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384B1 -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384B1
KR880001384B1 KR1019850002633A KR850002633A KR880001384B1 KR 880001384 B1 KR880001384 B1 KR 880001384B1 KR 1019850002633 A KR1019850002633 A KR 1019850002633A KR 850002633 A KR850002633 A KR 850002633A KR 880001384 B1 KR880001384 B1 KR 880001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plate
interior
wall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353A (ko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김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영 filed Critical 김덕영
Priority to KR101985000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384B1/ko
Publication of KR86000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 방수 내장판 및 벽체방수 내장판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등 취부용 내장판의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으로 시공된 터널의 전체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내장판의 배열 조립 상태를 부분적으로 예시한 각 내장판의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판의 체결 조립 상태의 일예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판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제 7도는 제 6도의 A-A선 단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으로 시공된 터널 측구의 확대 단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장판과 터널 내벽간의 체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제 3도 B부분의 확대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장판의 체결 조립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 11도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체결 조립된 내장판 모서리부의 중첩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천정 및 벽체용 방수 내장판 1a.1a' : 돌출부
1b,1b' : 앙카공 1c,1c' : 접합부
1d,1'd : ㄴ형 이음부 1e,1e' :
Figure kpo00001
형 이음부
2 : 조명등 취부용 내장판 2a : 요홈
2c : 접합부 2d : ㄴ형 이음부
2e :
Figure kpo00002
형 이음부 3 : 보조판넬
4 : 앙카 보울트
본 발명은 경량 초자 섬유 보강수지제의 내장판을 터널의 벽체 내면에 설치하여 터널의 누수처리를 위한 내장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내부 조명광선에 대한 반사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터널 내벽으로 부터 누출되는 누수의 유도와 동결 방지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한 터널 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널은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로 축조되어 있어 터널 방수층은 부실시공이나 시공후에 유발되는 내부의 진동등에 의하여 터널 벽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터널 내부에 시멘트 블록등을 축조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2중벽을 쌓거나, 또는 파형 반원관등의 부재를 사용한 별도의 아-치형 구조물을 구축하여 터널의 내부로 누수가 낙하됨을 방지하여 왔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누수방지 방법은 그 공사규모가 대단히 커지게 되므로 막대한 시공비 및 장기간의 공기가 소요됨은 물론, 공사를 위한 거푸집의 설치등 가설재의 시설로 인하여 상당기간 동안 터널 내부의 차량 통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교통체증을 가증시키는 요인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보수공사를 완료한 후에는 터널의 내부면적 즉, 터널의 폭과 높이가 대폭 줄어들게 되어 심한 경우 편도 3차선을 가지는 기존 차선이 2차선으로 줄어들게 됨으로써 대형 차량의 경우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시공되는 터널의 내벽면은 시멘트 콘크리트롤 이루어져 암회색의 거친 표면을 갖게되므로, 내부의 조명 광선에 대한 반사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고광도를 가지는 다수개의 조명등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지 않으면 터널 내부의 