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287B1 - 미분기 저어널베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미분기 저어널베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287B1
KR870001287B1 KR1019840002237A KR840002237A KR870001287B1 KR 870001287 B1 KR870001287 B1 KR 870001287B1 KR 1019840002237 A KR1019840002237 A KR 1019840002237A KR 840002237 A KR840002237 A KR 840002237A KR 870001287 B1 KR870001287 B1 KR 87000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urnal
bearing
shaft
journal shaf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594A (ko
Inventor
죠셉 파스코우스키 2세 프랭크
레오나드 스탄윅스 피터
Original Assignee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엘든 하몬 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엘든 하몬 루터 filed Critical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4Mills with pressed pendularly-mounted rollers, e.g. spring pres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04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or bal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분기 저어널베어링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어널 베어링 장치가 설치된 미분기 보울 밀의 부분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어널 베어링 장치의 제1실시예와 저어널 샤프트상에 설치된 미분기로울의 부분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어널 베어링 장치의 저어널 샤프트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어널 베어링 장치의 제2실시예와 저어널 샤프트상에 설치된 미분기로울의 부분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분용 보울밀 12 : 몸체
14 : 분쇄반 16 : 샤프트
18 : 구동수단 20 : 분쇄로울
22 : 샤프트 24 : 스프링 수단
26 : 탄 공급수단 28 : 도관
30 : 도관단부 32 : 출구
34 : 조분 분리기 36 : 공간
38 : 출구 40 : 피보트 핀
42 : 하우징 44 : 스프링
46 : 부재 48 : 직립부재
50,52 : 저어널 베어링 수단 54 : 저어널 샤프트
56 : 하부 저어널 하우징 58 : 상부 저어널 하우징
60 : 부분 62 : 하부 베어링
64 :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 66 : 고정수단
68 : 잠금너트 70 : 끼움쇠 세트
72 : 하부 베어링 간격 유지기 74 : 부분
76 : 저어널 베어링 간격 유지기 74 : 부분
80 : 상부 베어링 82 : 상부 베어링 유지기
84 : 죔쇠 86 : 오일 밀봉수단
88 : 공기 밀봉수단 90 : 오일 밀봉체
92 : 웨어링 94 : 오일 밀봉 유지기
96 : 스커트형 부재 98 : 저어널 헤드
100 : 고정수단 102 : 부분
104 : 끼움쇠 106 : 베어링 경간
108 : 하부 저어널 하우징 110 : 상부 저어널 하우징
112 : 이축조립체 114 : 제1부분
116 : 하부 베어링 118 :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
120 : 끼움쇠 세트 122 : 잠금판
124 : 고정수단 126 : 잠금너트
128 : 상부 베어링 130 : 부분
132 : 부분 134 : 베어링 간격 유지기
136 : 상부 베어링 유지기 138 : 고정수단
140 : 오일 밀봉수단 142 : 공기 밀봉수단
144 : 오일 밀봉체 146 : 밀봉 웨어링
148 : 오일 밀봉 유지기 150 : 부재
152 : 저어널 헤드 154 : 고정수단
156 : 단부 158 : 잠금너트
160 : 세트 스크류
본 발명은 분쇄 등 미분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울 밀의 실시예에 적합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어널 베어링 장치는 미분기, 즉 분쇄기나 로울이 설치되는 저어널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종래의 장치는 분쇄용, 즉 재료의 미분화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적합하다. 특히, 종래 기술은 다량의 각종 재료를 분쇄하는 데 효과적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구조적 특징의 많은 차이점이 본 발명의 장치와 개별적으로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점은 장치가 용도에 따라 설계된 개별적인 사용에 다양한 기능의 요구성에 대부분 있다. 예를들면,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의 특수한 용도에 사용할 각종 형태의 장치를 선택함에 있어서 재료의 성질은 장치에 의해 분쇄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탄은 그러한 재료로서 분쇄하여 특정 용도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그러한 용도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분쇄하는 것, 즉 탄을 미분하여 용도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탄은 이러한 특성을 갖는 풍부한 연료의 공급원으로서 인식되어 왔다. 전세기의 한 때에는 인류의 에너지의 필요량을 대부분 탄을 사용하여 보충하였다. 그런 연후에 탄은 점차 동력 발생원으로서 쇠퇴하였다. 그 이유는 연료 공급원으로서 오일 및 가스의 이용이 증가한 탓이다. 최근에는 오일 및 가스를 연소시켜 얻은 동력은 동일한 목적으로 핵 연료로 보충되고 있다. 그러나, 오일 가격의 폭등과 공급이 제한되고 매장량에 한계가 있는 이상 탄은 종래의 연료 공급원으로서 다시 각광을 받게 됨에 따라 지난 10년간 오일의 사용은 억제되어 왔다. 이는 최근의 지난 년도에서의 수요량에서 증명되며, 관심이 증가된 탄을 사용한 동력 발생 장치가 오일과 가스에 대해 대체되고 있다.
