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551B1 - 선택 스위치 - Google Patents

선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551B1
KR880000551B1 KR1019830002238A KR830002238A KR880000551B1 KR 880000551 B1 KR880000551 B1 KR 880000551B1 KR 1019830002238 A KR1019830002238 A KR 1019830002238A KR 830002238 A KR830002238 A KR 830002238A KR 880000551 B1 KR880000551 B1 KR 88000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contact
guide
sele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619A (ko
Inventor
무네요시 미야다
Original Assignee
미쓰꾸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무네요시 미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꾸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무네요시 미야다 filed Critical 미쓰꾸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2001/145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by crossing each other, the cooperating contacts each having a contact making ridg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0/00Electricity: circuit makers and breakers
    • Y10S200/34Recording and reproduc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택 스위치
제1도는 종래의 선택 스위치 기구의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선택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대상체의 한 예로서 카세트 레토더(cassette tape recorder)내에 삽입되는 카세트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노말 오픈(normal open)형 선택 스위치의 제 1실시예의 부분 절단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노말 오픈형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의 부분 절단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노말 오픈형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의 부분 절단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노말 오픈형 선택 스위치의 제 4 실시예의 부분 절단 정면도.
제8도는 제3도에 도시한 노말 오픈형 선택 스위치를 노말 클로즈(normal close)형으로 변형시킨 선택 스위치의 부분 절단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9-9선에 따른 단명도.
제10도는 제5도에 도시한 노말 오픈형 선택 스위치를 노말 클로즈형으로 변형시킨 선택 스위치의 부분 절단 정면도.
제11도는 제6도에 도시한 노말 오픈형 선택 스위치를 노말 클로즈형으로 변형시킨 선택 스위치의 부분 절단 정면도.
제12도는 제7도에 도시한 노말 오픈형 선택 스위치를 노말 클로즈형으로 변형시킨 선택 스위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2: 가이드(guide) 겸용 카바(cover)
1 : 절연기대(絶緣基兌) A,B : 접점 스프링편
5 : 돌출자(突出子) 6 : 연결자
3 : 돌출부 E : 셀렉터
8 : 기부(基部) 9,15 : 스페이서(Spacer)
S : 스위치 본체 10 : 각통체(角筒滯)
11 : 슬릿(slit) 12 : 홈
13 : 작은구멍 14 : 개구부(開口部)
16 : 기계장치 2 : 안내면
17 : 세퍼레이터(separator) 21 : 스위치
22 : 지렛대 23 : 탭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VTR, 컴퓨터 등에 녹음테이프, 녹화테이프, 자기기억(磁氣記憶)테이프등과 같은 각종 테이프의 카세트를 장진시에, 그 카세트의 테이프의 종류등을 선택, 판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스위칭(switching) 작동시키는 선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의 종류 예를 들면, 크롬테이프(chromium tape), 메탈테이프, 노말테이프 등의 구별이나, 녹음, 녹화된 것인지의 여부에 대하여서는 카세트의 후측 판면등에 함설(陷設)된 요공(凹孔)의 위치를 변동시키므로서 판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테이프 레코더, VTR 등의 기계적인 부분에 카세트를 장진하였을 때에 각 요공이 세트되는 위치에 따라 카세트의 장진 동작에 연동하여 접점이 개폐되는 선택 스위치 기구(機構)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 기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기계장치(16) 내부등에 독립된 스위치(21)가 적절하게 설치되고, 이것에 근접되게 별도로 설치된 지렛대(22)의 앞쪽끝을 카세트(C)의 후측판면에 설치된 요공(4')에 걸어 맞추거나 이탈시키므로서, 지렛대(22)에 연동되어 스위치(21)를 개폐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술한 요공(凹孔)(4')은 처음부터 개구되어 있는 경우와, 처음에는 탭(tap)(23)으로 개구부를 폐쇄하여 두고(즉, 변형부 「무(無)」와 동일한 상태) 그후에 그 탭(23)을 제거하여 요공(4')으로 하고, 가령 녹음, 녹화된 테이프의 소거(消去) 재녹음, 재녹화의 방지등을 하고 있다.(제2도 참조)
그러나, 생산자에 따라서 특히, 국적이 다른 생산자에 따라서는 카세트(C)의 치수(1)에 오차가 있으며, 또한 요공(4')의 길이 등에도 차이가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들 대소의 오차가 있는 카세트(C)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렛대(22)의 운동폭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여 오차를 흡수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위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데다가 이 선택스위치 기구의 점용 공간이 커져서 테이프 레코더, VTR등의 소형화에 역행하여 문제점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인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는 설정 위치에 있는 본 스위치의 안내면에 대하여 어떠한 대상체의 정위치 부분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접촉하며, 본 스위치의 안내면과 접촉하여 계속 정해진 위치에 있을때에 대상체의 본 발명 스위치의 셀렉터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정위치)의 변형부(예, 요부)의 유·무에 따라서 셀렉터가 이동하든지 이동하지(원위치 상태로) 않든지 하며, 그것에 연관된 양 접점의 개폐동작이 되거나 또는 개폐동작이 되지 않으므로서, 대상체의 종류등의 선택, 검출 및 그 선택, 검출에 관련되는 스위칭 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한 선택 스위치는 가이드 겸용 카바(D2)를 접점 스프링편(A)에 간접적으로 부착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며, 그 선택 스위치는 플라스틱제의 절연 기대(1)를 구비하고, 그 기대에는 접접(a),(b)에 부착된 접점 스프링편(A),(B)을 마주보게하여 대략 평행하도록 매설(예를 들면, 절연성 플라스틱의 인서어트(insert) 성형 가공에 의하여 매설(埋設)한다.
