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290B1 -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90B1
KR880001290B1 KR1019810003669A KR810003669A KR880001290B1 KR 880001290 B1 KR880001290 B1 KR 880001290B1 KR 1019810003669 A KR1019810003669 A KR 1019810003669A KR 810003669 A KR810003669 A KR 810003669A KR 880001290 B1 KR880001290 B1 KR 88000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evice
sound wave
monitoring
arriv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343A (ko
Inventor
마리니 쟝
오드 나르 베르나르
Original Assignee
프라마톰 에씨
챨스 브루넨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2465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800012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라마톰 에씨, 챨스 브루넨고 filed Critical 프라마톰 에씨
Publication of KR83000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5/22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동일한 음향방출원에서 발생되어 4개의 감지장치에 도달되는 음파의 도달 순서를 결정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산업플랜트를 감시하는데 사용된 4개의 감지 장치를 가진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파이프 시스템과 태핑의 용접부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의 감지장치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4개의 감지장치를 가진 장치 수단에 의해 감시될 수 있는 여러 영역의 공간분배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산업플랜트의 일정영역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된 4개의 감지장치를 가진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6도의 장치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6도에 표시된 것과 유사한 장치로 감시될 수 있는 플랜트의 일군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4 : 감지장치 7 : 신호 분별기
8 : 블라인드 엔드 유닛 10 : 비교기
본 발명을 산업플랜트의 적어도 예정된 한 영역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임의 현상의 발생 또는 그 진행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임의의 현상에 수반되는 음파를 감지하여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압수형 원자로와 같이 복잡하고 규모가 큰 산업플랜트에서는 인접한 부품들간의 분열화 즉 마찰 또는 원자로의 구조체와 기계적인 부재(원자로의 구조체로부터 떨어져나와 그 안에서 고속으로 움직이는 볼트, 와셔 또는 밸브 소자와 같은 부재)와의 충돌과 같이 원치 않은 임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원자로 구조체로 부터 떨어져 나온 이러한 기계부재는 매우 빠른 속도로 순환하는 원자로의 냉각수에 섞여 운반된다.
실제에 있어서, 가압수형 원자로와 같은 플랜트에서는 응력이 보조부품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이것들은 열적 또는 기계적 응력의 원인이 되며, 예컨대 국부적이지만 거의 완전한 분열이 발생하여 부품이 상기 구조체로 부터 떨여져나오게 되고 플랜트내에서 이 부품이 유수에 섞여 이동하게 되는 경우까지 진행할 수 있다. 응력의 효과는 또한 부식에 의해서 증가된다.
또한, 부품들이 구조에서 완전히 분리되거나, 혹은 이 부품과 상기 구조체간의 연결부가 완전히 파괴되지 않은 경우에, 떨여져나갈 이 부품과 이 부품에 인접해서 위치된 플랜트의 다른 부품과의 사이에서 마찰이나 출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플랜트에 심각한 손상을 주기전에 가능한 빨리 분열, 마찰 혹은 충돌현상을 검출해서 그 진행상태를 감시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매우 신속하게 검출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현상에 수반되는 음파를 감지하거나 기록하기 위해, 플랜트 구조체에 위치된 음향감지장치를 이용하거나 전술한 파괴적 성질을 띤 현상이 발생할수도 있는 구조체 주변에 위치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된바 있다.
예컨대, 음파에 의한 여기(excitation)에 응답해서 신호를 공급하는 음향감지장치들을 충돌 발생가능성이 큰영역이나 분열 가능성이 심각한 부품근처에 장착시킨다.
작동중인 복잡한 산업플랜트에 있어서, 펌프 또는 팬과 같은 기계부재는 실제로 연쇄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음파는 플랜트의 여러위치에서 발생될 수도 있다.
원자로인 경우에 있어서, 밸브 플랩 폐쇄, 중앙봉의 이동, 또는 다른 이동성 부재의 이동에 수반되는 노이즈와 같이 근원이 다른 각종의 노이즈는 임펄스형의 음향신호를 야기시킬수 있는데, 이 신호들은 두 부품간의 충돌 또는 마찰로 인한 신호들 또는 부품이 분열되는 순간에 전파돈 파열음으로 신호로 잘못 여겨질 수도 있다.