하기에서 설명할 목적에서, 상기와 관련된 탄 연소 장치는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작동 부품으로 구성된다. 즉, 탄 공급기, 탄 미분용 장치, 미분시킨 후 탄을 분배하는 장치, 탄을 연소시키는 로, 그리고 탄을 연료로 한 동력 발생 장치를 적절하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장치이다. 탄 연소 장치의 부품으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탄 미분용 장치이다. 탄 미분용 장치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이러한 장치는 지난 4반세기 동안 종래의 기술로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탄 미분용 장치의 작동상 구조와 모형을 많이 개선하여 현시점까지 사용되어 와t다.
탄 미분용 장치는 많은 장점인 특징이 있으며, 특히 탄을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장치에 유용하다. 그러한 특징은 신뢰성, 동력 손실이 적은 점, 최대 용량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점 등이다. 부언하면, 이러한 장치는 소음이 없고, 윤활 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탄의 흐름 및 미세도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고습탄에 필요한 고온에서 취급할 수 있는 장점 및 특징을 갖는다.
종래 기술에서 특별한 형태인 어떤 탄 미분용 장치는 보울밀로서 산업계에 널리 관련된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에서 특징 된다. 후자의 장치는 보울에 유사한 형태인 분쇄면에서 효과적으로 발생하는 탄을 분쇄하는 등의 미분화에 의하여 명명되어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1969년 9월 9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3,465,971호(제이, 에프, 달렌베르크외 다수)와 1977년 1월 11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002,299호(씨, 제이, 스칼카)로서, 양 특허는 출원 즉시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종래의 보울밀을 작동시키는 구조와 형태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으며 연료로서 연소될 탄을 효과적으로 미분하기 위한 탄을 연소하는 동력 발생 장치에 적합하다. 상기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보울밀은 본질적으로 회전식으로 설치된 분쇄반인 몸체부, 그 사이에 삽입된 탄을 분쇄하는데 효과적인 분쇄반과 함께 작동하는 다수의 분쇄 로울러, 분쇄된 탄을 보울밀의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탄 공급수단 및 보울밀의 작동에 필요한 공기를 보울밀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울밀의 작동 형태에 따라서 보울밀에 들어가는 탄은 분쇄 로울러와 분쇄반의 작동으로 분쇄된다. 미분된 후, 탄입자는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향하여 보울밀로 유입되는 공기류에 의해 이송된다. 미분탄을 포함하는 공기류는 편향 수단에 적절히 지지된 보울밀 내에 위치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형성된 굴곡 통로를 통하여 흐른다. 공기와 탄입자의 흐름이 상기 굴곡 통로를 따라 흐를 때, 공기류로부터 조대한 탄입자는 분리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날카롭게 되어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조대한 탄입자는 더 미분되기 위하여 분쇄반으로 되돌아가고, 반면 미세한 탄입자는 공기류에서 보울밀을 통하여 운반되고 공기류를 따라서 빠져 나오게 된다.
