCR(1')는 차단 상태가 되며 릴레이 구동회로(20)의 SCR(1)는 도통상태가 되어 릴레이 스위치(RS)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으로 제1단, 제2단 스위치(S3)(S4)의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른 교류전원(AC)을 공급할 수가 있는 것이고 오프스위치(S5)를 접속시키면 전원(Vcc)이 오프스위치(S5)를 통하여 릴레이 구동회로(20)(20')의 트랜지스터(Q2)(Q2')를 구동시켜(1)(1')를 차단 상태로 만들어서 릴레이 스위치(RS)(RS')가 개방상태로 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이 차단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단의 스위칭 소자를 통과한 전원이 상호 역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SCR을 제어시켜 다단의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게 구성한 것으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다단의 릴레이 구동회로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SCR을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가의 코일(L1)(L1')을 통하여 릴레이 스위치(RS)(RS')를 제어시켜 교류전원(AC)의 인가를 제어하게 한 다단의 릴레이부(10)(10')에 있어서, 코일(L1)(L1')에 SCR(1)(1')을 연결 구성한 후 전원(Vcc)이 상호 역 구동하는 트랜지스터(Q1)(Q2)(Q1')(Q2')를 통하여 SCR(1)(1')를 구동시켜 릴레이 스위치(RS)(RS')를 구동하게 한 릴레이 구동회로(20)(20')와, 전원(Vcc)이 다이오드(D2)-D5)와 접속된 제1단 스위치(S3), 제2단 스위치(S4), 오프스위치(S5)를 통하여 SCR(1)(1')을 제어시켜 릴레이스위치(RS)(RS')를 스위칭하게 한 스위칭부(30)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KR2019840010019U 1984-10-10 1984-10-10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KR880001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019U KR880001976Y1 (ko) 1984-10-10 1984-10-10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019U KR880001976Y1 (ko) 1984-10-10 1984-10-10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88U KR860005388U (ko) 1986-06-11
KR880001976Y1 true KR880001976Y1 (ko) 1988-06-03

Family

ID=1923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019U KR880001976Y1 (ko) 1984-10-10 1984-10-10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9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88U (ko) 1986-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2443A (en) Parallel MOSFET power switch circuit
KR880001976Y1 (ko) Scr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회로
JPH0237755B2 (ja) Fukakanshiseigyosochi
JPS582512B2 (ja) ダイヤルパルス送出回路
KR100486354B1 (ko) 모터구동집적회로의출력단회로
KR840001744Y1 (ko) 100/220v겸용 전압 자동 공급 모우터 속도 조절회로
KR920004064Y1 (ko) 전자식 전원 스위치 회로
KR100233985B1 (ko)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KR910006183Y1 (ko) 비디오 모드 스위칭 회로
JPH0330881Y2 (ko)
KR930007545Y1 (ko) 원격소의 오동작 방지 릴레이 구동회로
KR920004639Y1 (ko)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절환 회로
JP2909125B2 (ja) スイッチ回路
JPS6340314Y2 (ko)
KR900008571A (ko) 릴레이 구동회로
JPS604357Y2 (ja) 電源回路の開閉装置
KR850002270Y1 (ko) 110v/220v자동 전압절환 회로
JPH029372Y2 (ko)
KR920006114Y1 (ko) 모니터와 vcr 일체형 기기의 전원 절환 회로
JP2588703B2 (ja) 半導体スイツ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JPH0255895B2 (ko)
JPH05146193A (ja) モータの駆動回路
JPS57177294A (en) Drive circuit for dc motor
JPS5913424A (ja) ゲ−ト・タ−ン・オフ・サイリスタのゲ−トドライブ回路
JPS59146225A (ja) ベ−ス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