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58B1 -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 - Google Patents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58B1
KR870001558B1 KR1019830002481A KR830002481A KR870001558B1 KR 870001558 B1 KR870001558 B1 KR 870001558B1 KR 1019830002481 A KR1019830002481 A KR 1019830002481A KR 830002481 A KR830002481 A KR 830002481A KR 870001558 B1 KR870001558 B1 KR 87000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radians
coil
transistor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87A (ko
Inventor
긴죠우 와다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
제1a도, 제1b도는 각각 일반적인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의 개략 정면도 및 고정자 코일홀 소자와의 위치 관계도.
제2도 및 제3a도 내지 제3c도는 각각 종래 회로의 한 예의 회로도 및 종래회로 및 본 발명 전동기의 동자 설명용 신호 파형도.
제4a도, 제4b도는 각각 종래 회로 및 본 발명 전동기의 동작 설명용 콜렉터 전류 파형도 및 본 발명 전동기의 동작 설명용 고정자 코일 전류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 전동기의 한 실시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8 : 전류 밀러 회로 10 : 정전류 회로
11 : 차동 스위칭 회로 Q5내지 Q8: 트랜지스터
Q23Q24Q27Q28: 트랜지스터(전력 스위칭 소자)
HG1HG2: 홀 소자 L10L20: 고정자코일
T1: 정전압
Figure kpo00002
단자 T2: 접지 단자
T3: 부의 전원단자 A10A20: 연산증폭기
R10R11R20R21: 저항
본 발명은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정자 코일의 전류 절환이 급준하게 되지 않도록 회전자 위치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한 경우에도 전력 스위칭 소자에 헛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고정자 코일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전력 스위칭 소자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a도, 제1b도는 각기 일반적인 직류무정류자 전동기의 개략 정면도 및 고정자 코일과 홀 소자와의 위치 관계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영구자석의 저면에 8극 착자된 회전자(1)는 그 축(2)이 베어링(3)에 축수되어 있다. 고정자 코일 L1내지 L4(5로 함)는 기판(4)상에서 회전자(1)의 착자면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코일 L1과 코일 L2(코일 L3와 코일L4)와는 예컨대 전기각으로
Figure kpo00003
라디안(N=0,1,2,…)의 위상차, 코일 L2과 코일 L3(코일 L4와 코일 L1)와는 예컨대 전기각으로
Figure kpo00004
라디안의 위상차를 갖는다. 홀소자 HG1, HG2는 예컨대 전기각으로
Figure kpo00005
의 위상차를 가지고 기판(4)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홀소자 HG1와 코일 L4의 중심과는 전기각으로 π라디안(180°)의 위상차를 갖는다. 동 B 도중, ( )내의 숫자는 전기각을 나타낸다.
제2도는 제1a도, 제1b도에 나타내는 구성을 가진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의 종래의 구동회로의 한 예인 회로도를 나타낸다. 동도에 있어소 홀소자 HG1, HG2에서는 회전자(1)의 회전수에 수반하여 그 전압단자 ①, ③, ②(④로 부터 제3a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홀 출력 전압θ1, θ3, θ2, θ4이 인출되어 각기 트랜지스터, Q5, Q7, Q6, Q8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 Q5, Q8는 차동 스위칭 회로를 구성하고 있어 홀 출력 전압 e1내지 e4의 전압에 응하여 일정기간
Figure kpo00006
도통된다. 코일 L1과 코일 L3와는 직렬로 접속되어서 코일 L10, 코일 L2와 코일 L4과는 직렬로 접속되어서 코일 L20으로 되고 예컨대 회전자의 회전각 θ(전기각이)
Figure kpo00007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상기 전압 e1내지 e4중에서 전압 e3의 치가 가장 낮으므로 트랜지스터 Q7, Q3, Q13가 도통하게 되어 코일 L10에 전류 I1가 부방향으로 흐르고, 마찬가지로
Figure kpo00008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트랜지스터 Q8, Q4, Q14가 도통하게 되어 코일 L20에 전류 I2가 부방향으로 흐르고,
Figure kpo00009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Q5, Q1, Q11이 도통하게 되어서 코일 L10에 전류 I1가 흐르며,
Figure kpo00010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트랜지스터 Q6, Q2, Q12가 도통하게 되어 코일 L20에 전류 I2가 흐른다.
