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628Y1 -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628Y1
KR870003628Y1 KR2019840008945U KR840008945U KR870003628Y1 KR 870003628 Y1 KR870003628 Y1 KR 870003628Y1 KR 2019840008945 U KR2019840008945 U KR 2019840008945U KR 840008945 U KR840008945 U KR 840008945U KR 870003628 Y1 KR870003628 Y1 KR 870003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
support
floor hing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844U (ko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문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충식 filed Critical 문충식
Priority to KR2019840008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628Y1/ko
Publication of KR860003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플로어 힌지의 설치 상태 및 작용을 나타내는 종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로어힌지 본체 2 : 회전지축
3 : 아암 3a : 삽지공
4 : 아암 상판 4c, 4d : 지지편
4c' : 보울트공 5 : 고정나사
6 : 조정보울트 7 : 가동편
8 : 간격너트 11 : 지지프레임
본 고안은 플로어 힌지 체착아암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출입문의 설치위치를 좌·우로 이동 조정하는 아암 상판의 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암 상판의 일측에 설치한 조정보울트의 간단한 조작으로 출입문의 하부에 용착고정되는 가동편의 위치를 출입문의 지지프레임과 함께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 조절하여 출입문과 문설주간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한 플로어 힌지 상판의 위치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로어 힌지는 통상 본체의 회전지축에 삽착되는 체착아암에 출입문의 하단부를 직접 고정하여 출입문과 플로어 힌지의 체결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 이와 같이 설치되는 출입문과 체착아암간의 고정위치가 정확히 맞지 않거나 기히 설치 사용중인 출입문의 설치상태가 변형되어 출입문과 문설주간의 간격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 이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일차 고정된 체착아암을 분리하여 그 위치를 재조정한 후 골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이 따르게 됨으로써, 이러한 조정작업을 위하여는 상당한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소요되는 결함이 있으며,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결함을 감안하여 플로어 힌지의 지축에 지지간을 횡설하고 지지간의 양측에 조절나사를 나설하여 그 조절나사의 조정으로 출입문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 조절할 수 있게 한 것 등이 잘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조정을 위하여는 설치된 출입문을 들어내어야만 그 조정이 가능한 조정상의 난점이 있으며, 또한 그 구성이 미약하여 이를 대형 출입문에 설치하거나, 장기간 사용시에는 조정나사의 접촉부가 쉽게 마모되고, 개폐시의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이완 됨으로써 정확한 작동을 기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결함과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 바, 회전지축에 삽착되는 체착아암의 상부에 출입문의 하단 지지프레임이 지지되는 별도의 지지 상판을 수개의 보울트로 아암과 고정 결합시키고, 그 상판의 일측 지지편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용착 고정되는 가동편을 거쳐 조정보울트로 나삽연결하여, 출입문의 일측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조정보울트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그 가동편이 지지프레임과 함께 좌·우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출입문이 설치된 상태에서 출입문의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변환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상부로 돌설되는 회전지축(2)에는 체착아암(3)의 삽지공(3a)이 삽착되어, 그 체착아암(3)에 지지, 고정되는 출입문(10)의 개폐를 기할 수 있게 된 공지의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일정규격을 가지는 체착아암(3)의 상부에 그와 거의 같은 크기의 지지상판(4)을 중첩하고, 이들 상·하 상판(4) 및 아암(3)의 몸체에 상호 대응하게 천설한 각 나공(4b)(3b)에는 수 개의 고정나사(5)를 나삽하여 상판(4)과 아암(3)이 결합, 고정되게 하되, 이와 같이 고정되는 상판(4)의 양측 즉, 삽지공(3a)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4)의 일측단 내측 부와 그 반대측인 상판(4)의 타측단부에는 H형 단면을 가지는 출입문(10) 하단 지지프레임(11)의 중간 횡간(11a) 저면 및 전·후 주벽(11b)(11b') 내측면에 미끄럼 접촉 지지되는 일정높이의 내·외 지지편(4c)(4d)을 상향 돌설시키어 양 지지편(4c)(4d)간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내측 지지편(4c)의 중앙부에는 보울트공(4c')을 나설하고, 그 보울트공(4c')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조정보울트(6)의 선단부(6a)를 나삽하여, 그 선단부(6a)가 상기 외측 지지편(4d)의 설치 방향을 향하여 관출되게 하는 동시에, 조정보울트(6)의 타측단부 즉, 6각 랜치공이 형성된 보울트 머리(6b)의 내측 목부에는 상기 지지편(4c)과 같은 크기의 구형(矩形) 가동편(7)을 고정설치 하고, 또한 그 가동편(7)의 내측에는 유삽된 가동편(7)의 위치를 조정보울트(6)의 목부에 한정·유착시키기 위한 링상의 간격 너트(8)를 고정핀(8a)으로 고정하여,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가동 편(7)이 상기 보울트공(4c')을 통한 조정보울트(6)의 나사회전 조정에 의하여 상판(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 또는 우로 이동될 수 있게 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출입문(10)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하여 상판(4)과 아암(3)간에 선택적으로 증감 개재되는 높이 조절용 보강판이고, 11c는 