밝기를 적절히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많은 량의 전력소모가 뒤따르게 되고, 이와 더불어 통행 차량에서 배출되는 매연등으로 부터 쉽게 오염되어 터널의 내부의 광도를 극도로 저하시키게되며, 이에 따른 오진의 제거 및 세척 작업도 콘크리트 벽면 자체가 가지는 기본 바탕 색상에 의하여 별다른 실효를 거둘 수 없게 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터널 내벽에 백색 타일등의 부착을 시도할 경우에는 누수가 없는 장소에만 그 적용이 가능하여 영구적인 시설이 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백색의 평활 표면을 가지는 일정규격의 초자 섬유 보강수지제 방수 내장판을 형성하고, 이들 내장판들을 터널의 내벽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와식 이음으로 고정 부착하여 기존 벽체로부터 누출되는 누수가 각내장판의 배면을 따라 터널의 내부 하측으로 유도 배수되게 하는 한편, 이와 같이 하여 터널 내부의 정점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각 내장판중 양측벽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내장판에는 조명등이 장착되는 조명등 취부용 내장판을 소정간격으로 배열 설치하여, 방수용 내장판의 시공에 따른 조명등의 가설 및 배선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백색의 평활면을 가지는 각 내장판의 표면에 의하여 조명광에 의한 터널 내부의 반사효율을 월등히 증대시킬수 있게 한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 및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내장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장판은 백색초자 섬유 보강수지(FRP)재로된 일정규격의 구형(矩形)판체를 원호상으로 만곡시켜서된 천정용 상부 방수 내장판(1)과 벽체용 하부 방수 내장판(1') 및 이들 상.하내장판(1)(1')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중앙부에 일정폭과 길이 및 깊이를 가지는 조명등 장착요홈(2a)이 선택적으로 구비된 조명등 취부용 중간 방수 내장판(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천정 및 벽체용 상. 하 방수 내장판(1)(1')에는 다수개의 원추(또는 각추)형 돌출부(1a)(1'a)가 일정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열되어 이들 각 돌출부(1a)(1'a)가 상.하 내장판(1)(1')의 후방 즉, 터널벽체를 향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돌출부(1a)(1'a)의 선단면 중앙에는 앙카공(1b)(1b')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된 상.하 내장판(1)(1')의 양측 연부와 중간 내장판(2)의 상.하측 연부에는 종.횡으로 연속 조립되는 각 내장판(1)(1'),(2)간의 연결을 위한 절곡 접합부(1c)(1'c), (2c)가 상기 각 돌출부(1a)(1'a) 및 요홈(2a)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접합부(1c)(1'c), (2c)는 각 내장판(1)(1'), (2)의 형상과 같은 만곡면 또는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양측 접합부(1c)(1'c), (2c)의 일측 또는 양측 모서리부에는 각 내장판(1)(1'), (2)의 좌.우측부 또는 상.하부에 중첩 결합되는 또다른 상.하 및 중간 내장판(1)(1'), (2)의 접합부가 상호 대응 교합될 수 있는 "ㄴ"형 이음부(1d)(1'd),(2d) 또는
Figure kpo00003
형 이음부(1e)(1e),(2e)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b 및 2'b는 조명등 전원선 배선용 박스공 및 이를 복개하는 덮개이고, 2f는 보강 리브이며, 제 6도의 3은 터널 입.출구 부위 양측에 노출되는 조명되는 조명등 취부용 중간내장판(2)의 외측단부에 연결되어 그 중간 내장판(2)과 터널 내벽(20)간의 공간부를 밀폐하기 위한 보조판넬이고, 4는 상기 상.하 내장판(1)(1') 돌출부(1a)(1')의 앙카공(1b)(1'b)을 통하여 터널 내벽(20)에 끼워 박히는 앙카 보울트, 1g, 1'g, 2g는 각 내장판(1)(1'),(2)의 접합을 위한 보울트공, 5는 이들 보울트공(1g)(1'g),(2g)에 끼워지는 특수 고정 보울트, 6은 고정너트, 7은 와셔, 8은 고무링, 9a,9b,9c는 고무 스폰지제 패킹이고, 10은 배수로 측구, 11은 그 내부의 유공관, 12는 뚜껑 그리고 13,14,15는 측구(10)부와 유공관(11)사이에 채워지는 모래, 자갈 및 부직포를 각기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방수내장판의 시공방법 및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각 방수 내장판(1)(2)(1')을 터널의 내부에 설치시에는 누수가 발생되는 부위마다 소정의 구간을 설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누수의 부위가 많거나 또는 내부의 조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터널의 내부 전구간에 걸쳐 설치하게 되는 바, 이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터널내벽(20)의 정점부 즉, 천정의 중앙부에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기준선(B.L)을 표시하고, 이 기준선(B.L)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의 천정용 방수 내장판(1)(1-1)중 일측 내장판(1)을 그 돌출부(1a)가 상측 즉, 터널 내벽(20)을 향하도록 하여 그 상단을 상기 기준선(B.L)에 맞춘 후, 각 돌출부(1a)의 앙커공(1b)을 통한 앙카 보울트(4)를 화약 공포를 이용한 타정기등으로 터널의 내벽(20)에 박아 각 돌출부(1a)의 내부로 외향 노출되는 각 앙카보울트(4)의 선단부에는 고무링(8) 및 와셔(7)을 개재하여 고정너트(6)로 고정한다. 