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16B1 - 송풍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송풍기의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16B1
KR880000116B1 KR1019830001940A KR830001940A KR880000116B1 KR 880000116 B1 KR880000116 B1 KR 880000116B1 KR 1019830001940 A KR1019830001940 A KR 1019830001940A KR 830001940 A KR830001940 A KR 830001940A KR 880000116 B1 KR880000116 B1 KR 88000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ntrol unit
blower
moto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037A (ko
Inventor
유우지 나까시니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8Stop safety or alarm devices, e.g. stop-and-go control; Disposition of check-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풍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송풍기의 회로도.
제2도는 일부회로를 생략한 블록도.
제3도는 일부동작을 생략한 프로어챠트도.
제4도는 처리1의 프로어챠트도.
제5도는 처리2의 프로어챠트도.
제6도는 처리3의 프로어챠트도.
제7도는 풍량을 점차감소하는 운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 : 마이크로컴퓨터 마 : 조작입력회로
바 : 모우터회로 지 : 입력신호판정부
아 : 운전시간제어부 루 : 풍량을 점차감소하는 운전제어부
하 : 모우터제어부 소 : 시간제어비교 연산부
본 발명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송풍기의 제어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선행 기술인 실공소 57-2708호 공보, 실공 소57-2709호 공보등에 기재된 제어장치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회전속도가 점차 감속한후 정지되는 것으로서, 간헐적으로 운전을 하면서 운전속도를 점차 감속한 후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는 급히 송풍이 정지되는 것임으로, 잠든 사람및 사용자에는 정지가 강하게 느끼게되는 것이고 후자에 있어서는 바람의 강약이 짧은 주기로 되어서 그 변화가 사용자에세 강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초기설정 모우터 속도에 의하여 연속운전을 하면서 점차로 감속하고 저속으로 간헐운전을 한후 정지를 시키므로서 긴주기로서 부드럽게 송풍에 변화를 가지게하고 정지전에는 저속으로 간헐운전을 하여 송풍에 변화를 보다 부드럽게 변화를 시키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제1도에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2도는 요부의 블럭도이며 제3도 내지 제6도는 프로어챠트이고 제7도는 동작 그래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송풍기회로는 전원회로(가)와 타이머 기존신호회로(나)와 초기설정회로(다)와 동작표시회로(라)와 조작입력회로(마)와 모우터회로(바)와 송풍방향 변경회로(사)와 조작입력 확인회로(SP1)와 송풍기의 동작을 집중 제어를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IC)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회로(가)는 트랜스(T1)과 이 트랜스(T1)의 1차측에 배선되는 퓨우즈(F1)과 콘덴서(C1)과 바리스터(Varistor)(BAI)과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에 배선된 전파정류(全波整流) 다이오우드(D1)(D2)와 안정 평활전압으로 하기위한 콘덴서(C2)(C3)(C6)및 저항(R1)과 제너 다이오우드(IDI)와 NPN트렌지스터(Q1)으로써 이루어지고, 그 접촉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되어있다.
상기 트랜스(T1)의 1차측은 상용전원(Ac)에 접속된다.
상기 타이머 기준신호회로(나)는 다이오우드(D4)의 저항(R3)(R4)(R5)와 콘덴서(C7)으로써 이루어지고, 이의 접속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되며, 상기 다이오우드(D4)의 OH노우드는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 단자와 다이오우드(D1)의 애노우드간에 접속된다.
상기 저항(R5)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7)에 접속된다.
상기 초기설정회로(다)는 다이오우드(D3)와 저항(R2)와 콘덴서(C4)(C8)로서 이루어지고 그 접속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되어있다.
상기 다이오우드(D3)의 캐소우드는 상기 트랜지스터(Q1)에 미터로부터 오는 상기 전원회로(가)의 출역부(30)에 접속된다.
상기 저항(R2)과 콘덴서(C8)의 접속부분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8)에 접속된다.
