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28B1 -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 - Google Patents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28B1
KR880000628B1 KR1019840001152A KR840001152A KR880000628B1 KR 880000628 B1 KR880000628 B1 KR 880000628B1 KR 1019840001152 A KR1019840001152 A KR 1019840001152A KR 840001152 A KR840001152 A KR 840001152A KR 880000628 B1 KR880000628 B1 KR 88000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shaft
roll
worm
cart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835A (ko
Inventor
요시유끼 시노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마끼 후유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669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40001U/ja
Priority claimed from JP8337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94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71514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75405U/ja
Priority claimed from JP74796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80801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마끼 후유히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84000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8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for step-by-step or planetary rolling; pendulum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3Sleeved rolls
    • B21B27/035Rolls for bars, rods, rounds, tubes, wir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05Cantilevered roll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2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mechanically, e.g. by thrust blocks, inserts for removal
    • B21B31/26Adjusting eccentrically-mounted ro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30Quick or bayonet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로울조립체를 사용한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부분절단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로울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X"방향 시도(視圖).
제4도는 전달되는 회전력 설명을 위한 부분 개략도.
제5도는 분해 공정의 설명을 위한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헤드 지지기구를 사용한 캔틸레버식 압연기를 보여주는 수직절단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X"방향 시도.
제8도는 제6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IV-IV선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스틈새 조정기구를 사용한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수직절단 측면도.
제11(a)도 및 제11(b)도의 가이드부재의 상세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루우 압하크기 지시기의 설명도.
제13도는 제12도의 "B"방향 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C-C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2도의 D-D선 단면도.
제17도는 회전식 원판 다이알 요부 단면 측면도.
제18도는 패스틈새 조정 및 지시기구와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캘리버(Caliber)조정기구를 사용한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개략 단면도.
제19도는 캘리버 조정기구의 요부를 보여주는 확대 부분도.
제20도는 제19도의 "E"방향 시도.
제21도는 하부 로울측의 종축방향 단면도.
제22도는 제18도의 H-H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축 2 : 인장부재
3 : 로울유니트 4 : 링로울
5 : 테이퍼 슬리이브 6 : 누름와셔
8 : 로울압축공구 10 : 유압피스톤 실린더
13 : 너트 부재 12 : 발취링
14 : 크라운 스플라인 101 : 스핀들 하우징
122 : 구동스핀들 131 : 커플링 헤드
142 : 헤드호울더 145, 146 : 파지부재
147 : 푸셔 부재 152 : 호울더 바이어스수단
203 : 로울하우징 411 : 편심카트리지
457 : 워엄휘일 458 : 워엄
438 : 결합부재 444 : 실린더 튜브
본 발명은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링로울의 서로 반대인 양측면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인해 생성된 마찰력에 의해 링로울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채택한 로울 조립체를 사용하고 있다.
환봉형의 강재나 선재를 압연하기 위한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측에 링로울을 조립하기 위해서 로울측의 원주에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내부로 테이퍼진 슬리이브를 로울측과 링로울의 축방향의 원통형 구멍사이에 삽입하여 링로울을 로울측에 고정식으로 조립하고 그것의 원통형 내원주면의 마찰력에 의해 링로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 종래의 관행이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테이퍼 슬리이브의 삽입 때문에 링로울의 외주부분에 큰 인장응력이 발생되어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링의 원주와 직각방향으로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강(鋼)으로 제작된 로울축 및 슬리이브와 비교해볼때 열팽창이 적은(약1/2) 초경로울로 링로울이 구성된 경우에, 로울축부분에 온도 상승에 기인한 큰 열팽창이 발생되고 이것이 링로울에 과대한 인장응력을 가함으로써 링로울의 균열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링로울의 회전력 전달은 링로울의 내원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행해짐으로써 곧 한계응력에 도달함으로 인해 대부분의 값비싼 초경로울은 곧, 혹은 얼마가지않아 고철화 되버리고 이로인해 재료비 상승을 초래한다. 더우기 위에서 언급한 링로울의 인장응력 문제를 감안할때 내부 압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삽입되어지는 테어퍼 슬리이브의 압력(押力)에 대해서는 정밀도가 요구된다.
위에서 언급한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에 있어서의 종래의 결점 즉 균열 문제를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차적 목적이다.
본 발명의 보다 특별한 목적은 캔틸레버식 압연기용의 로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로울조립체는 주로 링로울의 측방향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생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링로울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에서 말한 로울조립체와 함께 선택적으로 ; 로울축을 빼낼때 힘들이지 않고 쉽게 로울교체를 하기위해 커플링헤드로 하여금 자동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커플링헤드 지지기구, 로울 하우징에 있는 편심카트리지의 조립과 분해를 하여주는 패스틈새 조정기구, 편심 카트리지의 회전에 비례해서 회전되는 회전식 다이얼장치에 의해 패스틈새 크기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스틈새 지시기 및/또는 편심 카트리지를 반경방향으로 눌러 압연작업동안 로울 스탠드에 확고히 붙잡아두는 한편 패스틈새를 조정하기 위하여 편심카트리지를 회전하게 하고 축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해 로울캘리버를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캘리버 조정기구를 결합 사용할 수 있는 캔틸레버식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형태에 따르면, 로울 스탠드의 로울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로울축을 가진 캔틸레버식 압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압연기는 로울축의 중심부를 지나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있고 로울축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바깥쪽 단부를 갖고있는 인장부재, 링로울의 내주 및 일단면과 결합하고 있는 테이퍼슬리이브와 링로울의 타단면과 결합하고 있는 누름와셔 사이에 링로울을 보유하고 있는 로울 유니트, 인장부재의 돌출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유압피스톤-실린더를 가지고 있고, 또 그 원주면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를 갖고 있는 로울압축공구, 너트부재와 누름와셔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크라운 스플라인, 그 내주에 크라운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너트부재와 누름와셔의 크라운 스플라인과 미끄럼 운동 결합 및 고정식 결합을 하고있는 발취링, 발취링에 의해 로울압축공구에 부착되어지고 로울축과 동심으로 조립되어 유압피스톤-실린더 장치에 의해 인장부재에 인장력을 주는 상태를 테이퍼 슬리이브위에 조립되어 있는 로울유니트, 링로울의 측방으로 압축력을 가해 인장부재의 인장력과 균형을 유지케하고, 주로 이 측방압축력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로울축으로부터 링로울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한 유압 피스톤-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의 목적 및 다른목적, 특징, 이점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분명 해질것이며 이것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보여주는 도면과 연관해서 설명되어 진다.
제1도에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로울조립체를 사용한 캔틸레버식 압연기를 보여준다. 로울축은 1번으로 나타나 있으며 인장부재(2)는 환봉형으로서 로울축(1)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축방향 구멍속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로울유니트(3)는 로울축(1)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누름와셔(6)와 테이퍼 슬리이브(5)사이에서 볼트(7)에 의해 일체적으로 꽉조여져 있는 링로울(4)을 가지고 있다. 로울축(1)에 로울유니트(3)를 착탈하기위해 사용되는 로울 압축공구(8)는 피스톤(9)를 가진 유압피스톤-실린더(10)와 실린더(10)의 외원주에 나사 결합된 너트(11)로 구성되어 있다.
