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485Y1 -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 Google Patents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485Y1
KR200191485Y1 KR2020000006792U KR20000006792U KR200191485Y1 KR 200191485 Y1 KR200191485 Y1 KR 200191485Y1 KR 2020000006792 U KR2020000006792 U KR 2020000006792U KR 20000006792 U KR20000006792 U KR 20000006792U KR 200191485 Y1 KR200191485 Y1 KR 200191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leak
receiving
expansion join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00006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는, 콘크리트 슬랩과 아스팔트층의 사이에 형성된 방수층에 오픈된 부분이 밀착되도록 형성한 유공관; 상기 유공관에 일정한 거리마다 연결설치되고 하부로 경사지도록 연결하는 드레인 유도관; 상기 드레인 유도관을 통하여 하부로 수분을 응집할 수 있게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교량의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콘크리트층에 매입되는 누수유도받이; 상기 누수유도받이의 직하부에 간격을 두도록 설치되며, 일정한 거리마다 수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공을 형성하고 상부로 요홈 타입으로 오픈되도록 형성한 누수받이;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P.C 빔에 일측의 고정나사를 설치한 쪽을 결합시키고 타측의 받침부를 누수받이의 직하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형성한 받침대; 및 상기 누수받이의 원형공에 결합되어 수분을 교량의 하부로 낙하시키는 드레인 관으로 구성시킨다.

Description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Expansion joint eaves mounting an upper plate to bridge}
본 고안은 교각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의 누수로 인한 구조물의 부식방지를 위한 교량 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상판에는 신축이음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교량의 상판 구조는 일반적으로 P.C 빔, 콘크리트 슬랩 및 아스팔트층이 일체가 되어 교량의 상판 구조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의 사이에는 신축이음이 설치되는데, 상기 신축이음의 구조는 철로 제작된 부재를 사용하거나 고무로 제작된 부재로 사용하는게 일반적이다.
도 1a는 종래의 교량상판에 신축이음 본체를 설치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구조가 우기시 누수가 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10)에는 그 상부면에 P.C 빔(14)의 하부에 설치된 교좌장치(12)를 밀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P.C 빔(14)에는 그 상부에 콘크리트 슬랩(16)을 구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슬랩(16)에는 그 직상부에 방수층(18)을 형성한 후 아스팔트층(20)을 구성한다.
상기 교량의 상판과 상판의 사이에는 신축이음 본체(22)가 설치되는데, 상기 신축이음 본체(22)에는 사이에 고무부재(24)가 삽입되어 형성되며, 특히 상기 교량의 상판을 최종 마무리하는 경우 콘크리트 슬랩(16)의 상부와 아스팔트층(20)에는 직각되게 새로운 콘크리트층(26)을 형성한다.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교량의 상판을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을 구성하는 신축이음 본체(22), 고무부재(24), 콘크리트층(26), 아스팔트층(20) 및 콘크리트 슬랩(16)은 상호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우기시 누수로 인한 하자가 발생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종래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은, 우기철이나 동절기에 신축이음새가 누수되어 교량상판을 받치고 있는 P.C 빔 및 강재 구조물이 부식되고 교좌장치까지 부식되어 교량의 수명을 단축하며, 또한 콘크리트의 열화현상으로 철근이 부식되고 교각 기둥까지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에는 적설로 인한 염화칼슘을 살포하여 신축이음새로 염화칼슘이 누수되어 교량을 받치고 있는 교좌장치의 녹발생으로 인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교량의 안전에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을 설치한 하부에 누수받이를 설치하므로 우기나 동절기에 수분에 의하여 P.C 빔 및 강재 구조물, 교좌장치 등에서 누수로 인하여 발생되던 부식을 방지하며, 그로인하여 교량에서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랩과 아스팔트층의 사이에 형성된 방수층에 오픈된 부분이 밀착되도록 형성한 유공관; 상기 유공관에 일정한 거리마다 연결설치되고 하부로 경사지도록 연결하는 드레인 유도관; 상기 드레인 유도관을 통하여 하부로 수분을 응집할 수 있게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교량의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콘크리트층에 매입되는 누수유도받이; 상기 누수유도받이의 직하부에 간격을 두도록 설치되며, 일정한 거리마다 수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공을 형성하고 상부로 요홈 타입으로 오픈되도록 형성한 누수받이;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P.C 빔에 일측의 고정나사를 설치한 쪽을 결합시키고 타측의 받침부를 누수받이의 직하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형성한 받침대; 및 상기 누수받이의 원형공에 결합되어 수분을 교량의 하부로 낙하시키는 드레인 관으로 구성시킨다.