상기 동작표시회로(라)는 발광 다이오우드(LED1)(LED2)(LED3)(LED4)(LED5)(LED6)(LED7)(LED8)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발광 다이오우드(LED1)(LED2)(LED3)(LED4)(LED5)(LED6)(LED7)(LED1)의 애노우드는 제1도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저항(R6)(R7)(R8)(R9)를 통하여 상기 출역부(30)에 접속되고 캐소오드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1)(2)(3)(4)(9)(10)(11)(12)에 접속된다.
상기 각 발광 다이오우드는 상기 조작입력 회로(마)로서 설정되는 상기 모우터회로(바)및 송풍방향 변경회로(사)의 동작상태를 점등 또는 점별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1)(LED2)(LED3)의 점등에 의하여 상기 모우터 회로(바)의 모우터(FM)의 회전속도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1)은 저속회전을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2)는 중속 회전을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3)는 고속 회전을 표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4)는 상기의 각 운전상태에 있어서 간헐적인 운전을 할때 점등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5)와 (LED6)(LED7)는 설정된 운전시간을 표시한 것이며,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5)는 시간 운전을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6)는 2시간 운전을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7)은 4시간 운전을 나타낸다.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8)는 시간 제어 운전에 있어서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 상기 모우터(FM)의 회전속도가 점차 감속이 되는 풍량으로 점차 감소 운전을 하는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출력부(30)는 트랜스(T1)의 1차측 단자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조작 입력회로(마)는 선택버튼 스위치로서 이루어져있고 스위치(SW1)는 송풍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이고 스위치(SW2)는 상기 모우터(FM)의 운전속도를 절환 시키는 것이며 스위치(SW3)는 상기 모우터(FM)의 간헐적인 운전을 설정하는 것이고 스윗치(SW4)는 상기 송풍방향 변경회로(사)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며 스위치(SW5)는 상기 모우터(FM)의 운전시간을 절환하는 것이고 스위치(SW6)는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운전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각 스위치(SW1)(SW2)(SW3)(SW4)(SW5)(SW6)는 선택 설정에 의하여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표시회로(라)의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가 점등한다.
상기 스위치(SW1)(SW2)(SW3)(SW4)(SW5)(SW6)의 일단은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는 단자(21)(22)(23)(24)(25)(26)에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된다.
상기 스위치(SW2)는 그 선택이 이루어질 때마다 저속→중속→고속→저속과 상기 모우터(FM)의 운전 설정을 변경한다.
상기 스위치(SW5)는 그 투입이 이루어질 때마다 1시간운전→2시간운전→4시간운전→1시간운전의 순으로 설정시간을 변경한다.
상기 모우터회로(바)는 콘덴서런형 유도 점등기로서 이루어진 모우터(FM)와 이 모우터(FM)의 보조권선에서 인출된 저속, 중속, 고속용 탭에 접속되는 트라이아크(TRA1)(TRA2)(TRA3)와 이 트라이아크(TRA1)(TRA2)(TRA3)의 게이트단자에 접속되는 저항(R11)(R12)(R13)과 상기 저항(R13)은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에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상기 저항(R11)(R12)과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IC)의 단자(18)(17)(1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우터(FM)의 일단은 상기 트랜스(T1)의 1차츨 단자의 다른쪽 소위 상기 출력부(30)가 접속된 것과는 반대의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트라이아크(TRA1)(TRA2)(TRA3)에 접속된 모우터(FM)는 접속된 제1주 전극과는 다른 제2주 전극에 상기 출력부(30)가 접속된다.
상기 송풍방향 변경회로(사)는 송풍방향 모우터(KM)와 이 모우터(KM)의 입력단자의 한쪽에 접속된 트라이아크(TRA4)와 이 트라이아크(TRA4)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저항(R14)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저항(R14)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15)에 접속된다.
상기 모우터(KM) 입력단자의 다른쪽은 상기모우터(FM)와 같이 상기 트랜스(T1)의 1차측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트라이아크(TRA4)의 제2주 전극은 상기 트라이아크(TRA1)등과 같이 상기 출력부(30)에 접속된다.