발취링(12)은 로울유니트(3)와 로울압축공구(8)를 맞물고 있다. 교환용 지그(20)가 로울압축공구의 실린더(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너트(13)는 위에 언급한 인장부재(2)가 로울축(1)으로 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인장부재의 구동단(drivingend)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인장부재(2)의 타단은 로울축(1)의 끝에서 돌출해 있으며 그 돌출단은 나사에 의해 크라운 스플라인(14)과 고정결합되어 있다.
로울유니트(3)의 링로울(4) 양단면(4a, 4b)에는 안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테이퍼면이 주어져 있다. 링로울(4)은 또 내원주면(4c)에도 테이퍼가 져있다.
한편 테이퍼 슬리이브(5)는 외원주면(5a)이 테이퍼가 져있어 링로울(4)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링로울의 안쪽 단면과 압력 접촉을 하기 위해 링로울의 쪽에 테이퍼가 진 플랜지(5b)를 가지고 있다. 슬리이브(5)의 내원주면(5c)은 로울축(1)의 외원주면과 결합하기 위한 적합한 형상을 갖축고 있다. 링로울(4)의 바깥쪽 단면(4b)는 누름와셔(6)의 테이퍼가 진 안쪽 단면(6a)과 압력 접촉하고 있다. 이 누름와셔는 내부로 돌출한 단이진벽부분(6b)을 가지고 있다. 로울 유니트(3)는 위에서 설명한 링로울(4), 테리퍼 슬리이브(5) 및 누름와셔(6)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이퍼 슬라이브(5)위에 링로울(4)과 누름와셔(6)을 결합하여 누름와셔(6)의 단이진 벽부분(6b)을 관통하여 테이퍼 슬라이브(5)로 들어가는 볼트(7)에 의해 꽉 나사조임된 하나의 구조물로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누름와셔는 링로울(4)의 양단면을 테이퍼 슬라이브(5)의 플랜지부분(5b)과 누름와셔의 안쪽단면(6a)과를 압력 접촉상태로 유지시키고 있다. 또한 스플라인(5a, 6c)이 테이퍼 슬라이브(5)의 바깥단부의 내원주면과 누름와셔(6)의 단이진 벽부분(6b)의 내원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플라인들(5d, 6c)은 로울축(1)의 바깥쪽 단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1b)과 맞물려 있어 이것에 의해 로울축(1)으로부터 로울 유니트(3)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로울압축공구(8)에는 실린더(10)의 중앙에 스플라인(10a)을 가진 축방향구멍(10b)이 주어여 있고, 이 스플라인에 의해 인장부재(2)에 고정되어 있는 크라운 스플라인(14)과 미끄럼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원주상홈(10d)이 그 안쪽 단부에서 링로울 쪽으로 향해 열려 있는데 그 속에 원주상 피스톤(9)을 수용하고 있다.
오일압력통로(10g)가 실린더(10)에 형성되어 있어, 원주상홈(10d)을 링로울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깥쪽 단면(10e)에 있으며 유압회로(보이지않음)와 연결되어 이는 오일압력 구멍(10f)과 통하게 한다.
실린더(10)의 외원주면은 나사부(10h)로 되어있어 그 위에 너트(11)가 조립되어 있다. 너트(11)에는 그것의 원주면의 안쪽단부에 크라운 스플라인(11a)이 주어져 있다.
이와 비슷하게 누름와셔(6)의 원주면의 바깥쪽 단부에도 크라운 스플라인(6d)이 형성되어 있다.
크라운 스플라인(6d)와 (11a)는 발취링(12)의 내원주면에 형성된 크라운 스플라인(12a)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크라운 스플라인(6d, 11a)과 발취링의 크라운 스플라인(12a)이 맞물리고 너트(11)쪽으로 발취링을 이동시킨후에는 스플라인 폭만큼의 각도를 회전해도 누름와셔(6)로부터 발취링이 빠지지 못하도록 잠궈진다.
링로울의 조립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하나의 구조물로 조립된 로울유니트(3)는 발취링(12)에 의해 로울압축공구(8)와 결합되고, 다음 로울 유니트(3)와 로울압축공구(8)는 로울압축공구(8)에 설치된 로울 교환용 지그(20)에 의해 로울축(1)에 끼워진다. 그것에 의해 로울유니트(3)의 테이퍼 슬파이브(5)는 로울축(1)에 끼워지고 동시에 실린더(10)의 스플라인(10a)을 안쪽으로 밀어붙여 제 2 도에 보여지는 인장부재(2)에 고정되어 있는 크라운 스플라인(14)과 스플라인(10a) 사이에 틈새공간(a)이 형성된다.
그후 실린더(10)는 스플라인(10a)의 폭만큼 각도 회전하여 로울압축공구(8)가 인장부재(2)로 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다음에 너트(11)를 풀고, 발취링(12)을 너트(11)쪽으로 이동시키고 유압 호소(보이지않음)가 오일압력구멍(10f)에 연결되어 로울축(1)쪽으로 피스톤(9)을 밀어 붙이기 위하여 원주상홈(10)에 유압을 공급한다.
이 결과로 피스톤(9)은 실린더 안쪽 단면(10c)밖으로 돌출하게 되어 인장부재(2)를 화살표방향(X1)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너트(11)와 누름와셔(6)사이에는 틈새공간이 형성된다. 그다음 너트(11)는 틈새(b)가 제로로 될때까지 조여진다. 그다음 유압이 빠지고 인장부재(2)는 수축되어 로울유니트(3)의 테이프슬리이브(5)는 로울축(1)으로 밀려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슬리이브(5)의 안쪽단면(5g)은 로울축(1)에 끼워져 있는 부재(21)와 압력접촉을 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공정, 즉 피스톤(9)의 가압, 너트(11)의 조임, 유압의 제거, 작업을 다시 반복해서 실시하면 미리 정해진 유압에 대응하는 인장응력이 인장부재(2)에 잔류하게되고, 이때 이 인장응력은 너트(11), 누름와셔(6), 링로울(4) 및 테이퍼 슬리이브(5)에 가해진 압축력과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 로울유니트(3)를 로울축(1)에 조립할때, 링로울(4)의 내부 테이퍼부분(4c)둘레의 틈새는 테이퍼슬리이브(5)의 테이퍼 부분(5a)으로 밀어붙여짐과 동시에 서로에 대해 동심을 유지함에 의해 제로로 된다.
링로울(4)이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로울축(1)에 조립됨에 따라, 로울축(1)의 회전은, 로울축(1)의 전단부에 있는 스플라인(1b)과 테이퍼 슬리이브(5)와 누름와셔(6)의 각각에 있는 스플라인(5d, 6c)을 지나 로울 유니트(3)에 전달되고 그리고 링로울(4)의 양단면(4a, 4b)의 접촉부분(c, d)과 테이퍼 슬리이브(5)와 누름와셔(6)와의 마찰력에 의해 링로울(4)에 회전이 전달된다.