한쪽의 접점 스프링편(A)의 접점(a) 부근에는 좌우로 돌출자(5)가 돌출된 연결자(6)를 매설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접점 스프링편(B)의 접점(b) 부근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상면판(7)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출부(3)를 연장 설치한 셀렉터(E)를, 또한 기부(8) 부근에는 스페이서(9)를 각각 매설(연결자(6)와 동일하게 하여)하고, 접점(a),(b)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설치하여 스위치 본체(S)를 형성한다.
한편, 스위치 본체(S)에는 절연성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 가공된 가이드 겸용 카바(D2)를 따로 설치하고, 그 카바는 절연기대(1)에 근접한 기부(8)를 제외하고 상술한 스위치 본체(S)의 접점 스프링편(A),(B)의 대부분을 덮는 형상 및 크기로된 각통체(10)로 하며, 그 상면판(7) 중앙에는 슬릿(11)을 설치하는 동안에 그 각통체(10)의 좌우측판 내면에 길다란 홈(12)을 내고 그 길다란 홈(12)의 선단 부분에 작은구멍(13)을 뚫는다.
가이드 겸용 카바(D2)는 스위치 본체(S)의 접점 스프링편(A),(B)에 그 개구부(14)로 부터 셀렉터(E)를 슬릿(11)에 통하도록 끼워넣어서, 그 돌출부(3)를 상면판(7)외측에 돌출시키는 동시에 연결자(6)의 돌출자(5)를 길다란 홈(12)에 미끄러질수 있게 끼워넣어서 돌출자(5)를 작은구멍(13)에 걸어 맞추고, 스페이서(9)를 개구부(14)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위치 본체(S)에 씌워서 결합된다.
또한 스페이서(15)는 필요에 따라서 접점 스프링편(A)의 기부(8) 부근에 매설된 것으로서,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개구부(14)에 위치하여 내부로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스위치는 예를 들면, 카세트(C')의 기계장치(16)등에 장진되는 카세트(C')에 설치된 요공(4')(테이프의 종류를 지시하며 또는 각종의 검출 목적을 지시하여서 각각 위치를 바꾸어서 케이스의 후측면 등에 들어가게 설치된 요공)에 대응한 위치에 절연기대(1)를 부착하고 각 1개씩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스위치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정상 상태(즉, 카세트가 장진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한쪽의 접점 스프링편(A)의 접점(a)과 다른쪽의 접점 스프링편(B)의 접점(b)은 개방 상태이며, 여기서 임의의 카세트(C')(가령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의 크롬테이프)를 장진할 경우에, 처음에 카세트(C')가 완전히 장진 되기전의 상태에서는 카세트(C')의 후측면이 안내면(2)의 선단부(10')에 올려져서 그 안내면을 누르게 되면, 가이드 겸용 카바(D2)와 연결자(6)의 돌출자(5)에 의해 연결된 접점 스프링편(A)이 가이드겸용 카바(D2)와 함께 아래쪽으로 굽혀지지만 동시에 접점 스프링편(B)도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상면판(7) 내면에 접촉된 스페이서(9) 및 셀렉터(E)의 기부(3')에 밀려서 접점 스프링편(A)이 굽혀진 것과 같은 치수만큼만 굽혀지므로서 양 접점 스프링편(A),(B)의 접점 (a),(b) 사이의 거리의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계속해서 카세트(C')를 완전히 장진하게 되면, 카세트(C')에 요공(4')이 없을 경우에는 셀렉터(E)의 돌출부(3)가 카세트(C')후측면에 밀려서 후퇴하여 접점 스프링편(B)이 아래쪽으로 굽혀지게 되어 접점(a),(b)이 상호 접촉하게 된다.