출입문(10)의 일측벽 하단부에 천설한 조정공이며, 12는 출입문(10)이 설치되는 일질 문설주, 13은 플로어힌지 본체(1)가 매설되는 바닥면을 각기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장치를 설치시에는 조정보울트(6)가 끼워지는 가동편(7)만을 출입문 지지 프레임(11) 횡간(11a)의 저면 또는 전·후주벽(11b)(11b')의 내측벽 일측부에 용착 고정하여 설치하게 되며, 이와 같이 용착된 가동편(7)에 의하여 설치되는 출입문(10)의 위치가 문설주(12)에 정확히 맞지 않거나, 또는 사용도중 그 설치위치가 변형되었을 경우에는 출입문(10)을 열은 상태에서 그 일측벽 하단의 조절공(11c)을 통하여 노출되는 조정보울트(6)를 간단히 나사회전 조정하여 출입문(10)과 문설주(12)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하게 되는 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설주(12)와 출입문(10)간의 간격이 벌려져 있어, 출입문(10)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조정보울트(6)를 반시계 방향으로 나사회전시키면, 가동편(7)이 좌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고정된 출입문(10)도 함께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반대로 문설주(12)와의 간격이 너무 좁을 시에는 조정보울트(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가동편(7)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출입문(10)의 위치를 임의 방향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이와 같이 이동되는 출입문(10)은 그 하단 지지프레임(11)의 상판(4)의 양 지지편(4c)(4d)에 의하여 각기 접동 지지되고 있으므로, 그 수직 입설위치는 이동되지 않고 가동편(7) 및 출입문(10)의 수평위치만이 용이하게 이동 조절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위치 조정 장치는 아암(3)과 일체로 조립되는 아암상판(4)과 그 지지편(4c)에 조정보울트(6)로 나사결합된 가동편(7)의 위치조정에 따라, 고정위치의 선정에 정확을 요하는 아암(3)과 출입문(10)간의 최초 체결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출입문(10)과 문설주(12)간의 정확한 위치를 맞출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도중에 유발되는 출입문(10)의 변형시에도 출입문(10)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간편히 변환 수정할 수 있게 하여 설치 및 보수시의 작업능률을 월등히 향상시킴은 물론, 출입문(10)의 개폐 작동에 따라 야기되는 각 접촉부간의 마모, 손상 또는 이완의 우려를 배제하여 출입문의 설치 상태를 공고히 보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출입문의 원활하고 확실한 개폐작동을 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본체(1)의 상부로 돌설되는 회전지축(2)을 아암(3)의 삽지공(3a)에 삽착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아암(3)의 상부에 2개의 지지편(4c)(4d)이 상향돌설된 아암 상판(4)을 수개의 고정나사(5)로 아암(3)과 고정 결합하여 그 일측 지지편(4c)의 보울트공(4c')에는 조정보울트(6)의 선단부(5a)를 나삽하되, 조정보울트(6)목부에는 출입문 하단의 지지프레임(11)에 용착 고정되는 가동편(7)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가동편(7)의 위치를 한정되게 지지하는 간격너트(8)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 조정 장치.
KR2019840008945U 1984-09-12 1984-09-12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KR870003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945U KR870003628Y1 (ko) 1984-09-12 1984-09-12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945U KR870003628Y1 (ko) 1984-09-12 1984-09-12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844U KR860003844U (ko) 1986-04-21
KR870003628Y1 true KR870003628Y1 (ko) 1987-10-20

Family

ID=1923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945U KR870003628Y1 (ko) 1984-09-12 1984-09-12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6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15A (ko) * 2000-08-31 2002-03-07 김종일 홈 굴삭 비트
KR100829964B1 (ko) * 2007-04-19 2008-05-20 이용태 슬라이딩 스윙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15A (ko) * 2000-08-31 2002-03-07 김종일 홈 굴삭 비트
KR100829964B1 (ko) * 2007-04-19 2008-05-20 이용태 슬라이딩 스윙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844U (ko) 198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2734B1 (en) Adjustable hinge
JPH0246314A (ja) ころ案内のガイドシューの固定機構
KR870003628Y1 (ko)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JP2002518615A (ja) 調節可能なヒンジ組立体
AU2004203746B2 (en) Combination of an height-adjustable foot and an adjusting tool
CN105894961B (zh) 一种交通指示牌的安全紧固装置
KR200254755Y1 (ko) 가구용 힌지
JP3038150B2 (ja) 門 扉
EP0826127B1 (en) Machine leveler
KR10083965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핑장치
JPS5856302Y2 (ja) チヨウバン
KR200235937Y1 (ko) 높이조절형롤러
KR870003629Y1 (ko) 플로어 힌지 상부 피버트 지지구의 위치 조정장치
JPH10196196A (ja) 蝶 番
KR100427348B1 (ko) 도어 장착기용 어태치먼트
JPH08284518A (ja) 折戸の軸受
KR200142476Y1 (ko) 세탁기의 수평조절장치
KR930005039Y1 (ko) 자동도어의 도어 위치 조절장치
KR900004866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a/c헤드 거리 변화 방지 장치
JPH047351Y2 (ko)
KR960009727Y1 (ko) 사출성형기의 노즐센터 조정장치
KR940002561Y1 (ko) 볼트레스 호차
JPH0625598Y2 (ja) 門扉用ヒンジの調節装置
KR970002223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KR0124324Y1 (ko) 세탁기의 수평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