상기 조작입력 확인회로(SP1)는 전기 음항 변환기로서 되고 구체적으로는 부저나 스피카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입력 확인회로(SP1)의 한쪽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19)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부(30)에 접속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5)(6)에는 마이크로 컴퓨터(IC)를 동작시키는 발진회로의 시정수(時定數)를 형성하는 콘덴서(C5)와 저항(R10)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14)와(20)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전원 단자로서 단자(14)는 접지되고, 단자(20)은 상기 출력부(30)에 접속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13)는 시험용 단자로서 접지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 (15)(16)(17)(18)(19)및 (21)(22)(23)(24)(25)(26)(27)(28)플럭저항(BR1)(BR2)를 통하여 상기 출력부(30)에 접속된다.
상기 플럭저항(BR1)(BR2)은 입력과 출력에 대하여 노이스 신호가 작용 하였을때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단자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는 상기 조작 입력회로(마)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받는 입력신호 판정부(지)와 이 입력신호 판정부(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표시 제어부(리)와 운전시간 제어부(아)와 풍량을 점차 감소운전 제어부(루)와 송풍변경 제어부(오)와 간헐운전 제어부(와)와 모우터 제어부(하)와 입력확인 제어부(요)와 상기 타이머 기준신호회로(나)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하여 시간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운전시간, 간헐운전 기준신호 발생부(다)와 이 기준신호 발생부(다)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시간을 세분하는 타임카운타부(레)와 상기 운전시간 제어부(아)로 부터의 상기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운전 제어부(루)로 부터의 신호와 상기 타임카운타부(레)로부터의 신호와를 비교 연산(演算)하는 시간제어 비교 연산부(소)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모우터제어부(하)와 간헐운전 제어부(와)와 표시 제어부(리)는 상기 시간제어비교 연산부(소)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서도 제어된다.
또 상기 모우터 제어부(하)는 또한 상기 간헐 운전 제어부(와)로부터 신호에 의하여서도 제어된다.
상기 표시 제어부(리)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동작 표시회로(라)에 보내진다.
상기 입력확인 제어부(요)로부터 신호는 상기 조작 입력확인회로(SP1)에 보내어진다.
상기 모우터 제어부(하)로부터 신호는 상기 모우터회로(바)에 보내어진다.
상기 송풍변경 운전은 상기 조작 입력회로(마)에서 선택된 스윗치로부터 입력신호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그 동작은 제3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프로어챠트로써 행하여진다.
우선 제3도의 프로어챠트에 의하여 항목별로 설정하면,
상기 송풍기가 전원(AC)에 투입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느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 초기설정에 의하여 상기 동작 표시회로(라)는 소등 모우터회로(바)와 송풍방향 변경회로(사)는 정지한다.
그후 상기 조작 입력회로(마)의 "스윗치는 눌러졌는지"의 판정이되어 "NO"이며는 "스윗치가 눌러졌는지"의 판정이 다시 돌아온다.
상기 조작 입력회로(마)의 스윗치가 투입되면 "YES"의 판정이 되어서 상기 입력 확인 제어부(요)에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조작 입력확인회로(SP1)에 의하여 확인음이 출력된다.
그후 상기 조작입력회로(마)에서 선택된 스윗치의 판정이 '정지 스윗치인가"의 판정이 "YES"이며는 "정지처리"가 된다.
"NO"이며는 우선 "풍량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
이 판정은 "고속 운전인가", "중속 운전인가", "저속 운전인가"의 판정과 같은 판정이 그 판정에 따라서 상기 표시 제어부(리)에 출력되고 이 표시 제어부(리)로부터 상기 동작 표시회로(라)에 출력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모우터 제어부(하)에 출력되어, 이 모우터 제어부(하)로부터 상기 모우터 회로(바)에 출력되어 "저속 운전", "중속 운전", "저속 운전"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운전 시간은"의 판정되면 "YES"(운전 시간의 설정이 있다)이며는 설정에 따르는 출력이 상기 운전 시간 제어부(아)로 입력 되어서 이 운전시간 제어부(아)로부터 출력이 상기 시간제어 비교 연산부(소)에 입력되어 시간의 계수를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모우터 제어부(하)에 이 출력이 출력되며 운전는 시간 운전으로 절환한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리)에도 입력이 되어 설정시간의 경과를 표시한다.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운전인가"의 판정되어 "YES"이며는 운전 속도및 운전 시간에 운전 시간에 따르는 제4도에 나타내는 "처리 1", 제5도에 나타내는 "처리 2", 제6도에 나타내는 "처리 3"의 프로어챠트에 의하여서 운전된다.
