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138B1 - 인자 헤드 - Google Patents

인자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138B1
KR880001138B1 KR1019830001486A KR830001486A KR880001138B1 KR 880001138 B1 KR880001138 B1 KR 880001138B1 KR 1019830001486 A KR1019830001486 A KR 1019830001486A KR 830001486 A KR830001486 A KR 830001486A KR 880001138 B1 KR880001138 B1 KR 88000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ember
spring
printing head
yok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384A (ko
Inventor
가즈에 다가하시
겐지 오구나
이사오 나가시마
미네오 하라다
유다가 가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7Actuators for print wires
    • B41J2/28Actuators for print wires of spring charge type, i.e. with mechanical power under electro-magnetic control

Landscapes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자 헤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인자 헤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인자 헤드의 실시예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인자 헤드를 구성하는 레버 부분의 사시도.
제4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인자헤드에 사용되는 용수철 힘 조절수단의 용수철 부재와, 압입 부재의 걸어맞춤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수철 힘 조절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인자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의 레버 부분의 지지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의 용수철 부재의 장치구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의 용수철 부재의 장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임팩트(impact)방식의 프린터(printer)의 인자(印字)헤드(head)에 관하여, 특히 영구자석(永久磁石)의 흡인력(吸引力)에 축적된 용수철 부재(部材)의 비틀린 에너지를 전자석(電磁石)의 자속(磁束)에 의한 영구자석의 흡인력의 취소에 의하여 흡인부재에 부여하는 캔셜(cancel)형의 프린터 인자 헤드에 관한 것이다.
임팩트 방식의 프린터 인자 헤드는 대략적으로 전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흡인부재를 가속(加速)해서, 인자 동작력(動作力)으로 하여, 작용시키는 형식인 것, 소위, 전자석 구동(驅動) 형식인 것과, 영구 자석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서 용수철 부재를 편의시켜서, 이 용수철 부재에 비틀린 에너지를 비축하여, 전자석의 자속에 의하여, 영구자석의 흡인력을 없애는 것으로서, 용수철 부재의 비틀린 에너지를 인자 동작력으로 하여, 작용시키는 형식인 것, 소위, 캔셜 형식인 것이 있다. 이 캔셜 형의 인자 헤드의 한예로서는, 미국 특허 4,136,978호가 있다. 상술한 캔셜형의 인자 헤드는, 전자석 구동 형식과 비교해서 여러가지 잇점이 있으므로, 근년에는 여러종류의 캔셜형 인자 헤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는, 용수철 부재의 편의(偏倚)에 의해 비축된 비틀린 에너지에 의하여, 인자 와이어(wire)나, 이를 갖춘 흡인부재를 뛰어 오르게하고 있다. 즉, 용수철 부재의 용수철 힘이 즉시 인자 와이어의 인자 에너지가 되기 때문에 이 용수철 부재의 용수철 힘의 설정치(設定値)에 대한 산포(dispersion)량이 인자 품질에 크나큰 영향을 준다.