통상적인 탄연소 동력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특허에 기재된 형태의 다수의 보울밀은 미분탄을 위한 장치의 요구점을 충족시켜 줄 목적으로 보통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개개의 보울밀의 용량은 탄을 시간당 100톤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특허에 따른 구성된 보울밀이 현재까지 정확하게 실시된 실제의 작동 조건하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필요한 점이 개선되지 못했다. 특히, 상기 보울밀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사용중 발생하는 바라지 않는 특성의 여러 조건이 발생한다. 이중 한가지는 미분기 로울에 설치되는 저어널의 베어링 지지물에 효과적인 방법에 의한 수단과 관계되어 있다. 보울밀에 사용된 형태의 미분기 저어널 시스템은 대부분 한 두 가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성질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즉, 상부 베어링은 높은 방사상 응력을 받는다. 게다가 미분기 저어널 베어링 장치 내의 상부 베어링은 종종 작동 중에 당면되는 부하에 필요한 용량을 갖지 않고 있다. 부언하면, 오일 및 공기 밀봉의 양자는 불충분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따라서, 요약하면 필요한 것은 신규하고 개량한 수단으로서, 미분기 로울에 설계되어 배치된 저어널을 위한 베어링 지지를 달성할 목적으로 보울밀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울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구성된 신규하고 개량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베어링상의 방사상 하중이 감소된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베어링상의 스러스트 하중이 감소된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베어링의 용적이 감소된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일 밀봉의 설계가 개량된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밀봉의 설계가 개량된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하게 구성된 보울밀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용도를 개조하여 똑같이 양호한 한 벌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탄과 같은 재료를 미분하는데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형태의 보울밀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되는 저어널 베어링 장치가 제공된다. 주 저어널 베어링 장치의 기능은 미분기 로울 위에 설치된 저어널 샤프트를 위한 베어링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 저어널 베어링 장치는 제1저어널 하우징, 제1 베어링 수단, 제2저어널 하우징, 제2베어링 수단, 오일밀봉 웨어링 수단 및 공기 밀봉링 수단인 각각의 미분기 로울상에 배치된 저어널 샤프트를 둘러 싼다. 제1베어링 수단은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저어널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제1위치에 적합하게 위치한다. 저어널 샤프트에 대해 제1베어링 수단의 위치설정은 제1저어널 하우징에 의하여 주로 효과적이다. 제2베어링 수단은 제1베어링 수단에 대해 격리되어 적합하게 위치하며 또한 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저어널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제2위치에서도 마찬가지다. 저어절 샤프트에 대해 제2베어링 수단의 위치 설정은 제2저어널 하우징에 의하여 주로 효과적이다. 오일 밀봉, 웨어링 수단은 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저어널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제3위치에 적합하게 위치한다. 반면, 공기 밀봉 링 수단은 제1저어널 하우징과 협동하도록 적합하게 위치한다. 공기 밀봉 링 수단은 자체적으로 기압을 밀봉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이제 도면, 특히 제1도를 참조하면, 총칭 도면 부호(10)으로 표시한 미분용 보울밀이 도시되어 있다. 미분용 보울밀 그 자체의 작동의 구조와 형태에 있어서 여러가지 특성은 기술분야에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서 굳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제1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오히려 상기 저어널 베어링 수단과 협동하는 미분용 보울밀(10)의 부품의 작동상 구조와 형태의 특성을 본원에서는 단순히 기술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저어널 베어링 수단을 사용하는 미분용 보울밀(10)을 이해하는 데에는 충분할 것이다. 본원에서는 깊숙하게 파헤치지는 않지만 미분용 보울밀(10)의 부품이 작동하는 구조와 형태의 특성을 더 상세히 알고자 하면 1969년 9월 9일지 미합중국 특허 제3,465,971호(제이, 에프, 달렌베르크외 다수)와 1977년 1월 11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002,299호(시, 제이, 스칼라)등과 같은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된다.
제1도에서 미분용 보울밀(10)은 거의 밀폐된 격리판 몸체(12)를 포함한다. 분쇄반(14)은 샤프트(16)상에 설치되어 기어구동체와 같은 적합한 구동수단(18)에 교대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몸체(12)내에 배열된 상기 부품과 함께 분쇄반(14)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미분용 보울밀(10)의 설명에 이어서 통상적인 실시에서는 3개가 적당한 다수의 분쇄로울(20)은 격리판 몸체(12)의 내측에서 적합하게 지지되어 격리판 몸체(12)의 외주를 따라 각각 등거리로 배치된다. 도면을 명확히 유지하기 위하여 제1도에서는 분쇄용 로울(20)을 하나만 도시하였다. 분쇄로울(20)에 대하여 좀더 설명하면 충분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쇄로울(20)의 각각은 본 발명의 주체를 이루고 또한 정해진 순간 사용의 주제를 포함하는 저어널 베어링 수단상에 적합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면 분쇄로울(20)의 각각은 제3도에서 도면 부호(22)로 총칭한 샤프트상에 지지된다. 또한, 각각의 샤프트(22)는 편위수단의 어떤 형태와 교대로 결합된다. 예시상으로 편위수단은 제1도의 스프링 수단(24)의 형태를 취하거나 유압수단(비도시)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스프링 수단(24)을 취하거나 유압수단(비도시)을 취하던 간에 편위수단은 샤프트를 재촉하기 위한 작동으로서, 분쇄로울 (20)은 분쇄반(14)의 표면을 향하여 합동으로 결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편위수단은 어떤 형태의 조정수단으로서 재료가 미분되는 분쇄반(14)의 표면과 분쇄로울(20) 사이에 나타나는 공간에서 형성되는 조정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작동된다.
보울밀(10)에서 미분될 탄 등의 재료는 적합한 통상적인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어떤 하나의 이송수단은 벨트 이송수단(비도시)의 형태로서, 이송수단(비도시)으로부터 방출됨에 따라 탄은 적합한 격리판 몸체(12) 내의 탄 공급수단(26)에 의하여 보울밀(10)에 유입된다.