임의 현상에 의거한 신호와 설비에서 떨어진 장소에 기원을 갖는 그 밖의 원인에 의한 신호를 효과적으로 구별하기란 매우 어렵다.
특히, 현재 알려진 장치는 진원자가 가까운 곳인 약한 음향 여기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된 좀더 강한 음향 여기를 구분하기 못한다.
예컨대, 원자로에 있어서, 증기발생기의 하부에서의 충격으로 언한 음파와 감지장치가 위치한 영역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밸브 플랩 폐쇄로 인한 음파를 구분하지 못한다. 전자 공학적인 감사장치로 신호 양태를 감지장치에 기록시켜 검토하고 또한 오실로스코우프로 신호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외에도, 전기적 간섭이 감시체인에 의해 음형펄스로서 포착되는 일이 있으며, 이것은 오경보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음향방출원 예컨대, 응력영향하에서 음파를 발사하는 구조적 결함 혹은 물질이 정확히 위치되게 하는 비파괴시험 분야에서 사용될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장치는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나 물질과 접촉하여 배열되고, 여러 감지장치에서 음파의 도착을 분리하는 시간간격을 측정하고, 음파방출원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이 측정값을 처리한다.
그러나, 음향신호를 측정하고 처리하기 위한 타입의 장치는 매우 복잡하며, 산업플랜트인 경우에는 감지장치 세트에 의해 선출된 음향 신호를 방출하는 각 근원지의 정확한 위치를 얻기 위해서 용략이 매우 크고 가격이 고가인 처리 유닛이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 처리를 신속히 하여, 기록된 형상이 현저하게 확대되기 전에 경보를 내보내고 싶을 경우, 음향방출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음향신호를 구별하는 데는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플랜트의 예정된 적어도 한 영역에서 발생할수도 있는 임의 현상의 발생 또는 그 진행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임의의 현상에 수반되는 음파를 감지하여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을 제아하는 것이며, 본 방법에 의해 감지장치로 부터의 정보를 매우 빠르고 간단하게 처리하고, 음향방출원을 유효하고 간단하게 구별하고, 해당 플랜트의 감시영역 또는 여려영역에 위치된 상기 음향방출원을 결정할수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기의 사항이 실행된다.
·음파는 감시가 실행되는 영역에 관해 위치가 정확히 적어도 두 점에서, 플랜트로 부터 직접 또는 근처에서 감지된다.
·해당플랜트의 각 노이즈 발생현상에 대응하는 음파가 도달한 감지점에서의 도달순서가 상기 감지점들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결정된다.
·감지점에서의 상기 음파도달순서는 감시된 영역내의 어떤 위치에서 발생된 예정된 도달순서와 비교된다.
·감지점에서 음파도달순서가 예정된 도달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경보가 울린다. 영역범위의 축소가 요구되거나 노이즈 방출원이 보다 정확하게 확정될 것이 요구될때 감시방법을 개선시킬수 있다.
이경우, 음파가 최초에 도착하는 감지점을 결정하고, 이 감지점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감지점에서의 음파도달순서를 구별하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그리고 이 시간간격과, 음파가 최초에 도달하고 해당 플랜트의 일정영역에서의 음향현상 발생에 대응하는 감지점의 함수로서 정의되는 일군의 예정된 시간 간격을 비교한다.
본 발명을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감시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이하 설명하겠다.
제1도에는 음향방출원(5)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음향방출원은 4개의 감지장치(1, 2, 3 및 4)가 예정된 위치에 배열되는 구성을 가진 플랜트의 재료 내부의 모든 방향으로 음파를 방출한다.