그러나, 종래의 이 종류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는, 용수철 부재의 한쪽끝은 헤드 본체(本體)등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 이 용수철 부재의 용수철 힘은 영구자석의 자속량 혹은, 전자석의 여자력(勵磁力)에 의하여 조정하든가, 혹은, 가공 정도를 엄밀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조정 관리및 가공 정도의 문제에 있어서도, 용수철 힘의 조정은 매우 어려웠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철 부재의 용수철 힘의 조절 관리를 용이하게 할수가 있는 인자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자 품질을 향상 시킬수가 있는 인자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그 생산성을 매우 높일수가 있는 인자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자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는 인자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자 와이어를 갖춘 레버 부분과, 그 레버부의 구동기구와를 갖춘 인자헤드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버부분은, 인자 와이어를 갖춘 레버체(體)와, 상기 레버체를 한쪽에 비치하고, 또한 상기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요오크(yoke) 사이에 설치한 영구자석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흡인이 이동되는 흡인 부재와, 이 흡인 부재의 다른쪽 끝에 설치한 용수철 부재와, 이 용수철 부재의 자유측(自由側)의 끝부분에 걸어 맞추어서 용수철 부재의 용수철 힘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과를 갖추어, 상기 흡인부재와, 여기에 대향하는 구동 기구의 요오크 자극면과의 부분에 레버 부분의 회동 지점(回動支店)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및 특징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인자 헤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인자 헤드는,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1, 헤드 프레임 2및 외부 프레이트3을 갖는 외틀(外틀)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라이드 프레임 1은 인자 와이어4의 가이드 5A및 그 센터(center)가이드 5B및 와이어 축수(軸受) 5C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프레이트3의 외주에는 방열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 6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 2와 외부 프레이트 3에 화성(畵成)되는 공간 안에는, 인자 와이어 4를 갖춘 레버부 7및 그 레버부 7의 구동 기구 7A가 만들어져 있다. 레버부 7은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헤드 프레임 2내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위치하고, 더구나, 둘레 방향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부 7은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레버체 8. 흡인 부재 9및 용수철 부재 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체 8은 그 끝에 인자 와이어 4를 고착하고 있다. 흡인부재 9은 고투자율(高透磁率)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 한쪽에 레버체 8을 고착하고 있고, 또한다른쪽에는 판상(板狀)의 용수철 부재 10을 고착하고 있다. 용수철 부재 10의 끝부분에는 이 용수철 힘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구멍 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레버부 7의 구동 기구 7A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요오크 12, 제2요오크 13과, 이들 요오크12, 13사이에 배치한 영구자석 14및 제1요오크 12에 설치한 코일(coil) 15를 구비하고 있다. 제2요오크 13은 제1의 요오크 12의 자극면(磁極面) 12A에 접근해서 배치된 자극면 13A를 갖고 있다. 이들 자극면 13A, 12A는 흡인 부재 9에 대향한다. 제1의 요오크 12, 제2의 요오크 13, 영구자석 14및 흡인부재 9는 영구자석 14및 코일 15의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영구자석 14는 흡인부재 9를 요초크측에 흡인하는 자속을 발생한다. 코일 15는 그 여자(勵磁)에 의하여 영구자석 14의 자속을 취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의 요오크 12, 제2의 요오크 13, 영구자석 14및 외부 프레이드 3은 나사 16에 의해서 자기 흡인력에 의하여 제1의 요오크 12및 제2의 요오크 13의 자극면 12A, 13A에 흡착되는 것에 의하여 요오크 12, 13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부 7의 회동 지점은 제2의 요오크 13의 자극면 13A와 이에 접촉하는 흡인 부재 9의 엣치(edger) 9A에 의해서 구성된다. 제2의 요오크 13의 가이드 프레임 1의 거죽면에는 받침 17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부 7이 회동할때,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 프레임2는 레버부 7의 레버체 8을 안내하는 레버 가이드 18를 구비하고 있다. 용추철 힘을 조정하는 수단은 헤드 프레임 2에 나사로 박은 압입 부재 19를 갖추고 있다.
이 압입 부재 19는 그 끝머리에 테퍼(taper)부 20을 갖추고 있다.