제1도에 도시한 미분용 보울밀(10)의 실시예에 따라 탄 공급수단(26)은 하나의 단부를 갖는 적합한 칫수인 도관(28)을 포함하여 격리판 몸체(12)의 외부로 연장되어 깔때기 모양의 부재(비도시)에서 적합하게 종료된다. 깔때기 모양의 부재(비도시)는 탄입자가 보울밀(10)내로 들어가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형태가 적합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탄입자는 도관(28)내로 유도된다. 탄공급 수단(26)의 도관(28)의 반대단부(30)는 분쇄반(14)의 표면상으로 탄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단부(30)는 통상적인 지지수단(비도시)의 어떠한 적합한 형태로 사용되는 격리한 몸체(12)내에 적합하게 지지되어 도관단부 (30)가 회전하는 분쇄반(14)을 지지하는 샤프트(16)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조분 분리기(34)에 형성된 적합한 출구(32)와 관련하여 격리되어 위치하며, 그 사이를 통하여 탄은 분쇄반( 14)의 표면상의 진행로로 흐른다.
제1도에 도시한 미분용 보울밀의 작동 형태에 따라서 공기 같은 가스는 미분용 보울밀(10)로 방출하기 위하여 격리판 몸체(12)의 내부를 통하여 분쇄반(14)으로부터 탄을 이송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그러한 공기는 이러한 목적으로 형성된 적합한 통로를 통하여 격리판 몸체(12)로 들어간다. 격리판 몸체(12)의 상기 통로로부터 공기는 분쇄반(14)의 하단으로부터 표면 상부로 둘러싸는 상태로 흐른다. 특히, 공기는 격리판 몸체(12)의 내벽면과 분쇄반(14)의 원주 사이에 이러한 목적으로 형성된 공간(36)을 통하여 흐른다. 환상공간(36)으로부터 나오는 공기는 전향수단(37)에 의하여 분쇄반( 14)상에서 편류한다. 제1도의 보울밀(10)에서 이러한 목적용으로서 적합한 전향수단( 37)의 한 형태는 본 발명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1980년 11월 18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234,132호(티, 브이, 말리스제스키, 제이 알.)의 주제로 되어 있다.
공기가 상기 통로를 따라 흐르는 사이, 분쇄반(14)의 표면에 쌓인 탄은 분쇄로울 (20)의 작용으로 미분된다. 탄이 미분화 됨에 따라, 입자는 분쇄반(14)의 중심에서 떨어진 원심력에 의하여 외부로 이동한다. 분쇄반(14)의 원주에 의해 정해진 영역에 이르면, 탄입자는 환상공간(36)으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실려 함께 이송된다.
공기와 탄입자가 배합된 흐름은 전향수단(37)에 의해 포집되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다. 이러한 효과로서 공기와 탄입자가 배합된 흐름은 분쇄반(14) 상에서 전향된다. 이러한 방향 전환의 효과로 무거운 입자는 공기로부터 이탈하려는 관성이 더 크기 때문에 분쇄반(14)의 표면에 다시 떨어지고 재차 미분과정을 거치게 된다. 반면에 좀 가벼운 입자는 관성이 적으므로 공기류를 따라 계속 이송된다.
공기와 탄입자가 배합된 흐름은 상기와 같은 전향수단(37)을 거친 후 조분 분리기(34)로 들어간다. 조분 분리기(34)는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공기류 내의 탄입자를 분류한다. 즉, 소기의 입도로 분쇄된 탄입자는 조분 분리기(34)를 통하면서 공기는 출구(38)를 통하여 보울밀(10)로부터 배출된다.
반면, 보다 큰 탄입자는 분쇄반(14)의 표면에 복귀되어 재차 미분된다. 그런 후 재미분 된 탄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통로를 재차 거치게 된다. 즉, 분쇄반(14)의 외부로 이동되는 탄입자는 공기류를 따라 전향수단(37)의 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전향수단(3 7)에 의해 분쇄반(14)에 재차 전향되면서 무거운 입자는 분쇄반(14)에 다시 떨어질 것이고 가벼운 입자는 조분 분리기(34)로 이송되는데, 적정 입도의 입자는 조분 분리기(3 4)를 통과하여 보울밀(10)로부터 출구(38)를 통하여 배출된다.