이 감지장치들은 그물형태로 배열되는데, 그 기하학적 형상은 음파의 실제적인 처리를 최적화하기 위해 계산이나 실험에 의해 결정되며, 감시돌 영역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감지장치들(1, 2, 3 및 4)은 음향방출원(5)으로 부터 수신된 음파를 제2도에 도시된 고주파 신호들로 변환한다. 이 고주파 신호들은 각 감지장치에 대해, 증폭기(6), 신호분별기(7) 및 단안정 블라인드 엔드 유닛(8)를 구비하는 처리체인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단안정 블라인드 엔드 유닛(8)의 출력에서, 제2도 하부에 도시된 신호들이 인코딩 로직을 포함하는 처리 유닛(인코딩 로직 유닛)(9)에 보내져서 이 처리 유닛(9)에 도달된 도달순서로 각 신호와 그 전송통로에 코드를 할당하며, 상기 전송통로는 각 감지장치들(1, 2, 3 및 4)과 대응한다.
따라서, 코드화된 신호들은 비교기(10)에 보내지고, 이 비교기는 장치(11)에서 작성되고 감지장치들(1, 2, 3 및 4)에 의해 수시된 신호수신순서와 일치하는 예정된 신호를 수신한다. 유닛(8)의 출력신호는 고주파신호가 대응 감지장치에 의해 방출되기 시작하는 정확한 순간 즉, 음파가 상기 감지장치에 도착한 순간과 상응하는 초기순간(t1)에서 시작하는 신호로서, 기간과 진폭이 일정한 신호이다. 각 감지장치에서의 신호수신을 분리하는 신호간격(
Figure kpo00001
t)만이 감지장치에 의해 방출된 신호들의 특성으로서 상기 결과신호에 유지된다.
따라서, 처리유닛(9)은 감지장치에서의 신호도달 시퀴엔스를 극히 간단하게 결정하는 인코딩 로직을 구비하며, 어떠한 계산도 하지 않고 상기 시퀴엔스를 결정할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교기(10)에서는, 처리 유닛(9)에 기록되고 감지장치들에서의 음파도달순서와 일치하는 시퀴엔스와 유닛(11)에 의해 작성된 예정된 시퀴엔스와의 비교가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비교기(10)에서 두 시퀴엔스가 동일한것으로 판단되며, 이것은 단안정회로(12)에서 작동하며 예정된 사건이 실제로 발생한 것을 지시하는 경보를 울린다.
제3도는 특수한 모양과 위치를 가진 영역이 감시되도록 요구되어진 플랜트에 배열된 일군의 감지장치에서의 신호도달 시퀴엔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적용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감시될 영역(14)은 정삼각형 ABC와 같은 모양이며, 음향감지장치들(21, 22, 23 및 24)중 감지장치(21)를 삼각형 ABC의 중심에 감지장치(22, 23 및 24)를 감시영역(14)을 구성하는 정삼각형 ABC의 변 BC, AB 및 AC에 대해 감지장치(21)와 대칭이 되도록 배열한다.
감지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고주파 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를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증폭기(26)와 분별기(27)에 의해 증폭된다.
그후 신호는 논리적인 도달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28)에서 처리되고, 비교기(29)는 감지장치에서의 도달순서와 앞서 선정된 도달순서와 일치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일치했다면, 허가신호가 송신되고, 이 신호는 경보를 울리거나 혹은 프린팅 유닛(30)에서 정보를 작성한다.
제3도에 도시된 영역과 유사한 영역(14)인 경우에는, 음향방출을 최초로 수신하는 감지장치를 결정하는 것만으로 충분한다. 실제로 음향방출원(15)이 영역(14)내부에 배치되고 음향방출원(16)은 영역(14)외부에 배치된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방출원(15)은 감지장치(22)보다 감지장치(21)에 가까이 인접해 있고, 방출원(16)은 감지장치(21)보다 다른 감지장치들(22, 23 및 24)중 적어도 하나에 더 가깝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음향방출원이 영역(14)내부에 위치하거나 영역(14)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음향방출을 최초로 수신하는 감지장치가 어느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실제로, 음파는 감시될영역(14)이 포함된 플랜트를 구성하는 물질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며, 이 음파들의 통신시간은 음향방출원에서부터 음향을 수신하는 감지장치까지의 거리에만 의존한다.
