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76Y1 -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 Google Patents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76Y1
KR870001576Y1 KR2019840014291U KR840014291U KR870001576Y1 KR 870001576 Y1 KR870001576 Y1 KR 870001576Y1 KR 2019840014291 U KR2019840014291 U KR 2019840014291U KR 840014291 U KR840014291 U KR 840014291U KR 870001576 Y1 KR870001576 Y1 KR 870001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plate
metal plate
ceramic plat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812U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4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576Y1/ko
Publication of KR860008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라믹판 2, 2' : 전극
3 : 금속판 4 : 요홈
5 : 접착제 6 : 진동판
본 고안은 피에조(PIEZO)세라믹 부저의 진동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판에 세라믹판을 고정시켜줄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킨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성을 가지는 세라믹판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면 세라믹판의 주기적으로 신축하며, 특히 세라믹의 특성에 따른 고유주파수에 맞추어 줄 경우 세라믹판은 공진하여 강하게 진동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강력하고 안정된 기계적 진동을 얻을 수 있는데 피에조 세라믹 부저도 이러한 세라믹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피에조 세라믹 부저는 금속판에 접착제를 바르고 양면에 은도금으로 전극을 형성시킨 세라믹판을 압착시켜 진동판을 구성하는데, 종래의 경우 금속판에 세라믹판을 90℃~150℃의 온도로 15~30분간 가열하여 압착시키는 제조과정에서 금속판이 요철이 없는 평면형태이므로 압력의 불균일, 작업조건의 불안정 등 약간의 외력에도 세라믹판이 금속판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불량제품의 주요인이 되었다. 특히 이와같이 불량이 생길 경우 진동판의 구조 및 접착제의 특성상 재생이 불가능하여 많은 재화의 낭비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금속판의 중심부위에 세라믹판 압착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세라믹판의 중심이탈로 인한 불량을 근복적으로 제거시킨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세라믹판(1)의 양면에 은도금 전극(2)(2')을 각각 형성시키고, 금속판(3)의 중앙에 상기 세라믹판(1)의 크기에 맞도록 요홈(4)을 형성시키되 상기 금속판(3)의 요홈(4)에는 도전성 접착제(5)를 바른후 상기 세라믹판(1)을 삽입하여 압착시킨 구조로 되어있다.
미설명부호 6은 진동판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금속판(3)의 중앙에 세라믹판(1)이 압착될 수 있는 요홈(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라믹판(1)이 금속판(3)의 중심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진동판(6)의 사시도로써 금속판(3)의 요홈(4)에 접착제(5)를 매개로 세라믹판(1)이 부착되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금속판(3)의 요홈(4)에 도전성 접착제(5)를 바르고 은도금 전극(2)(2')이 형성된 세라믹판(1)을 올려놓고 항온조내에서 압착시켜주어 진동판(6)을 완성시킨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판(6)의 평면도로써 금속판(3)상의 세라믹판(1)의 배치상태를 더욱 잘알 수 있다. 금속판(3)에는 세라믹판(1)의 직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요홈(4)이 중앙에 설치되어 세라믹판(1)이 정확히 중앙에 압착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금속판(3)의 요홈(4)에 바른 접착제(5)가 금속판(3)의 외부로 넘치지 않으며, 은도금전극(2)(2')의 직경이 세라믹판(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판(6)의 단면도로써 금속판(3)상의 세라믹판(1)의 결합상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제3도의 양측을 주시해보면, 금속판(3)의 요홈(4)을 형성하는 벽에는 약간의 경사를 주어 세라믹판(1)의 삽입이 용이하고 압착시에 접착제(5)가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했으며, 세라믹판(1) 양측의 은도금전극(2)(2')의 크기는 세라믹판(1)보다 약간 적게하여 도전성 접착제(5)로 인한 세라믹판(1) 양면의 은도금전극(2)(2')간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본 고안은 불량진동판의 주요인이 되었던 금속판(3)상의 세라믹판(1)의 중심이탈을 방지하고 압착을 보다 확실히 하여 불량으로 인한 재화의 낭비를 제거할 뿐만아니라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압착과정의 단순화 및 품질의 고급화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세라믹판(1)의 양면에 은도금 전극(2)(2')을 각각 형성시켜 도전성 접착제(5)를 매개로 금속판(3)에 압착시킨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6)에 있어서 금속판(3)의 중앙에 상기 세라믹판(1)의 크기에 맞도록 요홈(4)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세라믹부저의 진동판.
KR2019840014291U 1984-12-28 1984-12-28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KR870001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291U KR870001576Y1 (ko) 1984-12-28 1984-12-28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291U KR870001576Y1 (ko) 1984-12-28 1984-12-28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812U KR860008812U (ko) 1986-07-28
KR870001576Y1 true KR870001576Y1 (ko) 1987-04-22

Family

ID=7016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291U KR870001576Y1 (ko) 1984-12-28 1984-12-28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5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812U (ko) 198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8069B2 (en) Crystal unit
GB752040A (en) Piezoelectric transducer
US4608509A (en) Length polarized, end electroded piezoelectric resonator
US2386692A (en) Crystal
KR870001576Y1 (ko) 피에조 세라믹 부저의 진동판
US2488781A (en) Crystal holder
KR940027288A (ko) 압전진동자구체 및 그 제조방법
JPH09326657A (ja)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JPS5564413A (en)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ceramic resonator
KR920006146Y1 (ko) 압전부저용 진동자
KR910008097B1 (ko) 압전부저의 제조방법
JPS6320185Y2 (ko)
US2507374A (en) Piezoelectric crystal holder
JPH0936692A (ja) 圧電振動子
JP2526665Y2 (ja) 振動片の搭載保持構造
JPS57140013A (en) Manufacture for piezoelectric resonator
KR950010128Y1 (ko) 압전공전소자
US4054807A (en) Quartz oscillator mountings
KR940002623Y1 (ko) 세라믹 공진자(Ceramic resonator)
KR940001475Y1 (ko) 압전 공진자(壓電 共振子)
JPH026657Y2 (ko)
US2384756A (en) Crystal
JPS6033284B2 (ja) 電気部品の製造方法
JPH03145812A (ja) 電子部品
JP2005184325A (ja) 水晶振動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