도 1a는 종래의 교량상판에 신축이음 본체를 설치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도 1a의 구조가 우기시 누수가 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교량상판의 신축이음 본체에 누수받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도면, 도 2b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유공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누수유도받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d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누수받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e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f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드레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교량상판의 신축이음 본체에 누수받이를 설치한 부위에 대하여 일정한 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교각 34 : 교좌장치
38 : P.C 빔 40 : 콘크리트 슬랩
44 : 방수층 48 : 아스팔트층
50 : 신축이음 본체 54 : 고무부재
58 : 콘크리트층 60 : 유공관
64 : 드레인 유도관 68 : 누수유도받이
70 : 누수받이 74 : 원형공
78 : 받침대 80 : 고정나사
84 : 받침부 88 : 드레인 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교량상판의 신축이음 본체에 누수받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유공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c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누수유도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d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누수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e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f는 본 고안의 누수받이 구조를 구성하는 드레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교량의 교각(30)에는 최상부 수평면에 P.C 빔(38)의 하부로 형성된 교좌장치(34)를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P.C 빔(38)에는 직상부에 콘크리트 슬랩(40)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슬랩(40)에는 직상부에 방수층(44)을 형성한 후에 그 상부에 아스팔트층(48)을 형성한다.
상기 교량의 교각의 상부로 설치되는 상판 구조는 P.C 빔(38), 콘크리트 슬랩(40) 및 아스팔트층(48)을 일체화로 형성하고, 상기 상판에는 일정한 거리마다 신축이음(EXPANSION JOINT)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과 상판의 사이에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고무부재(54)를 형성한 신축이음 본체(50)를 설치하는데, 상기 신축이음 본체(50)는 콘크리트 슬랩(40)의 상부측면과 밀착하고 아스팔트층(48)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신축이음 본체(50)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신축이음 본체(50)와 콘크리트 슬랩(40) 및 아스팔트층(48)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콘크리트층(58)을 형성하여 마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랩(40)과 아스팔트층(48)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44)에는 유공관(60)을 형성하고 상기 유공관(60)에는 일정한 거리마다 드레인 유도관(64)을 유공관(60)의 하방향으로 형성하여 누수유도받이(68)의 내측으로 유체가 흘러내리도록 형성한다. 상기 누수유도받이(68)에는 하부에 누수받이(70)가 형성되고 상기 누수받이(70)에는 원형공(74)을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하여 빗물같은 유체가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형성한다.
상기 누수받이(70)에는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78)가 설치되는데, 상기 받침대(78)는 고정나사(80)와 받침부(84)로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78)의 고정나사(80)를 P.C 빔(38)의 측면에 고정하고 받침대(78)의 받침부(84)를 누수받이(70)의 하부에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누수받이(70)의 원형공(74)에는 그 직하부에 드레인관(88)이 설치되어 유체를 교각(30)의 하부로 낙하하게 한다.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유공관(60)은 직경15mm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유공관(60)에는 일정한 거리마다25mm의 크기의 드레인 유도관(64)이 형성된다.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누수유도받이(68)는 SUS 304의 제질로 제작되는데, 상기 누수유도받이(68)는 일반적인 빗물받이의 형상처럼 상부측과 하부측이 일방향으로 굴곡되어 빗물 등의 누수를 적당하게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도 2d에서 알 수 있듯이, 누수받이(70)도 누수유도받이(68)와 마찬가지로 SUS 304의 제질로 제작되는데, 상기 누수받이(70)는 상부측을 향해 누수받이(7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이 요홈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누수받이(70)는 누수받이(70)의 바닥 중앙부에 원형공(74)을 형성하여 그 직하부로 설치되는 드레인관(88)과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도 2e에서 알 수 있듯이, 받침대(78)는 누수유도받이(68)와 누수받이(70)와 마찬가지로 SUS 304의 제질로 제작되는데, 상기 받침대(78)는 일측에 고정나사(80)를 2개를 상,하로 설치하여 P.C 빔(38)에 결합시키고 타측에 받침부(84)를 형성하여 누수받이(7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2f에서 알 수 있듯이, 드레인관(88)은 SUS 301의 제질로 제작되는데, 상기 드레인관(88)은 길이방향의 하측부가 단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교량상판의 