이때는 주로 측방향에서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하여 링로울(4)을 회전시키게 한다. 동시에 링로울(4)의 내원주면과 테이퍼 슬리이브(5)의 원주면 사이의 접촉부분(e)에 작용하는 내부압력에 의해 회전이 전달된다.
위에서 언급한 측방 작용 압력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 Tt와 내부 압력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 Tr은 다음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kpo00001
제 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기서,
P : 인장부재(2)에 의해 가해진 압력
μ : 링로울(4)과 슬리이브(5)와 누름와셔(6)사이의 마찰계수
δ : 테이퍼 슬리이브(5)의 밀어붙임에 의해 발생된 (r1)에서의 간섭
E1: 테이퍼 슬리이브(5)의 수직탄성계수
E2: 링로울(4)의 수직탄성계수
R1: 테이퍼 슬리이브(5)의 포아송비
R2: 링로울(4)의 포아송비
링로울(4)에 전달되는 전회전력은 T=Tt+Tr로 표시된다. 초경로울의 경우에 있어서 강(Steel)의 1/2정도인 열팽창계수와 온도상승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량증가 그리고 압축응력에 비길정도의 적은 인장응력을 감안할때 T
Figure kpo00002
0.5Tr(Tr=0.1-0.5T)가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회전력이 전달되는 동안, 링로울(4)에 가해지는 압축력의 약화는 너트(11)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방지되고, 인장부재(2)는 회전력의 전달동안 팽창과 수축에 관계없이 안정된 파지력을 가한다.
로울축(1)으로 부터 로울유니트(3)를 분리하기 위하여 유압호스가 로울압축공구(8)의 오일구멍(10f)에 연결되고,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너트(11)는 이완되어 발취링(12)을 제 5 도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고정시킨다.
다음 유압이 제거되고 너트(11)는 다시 이완되어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링로울(4)은 테이퍼 슬리이브(5)와 누름와셔(6)와 함께 로울축(1)으로 부터 분해되어질 수 있고 동시에 로울 압축공구(8)와 로울유니트(3)도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앞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거 제작된 캔틸레버식 압연기용의 로울 조립체는 기본적으로 로울축(1)내에 축방향으로 놓여진 유압피스톤-실린더를 사용한 로울압축공구(8)에 의해 인장응력을 주는 인장부재를 포함하고, 또 인장부재의 인장응력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링로울의 양측면에 압축력을 가하고 주로 이 축방향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링로울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링로울의 내면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전달하도록 설계된 종래의 로울에서 겪어야 했던 링로울 균열의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누름와셔와 테이퍼 슬리이브를 포함한다.
축방향의 압축력을 가함에 의한 회전력의 전달은 압축응력에 보다 적합한 초경로울로 구성되는 링로울에 또한 이롭다. 그리고 이런 경우에 비교적 작은 직경의 로울에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가 있고, 이렇게 하여 로울의 구동장치 구성 및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6 도 내지 제 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커플링헤드 지지기구를 갖추고 있어서 이것이, 로울이나 로울유니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로울을 뽑을때에 로울 스탠드의 커플링헤드를 지지하도록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부재번호 101은 스핀들 케이싱으로 이것은 말단 베어링 플레이트(102), 중간 베어링 플레이트(103), 원주케이싱(104) 및 연결말단 플레이트(105)로써 구성되어 있다.
부재번호 106은 로울유니트 케이싱으로 이것은 스핀들 케이싱(10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로울 유니트 케이싱(106)은, 일단에서 연결말단 플레이트(105)와 접촉하도록 제공된 로크수납 플레이트(107)와 타단에 제공된 베어링 말단 플레이트(108)와의 사이에 원주 케이싱(109)을 갖추고 있다.
부재번호 110은 2쌍의 로크레버이며 이들은 스핀들 케이싱(101)의 일단에 대향하여 제공되고 로크실린더(111)를 작동시킬때에 로크수납 플레이트(107)내의 로크홈(112)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부재번호 113은 상하부 원통상 카트리지를 나타내고 있는데, 로크수납 플레이트(107)와 베어링 플레이트(108)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각 카트리지는 그 원주 주위에는 워엄휘일(114)한쪽에 위치하는 각 구동워엄과 결합되므로서, 앞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카트리지(113)내에 편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로울축(116)들을 서로를 향하여 내왕운동할 수 있게 하여 한쌍의 작업로울 사이의 패스 틈새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커플링헤드에 있어서는, 그 원주에 스플라인(118)을 갖고 있는 커플링단부(119)가 통상작업로울로부터 먼 각 로울축(116)의 내측단에 제공되고, 또한 편심 카트리지(113)는 축방향으로 이 운동을 지지하는 고정 발취 방지판(120)을 통하여 로울유니트 케이싱(10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핀들케이싱(10)에는, 말단 및 중간 베어링 플레이트(102, 102)내에 상하부 베어링부재(121)가 제공되어서 각각 구동스핀들(122)과 연동기어(123)를 지지하고 있다. 하부 구동스핀들(122)은 도시되지 않은 회전구동시스템과 연결되어서 스핀들(122)의 원주주위에 제공되는 구동기어(124)와 상기 연동기어(123)를 회전시킨다.
이들 기어(123, 124)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편심회전형 수평 커플링(125)이 있는데, 이것은 중간 베어링 플레이트(103)내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그 일단의 내측 가장자리 주위에 내측 스핀들기어(126)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기어 커플링(128)의 가변 각형의 외측 스핀들 기어(127)와, 이동가능 스핀들 기어를 그 중심축으로 해서 결합한다.
스핀들(129)의 타단에는 제2기어 커플링(1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커플링헤드(131)가 제공되어 있어서 그 외측 스핀들 기어(127)(전달부분)와 내측스핀들기어(126)(전달부분)가 서로 결합한다. 하나의 암슬플라인(132)이 헤드(131)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상술한 스플라인(118)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플라인(118, 132)의 단이 발산형 또는 수렴형으로 형성되어서 원활한 결합을 보장한다.
상하부 로울축을 위한 상하부 전달기구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커플링수단에 의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같은 종류의 캔틸레버형 압연기에는 커플링헤드 지지기구가 추가로 제공되어서, 로울을 뽑을때에 커플링헤드를 자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지지해서, 그렇지 못할 경우에 필요로하는 힘든 작업들을 제거하여 준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커플링헤드 지지는 두개의 평형지지후레임(133)을 갖추고 있는데, 이것은 각 커플링 헤드(131)를 우회하도록 제공되고 또한 특별히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상부 또한 하부 쪽에 놋치부를 갖는 환상체로써 구성된다.