이 테퍼 20은 제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수철 부재 10의 끝부분에 만든 구멍 11에 걸어 맞추어졌다. 이 압입 부재 19의 압입 및 끄는 것에 의해서 용수철 부재 10을 편의시켜, 그 용수철 힘을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술한 본 발명의 인자 헤드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인자 개시전에 있어서는, 흡인 부재 9는 제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영구 자석 14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해서 제1요오크 12및 제2요오크 13의 자극면 12A, 13A에 흡착되어 있다. 이때에 용수철 부재 10은 편의하여 비틀린 에너지를 비축하고 있다. 이 비틀린 에너지에 관련되는 용수철 힘은 압입 부재 19의 압입 및 끄는 것에 의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에 코일 15에 전류가 흐르면 영구자석 14의 자속이 취소되기 때문에 흡인 부재 9는 용수철 부재 10의 용수철 힘에 의해서 자극면 13A와 흡인 부재 9의 엣지부 9A에 의해서 구성되는 회동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변위(변위)한다. 이로인하여, 인자 와이어 4는 가이드 5A, 센터 가이드 5B 및 축수 5C에 의해서 안내되어, 그 선단을 잉크 리본(ink riblon), 인자용지를 거쳐서 프라텐(引字版)에 타격 시킨다. 그 결과, 인자용지에는 문자를 구성하는 점이 인자 된다. 상술한 인자 동작에 있어서, 레버부 7의 회동 지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부재 9의 엣지부 9A가 된다. 그래서, 레버부 7의 회전 반경은 상술한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한 종래의 용수철 부재의 한쪽끝을 헤드 본체 등에 고정 지지한 인자 헤드에 비해서 짧은 것이다. 이로 인해서 레버부 7의 관성(慣性)모오텐트가 작어져서 고속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는, 레버부의 운동에 의해서는 용수철 부재가 S자 형태의 곡선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용수철 부재에는 큰 응력(應力)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수철 부재 10은 레버부 7의 회동 지점이 흡인 부재 9의 엣지부 9A에 형성되어 있는 것, 및 용수철 부재 10의 자유측 단부(端部)가 압입 부재 19에 의해서 압부(押付)되어 있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해서 한쪽만 잡은 팽팽한 형상의 움직임을 표시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본 발명의 용수철 부재 10에는 필요이상의 응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그 장수명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입 부재 19와 용수철 부재 10의 끝 부분과의 걸어맞춤을 압입 부재 19의 선단에 설치한 테퍼부 20을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와 구멍 11에 삽입해서 구성하였으나, 제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수철 부재 10의 테퍼 구멍 21을 만들고, 이 테퍼 구멍21에 압입 부재 19의 테퍼부 20을 접촉하여 걸어맞추어도 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압입 부재 19의 선단에 작은 축체(軸體) 22을 형성하고, 이 축체 22을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의 구멍 23에 삽입함과 동시에, 압입 부재 19의 배면(背面) 19A를 용수철 부내 10에 접속시켜서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서, 축체 22와 구멍 23과는 레버부 7을 안내 보지하기 때문에 레버부 7의 회동 지점이나, 흡인 부재 9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수가 있다.
상술한 압입 부재 19와 용수철 부재 10과의 걸어맞춤 구조의 예에 의하여, 용수철 부재 10의 용수철 힘을 충분하게 조절할 수가 있으며, 동시에, 레버부 7의 위치 결정 보지를 실현할 수가 있으며, 동시에, 레버부 7의 위치 결정 보지를 실현 할 수가 있으나, 인자 동작을 할때에는 용수철 부재 10의 용수철 힘이 변동하여서 그 휜 곡선이 변화하여, 용수철 부재 10과 이에 대접하는 압인 부재 19의 뒷면 19A과의 접촉면 사이에 상당한 미끄럼이 일어나서, 그 접촉면이 마모된다. 이 마모량이 증가하면, 용수철 힘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용수철 힘의 감소를 일으키는 상술한 접촉면의 마모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제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수철 부재 10과 압입 부재 19의 뒷면 19A사이에 내(耐)마모체 24를 삽입하든가, 또는 제8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수철 부재 10과 압입부재 19의 뒷면 19A에 각각 내마모체 24A, 25B를 고착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용수철 부재 10과 압입 부재 19와의 걸어맞춤 부분의 마모량을 작게하기 위한 걸어맞춘 부분의 구조로서는 제9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압입 부재 19의 선단에 돌출부 25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 25를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에 형성한 함몰(陷沒)부 26에 삽입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제9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접촉면의 감소나, 가공 오차가 생겼을때에는, 제10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촉부에 포리이미드(polyimid)등의 내마모성의 얇은막 27을 만드는 것이 유효하다.