다음, 이와 대향되는 타측 천정용 내장판(1-1)의 상단을 전기의 천정 방수 내장판(1)의 상단 표면 즉, 터널 내부로 노출되는 내장판(1)의 전면 상단 주연부에 소정의 폭으로 겹쳐지게 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터널의 내벽(20)면에 부착 고정하고, 상호 겹쳐지는 좌.우 천정용 내장판(1)(1-1)의 선단 접합부에는 다수개의 보울트공(1g)을 그 접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천공하여, 이들 각 보울트공(1g)을 통하여 너트가 장착되어 있는 공지의 특수 고정보울트(5)를 삽입하여 체결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천정부의 좌.우 방수내장판(1)을 고정 설치한 후에는 이들 내장판(1)의 양측 및 하부에 또다른 천정용 내장판(1-2)과 상기한 조명등 취부용 중간 내장판(2)을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열방법으로 각기 잇대어 연결 설치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연결 조립되는 각 내장판의 조립방법의 일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도, 제5도 및 제 10도, 제11도에 각기 도시한 바와 같이 기히 설치된 천정용 내장판(1)의 일측 즉, 우측 접합부(1c)의 전면에
Figure kpo00004
형 이음부(e)가 하단 좌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천정용 내장판(1-2)의 좌측 접합부(1-2c) 후면을 포개어 상기와 같이 각 돌출부(1a)의 앙카공(1b)을 통하여 체결되는 앙카 보울트(4)로 터널의 내벽(20)에 부착 설치하고, 이어 상기 이음부(1e)에 대향되는 "ㄴh형 이음부(2d)를 상단 우측 모서리부에 가진 조명등 취부용 중간내장판(2)의 상측 접합부(2c) 후면 상단을 최초 천정용 내장판(1)의 하단 전면에 포개어 양 이음부(1e), (20)가 맞대어 이어지게 한 후, 전.후로 중첩되는 각 내장판(1)(1-2),(2)의 접합부(1c),(1-2c),(2c)를 상기의 특수 고정보울트(5)로 고정환다. 다음, 이와 같이 하여 터널의 내부로 노출되는 중간내장판(2)의 우측 연부와 상기 우측 천정용 내장판(1-2)의 하단연부에는 또 하나의 중간 내장판(필요에 따라 조명등 장착요홈(2a)이 형성되지 않은 중간 내장판을 선별사용함)(2-2)의 좌측연부 및 상단 접합부(2-2c)의 후면이 겹쳐지게 하여 그 중간 내장판(2-2)의 좌측상단 모서리부가 상기 이음부(1e)(2d)의 전면을 덮어 씌우게한 후, 역시 상기의 특수 고정보울트(5)로 각 접합부가 고정 접합되게함과 아울러, 이와 같이 연결조립된 중간 내장판(2)(2-2)의 하측연부에는 벽체용 하부방수 내장판(1')(1'-2)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 설치하여 상호 연결 접합되는 상, 중, 하내장판(1, 1-2)(2, 2-2)(1', 1'-2)이 그 천정부로부터 터널내벽(20) 하단에 걸쳐 개외식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연속조립해 나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각 내장판이 조립 시공되는 터널의 시점과 종점 즉, 입.출구측에는 그 최종다니부에 설치된 조명등 취부용 중간 내장판(2-n)의 자체 형상에 의하여 좌.우 양측의 중간 내장판(2)과 터널내벽(20)간에는 소폭의 공간부가 노출되게 되는 바, 이들 공간부에는, 제 6도 및 제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판넬(3)을 사용하여 마감 처리 하여 그 공간부를 폐쇄하고, 또한 이들 시점과 종점부위에 위치하는 각 내장판(1)(2)(1')의 후면과 터널 내벽(20)간에는 적절한 두께를 가지는 고무 스폰지제 팩킹(P)을 개재하여 각 내장판의 부착 설치시 앙카보울트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터널 내벽(20)과 각 내장판간의 공간부를 완전히 밀폐하여 동절기의 누수에 의한 동결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은 앙카보울트(4)와 접합용 특수 고정 보울트(5) 및 너트(6)등 모든 고정부의 체결 작업은 자동 타정기와 천공기 및 전동공구에 의하여 신속 용이하게 시공 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시공되는 터널이 완만한 커어브 곡선을 가진 경우에는 그 커어브 부위에 개와식 이음으로 연결 조립되는 각 내장판(1)(2)(1')의 접합폭을 가감하거나 절제하여 각 내장판의 접합부가 원활한 곡면을 이루도록 조립할 수 있으며, 이때에 각 내장판(1)(2)(1')의 접합부 또는 모서리 절제 부위에 따른 절제 치수의 계산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절제 작업을 시공 현장에서 실시케하여 사진 절제에 의한 착오 발생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터널 내부의 필요한 구간 또는 전구간에 걸쳐 방수 내장판들을 부착 설치하면, 연속 조립되는 각 내장판(1)(2)(1')과 터널 내벽(20)간에는 