특별히 제7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기저 베어링(134)을 수단으로해서 중간 베어링 플레이트(103)상의 4개의 격치된 위치에 설치된 4개의 편심축(135)에 의해서 상기 지지 후레임들(133)은 상기 4개의 지지 아암(137)을 통하여 지지되고, 따라서 각 지지후레임(133)으로 하여금 소정편심 궤적을 따라 편심축(135)에 안내되어 편심요동운동을 허용하게 한다.
상하부후레임(133)들은 그 원주상의 두개의 수평상의 마주하는 위치에 아암(138)들이 제공되며, 이들 아암(138)의 선단들은 제8도의 A내지 D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균형링크(140)들에게 연결된다.
상기 균형링크(140)들은 하기와 같은 형상으로 스핀들 케이싱(101)의 내벽면의 4개의 격치된 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4개의 인장휘일(Tension Wheel)에 감겨진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군형링크(140)를 구성하는 와이어 로우프가 점 A와 B에서 아암(138)에 연결되고, 또다른 균형링크(140)는 점 C 및 D에서 아암(138)과 연결된다.
균형기구를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지지후레임(133)과 앞으로 설명할 피지지부재가, 로울축을 뽑던지 또는 삽입되는 동안에 균형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균형은 또한 앞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9도의 탄성 리테이너(141)와의 협조로써도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지지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균형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므로 대체로 원통상인 헤드호울더(142)들이 지지후레임(133) 내에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 호울더(142)들은 스토퍼(144)에 의해서 한정되는 소정의 한정거리를 운동하므로서 커플링헤드(131)들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커플링헤드(131)는 그 원주로 부터 테이퍼형상으로 돌출하는 내측 파지부(145)와, 그와 유사하게 헤드 호울더(142)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외측 파지부(146)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파지부는 제5도에서 하나의 분리 수단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강제로 분리되고 있는데, 상기 분리 수단은 각 베어링하우징(113)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푸셔부재(147)와, 상기 푸셔부재(147)와 대향하여 헤드호울더(142)의 내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접촉부재(158)로써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푸셔(147)와 당접부재(148)와는 그 선단에 테이퍼상의 축정렬 안내수단(149, 150)이 각각 제공되어서, 앞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커플링헤드(131)와 로울축(116)과를 상호 동심적인 관계로 안내하고 제어하게 한다.
구동동작중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호울더(142)가 분리상태로 있다. 하기와 같이 자동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서 로울축(116)이 뽑혀질될때에는 상기 헤드호울더는 작동위치로 힘을 받게 되어서 커플링헤드(131)를 수평자세로 돌아가게 한다.
특별히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수단은 코일 스프링형태의 호울더 바이어스수단(152)으로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헤드호울더(142)의 일단에 돌출되게 제공되는 스프링 시이트플래지(151)와 대응아암(138)들과의 사이에 끼워져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제공되는 한쌍의 스프링와셔(153) 사이에 압축 스프링(54)이 끼워져 제공된다. 따라서 푸셔부재(147)가 후퇴하면 스프링(154)헤드 호울더(142)가 스프링(154)의 탄력에 의해서 로울 쪽으로 밀려서 상기 테이퍼 부분과 결합되어 헤드(131)를 지지하게 된다.
하나의 내측 브랫킷(155)이 제7도 및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호울더(142)의 외주면에 돌출제공되고 또한 상술한 탄성 리테이너(142)와는 핀(156)으로써 연결된다. 타성 리테이너(141)는 피봇핀(157), 스프링호울더(158), 압축스프링(159) 및 탄성 인장축(Resilient pull shaft)(160)으로써 구성도며, 따라서 호울더 후레임(133)들은 자동적으로 편심사점들 사이의 한 중간지점으로 힘을 주도록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울이 삽입될 때에 호울더 후레임(133)들을 가볍고 원활하게 안내되게 한다. 만약 위와 같은 구성이 아니라면 호울더후레임(133)들은 로울이 뽑혀질때에 편심축(135)의 편심운동에 의해서 상기 지점으로 이동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레버(110)는 로크 실린더(111)에 의해서 해제되어 로울유니트로 하여금 스핀들케이싱(101)으로 부터 분리되게 하고, 따라서 크레인이나 기타 적절한 수단으로써 로울유니트를 분해할 수 있게 한다.
로울유니트를 분리시키면, 로울축(119)의 커플링말단부가 커플링헤드(131)로부터 분리 이동하고 그와 함께 푸셔부재(147)도 후퇴하므로, 제6도에서 코일스프링(142)에 의해서 좌측으로 힘을 받고 있는 헤드호울더(142)는 좌측으로 소정거리를 이동해서 내측 및 외측파지부(145, 146)가 서로 테이퍼 결합이 되게 한다.
이와 같이 헤드호울더(142)의 호울더후레임(133)내에서의 미끄럼운동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안내되므로서 커플링헤드(131)는 원래의 수평위치를 유지한다.
물론 커플링헤드(131) 뿐만 아니라 커플링헤드(131)로 부터 구동스핀들(122)바로 앞에 있는 부재까지로써 구성되는 헤드 조립체가 원위치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원래 자세를 유지하게 되는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균형작용과 탄성 인장력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균형링크(140)들의 수평균형작용과 탄성리테이너(141)의 동심복귀 작용에 의해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헤드는 로울을 뽑던지 또는 삽입작업중에 어떠한 추가의 작동이 필요없이도 자동적으로 원자세로 최적유지가 된다.
이와 같은 매우 귀중한 효과외에도 로울교체등과 같은 일을 할때에 연동축단(119)을 삽입하고 다시 결합하게되면, 헤드호울더(142)의 테이퍼 안내하에서 푸셔부재(147)는 동심 위치로 강제로 밀리며 또한 푸셔부재(147)가 헤드호울더(142)에 대하여 동심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커플링로울단(119)은 커플링헤드(131)에 원활하게 결합이 되다.
커플링로울단(119)을 이와 같이 결합하게 되면, 접촉부재(148)는 푸셔부재(148)에 의해서 압입되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호울더(142)를 원래의 후진위치로 복귀시켜서 커플링헤드를 작동가능 상태로 두게된다. 물론 헤드호울더(142)가 분리된 다음에는, 로크레버(10)의 위치는 로크위치에 설정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쿠루우 압하기구를 갖춘 압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게 하며 부재번호 232는 한쌍의 작업로울로서, 로울하우징(203)의 한쪽에 돌출하고 또한 캔틸레버형 로울축(232a)들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로울축들은 로울하우징(203)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잘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작업로울(132)을 지지하는 축부분과 구동기어(133)를 갖고 있는 축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로울(132)들을 지지하고 있는 축부분에는 공지의 구성으로된 한쌍의 편심카트리지(201)가, 로울(232)쪽에 있는 로울하우징(203)의 정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따라서 카트리지(201)를 회전시키면, 로울(232)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편심 카트리지의 중심(01)에 대판로울의 축중심(0)의 편심으로 인한 대응로울(232)들간의 틈새를 변화시킨다.
로울축(232a)들을 통해서 로울(232)들을 회전시켜 압연작업을 시작하면 편심 카트리지(201)는 두개가 모두 적절한 로킹수단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된다.