반대로, 요공(4')이 있을 경우에는 셀렉터(E)의 돌출부(3)가 그 요공(4')내로 끼워 넣어져서 접점(a),(b)은 이격된(원상태의)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스위치는 그 스위치 설정위치에 대응한 카세트(C')의 요공(4')의 유무를 스위치의 개폐로 선택(또는 선택하여서 스위치를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크롬 테이프의 카세트(C')를 장진하게 되면 크롬테이프를 지시하는 요공(4')에만 셀렉터(E)의 돌출부(3)가 끼워맞추어지며, 다른 스위치는 해당하는 요공(4')이 없으므로 끼워넣어지지 않으므로서 셀렉터(E)의 돌출부(3)가 밀려서 접점(a),(b)이 접촉되므로 크롬테이프인지의 여부를 선별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테이프의 종류의 선택, 이미 녹음된 테이프의 중복 녹음의 방지, 레코더등에 카세트(C')가 장진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출 등 여러가지 목적의 선택, 검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택 스위치는 상기와 같이 카세트(C')를 장진할 경우, 우선 카세트(C') 후측면의 단부가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안내면(2)의 선단부(10')에 미끄럼 접촉을 하며, 그 안내면(2)의 상면판(7)에 올려져서 그 부분을 누르게 되면, 접점 스프링편(A)(가이드 겸용 카바(D2)에 연결)과 접점 스프링편(B)을 스페이서(9) 및 셀렉터(E)의 기부(3')의 작용에 의하여 등 간격(等間隔) (접점(a),(b)의 간격도 변하지 않는다)을 유지한 상태대로 함께 굽혀지므로, 이 굽혀진 치수의 정도(대소)에 따라서 카세트(C')의 길이(l)의 오차를 흡수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접점 스프링편(A),(B)의 굽혀지는 정도에 관계없이 접점(a),(b)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C')에 요공(4')이 있을때에 한해서 셀렉터(E)의 돌출부(3)가 그 구멍에 끼워 맞추어지며, 요공(4')이 없을 경우에는 셀렉터(E)의 돌출부(3)가 카세트(C') 후측면에 밀리게 되어 접점 스프링편(B)만 굽혀지게 되어서 접점(a),(b)이 접촉하지만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접점 간격이 일정하므로 카세트의 치수의 오차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접점 접촉을 얻을 수가 있는 동시에 요공(4')이 있을 경우의 접점(a),(b)의 이격도, 요공(4')의 치수의 오차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를 제5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제5도에 도시한 것은 가이드편(D1)를 한쪽의 접점 스프링편(A)에 인서어트 성형등에 의하여 직접 부착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이드편(D1)은 말하자면 전술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이드 겸용 카바(D2)에서 본 발명에서의 주요부인 안내면(2)만을 남기고 다른 카바 부분을 삭제하고 구성한 것을 절연기대(1)나, 스페이서(9) 및 셀렉터(E)등의 절연성 부재의 플라스틱 인서어트 성형시에, 동시 성형하므로서 접점 스프링편(A)의 선단부에 직접 일체적으로 고착시킨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카바 부분과 연결자(6)에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17"은 세퍼 레이터 부분으로서(전술한 셀렉터(E)의 기부(3')와 동일하게) 안내면(2)에 대상체(C)(카세트(C')가 접촉하여, 카세트(C')에 눌려서 접점 스프링편(A)이 굽혀졌을때에 그 세퍼 레이터(17)가 접점 스프링편(B)을 눌러서 동일 치수로 굽혀지게 하므로서 접점(a),(b)의 간격이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구성 주요부가 동일하므로, 그 작용 효과도 제1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선택 스위치를 도시한 것으로 그 선택 스위치는 가이드 겸용 카바(D3)를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카바부분의 구성을 약간 변형시킨 것이다.