이와같이 제2도에 나타내는 종래 회로는 코일 L10, L20에는 정방향 및 부방향으로 각각
Figure kpo00011
라디안씩 전류가 번갈아 흐르기 때문에, 전원단자 사이에 대략
Figure kpo00012
라디안씩 위상이 엇갈린 4상의 고정자 코일을 병렬로 접속하여 한 방향만으로 대략
Figure kpo00013
라디안의 유통각으로 전류를 흘리는 타입의 무정류자 직류 전등기에 비하여 코일의 이용율이 높고 콘 토오크를 발생하기 쉬우나, 대전류가 흐르는 전력 트랜지스터 Q1내지 Q4, Q11내지 Q14를 8개 필요로 하며, 회로가 대형화 되고 염가로 구성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홀소자 HG1, HG2의 출력의 크기에 의한 코일 전류의 절환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제3a도에 나타낸 홀 출력의 피이크, 피이크치가 예컨대 400mV와 같이 비교적 큰 경우는 차등 스위칭 회로의 트랜지스터 Q5내지 Q8의 스위칭 동작이 급준히 행하여져, 코일 전류는 동 제3b도, 제3c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급준히 절환된다. 여기서 이 전류 절환이 급준하며 코일이나 회전자가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등 불합리를 일으킨다. 예컨대 VTR의 회전 드럼 모우터에 사용한 경우에는 지터(Jitter)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홀 출력의 진폭을 너무 크게 하지 않는다. 그런데 홀소자 HG1, HG2에 인디움, 안티몬을 사용한 것을 정전류 구동에서 사용한 경우, 그 출력은 약 -2.5%/℃의 온도 계수를 가지므로 고온 분위기중에서는 그 출력의 피이크, 피이크치는 예컨대 180mV정도로 극단적으로 작어져 트랜지스터 Q5내지 Q8등으로 구성하고 있는 차동 스위칭 회로에 의한 스위칭이 급준하게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Q5내지 Q8에 흐르는 콜렉터 전류 ic5내지 ic8는 제4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특정한 회전각에 있어서 3개의 전류가 겹쳐서 흐른다. 예컨대 회전각 θ의
Figure kpo00014
라디안 일때에는 트랜지스터 Q7가 도통하여 콜렉터 전류 ic7가 흐르나 e2(또는 e4)-e3=60mV 및 e2=e4이라고 한다면,
Figure kpo00015
로 되고 트랜지스터 Q6, Q8에 각각 트랜지스터 Q7의 콜렉터 전류 ic7
Figure kpo00016
정도의 콜렉터전류 ic6, ic8가 흐른다. 이때 코일 L20의 역기 전력은 제로이므로 트랜지스터 Q2, Q4, Q12, Q14에는 대략 같은 에미터 전류 iE가 흐른다.
이와같이 이 종래 회로에서는 홀 출력의 진폭이 작은 경우, 특히 회전각 θ이
Figure kpo00017
라디안 부근에 있어서 전력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가 겹쳐서 흐르기 때문에 상기 전류 iE가 흘러, 이 전류 iE가 큰 경우에는 전원 전류가 크게 되고, 전동기의 전원 효율이 저하되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전력 트랜지스터 Q1내지 Q4, Q11내지 Q14가 파괴될 염려가 있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제거한 것이며 이하 도면으로 한 실시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으로 된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의 한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동도중, 홀소자 HG1, HG2및 고정자 코일 L10, L20의 각각의 부착 위치는 제1a도, 제1b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것이다. 트랜지스터 Q5, Q6, Q7, Q8는 각 에미터를 공통으로 접속하며 이 공통 에미터 단자와 전원 단자 T1사이에는 전류원 IS(10)가 접속되어 있고 전류원 IS의 진폭은 속도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Q5내지 Q8는 차동 스위칭 회로(11)를 구성하고 있어 기본적으로는 각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4개의 입력전압의 진폭이 충분히 큰 경우, 이 입력 전압중 가장 낮은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만이 도통되고 다른 3개의 트랜지스터는 비도통이 되도록 하는 스위칭 동작을 한다.