패스틈새(또는 스크루우 압하크기의 변화)의 조정을 위한 편심 카트리지(201)의 회전수단으로서는, 본 발명은 원통상 워엄휘일(201a, 201b)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은 제10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통상 편심카트리지(201)의 원주상에 일체로 그리고 대응상태로 형성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심카트리지(201)는 워엄휘일들과 대체로 동일한 외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왜냐하면 편심카트리지(201)들과 상기 각 카트리지에 수용된 로울축(232a)과의 외경을 가능한한 크게 하므로서 로울축들의 가요성을 극소화시키고 압연기의 강성을 높인다는 것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중공 위엄축(201)을 채용해서,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개의 편심카트리지(201)를 서로 동기회전 시키도록, 워엄휘일(201a)들을 구동한다.
상기 중공워엄축(202)에는 그 원주상에 워엄(202a, 202b)들이 제공되어서 각각 워엄휘일(201a, 201b)들과 맞물리는 결합을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공워엄축(202)이 그 한쪽 측방으로 편심카트리지(201)의 축에 대하여 수직이 되게 놓여져 있으며, 상기 중공워엄축(202)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위치에 그 중심(03)을 갖는 작동측이 베어링(227)과 니이들 쓰러스트 래이디얼베어링(205)과를 수단으로해서 상기 중공워엄축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나아가서 작동축(204)의 상부는 로울하우징(203)의 상부에 있는 저어널부에 베어링(226)을 수단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축(204)의 헤드부(204a)는 링(218), 핀(219) 및 덮개(220)를 통하여 로울하우징(203)의 상면 바깥으로 돌출하며, 한편 축(204)의 하부는 로울하우징(203)의 하부에 있는 저어널부에, 니이들 래이디얼 쓰러스트 베어링(206)을 수단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어서, 작동축(204)을 자기 위치에 유지시키고 있다.
부호 "(a)"는 워엄축의 중심(02)에 대한 작동축(204)의 중심(03)의 편심범위를 나타낸고, 부호"(c)"는 편심카트리지(201)들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중공워엄축(202)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기어(209)가 제9도 및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워엄축(202)의 상부에 제공되는데 상기 기어(209)에 아이들기어(210)가, 그리고 또다른 아이들기어(211)가 상기 아이들 기어(210)에 맞물려지는 상태로 연속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체에 베어링(225)을 수단으로해서 아이들기어(211)를 연결시키고 있는 축(224)이 로울하우징(203)에 저어널되고 있고 그것은 또한 자체위에 레버(222)를 피봇지지하고 있다. 아이들기어(210)를 위한 축(223)은 레버(222)와 또 하나의 레버(216)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는데, 상기 또 하나의 레버(216)는 부쉬(217)를 통해서 기어(209)에 설치되고 있어서, 앞으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공워엄축(202)이 편심작동축(204)을 통하여 회전변위를 하더라도 기어들(209, 210, 211)사이에 소정의 연동 관계를 유지하게 한다.
아이들기어(211)는 기어(212)와 맞물려지고 상기 기어(212)는, 자동 작동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유압모우터(215)의 구동축(215a)에 베어링(228)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기어(212)는 피니온축(213)에 의해서 또는수동작동수단으로 쓰이는 스크루우압하축(221)에 의해서 구동이 되는 피니온(213a)과 맞물린다.
유압모우터(215)의 구동축(215a)에는 리듀서(21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을 통해서 유압모우터(215)가 기어(212)를 구동시킨다. 피니온축(213)이나 또는 스쿠루우압하축(221)이나 어느것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으므로서, 본 기구가 수직 및 수평압연기에 모두 적용될 수가 있고, 또한 상부 하부로부터나 적절한 어느곳으로 부터라도 작동을 할 수 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회전수단을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피니온측(213)이나 또는 스쿠루우압하축(221)중 어느 하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면, 기어(209)가 피니온(213a) 및 기어(212, 211, 210)를 통해서 전후방으로 회전하여 중공워엄축(202)을 회전시키게 된다.
중공워엄축(222)이나 회전하게 되면, 워엄휘일(201a, 201b)들은 반대되는 나선각을 갖고 있는 워엄(202a, 202b)들에 의해서 예정각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작업로울(232)들간의 간극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해서 용이한 방법으로 압하율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자동작동의 경우에는, 유압모우터(215)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작동시키면, 기어(212, 211)들은 리듀서(214)를 통해서 회전되고 기어(209)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동일하게 중공 워엄축(202), 워엄(202a, 202b) 및 워엄휘일(201a, 201b)을 통해서 편심카트리지(201)가 회전하여 로울간극 또는 압하비율을 조정한다. 이때에 모우터(215)를 원격조정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압하력은, 각 카트리지의 중심(01)으로부터 작업로울의 중심(0)까지의 편심범위(b)의 회전력에 의해서 대표되므로 워엄(202a, 202b)들은 압축력을 받고 있는쪽에 위치하게 된다.
로울하우징(203)으로부터 편심카트리지(201)를 뽑아내기 위해서 중공 워엄축(202)내에 편심적으로 삽입된 작동축(204)을 180°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므로서, 워엄(202a, 202b)들은 중공워엄축(202)과 함께 회전하고 동시에 워엄휘일(201a, 201b)로부터 편심범위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a)를 이동해서, 각각 워엄휘일(201a, 201b)로부터 분리되게 한다.이때에, 2개의 레버(216, 222)에 피봇지지되고 있는 아이들기어(210)는, 상술한 기어트레인의 연동관계를 파괴함이 없이 기어(209, 212)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워엄휘일(201a, 201b)들이 풀려짐에 따라 편심 카트리지(201)는 로울하우징(203)으로부터 즉각 용이하게 뽑아낼 수가 있다. 또한 분해상태로 수선한 후에 로울하우징(203)내로 편심 카트리지(201)를 다시 삽입할때 워엄(202a, 202b)들을 회전하더라도, 그들은 간단히 피니온축(213)이나 또는 스쿠루우 압하축(221)을 회전시켜서 기어트레인(213a 내지 209)을 통하여 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편심카트리지(201)를 삽입한 다음에는 워엄(202a, 202b)들을 워엄휘일(201a, 201b)들과 각각 결합시키기 위해서 작동축(204)를 회전시켜 중공워엄축(202)을 카트리지에 더 가까와지도록 회전시킬때, 워엄위치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서 대응하는 치들사이에 저촉됨을 방지할 수가 있고 워엄휘일들과 적절히 결합되게할 수가 있다.
편심카트리지(201)들은 그 편심카트리지(201)들이 최대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로울하우징(203)으로 부터 분해되고 또한 로울하우징내로 조립시켜진다. 이것과 관련해서 2개의 편심카트리지(201)의 페이스(Phases)에 상응해서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201)쪽의 안내부재(231)와 결합되는 안내부재(230)들이 로울하우징(203)에 제공된다.