더우기 제1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에 형성하는 함몰부 26A를 반원구(半圓球)상태로 형성하고, 그 반원상태의 함몰부 26A에 압입부재 19의 선단을 부분 접촉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술한 압입 부재 19는 나사 형체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수철 부재 10의 용수철 힘의 조정수단은 압입부재 19에 의하여,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를 요오크측으로 압입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1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와, 제2요오크 13과를 연결한 나사 부재 28에 의해서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를 요오크 측으로 끌어 들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레버부 7의 회동 지점의 마모에 대응하기 위해서 엣지부 9A에 아주 작은 원형을 부착시키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부 7의 회동 지점을 제1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극면 13A의 엣지부와 흡인 부재 9의 뒷면과의 의해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에는 레버부 7의 보지를 용수철 힘의 조정수단으로 경용시킨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제1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레버부 7을 자극면 13A의 근처에 설치한 경첩(hinge)기구 29와, 흡인 부재 9에 설치한 절결(切決)부 30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지지하는 형식의 것에도 적용 시킬수가 있다. 이때에, 압입 부재 19의 선단은 용수철 부재 10의 단부에 맞닿게 하면 된다.
더우기 용수철 부재 10은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흡인 부재 9의 자기적 흡인 작용면 9A에 뻗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흡인 부재 9의 회동 지점이 되는 자극면 13A의 모서리 부분 13B에 아주 작은 곡면(曲面)을 형성하는 것도 내마모성에 있어 매우 양호하다. 이상 기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가공 정밀도가 완화되어, 매우 높은 생산성을 이룩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레버부의 회동 지점을 요오크의 자극면 부분에 설치할수가 있으므로, 레버부의 회전 반경이 작아져서, 그의 고속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인자 와이어를 갖춘 레버부와, 그 레버부의 구동 기구와를 구비한 인자 헤드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버부는 인자 와이어를 갖춘 레버체와, 상기 레버체를 한쪽끝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요오크 사이에 설치한 영구자석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흡인 이동되는 흡인 부재와, 이 흡인 부재의 다른쪽 끝에 설치한 용수철 부재와, 이 용수철 부재의 자유측의 끝부분에 걸어 맞추어서, 용수철 부재의 용수철 힘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과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 부재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요오크의 자극면과의 부분에 레버부의 회동지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특허 청구 범위 제1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레버부의 회동 지점은 요오크의 자극면과 흡인 부재에 있어서의 용수철 부재 설치쪽의 엣지부와 접촉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특허 청구 범위 제1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레버부의 회동 지점은 흡인 부재의 자기적 흡인 작용면과, 요오크의 자극면의 엣지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특허 청구 범위 제2항 또는 제3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용수철 힘 조정 수단은 한쪽을 용수철 부재의 자유측의 끝부분에 걸어 맞추과, 이 용수철 부재의 끝 부분을 요오크 측에 편의 시키는 압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특허 청구 범위 제4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압입 부재와 용수철 부재의 끝부분과의 걸어맞춤은 압입 부재의 선단에 형성한 테퍼면 부를 용수철 부재의 끝부분에 설치한 구멍에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특허 청구 범위 제4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압입부재와 용수철 부재의 끝부분과의 걸어맞춤은 압입부재의 선단에 설치한 소경의 축체를 용수철 부재의 끝부분에 설치한 구멍에 삽입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특허 청구 범위 제6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압입 부재와 용수철 부재와의 사이에 내마모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특허 청구 범위 제4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압입 부재와 용수철 부재의 끝부분과의 걸어맞춤은 압입 부재 선단에 설치한 돌출부를 용수철 부재 단부에 설치한 함몰부에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특허 청구 범위 제1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레버부의 회동 지점은 요오크의 자극면의 부분에 설치한 힌지부와 흡인부재에 설치한 절결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특허 청구 범위 제8항의 인자 헤드에 있어서, 용수철 힘 조정수단은, 한끝은 용수철 부재의 자유측의 끝부분에 맞닿게 하여서, 이 용수철 부재의 끝부분을 요오크 측에 편의 시키는 압입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19830001486A 1982-04-12 1983-04-09 인자 헤드 KR880001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59519A JPS58177372A (ja) 1982-04-12 1982-04-12 印字ヘツド