미분화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반(14)의 상부 표면에 쌓인 탄은 분쇄로울(20)의 작동을 받는데, 그 힘은 탄이 분쇄되는 정도에 따라 변화된다. 예를들면, 이러한 점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탄의 특성이다. 즉, 탄을 미분하는데 필요한 힘은 분쇄할 탄이 분쇄되는 정도, 탄의 분쇄 특성에 따른다. 탄을 소기의 입도로 분쇄하기 위한 분쇄로울(20)의 힘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또다른 중요한 요인은 분쇄반(14)에 쌓인 탄의 깊이로서, 보울밀(10)이 작동하는 생산 속도와 함수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다.
제1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분쇄반(14)에 쌓인 탄에 가하는 분쇄로울(20)의 분쇄력은 분쇄반(14)에 쌓인 탄에 맞물리는 분쇄 로울(20)의 힘의 함수이다. 제1도에 도시된 구조물의 특성으로 보아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식으로 설치된 분쇄로울(20)은 분쇄반(14)에 쌓인 탄과 결합되고 결합되지 않으며 피보트핀(4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적합하게 지지된다. 하나의 분쇄로울(20)이 도시되어 있고 또한 하나의 분쇄로울(20)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는 보울밀(1 0)에는 3개의 분쇄로울(20)이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에 대한 설명은 다른 분쇄로울( 20)에 대해서도 같다.
제1도에 도시한 구성체의 특성에 따라 분쇄로울(20)에 의해 발생한 힘에 대하여 계속 설명하면, 분쇄로울(20)은 분쇄반(14)에 쌓인 탄을 결합되게 하고 결합되지 않게 하는 스프링 힘에 의해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목적으로 스프링 수단(24)은 분쇄로울(20)과 합동으로 결합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단(24)은 격리판 몸체(12)의 내벽면에 적합하게 설치된 하우징(42)을 포함한다. 하우징(42) 내에는 스프링(44)이 팽창 및 수축하도록 적합하게 지지된다. 스프링(44)과 합동으로 작용하는 부재(46)는 하우징(42)의 외부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갖는다. 부재(46)는 분쇄로울(2 0)을 지지하는 수단의 부분을 포함하는 직립부재(48)에 연결된다. 스프링 편각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공지된 사항인 스프링(40)은 부재(46)를 통하여 직립부재(48)에 스프링 편위력을 발한다.
따라서, 부재(46)와 직립부재(48)의 접속은 스프링(44)에 의한 힘의 함수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재(46)가 스프링(44)에 의해 직립부재(48)에 접속되어 편위되는 범위를 분쇄로울(20)이 분쇄반(14)에 쌓인 탄에 결합되어 편위되는 범위로 측정하며 동시에 분쇄력이 분쇄로울(20)에 의하여 탄에 가해진다.
실시예로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46)가 스프링(44)에 의해 직립부재 (48)에 접속되어 편위 될수록 부재(46)는 피보트핀(4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분쇄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분쇄반(14)에 쌓인 탄에 가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부재(46)가 직립부재(48)에 접속되어 편위가 적어질수록 부재(46)는 피보트핀 (4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감소되어 분쇄반(14)에 쌓인 탄에 가해지는 분쇄로울(20)의 분쇄력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미분용 보울밀(10)은 신규하고 개량된 저어널 베어링 수단 (50)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최신 모형의 실시예에 따라서 보울밀(10)에 설치된 3개의 분쇄로울(20) 각각을 신규하고 개량된 저어널 베어링 수단과 협동적으로 관련한다. 3개의 저어널 베어링 각각은 작동상 구성과 형태가 같고, 제1도에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3개의 저어널 베어링 중에서 하나만 도시하였다.
이제 제2도 내지 4도를 참조하면서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의 구성상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제2도의 도면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된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의 제1실시예이고, 제4도의 도면은 저어널 베어링 수단(53)의 제2실시예이다.
먼저 제1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의 작동상 그 구성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은 분쇄로울(20)과 합동으로 작용한다. 방법을 달리하면, 분쇄로울 (20)은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에 합동으로 작용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은 저어널 샤프트(22)를 갖는다. 저어널 샤프트(22)에 부언하여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은 저어널 샤프트(22)를 둘러싸서 설치된 하부 저어널 하우징(56)과 저어널 샤프트(22)를 둘러싸서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을 포함한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저어널 하우징(56)과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은 상당한 두께로 되어 있다. 특히, 이렇게 부가된 두께에 의하여 하부 저어널 하우징(56)과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의 강도 및 강성이 증가된다.
