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985B1 -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985B1
KR100233985B1 KR1019970022095A KR19970022095A KR100233985B1 KR 100233985 B1 KR100233985 B1 KR 100233985B1 KR 1019970022095 A KR1019970022095 A KR 1019970022095A KR 19970022095 A KR19970022095 A KR 19970022095A KR 100233985 B1 KR100233985 B1 KR 10023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ircuit
output
motor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906A (ko
Inventor
정용근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2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9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abnormalities in the input circuit, e.g. transients in the D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구동회로 내의 단락으로부터 모터구동회로가 보호되도록 하기 위하여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의 출력에 의하여 회로의 단락이 방지되도록 제어되는 단락방지부와, 상기 단락방지부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로 구성되어 회로단락으로부터 구동회로가 보호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0a : 상측구동부
10b : 하측구동부 20 : 신호입력부
23 : 단락방지부 25 : 구동부
op1 : 제 1 스위칭부 op2 : 제 2 스위칭부
op3 : 제 3 스위칭부 op4 : 제 4 스위칭부
op5 : 제 5 스위칭부 op6 : 제 6 스위칭부
본 발명은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구동회로에서 제어신호 중첩 또는 외부노이즈에 의한 과전류가 방지되도록 단락방지회로가 구비되는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회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구동회로는 입력전원(Vdc)이 인가되어 제어부(10)에 의하여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제어되도록 상측구동부(High Side Arm)(10a) 및 하측구동부(Low Side Arm) (10b)가 구성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상측구동부(10a)와 하측구동부(10b) 사이에서 출력이 모터(15)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회로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어부(10)는 모터(15)를 구성하는 로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의 코어에 권선되어 있는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15)가 모터(15)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프브리지(Half Bridge) 회로로서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상측구동부(10a)와 하측구동부(10b)가 서로 번갈아 구동되게 된다.
즉, 상측구동부(10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a)(Q2a)(Q3a)의 베이스와 하측구동부(10b)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b)(Q2b)(Q3b)의 베이스에 전원(Vin)이 공급되는데, 모터(15)의 상(Phase) 제어를 위하여 상기 전원(Vin) 플러스(+)측에서 상기 상측구동부(10a)의 트랜지스터(Q1a)(Q2a)(Q3a)와 하측구동부(10b)의 트랜지스터(Q1b)(Q2b)(Q3b)가 각각 서로 연결되는 접점(a, b, c)을 경유하여 모터(15)에 공급되고, 상기 모터(15)에서 출력된 전원(Vin)은 상기 경유된 접점이 아닌 다른 접점(a, b, c)을 통하여 다시 전원(vin)의 마이너스(-) 측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서로 직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1a)(Q1b), (Q2a)(Q2b), (Q3a) (Q3b)가 동시에 구동되면, 모터(15)로 전원(Vin)이 인가되지 않고, 전원(Vin) 플러스(+)측에서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전원(Vin)이 마이너스(-) 측으로 흐르게 되어서 모터(15)가 구동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상의 구동을 위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지 않는 다른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될 수 있도록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모터(15)의 상 제어가 되고, 이에 따라서 모터(15)는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회로에서 서로 각각 연결된 상측구동부(10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a)(Q2a)(Q3a)와 하측구동부(10b)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b)(Q2b)(Q3b)가 동시에 턴-온되는 경우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잡음에 따라서, 실제 적용에서는 제어신호발생의 미세한 시간차이에 의하여 상측구동부(10a)와 하측구동부(10b)의 회로가 동시에 턴-온되어 서로 단락(Short)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모터를 구동하는 상기 회로에 치명적인 고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모터구동회로 내의 단락으로부터 모터구동회로가 보호되는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징은,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의 출력에 의하여 회로의 단락이 방지되도록 제어되는 단락방지부와, 상기 단락방지부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로 구성되어 회로단락으로부터 구동회로가 보호되는 것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는 3개의 상이 구동될 수 있도록 동일한 3개의 과전류 방지회로가 병렬로 모터(M)에 연결되어 구성되지만,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하나의 상만이 선택되어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는 신호입력부(20)와, 상기 신호입력부(20)의 출력에 의하여 회로의 단락이 방지되도록 제어되는 단락방지부(23)와, 상기 단락방지부(23)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부(25) 및 상기 구동부(25)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M)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부(20)는 전원(Va)이 저항(R5)(R5')을 통하여 입력단의 일단으로 인가되고, 상기 입력단의 타단에는 모터가 구동되도록 각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S1)(S2)가 연결되며, 출력단에서는 다른 전원(Vb)이 저항(R1)(R1')을 통하여 콜렉터로 연결되고, 상기 콜렉터에서 출력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인 제 1 및 제 2 스위칭부(op1)(op2)로 구성된다.
