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767Y1 - 나무난로 - Google Patents

나무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767Y1
KR200203767Y1 KR2020000015471U KR20000015471U KR200203767Y1 KR 200203767 Y1 KR200203767 Y1 KR 200203767Y1 KR 2020000015471 U KR2020000015471 U KR 2020000015471U KR 20000015471 U KR20000015471 U KR 20000015471U KR 200203767 Y1 KR200203767 Y1 KR 200203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ood
combustion chamber
heat recovery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림
Original Assignee
이원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림 filed Critical 이원림
Priority to KR2020000015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8Ai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무난로에 관한 것으로, 폐목재등이 밀폐구조를 갖는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되고 연소가스가 연소실로부터 연통을 통해 직접 대기로 배기되는 나무난로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고열을 회수함은 물론 연통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하도록 연소실(11)과 연통(20) 사이에 열회수부(17)를 제공하되, 배기가스를 지그재그 유동시켜 배기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고열을 회수하도록 열회수부(17)의 내측부에 다수의 격판(17a)을 지그재그로 취부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나무난로{WOODS STOVE}
본 고안은 나무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통을 통해 배기되는 연소가스의 고열을 회수하여 열효율을 개선하는 한편, 과열된 연통으로 인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나무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건설현장과 같은 옥외에서는 등에서는 난방을 위해 드럼통등을 일부절개하여 그 내부에 나무나 건설 폐목재등을 태워 추위를 해결하고 있다. 그리고, 가설식당과 같이 옥내인 경우에는 연소 용기를 밀폐형으로 제작하고 연소가스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연통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고열의 연소가스를 직접 외기로 배기하기 때문에 연소를 통한 열효율 중 대부분이 대기중으로 배기됨으로써 열손실이 크기 때문에 실제적인 난방효율은 매우 낮다. 또한, 옥내인 경우에는 고열의 배기가스에 의해 연통이 과열되어 가설 건축물의 빈번한 화재를 야기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기중으로 직접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고열을 회수하여 열효율을 개선하고 연통의 과열을 방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나무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나무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나무난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30 : 나무난로 11 : 연소실
12,31 : 나무 투입구 13 : 통풍구
14 : 지지대 15,16 : 조리구 받침대
17 : 열회수실 18 : 받침다리
19 : 연통부 20 : 연통
21 : 연도 23 : 그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폐목재등이 밀폐구조를 갖는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되고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실로부터 연통을 통해 직접 대기로 배기되는 나무난로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고열을 회수함은 물론 연통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소실과 연통 사이에 열회수부를 제공하되, 상기 배기가스를 지그재그 유동시켜 배기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고열을 회수하도록 상기 열회수부의 내측부에 다수의 격판을 지그재그로 취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난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나무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나무난로(10)는 밀폐구조를 갖는 연소실(11)과 연통되게 열회수실(11)을 형성하되 연통(20)을 통해 대기중으로 직접 배기되던 고열의 연소가스의 배기시간을 지연시켜 연소가스의 고열을 회수하도록 열회수실(11)에 다수의 격판(17a)을 취부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난로는 하향식 나무난로로서, 연소실(11)의 상측부에 폐목재, 나무, 톱밥등이 투입될 수 있도록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나무 투입구(12)가 제공되어 있으며, 투입되는 나무가 연소실(11) 내부 하측부에 위치되어 연소되도록 연소실(11)의 하부 단차부에 그릴(23)이 재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나무난로(10)는 연소실(11)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대(14)와 받침다리(18)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연소실(23) 내부에 재치된 그릴(23)의 하부는 폐목재가 타고 남은 재가 낙하되어 쌓여질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지지대(14)이 제공되어 있으며, 연소실(11)에서 연소되는 폐목재에 공기를 자연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그릴(23)의 인접부분에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통풍구(13)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통풍구(13)는 전술된 바와 같이 폐목재가 다 타고 남은 재가 그릴(23) 하부에 쌓여진 경우에 그릴(23)을 들어올리거나 난로(10) 밖으로 빼낸 다음 재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연소실(11)의 상측부와 연통된 열회수실(17)은 연소가스를 열회수실 (17)의 내측벽에 취부된 다수의 격판(17a)으로 부분 차단하여 지그재그로 유동시킴으로써 연소실(11)로부터 연통(20)을 통한 연소가스의 배기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연소가스의 고열을 회수하여 본 고안의 난로(10)가 설치된 옥내외를 난방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연소실(11)로부터 연도(21)를 통해 빠져나온 고열의 연소가스는 우선, 열회수실(17)의 상부에 취부된 격판(17a)에 의해 하향되고 다시 하부에 취부된 격판(17a)에 의해 상향되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열회수실(17)에 열전달되어 연통부(19)에 결속된 연통(20)을 통해 배기될 때에는 종래의 난로에 있어서 고열의 연소가스가 직접 배기되는 것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의 연소가스가 배기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번호 21은 연도이다.
또한, 열회수실(17)의 구조는 격판(17a)이 상하로 번갈아 취부되어 연소가스를 위, 아래로 지그재그 유동되도록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격판(17a)을 좌우로 번갈아 취부하여 연소가스를 좌, 우로 지그재그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열회수실(17)은 고열의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지체시켜 연소가스로부터 고열을 회수하여 난방을 도모하고자 함이다.
열회수실(11)의 상부벽에는 주전자나 기타 조리기구를 올려놓아 물을 데우거나 취사가 가능하도록 조리구 받침대(15)(16)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조리구 받침대(15)(16)는 연소실(11)에 인접되게 형성된 경우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열회수실(17)의 상부벽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될 수도 있으며 상부벽에 평편하게(16)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 아궁이식 나무난로(30)를 나타내고 있으며, 본 구조는 전술된 나무 투입구(12)와 통풍구(13)의 기능을 동시에 하는 아궁이부(31)가 연소실(11)의 하부에 제공된 것과 아궁이부(31) 내부에 그릴(23)이 설치되지 않은 것외에는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별도의 구조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도 별도의 번호매김을 하지 않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구조는 폐목재나 기타 톱밥등의 목재류를 연료로 하는 나무난로에 있어서 직접 연통으로 배기되는 고열의 배기가스를 열회수실의 격판을 통해 배기시간을 지연시켜 열회수를 도모함으로써 열효율을 개선하는 한편, 과열된 연통에 의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조는 단순한 난방기구에서 주전자나 조리기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조리구 받침대를 형성하여 난방과 동시에 취사를 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2)