만약 음파를 수신하는 감지장치가 감지장치(21)이면, 음향방출원은 정확히 영역(14)내에 있으며, 역으로 방출된 음파를 최초로 수신하는 감지장치가 다른 감지장치(22, 23 혹은 24)이면, 음파방출원(16)은 정확히 영역(14)외부에 있다.
그러므로, 비교기(29)에서 이루어진 단일 비교는 최초에 음파를 수신한 감지장치로부터 나온 신호의 코드와, 감지장치(21)에 의해 최초로 수신된 음향방출과 일처하는 예정된 코드와의 비교이다.
두 코드가 일치한다면, 허가신호가 전송되고, 또한 감시중인 영역(14)에 위치된 음향 방출원의 에너지를 결정하기 위해 감지장치(21)에 의해 방출된 신호에 대해 유닛(31)에서 처리기 시작된다.
이런 종류의 처리는 예컨대 분별기(27)에 의해 증폭되고 변환된 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적용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 방법은 태핑(33)과 파이프 시스템(34)의 연결부의 영접 영역(32)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에서도 4개의 감지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들 감지장치들(35, 36, 37 및 38)중 앞의 3개의 파이프 시스템(34)의 축에 각각 배열되고 네번째 감지장치는 태핑(33)이 축에 배열된다. 감지장치(35)는 용접영역(32) 근처에 배치되나 반면에 감지장치(36과 37)는 파이프 시스템(34)에서 감지장치(35)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된다. 감지장치(35)는 다른 감지장치보다 용접영역에 훨씬 더 가깝게 배치된다.
용접영역에서 발생한 예컨대 이 용접영역의 균열개시에 의한 음향방출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사상간의 동일성 즉 감지장치(35)에 최초로 도착한 음향신호를 결정하면 충분하고, 이와 같은 사실을 실제로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형식의 설비를 사용하여, 한개의 분별소자로서 음향방출을 최초로 수신하는 감지장치를 선별한다.
제5도에는 제3도에 도시된 감지장치 배열과 일치하는 배열이 도시되어 있으며, 영역(14)내부는 14a, 14b, 14c, 14d, 14e 및 14f이 여러 영역으로 구획되고 이러한 경계는 감지장치(1)가 발견된 삼각형의 중심을 통과하는 삼각형 ABC이 각 변을 수직 이등분 한것이다.
삼각형 ABC 의 한변 BC의 일부와 감지장치로 형성된 삼각형의 수직 2등분선 2개의 의해 한정된 영역(14a)을 고려해보면, 영역(14a)내의 어떤 한 점은 다른 감지장치보다 감지장치(1)에 가깝고 영역(14a)내의 어떤 한점은 감지장치(3)보다 감지장치(2)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러므로 신호는 이들 음향신호가 먼저 감지장치(1)에, 그후 감지장치(2)에, 마지막으로 감지장치(3)에 도달하는 그런 방법으로 감지장치(1, 2, 3, 4)에 도달하면, 이들 신호의 방출점을 영역(14a)내부에 배치된다.
제1감지장치 외부로의 도달순서를 생각하면, 음파방출점을 표시하기 위해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구획할 수 있게된다.
제6도를 참고하면, 감시될 플랜트의 표면에 배치망에 따라 배치된 일군의 감지장치에서의 음파도달을 분리하는 시간간격 측정기를 사용해서 감지장치가 배치된 면을 정확히 구획할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6도는 4개의 음향 감지장치(41, 42, 43, 44)를 도시한 것으로, 원자로 용기 또는 원자로와 관련된 증기발생기의 곡선하부와 같이 그렇게 감시될 플랜트의 예컨대 금속 표면에 정방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감지장치는 전술한 바 있는 증폭기와 신호 분별기(46)를 경유하여, 4개위 감지장치에서 음향신호의 도달시간차를 측정할수 있는 처리 유닛(45)에 연결된다.
처리 유닛(45)은 위에 기술된 형태의 감지장치에서 음파의 도달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과, 여러감지장치에서 음파의 도달을 분리하는 시간간격을 계산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이 계산장치는 감지장치에서의 음파 도달순서에 관한 데이타를 고려하며 경보장치(48)를 제어하는 공간 분리논리회로를 포함하는 유닛(47)을 통해 필요한 시간간격 값을 전달한다.