제11(b)도에서 부호A는 카아트리지의 삽입 행정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것처럼 로울틈새를 조정하기 위한 한쌍의 편심카트리지를 사용한 압연기를 위하여 패스틈새(스쿠루우압하)크기 지시기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로울틈새 지시기는 제12도 내지 제17도에 나타나 있는것처럼 한 편심카트리지(301)의 원주상에 고정 설치도어 있으며 카트리지(301)와 중심(c)을 지나는 반경방향선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캠로울러(303)를 그전방 끝부분에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고 있는 캠레버(302)를 갖고 있다.
캠레버(302)는 카트리지(30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카트리지(301)의 회전각을 탐지하는 부재로 사용되어지다.
캠레버(302)의 캠로울러(303)의 대향위치에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나 있는것처럼 편심카트리지(301)에 접선방향선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하여 고정후레임(322)상에 이동 래크(305)가 설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미끄럼홈(341)이 로울하우징(318)상의 고정후레임(322)상에 편심카트리지(301)에 접선방향인 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래크(305)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또한 나타난 있는것처럼 그 측면 낱개부가 후레임(322)와 한쪽과 접촉하는 상태로 미끄럼홈(341)내에 미끄럼 끼워맞춤 되어있는 기초부(305a)를 갖는다.
캠가이드(304)는 래크(305)의 끼워맞춤 기초부(305a)의 저단부에 고착되어있으며 후레임(322)의 다른편에 접촉하고 있어서 래크(305)와 캠가이드(304)가 일체로 후레임(322)상에서 편심 카트리지(301)의 접선방향에 평행하게 미끄럼 운동하도록 한다.
캠가이드(304)에는 그 내부에 캠레버(302) 캠로울러(303)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직홈(342)이 설치되어 있다.
래크(305)는 로울하우징(322)상에 설치되어 축중심(c)과 캠레버(302)의 캠로울러(303)의 중심을 잇는선이 후레임(322)상에서의 래크(305)의 운동방향에 수직하게 되는 경우에 한 카트리지(301)의 축중심(c)과 대응작업로울(331)(로울축(331a)과 동축이다)의 축중심(d)을 잇는선이 다른 카트리지(301)의 축중심(c')과 대응작업로울(331)의 축중심(d')을 잇는선과 평행하도록 되어있다.
래크(305)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파지하고 있는 고정후레임(322)에는 제12도 내지 제14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래크(305)의 기어면 이상까지 돌출되어 있는 브래킷(34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위에는 래크(305)의 치(齒)와 맞물려서 결합하는 피니온(306)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09)을 통해 피니온축(344)이 설치되어 있다.
피니온축(344) 및 피니온축(344)과는 따로 브랫킷(343)위에 또한 지지되어 있는 축(323)상에는 각각 속도 감소 또는 증가를 위한 중간기어(307)과 (308)이 설치되어 있다.
축(323)은 베어링(345)을 통해 로울하우징(318)상에 축(323)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는 전동축(311)의 한쪽끝에 커플링(346)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동축(311)의 다른쪽끝은 유니버어설 조인트(312)에 의해 지시기의 역할을 하는 회전식 원판다이얼(313)의 회전입력축(317)에 연결되어 있다.
유니버어설 조인트(312)를 회전입력축(317)과 전동축(311)와 연결단 사이에 삽입하는 이유는 회전식 원판다이얼(313)과 전동축(311)의 중심위치의 변위를 흡수하여서 그에 따라 다이얼 원판(313)과 전동축(311)이 서로 동심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설계시에 생략할 수 있게 해준다.
다이얼 원판(313)은 제17도에 나타나 있는것처럼 로울하우징의 상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 입력축(317)의 다른쪽 돌출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이얼원판(313)에는 그 원주방향면 주위상에 눈금이 새겨져 있으며, 로울틈새 또는 스쿠루우 압하량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을 새겨 놓았다. 원판 다이얼(313)의 눈금 판위로는 제17도에 나타나 있는것처럼 로울하우징의 측벽상에 고정되어 있는 지시침(32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부재번호 321는 회전압력축(317)과 회전식원판 다이얼(313)을 함께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너트를 나타낸다.
315로 나타나 있는 것은 회전 압력축(317)과 회전식 원판다이얼(313)을 지지하고 있는 후레임(314)안에 설치되어 있는 광전펄스 수집기로서 입력축(317)상에 대향 설치되어 있는 로울틈새크기를 원격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심카트리지(301)의 회전각을 나타내는 펄스신호를 발생시키시 위한 슬리트마아커(316)와 함께 작용한다.
이 로울틈새 크기 지시기에 의해 두 편심카트리지(301)가 지금까지 설명된것처럼 로울틈새를 넓히거나 좁히기 위하여 자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회전되었을때 캠레버(302)는 한 카트리지(301)와 일체로 회전되어 그와 함께 래크(305)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캠가이드(304)상의 홈(342)과 결합하고 있는 캠레버(302)의 전방단에 있는 캠로울러(303)를 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캠레버(302)의 전방단에 있는 캠로울러(303)가 카트리지(301)의 중심축(c)으로부터 반경(R)을 갖는 원호상을 따라 카트리지(301)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 캠가이드(304)와 캠가이드(304)에 고착되어 있는 래크(305)는 홈(342)과 결합하는 캠로울러(303)에 의해 카트리지(301)에 접선방향으로 미끄럼홈(341)을 따라 직선상으로 운동하게 된다.
래크(305)의 이러한 운동에 의해, 피니온(306)과 후레임(322)상의 피니온축(344)은 회전되어서 그에 따라 피니온축(314)상의 기어(307)와 맞물려있는 오우버-드라이브(또는 감속) 기어(308)를 통해 축(323), 전동축(311) 및 회전입력축(317)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결과 회전식 원판 다이얼(313)은 편심카트리지(301)의 회전에 비례하여 회전되어서 지시침(320)이 작업로울(331)사이의 로울틈새(또는 스쿠루우 압하량)의 실재크기에 해당하는 눈금상을 가리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편심카트리지를 위한 로울캘리버 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캘리버 조정을 위해 카트리지가 축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압연작업동안 로울스탠드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카트리지를 누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8도에서 제22도까지에 나타나 있는것처럼, 로울캘리버 조정장치는 편심카트리지의 한쪽상에 예정된 길이에 걸쳐서 각 편심카트리지(411)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원주방향홈(437), 및 원주방향홈(437)내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원주 방향홈(437)의 터이퍼진 측벽과의 접촉을 위하여 대향측면상에 테이퍼진 표면(439)을 갖고 있는 결합부재(438)를 갖고 있다. 결합부재(438)는 편심카트리지(411)의 반경방향으로 후퇴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는 압착수단(440)의 전방단에 고정되어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압착수단(440)은 로울하우징(403)의 블럭부재(441)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토록 접속되어 있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성된다.
