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380B1 - 취입용 탈황제 - Google Patents

취입용 탈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380B1
KR880001380B1 KR1019840008362A KR840008362A KR880001380B1 KR 880001380 B1 KR880001380 B1 KR 880001380B1 KR 1019840008362 A KR1019840008362 A KR 1019840008362A KR 840008362 A KR840008362 A KR 840008362A KR 880001380 B1 KR880001380 B1 KR 88000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
quicklime
desulfurization
sludg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034A (ko
Inventor
이승관
허완욱
박현서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고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고준식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4000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380B1/ko
Priority to JP27707785A priority patent/JPS61157605A/ja
Publication of KR86000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80B1/ko

Links

Landscapes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취입용 탈황제
본 발명은 용선의 탈황처리에 사용되는 생석회계 용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황제를 운반가스에 의해 용선에 취입하는 취입용 탈황제에 관한 것이다. 생선회계 탈황제는 탄화칼슘(CaC2)계 또는 탄산나트륨(Na2Co3)계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탈황반응효율이 낮지만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생선회계용제를 이용하여 탈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석회계 탈황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탈황제를 분말상태로 하여 반응계면을 증가시켜주거나, 알루미늄, 흑연, 분코크스(Coke), 피치(pitch)등의 탄산제를 생석회게 용제에 소량 첨가시켜 탈황반응시 생성된 유리산소를 제거시키고 있다.
그러나 생석회계 용제는 공기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소석회로되는 수화현상에 의해 탈황효율이 감소되거나 분말이 응진되어 취입시 운송관의 막힘 및 맥동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어느 방법에서나 이와같은 문제점을 회피할 수가 없다. 한편, 탈황제에 실리콘 오일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탈황제의 유동성을 향상시킴으로서 취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한국특허공고 제84-1170호에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도 생석회가 공기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소석회로 변화되는 문제점은 해소하고 있지는 못하다. 또한 생석회와 비중차가 심한 탄소분말 같은 첨가제가 혼합사용될 경우에는 성분간의 비중차이로 인해 고압의 운반가스가 취입되는 호퍼(hopper)내에서 혼합물의 조성이 불균일 해짐으로서 결과적으로 일정비율의 정량취입이 곤란하여지는 결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 한 것으로서 생석회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형석을 15중량%이하, 트르(tar), 또는 타르슬러지(tar sludge)를 1-20중량%, 시리콘오일(silicon oil)을 0.1-2.0중량% 첨가 혼합하되 생석회는 타르 또는 타르슬러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생석회분말이 타르나 타르슬러지로 피복되어 있고, 이 타르와 타르슬러지는 생석회분말이 대기중의 수분과 접촉하는 기회를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그리고 생석회는 용선내에서 용선의 온도에 의해 열분해반응(Ca)-Ca2++O2-)을 하게되는 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타르등에 생석회입자에 피복된 상태로 용선에 취입됨으로서 취입시 용선의 고온에 의해 타르등에 함유된 솔벤트(solvent)가 발화하여 발생된 열은 효과적으로 생석화의 상기 열분해를 촉진하게 된다.
또한 탈황반응(CaO+S-CaS+O2-)의 생성물인 O2-이온은 타르나 타르슬러지에 함유된 유리탄소에 의해 가스로 제거되어 탈황반응의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소 성분의 생석회 입자에 피복되는 결과가 되어 상기한 호퍼내에서의 탄소성분치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오일의 첨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타르나 타르슬러지등은 점성이 매우 강함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취입용 생석회는 매우 미세한 입자로 되어 있어 혼합기로 이들 물질을 혼합하였을시에 생석회 입자의 표면에 타르나 타르슬러지등이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기대할 수가 없다. 그러나 이와같은 문제는 생석회분말과 타르등을 혼합할시에 이들 물질에 실리콘오일을 0.1중량%이상 첨가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었다.
한편 도표 1은 실리콘오일의 첨가량에 따른 안식각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리콘오일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안식각이 적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0.1중량%이상일때는 첨가비에 따른 안식각의 개선정도가 미미하다. 따라서 실리콘 오일의 첨가량은 0.1-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표 2는 탈황제 분말의 수분흡수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생석회계 용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거의 일정한 비율로 수분흡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생석회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였을시에는 92시간까지, 생석회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여 타르나 타르슬러지로 피복한 경우에는 144시간까지 취입용 탈황제로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도표 3은 유황 함량이 0.03중량%인 용선에 탈황제를 취입한 실험 측정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생석회계 용제에 고정탄소를 5%, 10%첨가하였을 경우 각각 57%, 63%의 탈황율을 나타낸 반면, 타르나 타르슬러지를 피복시킨 본 발명의 탈황제의 경우 70%이상의 탈황율을 보였다.
* [도표 1]
Figure kpo00001
* 분말 size : 0.147mm이하 100%
탄소함량 : 3%
* [도표 2]
Figure kpo00002
* Si-Oil : 0.3wt%첨가
분말 size : 0.147mm 이하 100%
* [도표 3]
Figure kpo00003
* 용선 : 100kg
탈황제 : 300g
[S]f: 탈황말기 유황농도

