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10179A - 탈분지 효소 - Google Patents

탈분지 효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10179A
KR870010179A KR870003537A KR870003537A KR870010179A KR 870010179 A KR870010179 A KR 870010179A KR 870003537 A KR870003537 A KR 870003537A KR 870003537 A KR870003537 A KR 870003537A KR 870010179 A KR870010179 A KR 87001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ranching enzyme
strain
starch
debranching
glucoamyl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0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이롬 데이비드
휴그 휴그 콜링스 스테펜
Original Assignee
알란 브라이안 벡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란 브라이안 벡,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피엘씨 filed Critical 알란 브라이안 벡
Publication of KR87001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179A/ko

Links

Landscapes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분지 효소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면은 글루코아밀라제 또는 본 발명의 플루라나제(pullulanase) 사용시 시간에 따른 글루코스 농도를 나타낸다.

Claims (10)

  1. (a) 균주 NCIB 12235로부터 유래하거나 균주 NCIB 12235로부터 유래한 탈분지 효소의 화학적 성질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을 나타내고, (b) pH4~6 및 55°~65°의 온도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며, (c) 방성균 목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를 적당한 영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성된 배양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플루라나제 (pullulanase)형태의 탈분지 효소를 함유하는 탈분지 효소 생성물.
  2. 박테리아 균주 NCIB 12235 또는 이 균주로부터 유래된 변종 혹은 돌연변이 체의 생물학적 순수 배양균.
  3. 효소는 균주 NCIB 12235로부터 유래되거나 또는 균주 NCIB 12235로부터 유래된 탈분지 효소의 화학적 성질과 본질적으로 같은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고, pH4~6 및 55°~65°의 온도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며, 여기서 방성균목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탈분지 효소의 적당한 생성 조건하에 탄소원 및 무기 영양물을 포함하는 적당한 영양배지에서 배양되고 탈분지 효소 생성물이 회수되는, 플루라나제 형태의 탄분지 효소를 함유하는 탈분지 효소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전분 또는 가수분해물이 글루코아밀라제 혹은 베타 아밀라제로 처리되는 단계전 또는 그 동안에 전분 혹은 전분 가수분해물을 pH4~6 및 55°~65° 온도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는 플루라나제 형태의 탈분지 효소를 함유하면서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속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를 탈분지 효소의 생성을 위한 적당 조건하에 탄소원 및 무기 영양물을 포함하는 적당한 영양배지 내외 배양에 의해 생성된 탈분지 효소 생성물로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당-함유 시럽을 생성하는 전분 또는 전분 가수 분해물의 당화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글루코아밀라제가 사용되고 생성된 당-함유 시럽이 주요 당 성분으로서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베타 아밀라제가 사용되고 생성된 당-함유 시럽이 주요 당 성분으로서 말토스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분이 전분 가수분해물을 생성하기 위해 알파 아밀라제로 처리되고, 그 후 탈분지 효소 및 글루코아밀라제 또는 베타 아밀라제로 함께 처리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전분 가수분해물이 탈분지 효소로 처리되고 글루코아밀라제 또는 베타 아밀라제가 최소 30% 무게 함량의 건조 고체를 갖는 방법.
  9. 제 4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분지 효소 처리가 55~60℃ 온도에서 일어나는 방법.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알파 아밀라제는 바실루스(Bacillus)속의 균주로부터 유래되고 글루코아밀라제는 균류의 균주로부터 유래되며 베타 아밀라제는 맥아 또는 박테리아원으로부터 유래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870003537A 1986-04-16 1987-04-14 탈분지 효소 KR870010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88 1986-04-16
GB9288 1986-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179A true KR870010179A (ko) 1987-11-30

Family

ID=6846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3537A KR870010179A (ko) 1986-04-16 1987-04-14 탈분지 효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101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10192A (ko) 디브랜칭 효소 생성물, 그 제법 및 그 이용 방법
US4211842A (en) Starch-degrading benzymes derived from Clacosporium resinae
Jin et al. Thermostable α-amylase and α-galactosidase production from the thermophilic and aerobic Bacillus sp. JF strain
US5188956A (en) Thermostable amylase
ES2059362T3 (es) Producto enzimatico de beta-amilasa, preparacion y su empleo.
US4318927A (en) Method of producing low calorie alcoholic beverage with starch-degrading enzymes derived from Cladosporium resinae
EP0405283A2 (en) Novel thermoduric and aciduric pullulanase enzym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890701730A (ko) 열안정성 시클로덱스트린 글리코실 트란스페라제 그의 제조방법 및 이용
US4318989A (en) Starch-degrading enzymes from Cladosporium resinae
JPH0118717B2 (ko)
Achi et al. Production of a raw starch saccharifying amylase by Bacillus alvei grown on different agricultural substrates
US4234686A (en) Starch-degrading enzymes derived from cladosporium resinae
KR930018029A (ko) 절지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870010179A (ko) 탈분지 효소
US3806419A (en) Preparing pullulanase enzyme
JPH05236959A (ja) プルラナーゼ、その製造法及び該酵素を用いる澱粉の 糖化法
Avendano et al. Formation of a raw starch-hydrolyzing alpha-amylase by Clostridium 2021: effect of carbon sources
JPS5937957B2 (ja) アミラ−ゼg3によるマルトトリオ−スの製造法
TAKASAKI Studies on amylases from Bacillus effective for production of maltose. I. Productions and utilizations of. BETA.-amylase and pullulanase from Bacillus cereus var. mycoides.
JPS6331195B2 (ko)
JPS62126993A (ja) マルト−スの製法
JPS62126992A (ja) アミラ−ゼg2によるマルト−スの製造法
JPH08187080A (ja) 耐酸、耐熱性グルコースイソメラーゼ、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るフラクトースの製造法
Kambourova et al. Biosynthesis and properties of extracellular pullulan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G-82
JPH02530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