우선 초기 운전이 고속 운전인 경우에는 제4도에서 나타내는 "처리 1"로서 운전된다.
처음 타이머 설정 시간을 4등분 하고 등분된 시간마다 고속 운전 중속 운전, 저속 운전과 회전속도를 저하 시킨후 타이머 설정시간 1/4 시간의 타이머를 설정하고 저속으로 4초운전, 4초 정지의 간헐 운전이 된후 정지 처리되어서 송풍기는 정지한다.
초기 운전이 중속 운전일 경우에는 제5도에 나타낸 "처리 2"로서 운전된다.
처음에 타이머 설정 시간의 1/2시간만 중속 운전되고, 그후 타이머 설정시간의 1/4시간만 저속 운전되고, 타이머 설정 시간의 1/4시간, 4초운전, 4초 정지의 간헐 운전이 된후 정지 처리되어서 송풍기는 정지한다.
초기 운전이 저속운전일 경우에는 제6도에 나타낸 "처리 3"으로 운전된다.
처음에 타이머 설정시간의 3/4의 시간만 저속 운전된후 타이머 설정 시간의 1/4시간, 4초운전, 4초 정지의 간헐 운전이된후 정지 처리되어서 송풍기는 정지한다.
상술한 각 처리에 의한 송풍기의 동작을 그래프로서 나타내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되어, 화살표에 따라 운전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 설정시간을 제어속도가 변수(고속, 중속, 저속의 3속)+1(본 실시예에서는 4)로서 분활하고 이 분활시간을 단위로 하여서 속도를 가변하는 것과 같이 한것이나, 특히 등분에 분활하지 않아도 미리 속도 가변 시간등을 설정하여 두고 이에 따라서 제어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간헐운전은 4초운전, 4초정지로 설정되어 있으나 운전시간과 정지시간은 임의로 하여도 같은 작용 효과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제3도의 프로어챠트중 판정에는 기재하지 않고 있으나 "풍량은"과 "운전시간은"의 판정의 사이에 "간헐운전이"과 "송풍방향을 변경하는 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는 상기 입력신호 판정부를 중심으로 동작시켜 판정의 우선 순위는"스윗치가 눌러졌는지", "정지스윗치인지", "풍량은", "간헐운전인가", 송풍방향을 변경하는지 "운전시간은"풍량을 점차감소하는 운전인가로 되어있으며, 상기 송풍기의 운전중, 정지중은 상기 입력신호 판정부에서 대기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작 입력회로(마)에 의한 설정은 스윗치(SW2)에 의한 속도 설정이 동작의 메인 스윗치로 되어있고, 속도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위치(SW3)(SW4)(SW5)(SW6)에 의한 간헐운전, 송풍방향 변경, 시간설정,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설정은 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는 속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동작 되는것이 필요하다.
렘프등의 다른 장치를 송풍기에 넣어서 조립하였을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IC)의 단자(27)로부터 입력하였을 경우, 속도 설정을 하는 단자(22)로부터의 입력의 유무에는 관계가 없고, 단자(15)를 제어할수가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 경우에는 송풍변경 모우터(KM)로 바꾸어서 램프 등을 접속하면 된다.