상기 단락방지부(23)는 상기 신호입력부(20)의 제 1 스위칭부(op1)의 출력에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은 제 4 스위칭부(op4)의 입력과 병렬로 연결되는 포토커플러인 제 3 스위칭부(op3)와, 상기 신호입력부(20)의 제 2 스위칭부(op2)의 출력에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은 제 3 스위칭부(op3)의 입력에 병렬로 연결되는 포토커플러인 제 4 스위칭부(op4)로 구성된다.
상시 구동부(25)는 상기 제 3 스위칭부(op3)의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가 제어되도록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게이트절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로 되는 제 5 스위칭부(op5)와, 상기 제 4 스위칭부(op4)의 출력에 의하여 게이트가 제어되도록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게이트절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되는 제 6 스위칭부(op6)로 구성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된 제 5 및 제 6 스위칭부(op5)(op6)의 사이에서 모터(M)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하나의 상이 제어되게 되며, 실제의 적용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이 2개가 상기의 회로와 병렬로 더 구성되어서 모터(M)가 구동된다.
다음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입력부(20)의 제 1 스위칭부(op1)의 입력단으로 모터구동신호인 펄스(Pulse)로 되는 제어신호(S1)가 로우(Low)로 인가되면, 전원(Va)이 저항(R5)을 통하여 입력되어 제 1 스위칭부(op1)가 턴-오프되기 때문에, 출력이 전원(Vb)에 의하여 하이(High)가 되는 상기 제 1 스위칭부(op1)의 출력에서 저항(R2)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 5 스위칭부(op5)의 게이트는 하이가 되어 턴-온되고, 주전원(P)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류(i2)가 상기 턴-온된 제 5 스위칭부(op5)의 드레인과 소스를 통하여 모터(M)로 흐르게 된다.
상기의 모터(M)로 흐르는 전류(i2)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두 개 상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중에서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의 회로를 통하여 접지(N)로 흐르게 되어서 모터(M)의 하나의 상이 선택되고, 이와 같은 상선택이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선택됨에 따라서 모터(M)는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부(op1)의 출력이 하이가 되면, 단락방지부(23)의 제 3 스위칭부(op3)의 입력에 저항(R3)을 통하여 하이가 인가되어서 턴-온되고, 이에 따라서 저항(R3')을 통하여 제 4 스위칭부(op4)의 입력에는 로우가 인가되며, 결국 구동부(25)의 제 6 스위칭부(op6)는 게이트에 저항(R2)을 통하여 로우가 안가되기 때문에 턴-오프된다.
상기와 같이 단락방지부(23)를 구성하는 제 3 및 제 4 스위칭부(op3)(op4)의 반대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단락방지부(23)의 후단에 구성된 구동부(25)의 제 5 및 제 6 스위칭부(op5)(op6)는 서로 동시에 턴-온되지 않도록 동작된다.
