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60Y1 - 보조 개폐기 - Google Patents
보조 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0360Y1 KR880000360Y1 KR2019820000082U KR820000082U KR880000360Y1 KR 880000360 Y1 KR880000360 Y1 KR 880000360Y1 KR 2019820000082 U KR2019820000082 U KR 2019820000082U KR 820000082 U KR820000082 U KR 820000082U KR 880000360 Y1 KR880000360 Y1 KR 8800003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 bar
- auxiliary
- contact
- switch
- crossb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01H50/545—Self-contained, easily replaceable microswitch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2—Co-operating movable contacts operated by separate electr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보조개폐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를 절단한 우측면도
제3도는 고정접촉자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횡단면의 하면도
제5도는 개폐기를 조작하는 전기회로도
제5도는 흡인력, 반항카아스트록크(stroke)특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보조개페기의 일부를 절단한 우측면도
제8도, 제9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보조개폐기의 작동설명도로서,
제8도(a), 제9도(a), 제10도(a)는 본 고안의 요부의 작동을 표시한 측면도
제8도(b), 제8도(b), 제10도(b)는 양접점의 상태를 표시한 개략도
제11도는 보조크로스 바아(cross bar)의 사시도
제12도는 보조크로스바아의 작용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이스(base) (6) : 크로스바아
(19) : 커버 (19a) : 지정부
(20) : 고정접촉자 (21) : 고정접점,
(25) : 가동접촉자 (26) : 제3돌기
(27) : 브조크로스바아 (27a) : 지점축
(27b) : 압판 (29) : 가동접점
본 고안은 개폐기, 특히 저압, 고압전자(電磁)접촉기 또는 각종 차단기 등의 주회로개폐조작에 따라 기계적으로 연동되는 보조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조개폐기를 제1도∼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6)은 프라스틱으로 형성한 베이스이고, 6극을 각각 격리시킨 격실(2), 격벽바리어(3), (3') 창구(4) 착설공(5)(5')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1)은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중앙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크로스바아(6)의 이동을 정지시켜 주는 제1스톱파제(7), 제2스톱파(8) 및 고정접촉자장치(9)를 구비하였다.
전기크로스바아(6)은 프라스틱으로 형성되었고, 가동접촉자와 계합하는 6개의 각형공(角形孔)(10)이 형성되어, 하단부에 형성한 장(長) 각형공(11), 이 장각형공 (11)의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받이(12), 베이스(1)의 제1스톱파(7)에 계합하는 제1돌기 (13), 베이스(1)의 제2스톱파(8)에 계합하는 제2돌기 (14)를 각각 구비하였다. 각형공(10)에는 공지의 접촉자스프링(15)와 스프링받이(16)이 장설되었으며, 평상시 폐로접점방식(하부 3개소)의 경우든 제1도에서 하방에 가동접촉자를 배치하고, 평상시 폐로접점방식(상부3개소)의 경우에는 상방에 가동접촉자를 배치한다.
크로스바아(6)의 하부 각형공(11)에는 트리프스프링(17)과 이스프링(17)의 받이를 겸한 커버누르개(18)이 배설되었다.
또한 베이스(1)의 주위는 투명한 프라스틱으로 형성된 방진커버(19)가 복착되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20), (20')는 고정접촉자이고, 이고정접촉자(20)은 재 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3방향으로 절곡되어 중압에는 접점(21)이 접합되었으며 압출나선부(22)가 천설되었고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의 장착부(9)에 스프링액손으로 감착되어 제1도에 표시한 출력단자용 나사(23)(23')가 압출나선부(22)에 나합되어 제1도에 있어 좌우방향으로의 발탈을 방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 크로스바아(6)은 항시 하방으로 스프링(17)에 의하여 압압되어 그 정지위치는 크로스바아(6)의 장각형공(11)의 상단이 커버누르게 (18)과 당접하는 위치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개폐기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폐기의 개폐조작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동작하게 구성되었으며 개폐기는 개폐충격의 감소, 사용수명의 장기화, 전자석의 소형화등의 요청에 따라서 직류전자석으로 더우기 절약저항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전기회로는 제5도에 표시하였으며 (Mc)는 개폐기의 코일(Mc-b)는 보조개폐기의 상폐(常閉) 접점으로 개로시에는 다른 상폐접점보다 늦어지게 오버트라벨(overr travel)을 많게 하였다.