본 발명은 시간 제어에 의한 운전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풍량이 점차 감소하도록 하고, 더욱이 저속으로 간헐 운전을 한후 정지 하도록한 것으로서 풍량 감소를 감지시키는 일이 없이 송풍기를 정지시키고 간헐운전에 있어서는 저속보다 속도가 감속된 속도로 할수가 있어 1단 많은 풍량 변화가 얻어져서 취침 시의 답답한 것등을 해소하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송풍기를 동작토록 하는 조작 입력회로로부터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신호 판정부(지)와 이 판정부로부터의 출력신호로 동작하는 송풍기의 운전시간을 설정시간 제어부(아)와 상기 판정부(지)로부터의 출력신호로서 동작하여 초기 설정모우터(FM)의 속도에 의하여 연속 운전을 하면서 점차 감속하고 저속으로 간헐운전을 한후 정지시키는 운전 패턴을 설정하는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운전 제어부(루)와 운전시간 제어부(아)로서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운전 제어부(루)로부터 출력 신호로서 운전시간과 운전 패턴을 합하여 이루워 지도록 하는 시간 제어 비교 연산부(演算部)(소)와 이 비교 연산부(소)로부터의 출력 신호로서 동작하고 모우터 회로(바)를 동작시키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모우터 제어부(하)로 된 송풍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운전 제어부(루)로서 설정되는 운전 패턴을 설정된 타이머 시간을 복수 시간으로 분활하고 이 분활시간경과 때마다 초기에 설정한 모우터 속도보다 감속을 하여 최종분활 시간에 있어서 저속으로 연속 운전시킨후 간헐운전을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송풍기의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을 점차 감소하는 운전 제어부(루)로서 설정된 운전 패턴을 설정된 타이머 시간을 제어속도가 변수+1로 분할하고, 최고속 모우터 속도를 상기 분할 시간마다 계단 모양으로 감속시키는 라인에 따라서 초기 설정 모우터 속도를 감속하여 최종분할 시간에 있어서 저속으로 간헐 운전을 하도록 하여서 이루어지는 송풍기의 제어장치.
KR1019830001940A 1983-03-03 1983-05-06 송풍기의 제어장치 KR880000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035673A JPS59160096A (ja) 1983-03-03 1983-03-03 送風機の制御装置
JP35673 1983-03-03
JP58-35673 1983-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037A KR840008037A (ko) 1984-12-12
KR880000116B1 true KR880000116B1 (ko) 1988-03-12

Family

ID=1244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940A KR880000116B1 (ko) 1983-03-03 1983-05-06 송풍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60096A (ko)
KR (1) KR880000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1696A (ja) * 1984-10-24 1986-05-20 Sanyo Electric Co Ltd 送風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6211U (ko) * 1973-12-29 1975-08-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4598B2 (ko) 1991-04-03
JPS59160096A (ja) 1984-09-10
KR840008037A (ko) 1984-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1328A (en) Integral thermostat-digital clock unit
KR880000116B1 (ko) 송풍기의 제어장치
JPS58117943A (ja) 空気調和機の自動運転制御方式
JP2001065963A (ja) フード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KR100514002B1 (ko) 예약 기능을 구비한 난방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247183B1 (ko) 전자식 선풍기의 자동 타이머 설정 장치
JPS5922425Y2 (ja) 空気調和機の温度表示装置
KR970000098Y1 (ko) 온도감지기와 전자스윗치를 구비한 난방용 판넬
KR200321236Y1 (ko) 예약 기능을 구비한 난방 조절 장치
JPH0438632Y2 (ko)
JPS5829798Y2 (ja) 空気調和機
JPS62158934A (ja) 空気調和機
KR100935800B1 (ko) 선풍기용 자연풍 발생 전원측 타이머
KR950010101Y1 (ko) 공기청정기의 모터출력조절회로
JPH0313600Y2 (ko)
JPH1172243A (ja) 加湿機
JP262585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S5829797Y2 (ja) 空気調和機
JPS57159315A (en) Temperature controller for livestock house
JP2862652B2 (ja) 電気機器
JPH0435043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S6123892A (ja) 扇風機
KR19990081794A (ko) 전력공급의 페이드아웃 스위칭방법 및 회로
JPS63315857A (ja) 温風暖房機の運転制御方法
JPH013728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