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71Y1 - 난로 - Google Patents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71Y1
KR880001771Y1 KR2019860001472U KR860001472U KR880001771Y1 KR 880001771 Y1 KR880001771 Y1 KR 880001771Y1 KR 2019860001472 U KR2019860001472 U KR 2019860001472U KR 860001472 U KR860001472 U KR 860001472U KR 880001771 Y1 KR880001771 Y1 KR 880001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ve
blower
heating tube
hollow heating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3720U (ko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김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홍 filed Critical 김수홍
Priority to KR2019860001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771Y1/ko
Publication of KR870013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3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02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 F24C5/04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2,2' : 심지통
4,4' : 연소통 5 : 송풍통
6 : 송풍팬 8 : 중공가열통
9 : 송풍관 10 : 열풍토출관
11 : 토출구
본 고안은 난로 특히 실내의 바닥면 부위까지도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난로들은 열기가 난로의 직상부로만 상승하기 때문에 난로 윗쪽은 따뜻한 반면에 난로의 하방측 외주로는 열기가 미치지 못하여 난로 곁에 바짝붙어 불을 쬔다하더라도 발이 시릴정도로 실내바닥면은 난방이 잘 않되는 결점이 있었고 난방 공간 전체에서 볼때에도 실제 인체와 접촉될 수 있는 하부공간은 더디 가열되고 불필요한 천정부위만 먼저 가열되는 결과가 되어 난방 효율이 좋지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의 종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난로상부로 도망쳐버리는 열기를 모아서 난로 하단부측으로 회류시켜 실내바닥으로 퍼지도록 형성하므로서 실내바닥면은 물론 실내전체를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인바,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의한본 고안 실시에는 본 고안을 포타블 석유 난로에 적용시킨예로서 이실시예에 의하면 연료탱크(1) 상단에 내외 심지통(2)(2')을 형성하여 심지통(2)(2') 사이에 심지(3)를 끼우고 그 심지통(2)(2') 상단에 내외연소통(4)(4')을 설치하여서 된 것은 통상의 난로와 같으나 특이한 것은 난로의 연료탱크(1) 하단 중앙에 외측으로 개구된 송풍통(5)을 형성하여 그 송풍통(5)내에 송풍팬(6)을 장설함과 함께 난로의 상판(7)을 중공가열통(8)으로 형성하여 하방의 송풍통(5)과 상방의 중공 가열통(8)을 연소통(4)(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송풍관(9)으로 연결하고 상부의 중공가열통(8)의 외연부측으로부터 다수개의 열풍토출관(10)을 토출구(11)가 난로 하단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연결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난로를 연소시키면서 송풍팬(6)을 가동시키면 하방으로 개구된 송풍통(5)의 입구를 통해 실내 바닥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관(9)을 통해 상단의 중공가열통(8)내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중공가열통(8)은 난로의 상판(7)에 해당하는 것으로 연소통(4)(4')에서 연소되는 가열을 집중적으로 받게되므로 공급된 공기는 중공가열통(8)에서 가열, 열풍화된 후 열풍토출관(10)으로 들어가서 난로 하단 외측으로 개구된 토출구(11)로 토출되어 난로 하단부 외주를 난방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난로 상판 윗쪽으로 올라가는 열이나 난로의 연소통 외주에서 발산되는 열은 통상의 난로에서와 같이 모두 이용하면서도 난로 윗쪽으로 불필요하게 도망하는 열을 난로 하단주위로 회류 유도시켜 실내 바닥부위까지를 덮혀주므로 난로불을 쬘때 인체의 상체는 물론 발까지도 따뜻하게 할수 있고 난로의 열기가 실내 바닥면으로 고루 확산되게 하여 실내의 유효공간부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 전체 공기의 대류 순환도 보다 빨라지도록 촉진하게 되어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을 포타블 석유난로에 적용시킨 예를 설명하였으나 고정설치형 석유난로는 물론 고체연료 사용 난로에도 모두 적용 가능함은 쉽게 이해될 것이며, 더구나 본 고안에 의하면 난로 외주에 착설된 열풍토출관이 난로의 보호망틀을 겸용할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호망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는 잇점도 나타내게 된다.

Claims (1)

  1. 연료탱크(1)와 심지(3)를 장설한 내외심지통(2)(2') 및 그 심지통(2)(2') 상부에 설치한 연소통(4)(4')와 상판(7) 등으로 형성되는 통상의 난로에 있어서, 연료탱크(1) 하단 중앙에 외측으로 개구된 송풍통(5)을 형성하여 그 송풍통(5)내에 송풍팬(6)을 장설함과 함께 상판(7)을 중공가열통(8)으로 형성하여 송풍통(5)와 중공가열통(8)을 송풍관(9)으로 연통시키고 중공가열통(8)의 외연부로부터 다수개의 열풍토출관(10)을 토출구(11)가 난로 하단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연결하여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KR2019860001472U 1986-02-10 1986-02-10 난로 KR880001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472U KR880001771Y1 (ko) 1986-02-10 1986-02-10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472U KR880001771Y1 (ko) 1986-02-10 1986-02-10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720U KR870013720U (ko) 1987-09-10
KR880001771Y1 true KR880001771Y1 (ko) 1988-05-11

Family

ID=1924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472U KR880001771Y1 (ko) 1986-02-10 1986-02-10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7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853B1 (ko) * 2022-12-05 2023-07-24 김지혜 무동력 팬에 의한 자동 열기 확산이 구현되는 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853B1 (ko) * 2022-12-05 2023-07-24 김지혜 무동력 팬에 의한 자동 열기 확산이 구현되는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720U (ko) 198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06120A (en) Gas wall heater
US4364514A (en) Heat-recovering apparatus for furnaces
US2360611A (en) Fireplace air circulating heater
KR880001771Y1 (ko) 난로
KR200203767Y1 (ko) 나무난로
JPS61134524A (ja) 暖風循環暖炉,囲炉裏,スト−ブ
CN208794724U (zh) 一种多用途暖风锅炉
JPS5852427Y2 (ja) 湯沸器
JPS5939656B2 (ja) 熱風発生機
KR910002629Y1 (ko) 벽난로
JPS5935108Y2 (ja) 海苔乾燥機用外気加熱装置
JPS5852428Y2 (ja) 湯沸器
JPS643964Y2 (ko)
JP3731633B2 (ja) 排気筒付遠赤外線暖房機
JPS6227810Y2 (ko)
KR880002237Y1 (ko) 난 로
KR890000461Y1 (ko) 벽 난 로
KR820000557Y1 (ko) 난로겸용 온수 보일러
KR920005611Y1 (ko) 온풍기의 보조온풍 토출장치
US1626576A (en) Furnace
JPS6225624Y2 (ko)
JPS5926193Y2 (ja) 暖房機の燃焼装置
CN2339879Y (zh) 一种节能炉灶
KR810001448Y1 (ko)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난로
KR200401555Y1 (ko) 온풍 공급용 배기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