트랜지스터 Q5및 트랜지스터 Q7의 가가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 Q15, Q17, 저항 R15, R17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전류 밀러회로(6)에 접속되어 있다. 연산증폭기(이하 앰프라 함) A10
Figure kpo00018
단자(동상 입력 단자)는 트랜지스터 Q5, Q15의 콜렉터 및 저항 R10에 접속되어 있고 그
Figure kpo00019
단자(역상 입력단자는 고정자 코일 L10, 저항 R11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출력단자는 저항 R19, R22콘덴서 C10에서 이루어지는 위상 보상회로(7)에 접속되어 있다. 위상 보상회로(7)는 트랜지스터 Q21, Q22를 통하여 각기 전력 트랜지스터 Q23, Q2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트랜지스터 Q6및 트랜지스터 Q8의 각각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 Q16, Q18, 저항 R16, R18(저항 R15내지 R18은 대략 같은 저항치)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전류 밀러회로(8)에 접속되어 있다. 앰프 A20
Figure kpo00020
단자는 트랜지스터 Q6, Q16의 콜렉터 및 저항 R20(저항 R10과 대략같은 저항치)에 접속되어 있고, 그
Figure kpo00021
단자는 고정자 코일 L2 0, 저항 R21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출력은 저항 R25, R24, 콘덴서 C20에서 이루어지는 위상보상회로(9)에 접속되어 있다. 위상 보상 회로(9)는 트랜지스터 Q25, Q26를 통하여 각기 전력 트랜지스터 Q27, Q28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 트랜지스터 Q25, Q27의 미터 및 정전류 회로(10)는 정전원의
Figure kpo00022
단자 T1에 접속되어 있고, 저항 R10, R11, R20, R21, 위상 보상 회로(7), (9)는 접지 단자 T2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력 트랜지스터 Q24, Q28의 에미터 전류 밀러 회로(6), (8)는 부전원의
Figure kpo00023
단자 T3에 각기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저항 R30은 홀소자 HG1, HG2의 전압 단자의 직류 레벨을 고루 갖추기 위한 것이다. 동도에 있어서 홀소자 HG1, HG2의 전류 단자에 전류가 공급되어 고정자가 회전하고 있으면 그 전압 단자 ① 내지 ④로부터 제3(a)도에 나타내는 홀전압 e1내지 e4가 각각 인출된다. 이 홀전압 e1내지 e4의 피이크, 피이크치가 예컨대 400mV 정도로 충분히 큰 경우, 제5도의 차동 스위칭 회로(11)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Q5내지 Q8
Figure kpo00024
라디안의 유통각을 가지고 순차 어느 것인가의 트랜지스터가 도통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Figure kpo00025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전압 θ1이 가장 낮은 전압인 것이므로 트랜지스터 Q5가 도통하고 정전류 회로(10)의 전류를 IS라고 하면 저항 R10의 양 단자 사이에는 R10IS라는 전압을 발생한다. 이때 앰프 A10의 출력에는 정전압을 일으켜 이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Q21, Q23가 도통한다. 한편, 앰프 A10
Figure kpo00026
단자의 전위는 그
Figure kpo00027
단자의 전위와 같게 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저항 R11의 양 단자가 전압은 R10IS이며, 이것에 의하여, 코일 L10에는
Figure kpo00028
인 크기의 전류 I1가 흐른다.
Figure kpo00029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전압 e3가 가장 낮은 전압인 것이므로 트랜지스터 Q7가 도통하며 트랜지스터 Q7에 전류 IS가 흐른다. 이것에 의하여 전류 밀러 회로(6)는 동작 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 Q15, Q17의 콜렉터에는 대략 같은 전류 IS가 흘러 저항 R10의 양 단자간 전압은 -R10IS가 된다. 이때 앰프 A10의 출력에는 부전압을 발생하고,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 Q22, Q24가 도통한다. 한편, 저항 R11의 양 단자간 전압도 -R10IS가 되어 이에 의하여 코일 L10에는
Figure kpo00030
인 전류 I1가 흐른다.
동일하게 하여
Figure kpo00031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트랜지스터 Q6(Q25, Q27가 도통하며, 저항 R20, R21의 양 단자 사이에는 R20IS인 전압을 발생하여 코일 L20에는
Figure kpo00032
인 전류 IS가 흐른다(
Figure kpo00033
라디안의 기간에서는 트랜지스터 Q8, Q29, Q28가 도통하고, 전류 밀러 회로(8)가 동작상태가 되고 저항 R20, R21의 양 단자 사이에는 -R20IS인 전압을 발생하며 코일 L20에는
Figure kpo00034
인 전류 I2가 흐른다.
여기에 R11=R21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 I1및 전류 I2의 진폭은 같게 되고 제3b도, 제3c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게 된다.
다음에 홀 출력(상기 e1내지 e4)의 피이크, 피이크치 예컨대 120mV로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Q5내지 Q8의 콜렉터전류 ic4내지 ic8는 제4(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게 된다.
여기에 회전각 θ가 예컨대
Figure kpo00035
라디안에서는 상기 (1)식으로 부터 콜렉터 전류 ic7)최대치를 ip로 한다)가 흐르는 외에 트랜지스터 Q6, Q8에 콜렉터 전류 ic6, ic8이 공히
Figure kpo00036
씩 흐르고 있고 이때의 전류 IS는,
Figure kpo00037
가 된다. 이때 전류 밀러 회로(6)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Q15에는 트랜지스터 Q17과 같은 전류 ic7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저항 R10에 흐르는 전류 IR10는,
Figure kpo00038
이 된다. 이에 의해 저항 R10의 양 단자간 전압 V10은,
가 된다.