제2도에 도시한 구성체와 같은 구성인 저어널 샤프트(22)는 한쪽 단부에 형성된 직경이 감소된 부분(60)을 갖는다.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60)과 협동하는 것은 하부 베어링(62)이다. 도면을 살펴 보면, 하부 베어링(62)은 경사진 로울러 베어링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 베어링(62)은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64)에 의하여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60)에 관련하여 설치되어 적합하게 유지된다.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 (64)는 나삿니가 난 죔쇠와 같은 적합한 고정수단(66)을 사용하여 저어널 샤프트(22)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분쇄로울(20)은 하부 저어널 하우징(56)을 둘러싸는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분쇄로울(20)은 한쪽 단부가 나삿니가 나 있으며 분쇄로울을 잠금너트(68)로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부재가 저어널 샤프트(22)의 길이를 따라 산재판 위치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부재는 주로 간격 유지기의 기능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점에서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 끼움쇠 세트(70)가 있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쇄 세트(70)는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60)의 단부변과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64) 사이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하부 베어링 간격 유지기(72)는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60)을 둘러싸는 관계로 위치하며 경사진 로울러와 저어널 샤프트(22)의 견각부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견각부는 실제로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4)을 갖는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60)을 교차 함으로써 형성되는데, 부분(74)은 부분(60)보다 직경이 더 크다.
또다른 간격 유지기 부재가 저어널 샤프트(22)를 둘러싸는 관계로 적합하게 위치하는데, 이것은 저어널 베어링 간격 유지기(76)이다. 간격 유지기(76)는 부분(74)을 둘러싸도록 저어널 샤프트(22)와 관련하여 적합하게 위치한다. 즉, 간격 유지기 (76)는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4,78)의 연결점에서 형성된 둥그런 견각부로부터 간격 유지기(76)가 하부 베어링 간격 유지기(72)에 대해 병렬로 위치하는 지점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적합한 칫수로 되어 있다. 간격 유지기(76)의 한쪽 단부는 하부 베어링 (62)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2도에 도시한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은 또한 상부 베어링(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부 베어링(80)은 경사진 로울러 베어링의 형태인 각각의 베어링을 갖는 이중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상부 베어링(80)은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8)을 둘러싸는 관계로 위치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위치한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8)은 그의 단면을 절취하여 보면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8)의 잔부에 비해 직경이 감소되어 있다.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8)이 감소된 점과 관련하여 상부 베어링(80)은 둘러싸는 관계로 위치된다.
상부 베어링(80)은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의 구멍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면과 상부 베어링 유지기(80)사이에서 연속 맞물림에 따라 저어널 샤프트(22)에 관련하여 적소에서 유지된다. 특히 상부 베어링 유지기(8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하여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이 하부 저어널 하우징(56)과 만나는 곳에서 저어널 샤프트(22)의 길이를 따라 한 지점에서의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4)을 둘러싼다.
제2도에서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은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하부 저어널 하우징(56)에 결합된다. 특히 하부 및 상부 저어널 하우징의 결합부는 각각 나삿니가 난 죔쇠(84)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제2도에 도시한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의 서로 다른 두가지 특징을 설명한다. 첫 번째는 오일 밀봉수단(86)이고, 두 번째는 공기 밀봉 수단(88)이다. 오일 밀봉 수단 (86)은 직경이 큰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78)과 하부 저어널 하우징(56)에 부착되지 않은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의 단부 사이에서 삽입 식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지지된다. 특히, 오일 밀봉 수단(86)은 웨어링(92)에 적합하게 얹힌 다수의 오일 밀봉체로 구성되는 오일 밀봉체(90)를 포함하고, 그의 표면은 크롬과 같은 적합한 물질로 도금되어 있다. 또한, 오일 밀봉 수단(86)은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의 단부면에 통상적인 나삿니가 난 죔쇠(비도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적절히 고정되는 오일 밀봉 유지기(94)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공기 밀봉 수단(88)을 설명하면, 공기 밀봉 수단(88)은 스커트형 부재 (96)를 포함하고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의 단부를 둘러싸는 관계로 연장되도록 한 칫수이며, 하부 저어널 하우징(56)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특히 스커트형 부재(96)는 저어널 헤드(98)의 단부면에 연속으로 적합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에 관계하여 적합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점에서, 스커트형 부재(96)는 나삿니가 난 죔쇠와 같은 고정수단(100)을 사용하여 저어널 헤드(98)에 적합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실은 저어널 헤드(98)는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102)의 원주에 효과적이 되도록 적합하게 교대로 위치한다. 