제7도는 도면상부에 감시될 플랜트의 부품과 접촉할때 일어나는 충격과 같은 특수현상에 관한 음파수신에 반응하여 감지장치에 의해 방출된 고주파신호를 도시하고, 본 도면의 하부에는 시간변위(
Figure kpo00002
t12,
Figure kpo00003
t13,
Figure kpo00004
t14)에 일치하는 처리 유닛(45)의 출력 단자에서 얻어진 신호를 도시한다. 제7도에 도시된것 같이, 도시된 신호는 제6도에 도시된 축 ox와 oy에 의해 경계된 제1상한에 위치된 점으로부터 방출된 음파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음파는 이런 제1상한에 위치된 모든점에 있어서, 감지장치(42, 43 및 44)에 도달하기 이전에 우선 감지장치(41)에 도달한다.
예를 들면, 제1감지장치(41)를 포함하는 제1상한내에 방출점(50)이 있는 경우, 감지장치에서의 음파 도달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유닛은 감지장치(41)를 음파를 수신하는 최초의 감지장치로 정하고, 이 정보를 감지장치(41)에서의 음파도달과 감지장치(42, 43, 44) 각각에서의 음파 도달을 분리하는
Figure kpo00005
t's를 결정하는 계산유닛에 전달한다.
축(Ox-Oy)과 2개의 부분적 쌍곡선(53 및 54)에 의해 한정된 감시영역(52)을 제1상한(Ox-Oy)내로 정하지만, 상기 쌍곡선의 촛점은 감지장치(41)과 (42)가 놓인 면상의 점에 있다.
부분적 쌍곡선(53, 54)상의 각점에 있어서는 감지장치(41)과 (42)간의 거리격차는 일정하다.
영역(52)내의 한점, 예컨대 방출점(50)에서 나오는 음향방출에 대해, 음파가 최초로 도달된 감지장치가 감지장치(41)이면, 감지장치(2)에의 도달시간과 감지장치(1)에의 도달시간과의 시간간격
Figure kpo00006
t12이 부분적 쌍곡선(53, 54)상의 점에 대응하는 예정된 2개의 고정값 사이에 있어야 한다.
계산 유닛(45)과 관련된 유닛이 음파를 최초로 수신한 감지장치(41)인 것을 판단했을때, 공간분리로 직유닛(47)은
Figure kpo00007
t12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는 상기 공간분리로 직유닛(47)에 의해 영역(52)의 한정에 대응하는 2개의 설정값과 비교된다.
따라서, 이 간단한 비교에 의해 영역(52)에서 발생된 음파방출 즉, 영역(52)에서 용기 벽과 접촉시 발생하는 임의 현상에 의해 야기되는 음파방출을 결정하기 위한 분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8도에는 원자로 용기 하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복합영역은 벽에 대한 충돌과 같은 임의 현상을 감시하는 것이 요구되는 영역이다.
상기 복합영역(65)은 영역(52)과 같은 영역 4개로, 구성되는데, 이 영역들은 제6도에서 반축(Ox, Oy, Ox' 및 Oy')과 부분적 쌍곡선에 의해 한정된 영역이며, 쌍곡선의 촛점은 음파 감지점(61, 62) 및 음파감지점(62, 63)과 각기 일치한다.