또한 (R)는 절약저항으로서 보조개폐기의 상폐접점(Mc-b)와 병열로 접속되었다. 더우기 (SW)는 외부의 지령용 스윗치이다.
개폐기의 투입조작을 할 때는 우선 외부의 지령용 스윗치를 ON시키면 전류는 (SW)→(Mc-b)→(Mc)순으로 흘러, 조작코일(Mc)에 전전압이 인가되어 도시하지 않은 가동철심의 흡인이 시작되어 동작하는 개폐기의 주접접의 폐로가 시작되어 상폐접점 (Mc-b)가 개로되고 절약저항이 삽입되어 전류는 (SW)(R)-(Mc)순으로 흘러 가동철심이 고정철십에 흡착되어 개폐기의 주접점이 폐로상태를 형성한다.
더우기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동철심과 고정철심이 흡착된 상태에서는 흡인력이 매우 커서 절약저항(R)와 조작코일(Mc)에 전압이 분담되어도 충분히 큰 흡인력으로 보지된다.
다음에 지령용스윗치(SW)를 OFF시키면 전류가 차단되어 가동철심이 고정철심과 떨어져 개폐기의 주접점이 떨어지고 보조개폐기의 상폐접점 (Mc-b)도 무전압(無電壓)으로 폐로 1, 초기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개폐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곁점이 있었다. 즉 보조개폐기의 상폐접점 (Mc-b)는 개폐기의 코일전류를 차단하여 저항기 R와 코일 Mc에 의하여 전압을 분담시키지만 개폐기의 주접점의 폐로이전에 상폐접점(Mc-b)가 개로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가동철심의 흡인력이 저하되어 개폐기의 주접점에 개폐번복이 발생되거나 제6도의 반항력, 흡인력특성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흡인력이 반항력 보다 하한점(下限點)이 있기 때문에 투입스윗치의 챠터링(chaltering)이나 전압강하등에 의하여 크로스지점 C에서 평형이 될 가능성이 있고, 주접점의 용손(溶損)이나 용착의 불량이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상폐접점(Mc-b)의 이탈위치를 늦어지게 하는 크로스바아(6)의 각형창구(10)의 길이를 길게한 것이 제안 실시되고 있으나 접점갭(gap)이 작아져서 코일전류가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은 개폐의 번복이나, 크로스지점 C에서 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완전 제거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것의 결점을 제거하여 주접점의 개폐번복이나 크로스지점 C의 평형현상은 완전제거할 수 있는 보조개폐기를 제공하고저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을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상술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도면 중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에 있어서 크로스바아(6)의 각형공(10)은 스프링(24)가 탄설된 가동접촉자(25)로 형성되었다. 크로스바아(6)의 제2돌기(14)의 반대측에 제3돌기(26)을 형성하였다.
방진커버(19)에 지점부(19a)를 형성하고. 프라스틱으로 형성한 보조크로스바아(27)의 지점축(27a)와 회전할 수 있게 계합되어 있다.
보조크로스바아(27)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이 양쪽으로 분할되어 이 부분을 크로스바아(6)에 협삽하여 가동접촉자(25)를 압상하는 압판(27b)를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개폐기를 개로상태에서 폐로동작을 하게 되면 보조개폐기도 연동되어 크로스바아(6)은 제8도에서 제9도, 제10도로 동작한다.
제8도(a),(b)는 상폐접점(Mc-b)가 폐로(개폐기는 개로상태)인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 크로스바아(6)의 상부는 베이스(1)의 제1스톱파아(7)과 커버(19)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접촉자(25)의 가동접점(28)과 고정접촉자(20)의 고정접점 (21)은 접촉되어 폐로되고 있다. 이어서 도시되지 아니한 개폐기의 폐로동작에 연동되어 크로스바아(6)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제9도(a),(b)에 표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아 (6)의 제3돌기(26)이 보조크로스바아(27)에 접촉되어 가동접촉자(25)의 가동접점 (28)과 고정접촉자(20)의 고정접점(21)은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시 크로스바아 (6)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0도(a)(b)에 표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아(6)의 제3돌기(26)이 보조크로스바아(27)에 당접하여 커버(19)의 지점부(19a)와 계합된 보조크로스바아(27)의 지점축(27a)를 중심으로 하여 보조크로스바아(2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동접촉자(25)를 압상하여 가동접점(28)과 고정접점(21)이 개로상태를 형성한다. 더우기 도시하지 않은 개로에서 폐로로 이어지는 동작에 연동하는 보조개폐기의 크로스바아(6)의 동작은 제10도에서 제9도, 제8도로 되어 전술한 것과 반대의 동작을 한다.
