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218Y1 -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218Y1
KR870002218Y1 KR2019840006426U KR840006426U KR870002218Y1 KR 870002218 Y1 KR870002218 Y1 KR 870002218Y1 KR 2019840006426 U KR2019840006426 U KR 2019840006426U KR 840006426 U KR840006426 U KR 840006426U KR 870002218 Y1 KR870002218 Y1 KR 870002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ale
arm
fishing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072U (ko
Inventor
박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사
박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사, 박도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사
Priority to KR2019840006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218Y1/ko
Publication of KR860001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부착된 상태에서 일부를 분해 도시한 릴의 사시도.
제2도는 낚시줄이 베일아암에 걸린 상태(감는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조작레버가 제거된 제2도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에서 조작레버의 일부를 절개한 확대 정면도.
제5도는 베일아암이 낚시줄 푸는 위치로 반전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상태에서 조작레버가 제거된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에서 조작레버의 일부를 절개한 확대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1, 22 : 아암부 9 : 작동간
9a : 수직부 9b : 상측부
9c : 하측부 11 : 작동돌기
12 : 눌림돌기 13 : 조작레버
15 : 걸림홈 15a : 걸림턱
본 고안은 베일아암을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베일아암을 반전시키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낚시 투척상태로 조작하려면 미리 릴을 부착한 낚시대를 쥔 손의 둘째손가락 끝으로 낚시줄의 걸어 누르고 다른 손으로 낚시줄이 걸린 베일아암을 젖혀서 낚시줄의 걸림 상태를 해제해야 하며, 이후 낚시대를 흔들어 투척할 때 동시에 둘째 손가락을 펴서 낚시줄을 놓아캐스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릴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시줄을 한 손의 손가락으로 걸어누르는 동작과 다른 손으로 베일아암을 젖혀 낚시줄의 걸림을 해제하는 두가지 동작을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같은 불편을 덜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일아암이 자동으로 젖혀지는 반전장치가 제안되기에 이르렀다.
예를들면 이 반전장치의 낚시대와 함께 낚시용 릴의 다리를 잡은 손의 둘째손가락으로 낚시줄을 걸어잡을 때 조작레버를 함께 조작하여 베일아암이 낚시줄 푸는 자세로 젖혀지게 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일본국 실용신안공개소 59-42167호의 반전장치는 베일힌지가 링기구등에 의해 회동되어 낚시를 푸는 자세로 반전되는 기구로 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베일힌지를 회동시키기 위한 링기구등의 조작용 레버를 움직이는 이동량이 매우 커서 낚시줄을 감은 상태에서의 조작레버의 위치(거의 수평상태로 됨)에서 낚시줄 푸는 자세로 베일힌지가 반전되었을 때 조작레버는 45°이상 경사지고, 이 조작레버의 앞끝은 낚시대에 부착된 릴의 다리 고정부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낚시줄과 조작레버를 함께 눌러잡는 둘째 손가락과 조작레버간의 경사각이 크므로 이 레버에서 그 손가락이 벗어나기 쉽고 따라서 조작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바로 이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베일아암의 반전장치에 있어서 베일힌지를 반전시키기 위한 조작레버의 이동거리가 멀고 수평선에 대해 매우 큰 각도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불편했던 점을 조작레버의 이동량을 적게 하므로서 확실하고 편하게 베일힌지를 반전시킬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베일힌지가 낚시줄을 감는 자세와 푸는 자세를 감는 자세로 되돌리도록 설치한 복귀스프링으로 구분하여 탄력이 작용하도록 된 스피닝릴에 있어서 상기 베일힌지를 강제적으로 회동시키는 범위를 상기 복귀스프링의 사점(死點)을 넘는 위치까지로 하고, 그 이후에는 이 복귀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최종 낚시줄을 푸는 자세까지 저절로 젖혀지게 한 것이며, 아암부의 일측 아암측에 복귀스프링의 사정을 넘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작동간을 피봇 지지시켜 이 작동간이 당해 아암측에 별도로 부착한 조작레버를 릴의 다리 고정부쪽 즉 낚시대쪽으로 끌어당김에 따라 낚시줄 감는 자세에서 복귀스프링의 사점위치 직후까지 선회시킴으로써 베일힌지를 반전시키는데 필요한 이동량을 적게 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릴이 장착된 낚시대를 한 손으로 릴의 다리 고정부쪽을 쥔 상태에서 그 둘째손가락으로 낚시줄을 걸어당기면서 동시에 조작레버도 낚시대쪽으로 걸어당기면 작동간은 피봇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그 상측부는 베일힌지측의 걸림핀을 내리 누르게 된다. 이때 베일힌지는 복귀스프링의 사점을 넘는 위치까지 선회되고 그 이후에는 복귀스프링의 탄력에 쏠려서 최종 낚시줄 푸는 자세로 되기까지 저절로 선회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스피닝릴에 있어서는 스피닝 릴의 로터(1)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된 아암부(2)의 한쪽 아암(21)에는 베일힌지(3)가 그리고 다른쪽 아암(22)에는 회동판(4)이 제자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일힌지(3)에는 라인로울러(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라인로울러(5)와 상기 회동판(4)과의 사이에는 베일아암(6)이 설치되어 있다.