즉,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뒷부분을 연장하고, 그 연장부분(18)을 추축(19)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그렇게 하므로서 가이드 겸용 카바(D2)도 그 추측(19)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그 가이드 겸용 카바(D3)는 양 접점 스프링편(A),(B)의 대부분을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많이 감싸기 때문에 그 피복 보호 효과를 향상시킨 것 뿐 아니라 추측(19)을 지지점으로 하므로서 그 회동작용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은 그 주요부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작용·효과도 주요부에 있어서 완전히 동일하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7도의 선택 스위치는 상술한 제1내지 제3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된 스위치에 있어서, 절연기대(1)에 접점 스프링편(A),(B)에 대략 평행하게 접점(f)이 부착된 접점 스프링편(F)을 매설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셀렉터(E)가 대상체(C)에 밀려서 아래로 굴곡하고, 접점 스프링편(B)이 굽혀져서 접점(a),(b)이 접촉하게 되면, 이어서 굽혀진 접점 스프링편(B) 앞쪽 끝부분의 세퍼레이터(20)가 접점 스프링편(F)을 아래 방향으로의 굽힘에 의하여 접점(f)이 접점 스프링편(A)의 접점(a)과 이격되어서 다른 스위칭 작동을 행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두 절연기(1)에 접점 스프링편(A),(B)을 대략 평행하게 매설하여서 양접점 스프링편(A),(B)의 접점(a),(b)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서 서로 마주보게보고,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접점 스프링편(A),(B)의 접점이 이격(개방)되어 있고, 한쪽의 접점 스프링편의 눌려서 굽혀짐에 의하여서는 접점(a),(b)이 접촉(폐쇄)하는 노말 오픈형의 스위치이지만,
본 발명은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접점 스프링편(A),(B)의 접점(a),(b)의 접촉(폐쇄)되어 있고, 한쪽의 접촉 스프링편의 눌려서 굽혀짐에 의하여서는 접점(a),(b)이 이격(개방)되는 노말 클로즈형의 스위치로 할 수도 있다.
제8도 내지 제12도는, 제3도 내지 제7도의 노말 오픈형 선택 스위치를 각각 노말 클로즈형으로 변형된 예를 도시하며, 제8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노말 크로즈형의 선택 스위치는 절연기대(1)에 대면하여 대략 평행으로 매설되는 접점(a),(b)이 부착된 접점 스프링편(A),(B)의 절연기대에 대한 부착위치를 제3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노말 오픈형 스위치와는 반대로 하고, 접점(a),(b)을 예를 들면 굽혀진 접점 스프링편(B)의 탄력으로 항상 탄력적으로 접촉(폐쇄)시킨 것이다.
이 노말 클로즈형 스위치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접점 스프링편(A),(B)의 접점(a),(b)이 접촉(폐쇄)하고 있으며, 한쪽의 접촉 스프링편의 눌려서 굽혀짐에 의하여서는 접점(a),(b)이 이격(개방)되는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3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노말 오픈형 스위치와 대략 동일하며, 그 작용, 효과도 노말 오픈형 스위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8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되 노말 클로즈형 스위치의 노말 오픈형 스위치와의 대응 장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Claims (5)

  1. 절연기대(1)에 두개의 접점 스프링편(A),(B)이 평행하게 매설되어 있고, 두개의 접점 스프링편(A),(B)에 각각 접점(a),(b)이 일정한 간격을 띄워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으며 ; 윗쪽 부분의 일측면에 일정폭의 안내면(2)이 있는 가이드 겸용 카바(D2)가 한쪽의 접점 스프링편(A)에 부착되어 있고 ; 그 가이드 겸용 카바(D2)에 대해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접촉하여 오는 대상체가 상기 안내면(2)위를 미끄러지며 안내됨으로써 접점 스프링편(A),(B)을 굽힐 수 있도록 되어있고 ; 다른쪽의 접점 스프링편(B)의 일부에 셀렉터(E)를 부착하여 그 셀렉터(E)의 돌출부(3)의 선단이 상기 안내면(2)의 일부와 교차되며 그 안내면(2)의 상면판(7)보다 외측으로 설정된 치수만큼 돌출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연기대(1)에 두개의 접점 스프링편(A),(B)이 대략 평행하게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 스프링편(A)의 접점(a)부근에 좌우로 돌출자(5)가 형성된 연결자(6)가 매설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접점 스프링편(B)의 접점(b)부근에 돌출부(3)를 갖는 셀렉터(E)가 기부(8)부근에 양 접점 스프링편(A),(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9)가 각각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자(6)의 돌출자(5)가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작은구멍(13)에 걸어 맞추어져서 한쪽의 접점 스프링편(A)에 가이드 겸용 카바(D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겸용 카바(D2)는 스위치 본체(S)의 양 접점 스프링편(A),(B)의 대부분을 덮는 크기의 각통체(10)로서 그 선단부(10')는 곡면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상면판(7)의 중앙에는 슬릿(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측판 내면에는 길다란 홈(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길다란 홈(12)의 선단 부분에 작은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점 스프링편(B)에 설치된 셀렉터(E)의 돌출부(3)를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슬릿(11)을 관통하여 외부로 설정된 치수만큼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겸용 카바(D2)의 뒷부분이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부분(18)이 추축(19)을 중심으로 절연기대(1)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접점 스프링편(A),(B)의 한쪽을 굽혀서 형성하고, 양 접점 스프링편(A),(B)의 접점(a),(b)이 항상 탄력적인 접촉 상태로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스위치.
