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23Y1 -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23Y1
KR970002223Y1 KR2019910023954U KR910023954U KR970002223Y1 KR 970002223 Y1 KR970002223 Y1 KR 970002223Y1 KR 2019910023954 U KR2019910023954 U KR 2019910023954U KR 910023954 U KR910023954 U KR 910023954U KR 970002223 Y1 KR970002223 Y1 KR 970002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nk
shaft
plat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332U (ko
Inventor
이원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3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23Y1/ko
Publication of KR930016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 박스의 작동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레이 11 : 가이드홈
12 : 슬아이딩 판 13 : 고무판
14 : 누름판 15 : 링크연결편
16 : 링크 18 : 링크축
19 : 나사 20 : 레버축
21 : 암나사 22 : 회동봉
23 : 레버암 24 : 인장스프링
본 고안의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TRAY) 내측으로 양 누름판이 형성된 슬라이딩 판을 링크와 인장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이와 연결된 링크축의 선단부에 나사홈을 내어 레버축과 연결하여 레버암을 회동시킴에 따라 링크의 작동에 의하여 양 누름판이 확대, 축소되어 배터리의 탈,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배터리 고정구조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트레이(50)에 배터리(미도시)를 올려놓고 양 클램프 보울트(51)를 배터리 트레이(50)의 바닥에 천공된 장홈(52)에 걸쳐두고 배터리의 양측으로 배터리 지지앵글(53)을 배치하고, 배터리 클램프(54)를 상기 클램프 보울트(51)에 삽입하여 와셔(55)와 너트(56)로 조여서 배터리를 고정시킨 것으로, 이는 배터리의 장착시에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 아니라, 배터리의 교환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이들 조립된 클램프 등을 다시 풀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의 탈, 장착을 신속하게하여 배터리의 교환 또는 보수 등을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트레이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양 슬라이딩판을 개재하고 고무판이 부착된 누름판을 양 슬라이딩 판에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판을 링크로 연결하고 이에 축설된 링크축 선단부에 나사홈을 내어 레버축의 단부와 나사 연결하여 레버축의 선단부에 설치된 레버암을 좌, 우 회동시킴에 따라 링크가 작동하여 인장스프링에 연결된 양 슬라이딩 판이 레버축을 중심으로 확대, 축소 되어 고무판에 배터리의 탈,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방형의 트레이(10)내측으로 가이드홈(11)을 4면에 형성하여 양 슬라이딩 핀(12)을 개재하고 이 슬라이딩 판(12)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고무판(13)이 부착된 누름판(14)을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하며 양 슬라이딩 판(12)단부 중앙에 형성된 링크 연결편(15)에 링크(16)를 링크핀(17)으로 연결하고 양 링크(16)의 중앙으로 링크축(18)을 링크(16)에 링크핀(17a)으로 축착하며 링크축(18)의 선단부에 나사(19)를 내어 레버축(20)의 단부 내벽으로 암나사(21)를 형성하여 상기 링크축(18)을 연결하고 레버축(20)을 선단부에 형성된 회동봉(22)에 고정하며 회동봉(22)일측으로 레버암(23)을 설치하고 상기 양 슬라이딩 판(12)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인장스프링(24)으로 연결시켜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25)는 고무캡, (B)는 배터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는 누름판(14)이 확대된 상태로서, 슬라이딩판(12)의 단부가 가이드홈(11)에 밀착되어 있고 레버암(23)이 제2도에서 보면 좌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B)를 양 슬라이딩 판(12)상면에 올려놓고 레버암(23)을 약 18.0°회동시키면 회동봉(22)과 연결된 레버축(20)이 연동하여 레버축(20)과 나사 연결된 링크축(18)을 앞방향으로 밀게 되어 링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링크(16)에 연결된 슬라이딩 판(12)이 레버축(20)을 중심으로 축소되어 누름판(14)에 부착된 고무판(13)에 배터리(B)가 밀착 고정되는 것이며, 인장스프링(24)에 의하여 배터리(B)가 탄력지지 된다.(제4도 및 제5도 참조)
따라서 배터리(B)가 레버암(23)에 의하여 트레이(10)내측에 신속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배터리(B)의 교환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하여 배터리(B)를 탈착시키려면 레버암(23)을 제2도와 같이 회동시킴에 따라 회동봉(22)과 연결된 레버축(20)이 연동하여 링크축(18)을 레버축(20)이 끌어 당기게 되어 이와 연동된 양 링크(16)가 벌려지면서 슬라이딩 판(12)을 확대시키게 되어 고무판(13)에 밀착 고정되어 있던 배터리(B)가 풀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레버암(23)을 좌, 우 회전시킴에 따라 배터리(B)의 탈, 장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거니와 고무판(13)과 인장스프링(24)에 의하여 배터리(B)가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B)의 안전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장방형의 트레이(10)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에 양 슬라이딩 판(12)을 개재하고 슬라이딩판(12) 상면에는 고무판(13)이 부착된 누름판(14)을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하며 링크축(18)에 연결된 양 링크(16)를 링크 연결편(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링크축(18)의 선단부에 나사(19)를 내어 이와 나사 결합되도록 레버축(20)의 단부 내벽으로 암나사(21)가 형성되며 레버축(20)을 선단부에 형성된 회동봉(22)에 고정하고 레버암(23)을 회동봉(22)과 연결설치하며 상기 양 슬라이딩 판(12)을 다수개의 인장스프링(24)으로 연결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여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
KR2019910023954U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KR970002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954U KR970002223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954U KR970002223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332U KR930016332U (ko) 1993-07-28
KR970002223Y1 true KR970002223Y1 (ko) 1997-03-20

Family

ID=1932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954U KR970002223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6243B2 (en) 2013-08-30 2016-03-01 King Products, LLC Battery holder and isolati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332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9884C1 (ru) Очищающий элемент, размещенный на держателе скребк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98108277A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ередач велосипеда (варианты)
GB2278964A (en) Track-mounted lighting fixture
KR100628288B1 (ko) 벨트 설치 공구
KR970002223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US3364763A (en) Change speed gear control device
US4627827A (en) Device for the assembly especially of the joint of the chain-guide tensioning arm of the speed change gears for bicycles and similar vehicles
US4051738A (en) Single point resilient and adjustable mount for derailler
DK163541B (da) Fibersamling med optisk daempning
US5044408A (en) Device for moving the back rest in weaving machines
CA2482456C (en) Drop down lug for railroad switch application
US10836231B2 (en) Automatic adjustment device for front suspension of driverless formula racing car
SU988179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рректировани направлени автомобильной фары
CN220429929U (zh) 绝缘支撑装置及接触轨系统
KR970002226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KR870003628Y1 (ko) 플로어 힌지 아암 상판의 위치조정장치
CN116691458A (zh) 绝缘支撑装置及接触轨系统
KR19990034800A (ko) 원터치타입의 전선연결용 단자대
KR0133978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장치
SU1275140A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 деталей
KR200158466Y1 (ko) 인렛도어 레버고정용 스프링와셔
KR0135507Y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SU1764846A1 (ru) Резец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реплением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KR970003007Y1 (ko) 슬라이딩 게이트(Sliding Gate)
KR200155113Y1 (ko) 차량용 배터리 단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