블럭부재(441)에는 카트리지(411)의 반경방향으로 열려있는 내경(442)과 내경(442)내에 결합되어 있는 부쉬(443)가 설치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며 그 내부에 피스톤로드(445)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446)을 받아들이고 있는 실린더듀브(444)는 부쉬(443)내에 미끄럼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로드(445)는 플레이트(447)를 통해 보울트(49)에 의해 블럭부재(441)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경(442)이 설치되어 있는 워엄압착기(448)에 결합된다.
실린더튜브(444)에 안쪽단은 피스톤로드(445)에 대해 미끄럼운동 가능한 단판(450)에 의해 닫혀 진다.
피스톤로드(445)에는 단판(450)과 피스톤(446)사이의 오일실 및 피스톤(446)과 실린더 튜브(444)의 바닥벽 사이의 오일실을 연통하게 해주는 오일통로(451)과 (452)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유압이 이들 오일실중의 하나에 공급되어지면, 실린더튜브(444)는 블럭부재(441)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운동되어진다.
블럭부재(44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축이 실린더튜브(444)의 외주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축부분(453)이 실린더튜브(444)의 외측단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결합부재(438)는 이 편심축부분(453)상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결합부재(438)는 축부분(453)의 외측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축방향 운동은 멈춤링(454)에 의해 저지된다.
제19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결합부재(438)는 축부분(453)에 대해서는 회전 가능하지만 블럭부재(441) 또는 원주방향홈(437)에 대한 회전은 스토퍼(455)에 의해 금지된다.
즉, 결합부재(438)에는 그 아래쪽에 축방향 스토퍼홈(456)이 설치되어 있어서 블럭부재(441)의 단면상에 고착설치되어 있는 스토퍼(455)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상태로 받아들이게 된다.
제20도 및 21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실린더튜브(444)에는 그 내축단부의 원주상에 스플라인이 설치되어 있어서 그위에 접속되어 있는 워엄휘일(457)이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케한다.
워엄휘일(457)은 워엄압착기(448)와 부쉬(443)사이에 꽉 끼워져 있어서 블럭부재(441)의 내경(442)에 대한 워엄휘일의 축방향으로의 운동은 구속되어진다.
워엄휘일(457)은 편심카트리지(411)의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축을 갖고 있는 워엄구동축(459)에 의해 블럭부재(441)상에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는 워엄(458)과 맞물려져 있다.
구동축(459)의 바깥쪽끝은 로울하우징(403)의 외측편에 돌출되어 있으며 수동작업이나 다른 적절한 구동수단을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편심카트리지(411)의 위치를 축방향으로 이동 시켜서 로울캘리버를 조정하기 위하여, 유압으로 실린더튜브(444)를 밀어 돌출시켜 결합부재(438)가 편심카트리지(411)의 원주방향홈(437)에 끼워맞춘후에, 워엄구동축(459)을 회전시켜서 실린더튜브(444)를 회전시키면 결합부재(438)는 편심축부분(453)에 의해 카트리지(411)의 축방향으로 운동하게된다. 그결과, 원주방향 홈(437)에 의해 결합부재(438)와 결합하고 있는 카트리지(411)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또다른 편심카트리지를 위한 로울캘리버 조정장치에 있는 실린더튜브(444)에는, 제18도에 나타나 있는것처럼, 워엄휘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결합부재(438)를 지지하는 축부분(453)은 실린더튜브와 동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는, 캘리버조정을 위해서는, 다른 카트리지는 축방향 운동을 못하게 한채 단지 한 카트리지만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 카트리지(411)를 위한 실린더튜브(444)는 워엄휘일 대신에 그위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링(460)을 갖고 있어서 노크핀(461)에 의해 링(460)을 블럭부재(441)에 고착시켜서 실린더튜브(444)의 회전을 막는다.
그러나, 패스 중간에 캘리버 조정을 요하는 블럭압연기의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실린더튜브 양자 모두가 회전가능하여 두 카트리지의 조정이 가능토록 해야한다.
특별한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로울(414)의 캘리버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압착수단(440)내의 유압은 0수준으로 떨어져서 워엄구동축(459)은 카트리지(411)의 원주방향 홈(437)내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재(438)와 함께 손에 의해 회전되어서 워엄휘일(457)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 결과 실린더튜브(444)가 스플라인에 의해 회전되고 결합부재(438)가 축부분(453)의 편심에 의해 아치형태로 회전하게 되어 카트리지(411)를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캘리버 조정후에, 압착수단(440)으로 유압이 다시 공급되어 원주방향홈(437)에 대해 결합부재(438)을 압착하여서 카트리지(411)를 로울하우징(403)에 견실하에 파지시켜서 압연작업동안에 카트리지(411)가 운동하는 것을 막는다.
앞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는 기본적으로는 가로 방향 압축력을 작용시켜 링로울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였으며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로울조립체를 채택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그것과 결합하여 커플링 헤드 지지장치, 패스틈새조정(스쿠루우 압하)장치, 패스틈새(스쿠루우압하)지시기 및/또는 로울캘리버 조정장치를 사용하여 로울교환 및 패스틈새 또는 로울캘리버의 조정을 작업중에도 상당히 용이하게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Claims (4)

  1. 한쌍의 편심카트리지(201, 301)를 통해서 로울하우징(203, 318)내에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는 한쌍의 로울축(232a, 331a)과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301)를 회전시켜서 패스틈새를 변화시키도록 채용된 패스틈새 조정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캔틸레버식 압연기에 있어서 ; 상기 패스틈새 조정기구는, 회전구동장치 ; 각 편심카트리지(201, 301)의 각각의 원주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워엄휘일(201a, 201b) ; 상기 회전구동장치에 연결된 중공워엄축(202) ;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301)상의 상기 워엄휘일(201a, 201b)과 분리가능한 상태로 맞물려 있으며 상기 중공워엄축(202)상에 장치되어 있는 워엄장치 ; 상기 워엄의 축에 대하여 편심상태로 상기 중공워엄축(202)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워엄은 상기 워엄휘일(201a, 201b)과 맞물리도록 또는 풀리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작동축(204) ; 및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한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301)중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패스틈새지시기로 구성되고, 상기 패스틈새지시기는,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301)중 하나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캠레버(302), 상기 캠레버의 전방단부에 회신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캠로울러(303) 및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301)의 접선방향과 평행하게운동 가능하고 슬라이드 후레임상에 미끄럼 가능토록 장치되어 있는 캠가이드(304)를 포함하는 회전량 취출장치와, 상기 회전량 취출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캠가이드(304)의 선형 미끄럼운동을 피니온(306)과 기어트레인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래크 및 피니온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기구와, 상기 로울하우징(318)내에 장치되어 있고 상기 편심키트리지(201, 301)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회전되어 유효한 패스틈새를 지시하는 회전식 다이얼(31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동기구의 출력단에 연결된 회전 입력축(317)을 가지고 있는 지시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식 압연기.