KR1019830002238A 1982-05-22 1983-05-21 선택 스위치 KR880000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5500 1982-05-22
JP7550182 1982-05-22
JP???75501 1982-05-22
JP7550082 1982-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619A KR840004619A (ko) 1984-10-22
KR880000551B1 true KR880000551B1 (ko) 1988-04-13

Family

ID=2641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238A KR880000551B1 (ko) 1982-05-22 1983-05-21 선택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06122A (ko)
KR (1) KR880000551B1 (ko)
DE (1) DE3318499A1 (ko)
FR (1) FR2527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593Y2 (ko) * 1987-06-23 1992-03-04
KR910007867Y1 (ko) * 1989-07-13 199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이프레코더의 오기록 방지장치
JP2680510B2 (ja) * 1992-06-26 1997-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セットサイズ検知機構
DE4228751C1 (de) * 1992-09-01 1994-01-27 Duerrwaechter E Dr Doduco Elektrischer Miniaturschalter
JP3581063B2 (ja) * 1999-11-05 2004-10-27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のスイッチ構造
CH704380A2 (de) * 2011-01-24 2012-07-31 Polycontact Ag Schaltanordnung für ein Gurt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1409B (ko) * 1967-10-05
DE1134421B (de) * 1961-05-10 1962-08-09 Standard Elektrik Lorenz Ag Tastenfeld fuer eine Fernsprechstation mit Tastenwahl
CH434423A (de) * 1967-03-07 1967-04-30 Landis & Gyr Ag Schalter
JPS4919862Y1 (ko) * 1969-07-22 1974-05-28
US3978303A (en) * 1973-10-29 1976-08-31 Mitsuku Denshi Kogyo K.K. Leaf spring switch
JPS6010034Y2 (ja) * 1978-03-18 1985-04-06 飯塚電気工業株式会社 スイツ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27380B1 (fr) 1993-10-22
KR840004619A (ko) 1984-10-22
FR2527380A1 (fr) 1983-11-25
DE3318499C2 (ko) 1987-05-07
US4506122A (en) 1985-03-19
DE3318499A1 (de) 198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3207A (en) Latch assembly for a video tape cassette
JP2001052135A (ja) メモリカード
KR880000551B1 (ko) 선택 스위치
JP3793290B2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EP0103314B1 (en) Magnetic-tape cassette
US5325256A (en) Cartridge having a write protect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ing
US4422599A (en) Magnetic tape cassette
JPH0226330B2 (ko)
US5279476A (en) Tape cassette lid having projection for preventing tape pinching
JPH0226331B2 (ko)
KR0123749B1 (ko) 모드 및 오소거방지 감지장치
US5689393A (en) Magnetic disk cartridge having an opening for a magnetic head on a side thereof
JPS58189921A (ja) セレクシヨンスイツチ
JPH035064Y2 (ko)
US5335875A (en) Tape cassette structure
KR940000610B1 (ko) 카세트 하프 검출 스위치
JPH039348Y2 (ko)
JPH0115001Y2 (ko)
KR960010571B1 (ko) 데이프 카세트
JPH0339876Y2 (ko)
US5898551A (en) Magnetic disk cartridge
US3939492A (en) Locking mechanism for control lever in magnetic tape recorder
JPH0516700Y2 (ko)
JPH0341350Y2 (ko)
JPH01299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