음파가 원자로 용기벽에 의해 전파된 경우, 제6도에 도시된 형태의 측정 및 분별 장치는 음향방출원이 어느 상한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Figure kpo00008
t12또는
Figure kpo00009
t21값을 공간분리로 직유닛(47)에 공급할수있고, 영역(65)을 한정하는 부분적 쌍곡선부의 감지장치(61)를 포함하는 상한과 감지장치(62)를 포함하는 상한내의 음향방출원의 위치에 대응한 2개의 설정값에, 상기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수 가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감지장치(63) 또는 감지장치(64)가 음파를 최초로 수신한 경우에, 처리유닛(45)은
Figure kpo00010
t34또는
Figure kpo00011
t43값을 계산하며, 공간분리로 직유닛(47)은 그 값을, 영역(65)을 한정하는 부분적 쌍곡선부의 감지장치(63)를 포함한 상한과, 감지장치(64)를 포함한 상한내의 음향방출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예정된 미리기록된 값과 비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이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감시될 영역에 특정의 형상으로 배치된 감지장치에의 음파도달순서만을 이용하거나 혹은 감지장치로의 음파도달순서와, 이 감지장치의 적어도 몇 곳에서의 음파도달을 분리하는 시간간격을 이용하여 음향방출원의 간격분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임의의 수의 감지장치를 이용할수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2개의 감지장치로 가능하다. 그러나, 음향방출원의 반평면 또는 반공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제한을 받는다.
감지장치수를 증가시키면, 감시되어야 할 영역의 한계를 더욱 정확히 구획할수 있다.
감시영역이 좁을때, 가까운곳에 1개의 감지장치를 배치시키고, 다른 감지장치는 그 감시영역으로 부터 떨어진점에 배치시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다른 감지장치를 감시영역에 가깝게 배치된 감지장치의 주변에 여러공간에 방향으로 배치하면, 분별작용이 매우 효과적으로 실행될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원자로에 사용된 경우에 대해 기술되었으나, 그 용도를 임의의 산업플랜트 특히 정유시설 또는 석유화학시설과 같이 복잡하고 규모가 큰 산업플랜트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정정) 산업플랜트의 예정된 적어도 한 영역에서 발생할수도 있는 임의 현상의 발생 또는 그 진행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임의의 현상에 수반되는 음파를 감지하여 산업플랜트을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플랜트로부터 직접 또는 그 근처에서 발생된 음파를 감시영역에 대해 그 위치가 정확히 결정된 적어도 2개의 감지장치(1, 2,3, 4)에서 감지하는 단계와, 해당 플랜트의 노이즈 발생현상에 각각 대응된 음파감지장치(1, 2, 3, 4)에 도달한 음파도달순서를 상기 감지장치의 적어도 일부에대해 결정하는 단계와, 감지장치에서의 음파도달순서를 감시영역의 어떤 장소에서 발생된 현상에 대응하는 예정된 음파도달순서와 비교하는 단계와, 감지장치에서의 음파도달순서가 예정된 음파도달순서와 일치하면 경보를 발생하는 단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임의 현상에 대응한 음파가 최초로 도달하는 감지장치(21, 22, 23, 24)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법.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감지장치(35)는 감시영역에 근접한 곳 또는 이 영역내부에 배치되고, 그 외의 감지장치(36, 37, 38)는 감시영역으로 부터 떨어져 여러방향의 장소에 배치되어, 감지장치에 도달하는 예정된 음파도달순서가 감시영역에 근접한 곳에 배치된 감지장치(35)에 최초로 도달된 음파도달에만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법.
  4. (정정) 산업플랜트의 적어도 한 영역(52)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임의현상의 발생 또는 그 진행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임의의 현상에 수반되는 음파를 감지하여 산업플랜트를 음향적으로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프랜트로부터 직접 또는 그 근처에서 발생된 음파를 감시영역에 대해 그 위치가 정확히 결정된 적어도 2개의 감지장치(41, 42, 43, 44)에서 감지하는 단계과, 음파가 최초로 도달된 감지장치를 결정하는 단게와 감지장치(41, 42, 43, 4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감지장치에 도달하는 음파의 도달을 구별하는 시간간격을 측정 및 계산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와, 해당 설비의 감시영역(52)에서 발생한 음향현상에 대응하고 또한 음파가 최초로 도달한 감지장치에 따라서 정해진 미리 예정된 시간 간격과 상기 시간 간격을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5.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정방형의 정점에 배치된 4개의 음파감지장치(61, 62, 63, 64)를 사용하고, 감시영역(65)을 음파감지점으로 구성되는 정방형의 각 상한내에 위치한 쌍곡선으로 한정하고, 또한 정방형의 2등분선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법.