한편, 회전각 θ이
Figure kpo00040
라디안에 있어서 전류 밀러 회로(8)에서는 트랜지스터 Q16, Q18에는 각기 같은 전류 ic6, ci8가 흐르기 때문에 저항 R20에 흐르는 전류 IR20는,
IR20= ic6-ci8
가 된다. 이에 의하여 저항 R20의 양 단자간 전압 V20은,
V20=R20(ic6-ci8)
가 되고 ic6=i8인 고로
V20=0
가 된다. 따라서 앰프 A20의 출력은 0, 저항 R21의 양 단자간 전압은 0이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25내지 Q28는 오프가 되고 코일 L20에는 제4b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이밖의 회전각에 있어서도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가 있고 회전각 θ이 π라디안에 있어서는 V10=0로, 코일 L10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Figure kpo00041
라디안에 있어서는 V20이며, 코일 L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결국 제4b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Figure kpo00042
라디안에 있어서는 코일 L10(또는 코일 L20)에 최대 전류가 흐르고 있어, 코일 L20(또는 코일 L10)에는 전류는 흐르지 않고 결국 전력 트랜지스터 Q23, Q24, Q27, Q28중의 어느 것인가 트랜지스터의 유통각도 π 라디안 이상으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제4a도, 제4b도에 나타내는 전류파형 및 회전자 잣거의 착자 형상을 각기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류 절환시 주기적으로 생기는 토오크 불균일성을 저감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으로 된 직류 무정류자전동기는, 상기 2상의 고정자 권선 각각의 일단을 접지시키기 위한 저항(R11,R21)과 상기 2상의 고정자 권선의 각각의 타단을 분기하여 한쪽을 정전원(T1)에 다른 쪽을 부전원(T3)에 각각 접속시킨 전력 스위칭 소자(Q23, Q24, Q27, Q28)와, 상기 2상의 회전자 위치검출 수단 각각의 2개의 출력 단자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 신호로서
Figure kpo00043
라디안씩의 위상차를 가지고 스위칭하는 차동 스위칭 수단(6, 8)과 상기 전력 스위칭 소자와 상기 차동 스위칭 수단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차동 스위칭 수단에서의 출력신호중 π라디안의 위치상차를 갖는 2개의 출력 신호의 차에 의한 신호를 얻기 위한 차신호 출력 수단(A10, A20)을 최소한 구비함으로서, 상기 차신호 출력수단으로 부터의 신호에 의한 전류가 상기 각각의 고정자 권선에 흐르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특히 위치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작게한 경우 일방의 홀소자가 회전자의 N극 또는 S극과 대향하고 있고, 타방의 홀소자가 N극 또는 S극과의 중간에 있으면 일방의 고정자 코일에는 전류는 흐르나 타방의 고정자 코일에는 전류는 흐르지 않고 이 때문에 차동 스위칭 회로의 각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를 흐르는 전류의 유통각이 π 라디안 이상되어도, 각 고정자 권선을 흐르는 전의류 유통각은 정방향, 부방향 공히 π 라디안 이내가 되고 이에 의하여 이같은 회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전등기에 비하여 고정자 코일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회전자의 위치 검출회로의 출력을 작게 한 경우에는 전력 스위칭 소자에 헛된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이들이 파괴될 염려가 없고 또, 고정자 권선의 전류 절환이 원활히 되므로 진동이나 소음을 발생하는 일은 없고 더욱 스위칭 소자가 4개로 끝나므로 종래의 전동기에 비하여 소형으로 또한, 염가로 구성될 수 있다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Claims (1)

  1. 영구자석을 포함한 회전자(1)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각으로
    Figure kpo00044
    라디안이간하여 설치된 2개의 회전자 위치 검출수단(HG1, HG2)과, 전기각각으로
    Figure kpo00045
    라디안이간하여 설치된 2상의 고정자 코일(L10, L20)을 가지고,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Figure kpo00046
    라디안 씩의 위상차를 가진 4개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자 코일에 순간 전류를 절환 공급하여 구동하는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2상의 고정자 코일 각각의 일단을 접지시키기 위한 저항(R11, R21)과, 상기 2상의 고정자 코일의 각각의 타단을 분기하여 한쪽을 정전원(T1)에 다른쪽을 부전원(T3)에 각각 접속시킨 전력 스위칭 소자(Q23, Q24, Q27, Q28)와, 상기 2상의 회전자 위치 검출수단 각각의 2개의 출련단자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 신호로서
    Figure kpo00047
    라디안씩의 위상차를 가지고 스위칭하는 차동 스위칭하는 차동 수위칭 수단(6, 8)과, 상기 전력스위칭 소자와 상기 차동 스위칭 수단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차동스위칭 수단에서의 출력신호중 π 라디안의 위상차를 갖는 2개의 출력 신호의 차에 의한 신호를 얻기 위한 차신호 출력수단(A10, A20)을 최소한 구비함으로서 상기 차신호에 의한 전류가 상기 각각의 고정자 코일에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무정류자전동기.