각 내장판(1)(1'),(2)의 돌출부(1a)(1'a) 및 요홈부(2a)의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의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터널 내벽(20)을 통하여 흘러나온 누수는 각 내장판(1)(2)(1')의 후면에 낙하된 후 이들 내장판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려 터널 내부(20) 하단에 설치된 측구(10)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누수는 측구(10)의 내부에 충전된 자갈(14)을 통하여 유공관(12)으로 유입배수되는 것으로, 이때에 상기와 같이 각 내장판(1)(2)(1')의 후면을 따라 흘러 내리는 누수는 상기 제5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와식 이음으로 연결 조립된 각 내장판(1)(2)(1')에 의하여 터널의 내부로 누출됨이 없이 안전하게 유도 낙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간 내장판(2)에 취부되는 조명등용 전원선은 그 후면의 공간부로 유도 배선하여 그 배선용 박스공(2b)을 통하여 간단히 연결 접속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 내장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방수 내장판(1, 1')에 돌설한 돌출부(1a, 1'a)의 수는 이들 내장판(1. 1')이 가지는 규격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돌출부(1a, 1'a)마다 앙카공(1b, 1'b)을 천공하지 않고 터널 내벽(20)에 고정하는데 적합한 개수 만큼만 뚫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내장판(1, 1', 2)은 경량 초자 섬유 보강수지 판체로 제작되어 그 시공이 용이하도록 만곡 형성하였으나, 터널 내벽(20)에 설치시 그 내벽(20)의 만곡도에 따라 쉽게 완곡 또는 펼쳐질 수 있으므로 여하한 터널 내부의 경사 만곡도에도 용이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각 내장판(1, 1', 2) 자체가 터널 벽면(2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내장판(1, 1', 2)들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시설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얇은 두께를 가지는 각 내장판(1, 1', 2)이 터널의 내벽(20)과 근소한 간격을 두고 밀착 설치되므로 터널의 내부 면적을 크게 축소시키지 않게 되어 기존의 차선 및 터널의 높이를 그대로 유질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각 내장판(1, 1', 2)으로 이루어지는 터널의 내벽에 무수한 요철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통행 차량의 소음을 흡수 완화하여 내부의 공명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시공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는 백색 평활표면을 가지는 각 내장판에 의한 조명광선의 반사율 증대에 있는 바, 본 발명 내장판의 시공 이후에 얻어지는 터널 내부의 반사율은 기존의 콘크리트 벽면이 가지는 확산광의 반사율(23-30%)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반사율(70-80%)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정기적인 세척 작업으로 내부의 조명도를 항상 적절히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병행하여 터널 내부의 기존차도 즉, 노면을 백색 시멘트로 포장할 경우 그 반사효율을 상승배가 시킬 수 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경량 초자 섬유 보강수지제 내장판을 사용하여 터널의 누수처리를 위한 내장 시공을 보다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비의 절감과 공기의 단축을 기할 수 있게 하고, 누수의 유도와 동결 방지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할 뿐 아니라, 내부의 조명광선에 대한 반사효율은 월등히 향상 시키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백색 평활표면을 가지는 초자 섬유 보강수지제 천정 방수용 상부 내장판(1)과 벽체 방수용 하부 내장판(1') 및 이들 상.하 내장판(1)(1') 사이에 설치되는 조명등 취부용 중간 내장판(2)을 각기 형성하여, 상기 상.하 내장판(1)(1')에는 앙카공(1b)(1b')이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1a)(1'a)를 종.횡으로 배열 형성하고, 그 양측연부에는 연속 조립되는 각 내장판(1)(1')의 연결을 위한 절곡 접합부(1c)(1'c)를 형성하며, 상기의 중간 내장판(2)의 중앙부 및 상.하측 연부에는 조명등이 장착되는 요홈(2a)과 배선용 박스공(2b) 및 절곡 접합부(2c)를 각기 형성하여 이들 각 접합부(1c)(1'c),(2c)의 일측 또는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호 맞물리는 "ㄴ"형 이음부(1d),(1'd),(2d)또는
    Figure kpo00005
    형 이음부(1e)(1'e),(2e)를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방수 내장판.