종래의 것과 본 고안의 실시예와를, 개로개시위치에 대하여 비교하면 종래의 보조개폐기의 상폐접점(Mc-b)의 개로위치는 D-d0로 되어 실시예의 보조개폐기의 상폐접점(Mc-b)의 개로개시위치는가 된다. 실시에의 보조개폐기의 상폐접점(Mc-b)의 개로지연의 효과가 정량적으로는 이 된다. D는 크로스바아스트로크(storke), d0는 상폐접점(Mc-b)의 개로거리(접점갬), I0는 지점에서 크로스바아 중심위치까지의 거리, I1은 지점에서 제3동게위치까지의 거리.
본 고안에 관한 보조개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크로스바아를 장설함으로서 크로스바아의 동작거리를 최종위치의 직접에서 확대(증폭)시커 상폐접접(Mc-b)의 개로동작을 지연시킴으로서 개폐기의 주접점 폐로개시부터 늦게 개로되도록 구성하였음으로 개폐기의 주접점폐로시의 개폐의 번복흡인력과 반항력의 형평이 없게 되어 신뢰성을 높여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복수개의 고정접촉자가 장착된 베이스와 이 고정접촉자와 접탈하는 복수개의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촉자에 소요되는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장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크로스바아와 베이스 전면에 커버를 장설하여 주회로 개폐기에 연동하게 한 것에 있어서, 커버에 지지되는 보조크로스바아(27)를 장설하여 크로스바아(6)의 작동에 따라서 보조크로스바아(27)가 크로스바아에 구동되어 가동접촉자(25)를 폐로에서 개로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보조개폐기
- 제 1항기재의 보조크로스바아(27)는 크로스바아(6)에 장설된 돌기에 의하여 크로스바아 (6)의 작동에 따라 상방으로 압상되도록 구성된 보조계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6-36483 | 1981-03-16 | ||
JP1981036483U JPS6331332Y2 (ko) | 1981-03-16 | 1981-03-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3362U KR830003362U (ko) | 1983-12-12 |
KR880000360Y1 true KR880000360Y1 (ko) | 1988-03-10 |
Family
ID=2983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20000082U KR880000360Y1 (ko) | 1981-03-16 | 1982-01-07 | 보조 개폐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331332Y2 (ko) |
KR (1) | KR880000360Y1 (ko) |
-
1981
- 1981-03-16 JP JP1981036483U patent/JPS6331332Y2/ja not_active Expired
-
1982
- 1982-01-07 KR KR2019820000082U patent/KR880000360Y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331332Y2 (ko) | 1988-08-22 |
JPS57150448U (ko) | 1982-09-21 |
KR830003362U (ko) | 1983-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13636A (en) | Circuit-breaker | |
US4421959A (en) | Bridging contactor with main and arcing contacts | |
CN1184660C (zh) | 保护道路交通车辆内电路的保护开关 | |
JPH0125398Y2 (ko) | ||
JPS59191224A (ja) | 電流しや断器 | |
US6365863B1 (en) | High voltage circuit-breaker with a counter-contact which can be actuated | |
CN1031434C (zh) | 断路开关 | |
KR880000360Y1 (ko) | 보조 개폐기 | |
KR860009457A (ko) | 전기회로 차단기 | |
KR920020552A (ko) | 부가모듀울이 앞면에 장착된 전기기계 스위치장치 | |
US3251966A (en) | Shock-proof overload relay with reversing link | |
CA1044286A (en) | Terminal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 |
JPH0631635Y2 (ja) | 配線用遮断器 | |
JPS62243222A (ja) | 電気しや断器 | |
KR100518256B1 (ko) |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 |
CN110931319B (zh) | 一种并联控制断路器的操作结构 | |
JP2911855B2 (ja) | ハウジングのあるスナップスイッチ | |
KR870000780Y1 (ko) | 전자 접촉기 보조 접점 케이스 | |
US20040066592A1 (en) | Switchergear device | |
KR100298331B1 (ko) |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 |
KR900008407B1 (ko) | 회로 차단기 | |
JPH0226327B2 (ko) | ||
KR820001314Y1 (ko) | 회로차단기에서의 보조스위치의 부가구조 | |
JPS6324603Y2 (ko) | ||
KR930005049Y1 (ko) | 접촉 및 개방용 접점 겸용의 보조접촉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