또 베일힌지(3)는 턱이 있는 보울트(7)에 의해 한쪽 아암(21)에 제자리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 아암(21)의 오목한 부분안에 들어있는 복귀스프링(8)은 고정핀(17)에 고리부가 끼워진 채 그 한쪽 끝은 그 아암에 그리고 다른쪽 끝은 베일힌지(3)의 이면에 각각 걸려지며 이 복귀스프링(8)의 작용에 따라서 베일힌지(3)의 낚시줄 감는 자세 또는 낚시줄 푸는 자세로 구분, 탄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같은 통상의 스피닝릴에 있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즉, 한쪽 아암(21)의 바깥면상에는자형 작동간(9)이 피봇(10)에 의해 제자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작동간(9)은 수직부(9a)와 이 수직부의 윗쪽에 있는 상측부(9b) 그리고 이 수직부의 아랫쪽에 있는 하측부(9c)로 이뤄져 있고 상기 피봇(10)지지부는 수직부(9a)와 하측부(9c)가 만나는 모서리에 가까이 자리하고 있다.
또 상측부(9b)는 베일힌지(3)가 낚시줄 푸는 자세로 선회하는 방향을 향해 약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베일힌지(3)상에서 튀어나오게 고정설치된 눌림돌기(12)의 윗면에 닿아 누르는 모습으로 항상 있게되고 하측부(9c)의 열린쪽 끝의 바깥면에는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작동돌기(11)가 튀어나오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간(9)이 설치된 아암(21)의 하단부에는 조작레버(13)가 힌지결합방식으로 부착된다.
이들간의 부착은 그 아암(21)의 하단부에 보울트공(21a)을 뚫고 별도의 보울트(14)를 사용하여 조작레버(13)의 힌지부(13a)를 상기 보울트공(21a)에 헐겁게 나사끼움하는 방법으로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암(21)의 하단부와 조작레버(13)의 힌지부(13a)간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된 복귀스프링(16)이 중간끼움되고 그 고리부는 보울트(14)에 한쪽 끝(16a)은 아암(21)의 보울트공(21a) 주위에 뚫린 소공(21b)에 그리고 다른 끝(16b)은 조작레버(13)의 힌지부(13a) 주위에 뚫린 소공(13b)에 각각 끼워져 지지되며, 이 복귀 스프링(16)에 의해서 조작레버(13)는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 가게 된다.
조작레버(13)의 내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걸림홈(15)이 파여있고 이 홈의 윗언저리는 안쪽으로 경사지게 들어간 걸림턱(15a)으로 되어 있다. 이 걸림턱(15a)은 앞서 설명한 작동간(9)의 하측부(9c)에서 돌출된 작동돌기(11)를 걸어당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낚시줄이 베일아암(6)에 걸려 감는 자세로 있는 경우에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작동간(9)의 상측부(9b) 아랫면 끝에 베일힌지(3)의 눌림돌기(12)가 맞닿아 있고 또한 조작레버(13)는 베일힌지(3) 및 작동간(9)에 나란한 자세로 있다.
이런 상태에서 낚시대를 쥔 손의(둘째)손가락으로 낚시줄을 걸고 낚시대쪽으로당기면서 동시에 조작레버(13)의 윗끝을 걸어당기면 조작레버(13)는 보울트(14)를 축으로 삼아 낚시쪽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홈(15)의 걸림턱(15a)이 작동간(9)의 하측부(9c)에 형성된 작동돌기(11)를 걸고 끌어당기게 된다. 이것은 마치 작동돌기(11)를 그 아래쪽으로 눌러주는 작용과도 같다.