  2. 한쌍의 편심카트리지(201, 411)를 통해서 로울하우징내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는 한쌍의 로울축과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411)를 회전시켜서 패스틈새를 변화시키도록 채용된 패스틈새조정기구를 포함하고 잇는 캔틸레버식 압연기에 있어서 ; 상기 패스틈새조정기구는, 회전구동장치 ; 각 편심카트리지(201, 411)의 각각의 원주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위 워엄휘일(201a, 201b) ; 상기 회전구동장치에 연결된 중공워엄축(202) ;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411)상의 상기 워엄휘일(201a, 201b)과 분리가능한 상태로 맞물려 있으며 상기 중공워엄축(202)상에 장치되어 있는 워엄장치 ; 상기 워엄축에 대하여 편심상태로 상기 중공워엄축(202)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워엄을 상기 워엄휘일(201a, 201b)과 맞물리도록 또는 풀리도록 하기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작동축(204) ;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한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411)중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패스틈새지시기 ; 및 패스틈새를 조정할때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411)의 회전운동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로울캘리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편심카트리지(201, 411)중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편심 카트리지(201, 411)의 각각에 대해 설치되어 있는 캘리버 조정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식 압연기.
  3.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카트리지(411)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캘리버조정기구는, 원주방향홈(437)내의 결합부재(438)를 아치형태로 운동시켜서 로울캘리버의 축방향 조정을 위해 상기 편심카트리지(411)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 튜브(444)의 편심축부분상에 장치되어 있는 결합부재(438)와, 상기 워엄장치를 통해서 상기 실린더튜브(444)에 연결되어 축에 관하여 상기 실린더튜브(444)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축(459)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식 압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버 조정장치는 각각의 편심카트리지(411)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압연기의 압연작업동안 상기 편심카트리지(411)를 로울스탠드에 대하여 누르는 실린더튜브(444)와 상기 실린더 튜브(444)의 축부분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카트리지(411)의 한쪽의 예정된 길이에 걸쳐 상기 편심카트리지(411)상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방향홈(437)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4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식 압연기.
KR1019840001152A 1983-03-07 1984-03-07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 KR880000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669 1983-03-07
JP3266983U JPS59140001U (ja) 1983-03-07 1983-03-07 片持式圧延機のロ−ル
JP???83372 1983-05-11
JP8337283A JPS59209412A (ja) 1983-05-11 1983-05-11 圧延機のカリバ−調整装置
JP83372 1983-05-11
JP7151483U JPS59175405U (ja) 1983-05-12 1983-05-12 圧延機の圧下装置
JP71514 1983-05-12
JP7479683U JPS59180801U (ja) 1983-05-17 1983-05-17 圧延機における圧下表示装置
JP74796 1983-05-17
JP??32669 1984-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35A KR840007835A (ko) 1984-12-11
KR880000628B1 true KR880000628B1 (ko) 1988-04-19

Family

ID=2745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152A KR880000628B1 (ko) 1983-03-07 1984-03-07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581911A (ko)
KR (1) KR880000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1829B (it) * 1986-11-24 1989-02-02 Danieli Off Mecc Gabbia universale con rulli a sbalzo
US4706485A (en) * 1986-12-15 1987-11-17 Morgan Construction Company Carrier module
JPS6448611A (en) * 1987-08-18 1989-02-23 Nippon Kokan Kk Chockless rolling mill
US5029461A (en) * 1988-02-18 1991-07-09 N H C, Inc. Hydraulic fastener
AT390573B (de) * 1988-05-13 1990-05-25 Voest Alpine Ind Anlagen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alzringes auf einer walzenwelle
AT390572B (de) * 1988-05-13 1990-05-25 Voest Alpine Ind Anlagen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alzringes auf einer walzenwelle
US5524469A (en) * 1993-11-08 1996-06-11 Sherwood; William L. Rolling mill stand
IT1281447B1 (it) * 1995-11-09 1998-02-18 Danieli Off Mecc Gruppo di bloccaggio anello di laminazione
US6016679A (en) * 1997-09-30 2000-01-25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Rolling mill
EP1066890B1 (de) * 1999-06-07 2003-01-22 Uwe Kark Anordnung zum Wechseln der einen Walzring haltenden Mutter
KR100832436B1 (ko) * 2001-12-26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편접촉 기능을 가진 고하중 스핀들용 크로스키트 장치
US7257978B2 (en) * 2004-06-17 2007-08-21 Luvata Oy Compact cantilever rolling mill and a method of producing a metallic product
CN101524712B (zh) * 2009-04-21 2012-06-27 熊光仪 一种短应力线轧钢机
ITUD20110158A1 (it) * 2011-10-07 2013-04-08 Danieli Off Mecc Unita' di laminazione
CN115846409B (zh) * 2023-01-29 2023-04-28 山西银光华盛镁业股份有限公司 一种镁合金热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8732C (ko) *
GB1252549A (ko) * 1970-07-25 1971-11-03
DE2112966C3 (de) * 1971-03-17 1973-11-22 Walter Dipl.-Ing. 8000 Muenchen Hufnagl Walzenanordnung zum Herstellen von eine glatte oder eine gerippte Oberfläche aufweisenden Drähten oder Stäben
DE2639543C2 (de) * 1976-09-02 1983-11-03 Moeller & Neumann Gmbh, 6670 St Ingbert Walzscheibenbefestigung
US4468944A (en) * 1981-07-16 1984-09-04 Davy-Loewy Limited Gap indicating means for a rolling 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35A (ko) 1984-12-11
US4581911A (en) 198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628B1 (ko) 캔틸레버식 압연기의 로울
US6616086B2 (en) Web infeed for a rotary printing press
US5090087A (en) Hub assembly for sootblower
US2769323A (en) Coupling
DE3813670A1 (de) Kupplung zwischen zwei maschinenteilen
DE1475505C3 (de) Walzwerksantriebskupplung
US2127855A (en) Power-operated tool
EP1375763A1 (de) Verfahren zum Reinigen von Rohrleitungen und Rohrreinigungsmaschine hierfür
AT505149B1 (de) Walzgerüst mit verschiebevorrichtung
EP0811779A1 (de) Vorrichtung zum Zusammenbau einer Synchronisiereinrichtung für ein Zahnradwechselgetriebe
JP2561716B2 (ja) 圧延機駆動装置
JP3794328B2 (ja) 成形ロール調整装置
JP3535946B2 (ja) 条鋼圧延機
JP2609235B2 (ja) ワークロールの軸線方向の移動装置
DE19527593C2 (de)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r Synchronisiereinrichtung für ein Zahnradwechselgetriebe
US4591005A (en) Drill rod opening device for sectional-rod drilling equipment
US6286394B1 (en) Arrangement for changing the nut holding a roll ring
AT413083B (de) Walzwerksantrieb mit einer ein- und entkoppeleinrichtung
SU9903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мотки полос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DE290953C (ko)
DE921295C (de) Mit Kraftantrieb ausgeruestete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ein Werkzeug mit kegeligem Schaft in der Arbeitsspindel
JP6589911B2 (ja) 巻芯固定機構
DE131788C (ko)
DE224792C (ko)
SU780913A1 (ru) Трехвалкова клеть винтовой прока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