한편, 신호입력부(20)의 제 2 스위칭부(op2)의 입력단으로 펄스로 되는 제어신호(S2)가 제 1 스위칭부(op1)로 인가되는 제 1 신호(S1)와 동시에 로우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력부(20)의 제 1 및 제 2 스위칭부(op1)(op2)의 출력이 동시에 하이로 된다면, 구동부(25)의 제 5 및 제 6 스위칭부(op5)(op6)가 턴-온되게 되지만, 실제적으로는 제 3 스위칭부(op3)의 출력을 제 4 스위칭부(op4)의 입력으로 그리고, 제 4 스위칭부(op4)의 출력이 제 3 스위칭부(op3)의 입력으로 됨으로써, 제 3 및 제 4 스위칭부(op3)(op4) 중에서 하나가 턴-온되어서 제 3 및 제 4 스위칭부(op3)(op4) 중에서 하나의 출력만이 하이로 되기 때문에, 구동부(25)의 제 5 및 제 6 스위칭부(op5)(op6)가 동시에 턴-온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원(Va)(Vb)을 통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잡음에 의하여 구동부(25)의 제 5 및 제 6 스위칭부(op5)(op6)의 게이트에 동시에 하이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단락방지부(23)의 동작에 의하여 구동부(25)의 제 5 및 제 6 스위칭부(op5)(op6)가 동시에 턴-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신호(S1)(S2)가 동시에 로우로 인가되는 경우에도, 단락방지부(23)의 교대로 동작되는 제 3 및 제 4 스위칭부(op3)(op4) 동작에 의하여서, 동시에 턴-온되는 경우에, 구동부(25)의 직렬로 연결된 제 5 스위칭부(op5) 및 제 6 스위칭부(op6)를 통하여 전류(i1)가 직접 흐르게 되는 회로단락(Arm Short)이 방지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하나의 상만이 선택되어 설명되지만, 모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이 제어되도록 각 상에 과전류 방지회로가 적용되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하여 자명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는 포토커플러로 구성되는 신호입력부와 단락방지부가 구비됨으로써, 모터구동회로에서 발생되는 신호 중첩 및 외부잡음에 의한 회로의 단락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4)

  1. 신호입력부 ; 상기 신호입력부의 출력에 의하여 회로의 단락이 방지되도록 제어되는 단락방지부 ; 상기 단락방지부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부 ; 및 상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로 구성되어 단락으로부터 구동회로가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력부는 전원이 저항을 통하여 입력단의 일단으로 인가되고, 상기 입력단의 타단에는 제어신호가 연결되며, 출력단에서 다른 전원이 저항을 통하여 콜렉터로 연결되고, 상기 콜렉터에서 출력되도록 제 1 및 제 2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방지부는 상기 신호입력부의 제 1 스위칭부의 출력에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은 제 4 스위칭부의 입력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 3 스위칭부 ; 상기 신호입력부의 제 2 스위칭부의 출력에 병렬로 연결되고, 출력은 제 3 스위칭부의 입력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4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 스위칭부는 포토커플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KR1019970022095A 1997-05-30 1997-05-30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KR10023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95A KR100233985B1 (ko) 1997-05-30 1997-05-30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95A KR100233985B1 (ko) 1997-05-30 1997-05-30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906A KR19980085906A (ko) 1998-12-05
KR100233985B1 true KR100233985B1 (ko) 1999-12-15

Family

ID=1950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095A KR100233985B1 (ko) 1997-05-30 1997-05-30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11B1 (ko) * 2015-01-07 2016-07-13 효성전기주식회사 3상 bldc 모터 구동소자의 보호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906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07632A (ja) スイッチング装置
US5063339A (en) Stepping motor driving device
EP0677925B1 (en) Three-terminal insulated-gate power electronic device with a variable-slope saturated output characteristic depending in a discontinuous way on the output current
EP0538618A2 (en) An H-shaped bridge circuit with protection against crossover conduction during the reversal of the current in the load
KR100233985B1 (ko) 모터구동회로의 과전류 방지회로
ATE154480T1 (de) Motorsteuerungsanordnung und rasierapparat mit einer solchen motorsteuerungsanordnung
US4535274A (en) Driving circuit for brushless D.C. motor
JPH11146558A (ja) バッテリー逆接続保護付きipd及びバッテリー逆接続保護付きipdを備えた駆動装置
US443439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commutation in a stepping motor
JP4204119B2 (ja) 誘導負荷をスイッチングするためのスイッチング装置
JP3206376B2 (ja) 負荷駆動回路の制御方法
KR100234044B1 (ko) 모터 구동 교대운전 제어 장치
JP2004194418A (ja) 電動モータの制御装置
KR100271288B1 (ko) 모터용인버터의게이트구동장치
JP2000299925A (ja) 電源供給制御装置
JP3300985B2 (ja) 遮断機
KR100348621B1 (ko) 스위치드 리럭턴스 모터의 구동회로
JP2804204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回路
KR0163264B1 (ko) 모터의 구동제어회로
KR100220997B1 (ko) 에스알 모터의 전원공급회로
KR100486354B1 (ko) 모터구동집적회로의출력단회로
KR19990086881A (ko) 모터용 인버터의 암 쇼트 방지 회로
EP1443625B1 (en) Simple load driving circuit for driving plural loads in a given priority order
KR920000252Y1 (ko) 모터 구동용 파워 트랜지스터의 보호 회로
KR19980018246A (ko) 가역 직류모터 제어용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