  2. 제 1항에 있어서, 터널의 입.출구 부위에 노출되는 조명등 취부용 내장판(2)의 외측부에 공간 밀폐용 보조판넬(3)을 구비하여서된 터널 방수용 내장판.
  3. 터널 천정 중앙부의 기준선(B.L)을 중심으로 좌.우 천정용 방수 내장판(1)의 상측연부를 상호 중첩되게 접합하고, 이들 각 내장판(1)의 양측 접합부(1C) 및 하부연부 전면에 또 다른 천정용 내장판(1)의 일측연부와 조명등 취부용 내장판(2)의 상측 접합부(2C)의 후면이 겹쳐지게 하여 각 내장판(1),(2)의
    Figure kpo00006
    형 이음부(1e)와 "ㄴ"형 이음부(2d)가 맞대어 이어지게 하고, 상기 각 내장판(1),(2)의 이음부(1e)(2d)에는 또 다른 중간 내장판(2)의 일측연부 및 상측 접합부(2c)의 모서리부가 덧 씌워지게 한 다음, 상기 중간 내장판(2)의 하측 접합부(2c)에는 벽체 방수용 내장판(1')을 같은 방법으로 연결 설치하여 터널 내벽 천정부로 부터 벽체 하단 및 터널 중앙으로 부터 입.출구 부위간에 걸쳐 설치되는 각 내장판(1)(2)(1')이 개와식 이음으로 연속 조립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각 내장판(1)(2)(1')간의 접합부 및 터널 내벽에 밀착되는 돌출부(1a)(1'a)를 공지의 고정보울트(5) 및 앙카보울터(4)로 각기 접합 및 고정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방수 내장판의 시공 방법.
KR1019850002633A 1985-04-18 1985-04-18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KR88000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2633A KR880001384B1 (ko) 1985-04-18 1985-04-18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2633A KR880001384B1 (ko) 1985-04-18 1985-04-18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53A KR860008353A (ko) 1986-11-14
KR880001384B1 true KR880001384B1 (ko) 1988-07-29

Family

ID=1924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633A KR880001384B1 (ko) 1985-04-18 1985-04-18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503B1 (ko) * 2004-12-24 2006-07-13 (주)엠프로 돌기가 형성된 섬유판 및 이를 이용한 노후터널의 방수 및 보강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53A (ko) 198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19986A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JP4484287B2 (ja) 建築物の床
KR880001384B1 (ko) 터널방수 내장판 및 그 시공방법
KR200182334Y1 (ko) 지붕재 판넬
KR200212302Y1 (ko) 반사효과를 갖는 터널의 방수 내장판
US3072921A (en) Construction methods for swimming pools
KR100661018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890004179B1 (ko) 터널 환기용 덕트 패널 및 그 설치공법
US3069695A (en) Swimming pools
US2154394A (en) Prefabricated marquee
KR960004044B1 (ko) 방수턱거푸집
KR102655207B1 (ko) 지붕패널 누수방지 구조가 적용된 방음터널
JPS59114301A (ja) 組立歩道
SU1196455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узла примыкани опускной секции подводного тоннел к секции тоннел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
SU1761878A1 (ru) Водозащ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свода подземного сооружени
KR970000495B1 (ko) 노후 터널의 보수공법
KR200191485Y1 (ko)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KR200255961Y1 (ko) 조립식 타일블록
SU1008391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здани с консольными этажами
KR200331602Y1 (ko) 공기층을 구비한 방음천장이 설치된 터널형 방음시설
RU2115786C1 (ru) Обделка тоннеля
LV12774A (lv) Formwork for repair of hydraulic structures
SU1161649A1 (ru) Безнапорный коллектор
KR920008900Y1 (ko) 도로경계석
KR20240030271A (ko) 간이 수영장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