  1. 폐목재등이 밀폐구조를 갖는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되고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실로부터 연통을 통해 직접 대기로 배기되는 나무난로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고열을 회수함은 물론 연통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소실(11)과 연통(20) 사이에 열회수부(17)를 제공하되, 상기 배기가스를 지그재그 유동시켜 배기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고열을 회수하도록 상기 열회수부 (17)의 내측부에 다수의 격판(17a)을 지그재그로 취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실(11)의 상부벽에는 주전자나 기타 조리기구를 올려놓아 물을 데우거나 취사가 가능하도록 조리구 받침대(15)(1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난로.
KR2020000015471U 2000-05-31 2000-05-31 나무난로 KR200203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71U KR200203767Y1 (ko) 2000-05-31 2000-05-31 나무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71U KR200203767Y1 (ko) 2000-05-31 2000-05-31 나무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767Y1 true KR200203767Y1 (ko) 2000-11-15

Family

ID=1965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71U KR200203767Y1 (ko) 2000-05-31 2000-05-31 나무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76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539B1 (ko) 2007-04-24 2008-07-21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체인 스토커와 이를 이용한 증기 보일러
KR101080198B1 (ko) 2011-06-08 2011-11-07 이철주 펠렛 난로
KR101241668B1 (ko) * 2012-05-30 2013-03-11 문홍기 화목장작 난로
KR200468604Y1 (ko) * 2013-07-17 2013-08-27 손덕노 화목난로
KR200472326Y1 (ko) 2012-12-27 2014-04-16 이재만 화목 난로
KR20160007203A (ko) * 2014-07-11 2016-01-20 김영수 원적외선 방출하는 화목 난로
KR101655659B1 (ko) * 2015-03-10 2016-09-07 최명수 훈연 조리 장치
KR101694694B1 (ko) * 2016-06-24 2017-01-10 황종걸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KR101750331B1 (ko) * 2015-12-14 2017-07-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539B1 (ko) 2007-04-24 2008-07-21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체인 스토커와 이를 이용한 증기 보일러
KR101080198B1 (ko) 2011-06-08 2011-11-07 이철주 펠렛 난로
KR101241668B1 (ko) * 2012-05-30 2013-03-11 문홍기 화목장작 난로
KR200472326Y1 (ko) 2012-12-27 2014-04-16 이재만 화목 난로
KR200468604Y1 (ko) * 2013-07-17 2013-08-27 손덕노 화목난로
KR20160007203A (ko) * 2014-07-11 2016-01-20 김영수 원적외선 방출하는 화목 난로
KR101703902B1 (ko) * 2014-07-11 2017-02-07 김영수 원적외선 방출하는 화목 난로
KR101655659B1 (ko) * 2015-03-10 2016-09-07 최명수 훈연 조리 장치
KR101750331B1 (ko) * 2015-12-14 2017-07-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101694694B1 (ko) * 2016-06-24 2017-01-10 황종걸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3767Y1 (ko) 나무난로
CN206073138U (zh) 多管式高效散热炉
KR101057398B1 (ko) 기능성 화목 보일러
KR200349810Y1 (ko) 벽난로
CN105066177A (zh) 一种可驱动外置热机的生物质炉灶
CN205505080U (zh) 一种多功能生活炉
CN212362105U (zh) 环保燃炉及燃炉系统
CN211176896U (zh) 一种蜂窝形环保节能木柴灶
RU2003115373A (ru)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ая печь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CN217382914U (zh) 一种桌面柴火颗粒炉
CN213453736U (zh) 一种采暖、炊事两用锅炉
CN219140900U (zh) 一种具有顶部散热结构的壁炉
CN214856162U (zh) 一种轻便可移动的炉体及烤炉
CN201129752Y (zh) 一种高效节能炊暖炉
CN214856144U (zh) 一种热量损失少的炉体及烤炉
CN215597329U (zh) 一种新型柴火炉
CN200946798Y (zh) 一种新型燃柴回风炉炉芯
CN201488009U (zh) 节能环保供暖炊事多用炉
CN208269197U (zh) 节能减排炉灶
CN206522756U (zh) 小型立式、多回程、环保、节能高效燃煤锅炉
CN2735191Y (zh) 节能锅灶
CN111664476A (zh) 环保燃炉及燃炉系统
CN113091116A (zh) 向外吹热风的壁炉
KR200307127Y1 (ko) 실내 공기를 덥게 하는 연소장치
CN1021123C (zh) 吊胆式节能水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