JP?59519 1982-04-12
JP57-59519 1982-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384A KR840004384A (ko) 1984-10-15
KR880001138B1 true KR880001138B1 (ko) 1988-07-01

Family

ID=1311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486A KR880001138B1 (ko) 1982-04-12 1983-04-09 인자 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11269A (ko)
JP (1) JPS58177372A (ko)
KR (1) KR880001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585A (ja) * 1982-10-15 1984-04-21 Hitachi Ltd 印字ヘツド
IT1162961B (it) * 1983-10-14 1987-04-01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stampante a fili od aghi particolarmente per unita periferiche di sistemi elettronici per l'elaborazione di dati
JPS60154084A (ja) * 1984-01-25 1985-08-13 Hitachi Ltd 印字ヘツド及びその組立方法
JPS60174659A (ja) * 1984-02-22 1985-09-07 Hitachi Ltd 印字機構
US4669898A (en) * 1985-12-23 1987-06-02 Electronics Research And Service Organization Dot matrix print head
JPH0435176Y2 (ko) * 1986-11-25 1992-08-20
JPH0611789Y2 (ja) * 1987-04-20 1994-03-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ワイヤドツトプリンタ用ヘツド
JPH0611790Y2 (ja) * 1987-08-28 1994-03-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ドット印字ヘッド
JPH023335A (ja) * 1988-06-16 1990-01-08 Hitachi Ltd ワイヤドットプリンタ
JPH078201Y2 (ja) * 1988-08-29 1995-03-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ドット印字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869A (en) * 1975-12-15 1976-11-16 General Electric Company Print head improvement
US4173021A (en) * 1978-05-13 1979-10-30 Koh-I-Noor Rapidograph, Inc. Sealing element for an automatic drafting pen
JPS55148178A (en) * 1979-05-07 1980-11-18 Nec Corp Printing hammer
JPS5856354B2 (ja) * 1980-03-12 1983-12-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印字ヘッド
JPS5739240U (ko) * 1980-08-11 1982-03-02
JPS5836466A (ja) * 1981-08-26 1983-03-03 Hitachi Ltd 印字ヘツ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72467B2 (ko) 1991-11-18
JPS58177372A (ja) 1983-10-18
US4511269A (en) 1985-04-16
KR840004384A (ko) 198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2184A1 (en) Wire dot printer head and wire dot printer
KR880001138B1 (ko) 인자 헤드
US4674896A (en) Printing mechanism for an impact matrix printer
KR900007139B1 (ko) 도트 프린터 헤드
JPH06218954A (ja) 印字ヘッド
US20050201799A1 (en) Armature, wire dot printer head and wire dot printer
US20050214051A1 (en) Wire dot printer head and wire dot printer
US4692043A (en) Wire dot-printing head
US4778292A (en) Dot print head with restrained rebound of armature
US5044793A (en) Hammer device having adjustable striking force
US4484519A (en) Stylus driving apparatus for printers
JP2710631B2 (ja) ドット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
JPH051403Y2 (ko)
JPH0148153B2 (ko)
JPS59138474A (ja) 印字ヘツド
JPS58177374A (ja) 印字ヘツド
JPS6160787B2 (ko)
JPS60285Y2 (ja) ワイヤドツトプリンタ
JPH0742741Y2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
JPS5836466A (ja) 印字ヘツド
JPH0626897B2 (ja) 印字ヘツド
JPS6048347B2 (ja) 可動コイル型印字ヘツド
JPS60279Y2 (ja) クラツパ−型ドツトプリンタヘツド
JPS59227466A (ja) 印字ヘツド
EP0189568A1 (en) Print hammer and drive for daisy wheel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