신축이음 본체에 누수받이를 설치한 부위에 대하여 일정한 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신축이음 구조를 잘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신축이음 본체(50)에는 그 하부에 누수받이를 설치하고 있어 틈새로 새어들어오는 빗물 등의 유체나 염화칼슘이 누수되더라도 방수층(44)과 밀착되어 있는 유공관(60)을 통하여 드레인 유도관(64)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 드레인 유도관(64)을 통한 유체는 누수유도받이(68)를 통하여 누수받이(70)의 원형공(74)을 통해 드레인관(88)을 통해 교량의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의 하단에 누수받이를 설치함으로 우기나 동절기에 아스팔트층의 상부에서 생기는 유체가 아스팔트층을 통하여 방수층에 모이게 되면 유공관을 통해 드레인 유도관으로 흘러내려 누수받이에 결합된 드레인관을 통해 교량의 하부로 보내지게 되므로 종래의 교량 구조에서 발생되던 P.C 빔 및 강재 구조물, 교좌장치 등에서 누수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교량의 보수 작업 등에서 발생되던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한편 교량을 사용하는 기간을 늘릴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교각의 상부에 P.C 빔, 콘크리트 슬랩, 방수층 및 아스팔트층을 일체화되게 형성시킨 교량의 상부 구조를 교좌장치를 사용하여 적재하고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의 사이사이마다 중앙 내측에 고무부재를 형성한 신축이음 본체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층을 타설하여 교량의 상부를 마감하는 교량상부 신축이음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랩(40)과 아스팔트층(48)의 사이에 형성되는 방수층(44)에 오픈된 부분이 밀착되도록 형성한 유공관(60); 상기 유공관에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되고 하부로 경사지도록 연결하는 드레인 유도관(64); 상기 드레인 유도관을 통하여 하부로 수분을 응집할 수 있게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교량의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콘크리트층(50)에 절곡된 상부를 매입시키도록 형성한 누수유도받이(68); 상기 누수유도받이의 직하부에 간격을 두도록 설치되며, 일정한 거리마다 수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공(74)을 형성하고 상부로 요홈 타입으로 오픈되도록 형성한 누수받이(70);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P.C 빔(38)에 일측의 고정나사(80)를 설치한 쪽을 결합시키고 타측의 받침부(84)를 누수받이(70)의 직하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형성한 받침대(78); 및 상기 누수받이(70)의 원형공(74)에 결합되어 수분을 교량의 하부로 낙하시키는 드레인 관(88)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KR2020000006792U 2000-03-10 2000-03-10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KR200191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92U KR200191485Y1 (ko) 2000-03-10 2000-03-10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92U KR200191485Y1 (ko) 2000-03-10 2000-03-10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485Y1 true KR200191485Y1 (ko) 2000-08-16

Family

ID=1964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792U KR200191485Y1 (ko) 2000-03-10 2000-03-10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4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877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교량의 녹물받침대
KR101755181B1 (ko) * 2017-01-24 2017-07-06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877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교량의 녹물받침대
KR101755181B1 (ko) * 2017-01-24 2017-07-06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3084A (zh) 地下室平立面结构交接处施工缝结构防水处理方法及系统
CN101413292A (zh) 一种伸缩缝排水构造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200191485Y1 (ko)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CN209099168U (zh) 一种箱梁伸缩缝防排水装置
CN110042751B (zh) 基于毛细原理的沥青铺装层排水装置及其施工方法
WO2009026807A1 (fr) Dispositif d&#39;expansion de pont integre
KR100441965B1 (ko)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CN210606555U (zh) 一种高层建筑广告牌安装结构
KR20031978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블록아웃부의 배수관 고정판
CN211548442U (zh) 一种防渗漏檐沟结构
CN201121369Y (zh) 一种伸缩缝排水构造
KR20120066206A (ko)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CN215829842U (zh) 一种屋面清水混凝土水沟及构筑工具
JP2970805B1 (ja) 導水樋
KR200300028Y1 (ko) 수로교 이음부의 누수방지부재
CN219604145U (zh) 输煤栈桥楼面z型板变形缝防漏装置
KR200311580Y1 (ko) 교량의 상판 슬래브 신축이음 구간의 빗물 누수받이 구조
CN211849018U (zh) 一种混凝土管道拱涵升级结构
CN108316137A (zh) 新桥梁与老桥梁纵向接缝防水方法及防水结构
KR200272940Y1 (ko) 이탈방지 접속관을 이용한 도로 우수받이 배수관로연결구조
CN213392262U (zh) 隧道二衬渗水处治结构
SU1759985A1 (ru) Конструкци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моста
KR200226147Y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에 부착된 누수받이 구조
KR200351735Y1 (ko)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