또한, 제2도에서 저어널 베어링 수단 (50)의 도시된 구조적 형태에 따라 저어널 샤프트(22)의 부분(102)은 외부면이 적당히 경사지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제2도에 도시한 도면에 따른 구성의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은 여러 모로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목적으로 우선 상부 베어링(80)은 방사상 하중이 감소될만큼 위치하게 한다. 즉, 상부 베어링(80)은 저어널 샤프트(22)에 대하여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하중이 베어링 경간(106) 내에서 작용한다. 다음으로는 상부 베어링(80)이 내부에서 사라질 스러스트 하중이 유도된 어떤 베어링의 이중열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이중 베어링을 포함하는 상부 베어링(80)을 사용함으로써 상부 베어링 위치에서 베어링의 수용량은 두배로 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의 다른 특징은 오일 밀봉 수단(86)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일 밀봉 수단(86)은 경화된 밀봉웨어링(92)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일 밀봉체 (90)는 저어널 샤프트(22)에서 그루브를 마모시키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오일 밀봉 유지기( 94)를 적합하게 사용한다. 오일 밀봉 유지기(94)를 사용함으로써 오일 밀봉체 (90)는 작동하는 동안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의 다른 특징은 공기 밀봉 수단(88)이다. 공기 밀봉 수단 (88)은 경사진 형태의 실시예로서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의 외부면에 대해 조정할 수 있다. 공기 밀봉 수단(88)을 조정할 수 있음으로 해서 밀봉 공기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조정은 스커트형 부재(96)와 저어널 헤드(98) 사이에 적합한 크기의 끼움쇠(1 04)를 설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된다. 끼움쇠(104)는 나삿니가 난 죔쇠(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삽입되는데, 끼움쇠(104)를 설치하고 이어서 나삿니가 난 죔쇠(100)는 저어널 헤드(98)에 나사 결합하여 복귀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은 상기 열거한 장점적인 특징을 구체화 하여 다수의 이 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베어링이 유지되는 용적이 증가함에 따라 부수적으로 베어링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여 베어링의 수명이 증가한다. 특히, 베어링의 수명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재료의 원가 및 감가 삼각비가 감소된다. 부언하면, 베어링에 가해지는 하중의 감소와 베어링이 유지되는 용적의 증가는 베어링의 신뢰성을 보장 받게 된다. 신뢰성에 관하여 언급하면, 제2도에 도시한 오일 밀봉 수단(86)과 공기 밀봉 수단(88)의 도면에 따라 구성된 오일 밀봉 수단(86)과 공기 밀봉 수단(88)을 사용하면 오염 가능성이 감소되어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을 사용하여 파생되는 다른 이 점은 저어널 베어링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제2도에 도시한 도면에 따라 구성된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은 특히 용도를 개장하여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이제 제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저어널 베어링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특히 제4도에 도시한 저어널 베어링(52)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은 협동하여 작용하는 분쇄로울(20)을 갖는다. 분쇄로울(20)이 저어널 베어링 수단(52)과 협동하여 작용하는 방법을 이제 설명한다.
제4도의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은 저어널 샤프트(54), 하부 저어널 하우징(10 8), 상부 저어널 하우징(110), 저어널 헤드 및 이축 조립체(112)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들은 모두 서로 둘러싸는 관계로 위치하도록 저어널 샤프트(54)에 대하여 배치되어 적합하게 지지된다. 제4도에 양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저어널 하우징(108 ,110)은 상당한 두께로서 서로 형성된다. 특히, 두께가 증가되어 하부 및 상부 저어널 하우징(108,110)의 강도 및 강성이 향상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저어널 샤프트(54)는 한쪽 단부에 형성된 두께가 감소된 제1부분(114)을 갖는다. 저어널 샤프트(54)의 부분(114)은 협동하는 하부 베어링(116)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 베어링(116)은 경사진 로울러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한다.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118)는 하부 베어링 (116)을 저어널 샤프트(54)의 감소된 부분(114)에 대하여 설치하여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 끼움쇠 세트(1 20)는 저어널 샤프트(54)의 부분(114)의 단부면과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 (118)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저어널 캡 스크류 잠금판(122)은 도면에는 하나만 도시 했지만 나삿니가 난 죔쇠와 같은 통상적인 형태의 고정수단(124)에 의하여 저어널 베어링 유지기(118)에 대하여 병렬로 고정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로울(2 0)은 하부 저어널 하우징(108)에 대하여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분쇄로울(20)을 하부 저어널 하우징(108)에 고정시키는 상태로 설치하기 위하여 분쇄로울 잠금너트( 126)를 적합하게 사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하부 저어널 하우징 (108)은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분쇄로울 잠금너트(126)에 나삿니를 형성시킬 목적으로 한쪽 단부는 적합하게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시 수단은 또한 상부 베어링(12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부 베어링 (128)은 각각 경사진 로울러 스러스트 베어링을 갖는 이중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상부 베어링(128)은 저어널 샤프트(54)의 부분(130)에 대해 둘러싸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적합하게 설정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각부는 저어널 샤프트(54)의 직경이 감소된 부분(130)과 저어널 샤프트(54)의 부분(132)사이에 형성된다. 베어링 간격 유지기(134)는 상기 견각부에 대해 병렬로 적합하게 삽입된다. 또한, 베어링 간격 유지기( 134)는 상기 견각부에 대해 상부 베어링(128)을 적합하게 간격을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인 기능을 한다.