  6. (정정)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 감지장치(1, 2, 3, 4)에 대한음파 수신에 응답해서 감지장치에 의해 방출된 신호를 처리하는 증폭기(6) 및 분별기(7)와, 이 분별기(7) 다음에 배치되어 방출 및 변조된 신호로부터, 진폭과 기간이 일정한 신호 즉, 그 초기 순간이 감지장치(1, 2, 3, 4) 각각에 도달하는 신호의 도달순간에 정확히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블라인드 엔드 유닛(8)과, 감지장치(1, 2, 3, 4)에의 도달순서에 따라 신호를 구별하는 엔코딩 로직 유닛(9)과, 상기 도달순서와 코드화한 예정된 도달순서를 비교하는 비교기(10) 및 경보발생신호를 발생하는 유닛(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장치.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일군의 감지장치(21), (22), (23), (24)를 정삼각형의 정점과 상기 정삼각형의 중심에 각가가 배열하고, 증폭기-분별기(26, 27)를 거쳐, 감지장치(21, 22, 23, 24)에의 음파도달순서를 결정하는 유닛(28)과, 경보를 발생시키고 또한 음파를 최초로 수신한 음향감지장치로 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카운트 처리를 행하기 위해 상기 순서와 미리 예정된 순서를 비교하는 비교기(29)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정정) 산업플랜트의 감시영역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임의의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임의의 현상에 수반되는 음파를 감지하여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해당 플랜트에서 직접 또는 그 근처 즉, 감시영역(52)에 대하여 위치 결정돈 지점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음향감지장치(41, 42, 43, 44)와, 각 감지장치(41, 42, 43, 44)에 도달하는 음파의 도달순서를 결정하는 유닛과, 각 감지장치에 도달한음파도 달과 음파를 최초로 수신한 감지장치에서의 음파도달을 구별하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유닛을 포함한 수단(45)과, 상기 감지장치(41, 42, 43, 44)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측정된 시간 간격과, 미리 예정된 시간 간격과의 간격차에 대응하고 또한 해당 설비의 감시영역(52)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 상기 시간간격의 예정된 값을 비교하는 수단(47)과, 상기 시간 간격 값이 미리 예정된 범위내에서 검출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장치.
KR1019810003669A 1980-10-02 1981-09-29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88000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021163A FR2491646A1 (fr) 1980-10-02 1980-10-02 Procede et dispositif de surveillance acoustique d'une installation industrielle
FR8021163 1980-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343A KR830008343A (ko) 1983-11-18
KR880001290B1 true KR880001290B1 (ko) 1988-07-18

Family

ID=924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669A KR880001290B1 (ko) 1980-10-02 1981-09-29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05924A (ko)
EP (1) EP0049659B2 (ko)
JP (1) JPS5790120A (ko)
KR (1) KR880001290B1 (ko)
CA (1) CA1193352A (ko)
DE (1) DE3173570D1 (ko)
ES (1) ES505934A0 (ko)
FR (1) FR2491646A1 (ko)
YU (1) YU44199B (ko)
ZA (1) ZA816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5374A (ja) * 1983-06-06 1984-12-18 Hitachi Ltd 音源位置標定方法とその装置
FR2550878B1 (fr) * 1983-08-19 1989-05-19 Electricite De France Procede et installation de detection de corps errants dans un reacteur nucleaire
US4586378A (en) * 1983-10-07 1986-05-06 Hitachi, Ltd. Unknown sound evaluating method and apparatus
SE457486B (sv) * 1987-04-29 1988-12-27 Czeslaw Kiluk Foerfarande vid larmsystem, innefattande registrering av energifoerbrukning
WO2004054712A1 (ja) * 2002-12-18 2004-07-01 Cosmo Oil Co., Ltd. 軽油の水素化処理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軽油の水素化処理方法
US20090251996A1 (en) * 2004-03-09 2009-10-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bject position estimation
JP2009079906A (ja) * 2007-09-25 2009-04-16 Toshiba Corp 振動評価装置及び方法
WO2009057216A1 (ja) * 2007-11-01 2009-05-07 Shikoku Electric Power Company Incorporated ルースパーツ監視方法及び装置
US9228888B2 (en) 2013-01-23 2016-01-05 General Electric Company Sensor positioning with non-dispersive guided waves for pipeline corrosion monitoring
WO2018052787A1 (en) 2016-09-13 2018-03-22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s for estimating storage capacity and identifying actions based on sound detection
US10070238B2 (en) 2016-09-13 2018-09-04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 action of a forklift based on sound detection
