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10Y1 -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10Y1
KR880000610Y1 KR2019850001726U KR850001726U KR880000610Y1 KR 880000610 Y1 KR880000610 Y1 KR 880000610Y1 KR 2019850001726 U KR2019850001726 U KR 2019850001726U KR 850001726 U KR850001726 U KR 850001726U KR 880000610 Y1 KR880000610 Y1 KR 880000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heel
frame
support rod
whe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658U (ko
Inventor
정도식
Original Assignee
정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식 filed Critical 정도식
Priority to KR2019850001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610Y1/ko
Publication of KR860010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10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속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괘정 상태의 정면도.
제4도는 자유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5도는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은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행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모차의 앞바퀴는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커브 회전시 핸들에 힘이 많이 들게 되므로 근래에는 앞바퀴를 자유회동식으로 형성하여 힘들이지 않고 커브길에서 회전시킬수 있게 구성한 것이 있다.
이러한 자유 회동식 바퀴는 주행시에는 편리하지만 휴대시에나 좁은 공간에 보관할때에는 앞바퀴가 임의로 유동되고 흔들려서 거치장스럽기 때문에 자유회동식 바퀴에는 항상 회동 방지용 고정장치가 있게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장치는 통상의 쐐기식 고정장치 처럼 핀을 상부 후레임 구멍을 통해서 하부의 바퀴부라켓트 고정구멍에 꽂아서 바퀴가 좌·우 유동되지 않게 일체로 고정시키는구성을 사용하므로서 먼저 상·하 구멍이 일치되게 한후 핀을 끼워주는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으며, 특히 유모차를 휴대시에 옆으로 뉘이거나 뒤집으면 핀이 빠져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취급조작이 번거러워 부녀자가 쉽게 사용할수 없는 불편한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해서 바퀴축에는 돌출편을 형성하고 후레임에는 괘정간을 설치하여 괘정간을 내려주는 손쉬운 조작에 의해 괘정이 들출편을 괘·해정하여 바퀴를 고정 또는 비고정 시킬수 있게 한 레버식 괘정장치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후레임(1)단부에 착설된 체결관(2)의 소켓(3)에 바퀴지지봉(4)의 상단부(4')를 회동이 용이하게 결속시키고 바퀴지지봉(4)중간에는 전·후방으로 돌출편(5)(5')을 가진 고정대(6)를 고착시키며, 후레임(1)에는형 괘정간(7)을 유착시켜 그 중심지축(8)과 수평 위치에 있는 고정핀(10)에 스프링(9)의 일단을 걸어주고 타단은 괘정간(7)의 중간부에 걸어서 스프링(9)의 탄성으로 괘정간(7)의 상·하 제침상태가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괘정간(7)이형으로 되어 있고 그폭이 돌출편(5)(5')에 끼워질수 있는 정도로 넓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괘정간(7)을 하방으로 제쳐주면(제5도의 실선)돌출편(5)이 괘정간(7)중간에 위치되어 괘정되므로 바퀴가 좌우 회동됨이 없이 직선 주행을 할수 있고, 이와 반대로 괘정간(7)을 상방으로 올려주면(제5도의 가상선)돌출편(5)이 해정되어 바퀴가 자유회동할수 있게 된다.
이때, 괘정간(7)은 중심선(A)이하, 또는 이상으로 위치되기만 하면 스프링(9)의 복귀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제쳐져서 고정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괘정간(7)을 상부 또는 하부로 제쳐주는 작동만로 쉽게 목적을 이룰수 있기 때문에 종래 핀을 일일히 구멍에 찾아 끼우는 것에 비해 월등히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게 되며 구조도 간단하고 고장의 우려가 없이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후레임의 고정핀(10)과 괘정간(7)의 중간부 사이에 연결한 스프링(9)의 탄성으로 괘정감(7)이 상·하 제침상태로 고정될수 있게 한것에 있어서 후레임(1)의 소켓(3)에 바퀴지지봉(4)의 상단부(4')를 회동이 용이하게 결속시키고, 바퀴지지봉(4)중간에는형 괘정간(7)에 의해 괘·해정될 수 있는 돌출편(5)(5')을 가진 고정대(6)를 고착시켜서 된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 해정 장치.
KR2019850001726U 1985-02-21 1985-02-21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KR880000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726U KR880000610Y1 (ko) 1985-02-21 1985-02-21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726U KR880000610Y1 (ko) 1985-02-21 1985-02-21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658U KR860010658U (ko) 1986-09-08
KR880000610Y1 true KR880000610Y1 (ko) 1988-03-14

Family

ID=1924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726U KR880000610Y1 (ko) 1985-02-21 1985-02-21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6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44B1 (ko) * 2016-09-01 2017-01-1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8044070A1 (ko) * 2016-09-01 2018-03-0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44B1 (ko) * 2016-09-01 2017-01-1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8044068A1 (ko) * 2016-09-01 2018-03-0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8044070A1 (ko) * 2016-09-01 2018-03-08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0414422B2 (en) 2016-09-01 2019-09-17 Bran-New International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658U (ko) 198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922B1 (en) Stroller with a detachable seat member
US4053091A (en) Combination rear luggage carrier and child seat for bicycle
US20030079950A1 (en) Handle assembly having a single handle rod of wheeled luggage
JPH0434171U (ko)
KR880000610Y1 (ko) 유모차의 자유회동식 앞바퀴 괘·해정 장치
US2509972A (en) Chair and base therefor releasably secured thereto
US7568720B2 (en) Wheeled vehicle
US2481837A (en) Convertible toy vehicle and the like
CN216424655U (zh) 一种童车
CN112441103A (zh) 推车车架
JPH0132887Y2 (ko)
CN215752591U (zh) 一种多功能婴儿车
CN220405501U (zh) 培养振荡器瓶架的偏心轮与弹簧联动插入式锲块锁紧装置
CN215423705U (zh) 一种带滑轮刹车装置的座椅
CN217294777U (zh) 一种多功能滑板车
CN211809809U (zh) 一种应用于手推车的扶手杆安装结构及手推车
JPS5810695Y2 (ja) ベビ−カ−
KR930007224Y1 (ko) 다목적 어린이용 자전차
JPH0353974Y2 (ko)
JP3062774U (ja) 釣り竿支持具
CN113715895A (zh) 一种多功能婴儿车
JPH032458Y2 (ko)
JPS63171274U (ko)
KR900004833Y1 (ko) 보행기용 지지각
TWM582017U (zh) Baby carriage rear wheel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