Claims (1)

  1. 생석회를 주성분으로하고 여기에 형석을 15중량%이하, 타르 또는 타르슬러지를 1-20중량%, 실리콘오일을 0.1-1.0중량% 첨가 혼합하되 생석회는 타르 또는 타르슬러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용 용선탈황제.
KR1019840008362A 1984-12-26 1984-12-26 취입용 탈황제 KR88000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8362A KR880001380B1 (ko) 1984-12-26 1984-12-26 취입용 탈황제
JP27707785A JPS61157605A (ja) 1984-12-26 1985-12-11 吹込用脱硫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8362A KR880001380B1 (ko) 1984-12-26 1984-12-26 취입용 탈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034A KR860005034A (ko) 1986-07-16
KR880001380B1 true KR880001380B1 (ko) 1988-07-29

Family

ID=1923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362A KR880001380B1 (ko) 1984-12-26 1984-12-26 취입용 탈황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57605A (ko)
KR (1) KR880001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7467B2 (ja) * 2006-07-31 2012-05-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CaO系脱硫剤及び溶鉄の脱硫処理方法
JP5026747B2 (ja) * 2006-07-31 2012-09-19 Jfeミネラル株式会社 CaO系脱硫剤の製造方法
WO2010119987A1 (ja) * 2009-04-17 2010-10-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粉体輸送方法
DE102011116501C5 (de) 2011-10-20 2018-05-24 Almamet Gmbh Bitumen enthaltendes Entschwefelungsmitt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1401A (en) * 1978-10-13 1980-04-15 Yazaki Corp Distilling apparatus
JPS55110712A (en) * 1979-02-15 1980-08-26 Kawasaki Steel Corp Desulfurizing agent for blowing-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034A (ko) 1986-07-16
JPS61157605A (ja) 1986-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8736C (fi) Finkornigt avsvavlingsmedel foer jaernsmaelta och foerfarande foer avsvavling av raojaernsmaelta.
CN101358265B (zh) 复合型铁水脱硫剂及其制备方法
NO168057B (no) Finkornet middel for avsvovling av smeltet jern samt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derav.
US4260413A (en) Desulfurizing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m and desulfurization of pig iron and steel
KR880001380B1 (ko) 취입용 탈황제
GB2048308A (en) Desulphurizing agent
DE3118288A1 (de) Pulverfoermige entschwefelungsmasse
RU2166548C2 (ru) Десульфирующая смесь на основе карбида кальция
NO156054B (no) Pulverformig avsvovlingsblanding.
KR880001260B1 (ko) 취입용 Cao계 용선탈황제
KR840001170B1 (ko) 취입용 탈황제
KR860001498B1 (ko) 생석회계 용선탈황제 처리방법
RU2234538C2 (ru) Обессеривающая смесь
KR940000818B1 (ko) 강욕조 정련용 방수성 석회계용재
SU711104A1 (ru) Десульфуратор чугуна
JPS5842710A (ja) 溶銑の吹込用脱硫剤
JPS6124449B2 (ko)
KR900007663B1 (ko) 용선용 탈인제
SU1353822A1 (ru) Рафинирующа смесь
JPH0153330B2 (ko)
JPH11209812A (ja) 溶銑用脱硫剤
JPS6125763B2 (ko)
KR890002896B1 (ko) CaC_2-CaCO_3계 용선 탈황제
KR950001905B1 (ko) 철 용융물용 미립자 탈황제
JP2000109919A (ja) 鉄鋼添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