JP2018155662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東芝 位置標定システム、位置標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5255A (en) * 1945-05-23 1950-12-26 Thomas G Barnes Electrical system for locating a sound source
US2721315A (en) * 1953-04-14 1955-10-18 Snyder James Directional sound detector
US3222634A (en) * 1962-07-27 1965-12-07 Shell Oil Co Underwater locating device
US3343126A (en) * 1964-04-10 1967-09-19 Everett H Duchesneau Acoustic device for detecting moving particles in a fluid
US3445836A (en) * 1966-02-28 1969-05-20 R & D Electronics Audio detection alarm systems
US3471846A (en) * 1966-08-25 1969-10-07 Vandalarm Security Systems Inc Sound responsive intruder detection circuit
US3579220A (en) * 1969-03-28 1971-05-18 Automatic Sprinkler Corp Alarm system
FR2164031A5 (en) * 1971-12-10 1973-07-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Locating device - for source of strain waves eg in stressed pressure vessels
JPS5060698A (ko) * 1973-10-01 1975-05-24
US4009463A (en) * 1975-03-13 1977-02-2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system
FR2475769A1 (fr) * 1980-02-12 1981-08-14 Framatome Sa Dispositif acoustique de surveillance d'une installation industri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49659B1 (fr) 1986-01-22
YU231781A (en) 1984-08-31
EP0049659A1 (fr) 1982-04-14
FR2491646A1 (fr) 1982-04-09
ZA816793B (en) 1982-09-29
EP0049659B2 (fr) 1993-06-23
CA1193352A (fr) 1985-09-10
FR2491646B1 (ko) 1984-01-06
ES8207360A1 (es) 1982-09-01
JPS5790120A (en) 1982-06-04
YU44199B (en) 1990-04-30
ES505934A0 (es) 1982-09-01
US4605924A (en) 1986-08-12
DE3173570D1 (en) 1986-03-06
KR830008343A (ko) 198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6580B1 (en) Acoustic detection of defects in structures
KR880001290B1 (ko) 산업플랜트를 음향학적으로 감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6170334B1 (en) Continuous monitoring of reinforcements in structures
JP3053163B2 (ja) 被監視容積内の異常を検出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異常による損傷を防止する方法
JPH08233977A (ja) 容器の内部の音波の源を検出する装置と方法
US5270950A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locating a source of acoustic emission in a material
US4910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JP3856478B2 (ja) 閉じられた容器中のパラメータ、例えば、充填レベル、圧力またはガス組成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KR830002516B1 (ko) 충동물체 질량 결정 방법
JPH08226988A (ja) 被監視容積内の異常を検出する装置と方法
WO1997016680A1 (en) Monitoring pressurized vessels
US11835670B2 (en) Seismic observation device, seismic observ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seismic observation program is recorded
US4481818A (en) Method of detecting cracks in constructions
US4392214A (en) Sound-monitoring device for an industrial installation
US20180045687A1 (en) Defect analysis device, defect analysis system, defect analysi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oek et al. Localizing partial discharge in power transformers by combining acoustic and different electrical methods
EP2984478A2 (en) Conical utrasonic probe
CA2164315C (en) Continuous monitoring of reinforcements in structures
US6386037B1 (en) Void detector for buried pipelines and conduits using acoustic resonance
JPS5942827B2 (ja) Ae診断装置
KR840002449B1 (ko) 산업설비용 음파감시 장치
CA1194977A (en) Process for detecting an acoustic source and an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apparatus
RU2408868C2 (ru) Способ регистрации включений твердых фракций в газовом потоке
RU2520950C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лн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464642C2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объектов без возможности доступа к ни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