그래서 작동간(9)은 피봇(10)을 축으로 하여 제3도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그 상측부(9b)는 눌림돌기(12)를 눌러주므로 베일힌지(3)도 보울트(7)를 중심축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렇게 조작레버(13)에 의한 작동간(9)과 베일힌지(3)의 일련의 움직임은 이들이 설치된 아암(21)과 베일힌지(3) 사이에 버티고 있는 복귀스프링(8)의 사점을 넘은 직후의 위치에서 일단 종료되고 그 이후는 이 복귀스프링(8)의 탄력에 의해 낚시줄 푸는 자세까지의 잔여 이동구간을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5도 내지 제7도 참조)
즉, 베일힌지(3)은 낚시줄 감는 자세로부터 낚시줄 푸는 자세까지의 총이동량의 1/2-2/3범위이고, 따라서 이같은 일련의 구동동작을 위한 조작레버(13)의 젖힘각도는 종래의 베일아암 반전장치에 비해 거의 절반정도로 감축되는 것이다. 한편 낚시투척을 위해 당겼던 낚시 투척과 동시에 조작레버(13)에서 손을 떼면 복귀스프링(16)의 복원력에 힘입어 당겨지기 전의 자세로 자동 복귀한다.
그리고 낚시줄 푸는 자세로 반전됐던 베일아암(6) 및 베일힌지(3)는 그 복귀스프링(8)의 사점을 되넘기까지는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그 이후는 상기 복귀스프링(8)의 탄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며, 이때 작동간(9)은 베일힌지(3)의 눌림돌기(12)가 제자리로 되돌아갈 때 이것에 떼밀려서 덩달아 제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레버를 낚시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작동간을 선회시키며 이에 따라 베일힌지도 그 복귀스프링의 사점을 넘은 직후까지 선회시키고 그 이후 낚시줄 푸는 완전자세로 전환할 때까지는 그 복귀스프링의 탄력에 이존하게 한 것으로서 이같이 낚시줄 감는 자세에서 낚시줄 푸는 자세로의 전환을 위한 조작레버의 이동량 즉, 기울기가 종래에 비해 절반정도로 대폭 들기 때문에 낚시줄을 걸어쥔 둘째 손가락으로부터 조작레버가 벗어날 우려가 없고 따라서 낚시를 투척할 때 그 준비동작의 안정성과 간편성이 더욱 향상되며 그래서 조작성이 더욱 양호한 신규의 베일아암 반전장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베일힌지(3)가 설치된 쪽 아암(21)에 따라자형 작동간(9)을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고 베일힌지(3)상에는 작동간(9)의 상측부(9b) 하면에 항상 맞닿아 눌리는 눌림돌기(12)를 튀어나오게 설치하며 상기 작동간(9)의 하측부(9c) 끝에는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작동돌기(11를 튀어나오게 형성하고 상기 아암(21)의 하단부에는 베일힌지(3)쪽으로 파여진 걸림홈(15)이 형성된 조작레버(13)를 제자리 선회가능하게 축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베일아암 반전장치.
KR2019840006426U 1984-07-06 1984-07-06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KR870002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426U KR870002218Y1 (ko) 1984-07-06 1984-07-06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426U KR870002218Y1 (ko) 1984-07-06 1984-07-06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072U KR860001072U (ko) 1986-02-26
KR870002218Y1 true KR870002218Y1 (ko) 1987-06-25

Family

ID=1923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426U KR870002218Y1 (ko) 1984-07-06 1984-07-06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2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072U (ko) 198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4244B2 (ja) 投げ釣り用スピニングリ−ル
US3743207A (en) Spinning reel with controllably rotatable bail
KR870002218Y1 (ko) 낚시용릴의 베일아암 반전(反轉)장치
JPS61274638A (ja) スピニングリ−ル
US5154369A (en) Spinning-type fishing reels with improved line handling
US5246186A (en) Spinning reel with a displaceable element contacting the bail arm lever
KR910009591B1 (ko) 낚시리일용 급속베일 열림장치
JPH0246294Y2 (ko)
KR930006352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베일암 반전장치
JPS59140824A (ja) 魚釣り用リ−ル装置
US2793542A (en) Extension handle for reels
KR970001351B1 (ko) 낚시용 리일의 베일아암 반전장치
JPH04129767U (ja) ベールアームの反転装置
US5004182A (en) Convertible bail opening system
JPH0616505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ベ−ル反転装置
JP2000050772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S646051Y2 (ko)
JPH0117174Y2 (ko)
JPS60227619A (ja) スピニングリ−ルのベ−ル及びベ−ル反転保持機構
JP2003221967A (ja) 窓開閉装置
JPH0724059Y2 (ja) 魚釣用リ−ルのスプ−ル制動力切換装置
JPH0310856Y2 (ko)
JP2594920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144060Y2 (ko)
JPH03274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