KR1019830002481A 1982-06-04 1983-06-03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 KR870001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898 1982-06-04
JP57095898A JPS58212392A (ja) 1982-06-04 1982-06-04 直流無整流子電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87A KR840005287A (ko) 1984-11-05
KR870001558B1 true KR870001558B1 (ko) 1987-09-02

Family

ID=1415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481A KR870001558B1 (ko) 1982-06-04 1983-06-03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59520A (ko)
JP (1) JPS58212392A (ko)
KR (1) KR870001558B1 (ko)
DE (1) DE3320133A1 (ko)
GB (1) GB21232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51Y2 (ja) * 1983-02-14 1994-05-1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モ−タ−駆動回路
DE3421104A1 (de) * 1984-06-06 1985-12-1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nisch kommutierter gleichstrommotor
JPS611250A (ja) * 1984-06-13 1986-01-07 Fuji Photo Film Co Ltd ブラシレスモ−タ
EP0314787A4 (de) * 1987-03-24 1990-03-08 Radik Tynu A Zweiphasengleichrichtermotor.
JPH06104000B2 (ja) * 1989-08-12 1994-12-14 松下電工株式会社 充電式工具用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回路
KR960002564B1 (ko) * 1992-04-30 199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제어회로
US5610486A (en) * 1995-02-28 1997-03-11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Current mirror circuit used in a coil driver circuit of a brushless DC motor
CN101290524B (zh) * 2007-04-20 2011-07-27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风扇电路
US20090021201A1 (en) * 2007-07-18 2009-01-22 Ampson Technology, Inc. Constant-current and constant-voltage driving circuit of dcbl fan motor with low acoustic noise and controllable speed
GB2572350B (en) * 2018-03-27 2023-01-25 Hitachi Rail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4002A (en) * 1976-06-17 1977-12-21 Sony Corp Brushless dc motor
GB1596681A (en) * 1977-01-19 1981-08-26 Sony Corp Drive circuits with speed control for brushless dc motors
JPS5534809A (en) * 1978-09-01 1980-03-11 Ina Sankyo Kk Driving circuit for dc commutatorless motor
JPS5566262A (en) * 1978-11-13 1980-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CH658348A5 (de) * 1979-11-30 1986-10-31 Papst Motoren Kg Zweipulsiger kollektorloser gleichstrommotor.
DE3145248A1 (de) * 1980-06-19 1983-05-19 Papst Motoren Gmbh & Co Kg Kollektorloser gleichstrom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212392A (ja) 1983-12-10
DE3320133C2 (ko) 1989-10-12
US4459520A (en) 1984-07-10
KR840005287A (ko) 1984-11-05
GB2123227B (en) 1986-02-12
DE3320133A1 (de) 1983-12-08
GB8315437D0 (en) 1983-07-13
JPH0524759B2 (ko) 1993-04-08
GB2123227A (en) 198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0484B1 (en) Brushless d.c. motors
US3898544A (en) DC brushless motor
US3942083A (en) Brushless motor
KR890001476Y1 (ko) 무정류자 전동기
US4707645A (en) Single-phase brushless motor
JPS6158461A (ja) ニパルス式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
US4392094A (en) Brushless D-C motor
US4740734A (en) Control apparatus for brushless dc motors
KR870001558B1 (ko) 직류 무정류자 전동기
US3839661A (en) Commutatorless direct current motor
US4626751A (en) Direct-current motor without commutator
GB2049322A (en) Direct current motors
US4039911A (en) Dc motor controlled by hall generator
US4164691A (en) Multiphase brushless DC motor using two Hall-effect generators
US4511828A (en) D.C. commutatorless electric motor
US4472665A (en) Motor
EP0154863A2 (en) Apparatus for driving polyphase brushless motor
JPH0343866B2 (ko)
US20070201842A1 (en) Switched Dc Electrical Machine
JPS62126889A (ja) 三相ブラシレスモ−タの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ロ−タ
JP254579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
JPH01110085A (ja) モータ制御装置
JPH0347439Y2 (ko)
JPS6130517B2 (ko)
JPS636415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