상부 베어링(128)은 상부 저어널 하우징(110)의 구멍에 의하여 정해진 내부면과 상부 베어링 유지기(136)사이에 연속 포집됨에 따라 저어널 샤프트(54)에 대해 소기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 유지기(136)는 저어널 샤프트(54)의 부분(130)에 대해 둘러싸며 또한 베어링 간격 유지기(134)에 대하여 격리된 위치에 놓인다. 제4도에 의하면, 상부 베어링 유지기(136)는 나삿니가 난 죔쇠(138)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부 저어널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상부 저어널 하우징(110)과 하부 저어널 하우징(108)은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한다. 특히, 상부 및 하부 저어널 하우징(110,108)의 결합부는 본 발명에 따라서 나삿니가 난 죔쇠를 사용하는데, 도면 부호(140)인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
제4도를 자세히 설명하면, 저어널 헤드와 이축 조립체(112)는 적합하게 위치하여 저어널 샤프트(54)의 잔부 부분을 둘러싸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한 저어널 샤프트(54)의 잔부 부분을 상당히 경사진 외부면을 갖도록 되어 있다. 끝으로 저어널 샤프트 (54)의 다른 단부(156)는 적합하게 나삿니가 나 있어 잠금 너트(158)과 세트스크류( 160)의 나사 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제4도의 저어널 베어링 수단(50)은 여러 장점을 지닌다. 우선, 상부 베어링(128 )은 가해진 하중이 감소되는 위치로 설정되는 점이 장점이다. 즉, 상부 베어링(128)은 저어널 샤프트(54)에 대하여 위치하여 이에 따른 하중은 상부 베어링 (128)의 베어링 견간 내에서 작용한다. 다음으로, 상부 베어링(128)은 이중렬의 베어링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해진 하중은 내부적으로 사라진다. 또한, 상부 베어링 위치에서 베어링 (128)의 용적은 상부 베어링(128)이 이중 베어링이라는 사실로 인하여 이중으로 되어 있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의 또다른 특징은 오일 밀봉 수단(140)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 밀봉 수단(140)은 경화된 밀봉 웨어링(146)을 포함한다. 따라서, 오일 밀봉체(144)는 저어널 샤프트(54)에서 그루브를 마모시키지 않는다. 부언하면, 밀봉 웨어링(146)은 그루브로 되면 저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 밀봉체(144)는 상부 저어널 하우징(110)내에서 작동하는 동안 적합하게 설치된 오일 밀봉체(144)를 유지하는 기능인 오일 밀봉 유지기(148)를 사용하여 치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은 공기 밀봉 수단(142)을 사용하는 점에서도 특징이 된다. 공기 밀봉 수단(142)은 경사진 구성으로서 상부 저어널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대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밀봉 수단(142)을 조정하여 밀봉된 공기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공기 밀봉 수단(142)을 조정하는 것은 적합한 크기의 끼움쇠를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끼움쇠는 도면의 간결함을 가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부재(150)와 저어널 헤드 및 이축 조립체(112)의 저어널 헤드(152)의 단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끼움쇠(비도시)의 삽입은 나삿니가 난 죔쇠(154)를 이동시켜 행해지고, 끼움쇠의 고정 및 이의 결과로 새로 나삿니가 난 죔쇠(154)는 저어널 헤드(152)에 나사 결합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은 상기 열거한 특징을 구체화 하여 많은 이점을 얻는다. 즉, 베어링에 가해지는 하중의 감소는 동시에 베어링이 수용되는 용적을 증가시켜 베어링의 수명이 연장 된다. 또한, 베어링의 수명이 연장되어 제반 유지비 및 재료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아울러, 베어링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어 베어링이 차지하는 용적이 증가되므로 베어링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신뢰성이란 점에 대해서 살펴보면, 제4도에 도시한 오일 밀봉 수단(140) 및 공기 밀봉 수단(142)의 도면을 따라 구성된 오일 밀봉수단 및 공기 밀봉 수단을 사용하면 오일 밀봉 수단(140) 및 공기 밀봉 수단(142)이 오염된 가능성을 감소시키므로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의 신뢰성이 증가한다.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은 값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다. 결론적으로 제4도의 도면에 따라 구성된 저어널 베어링 수단(52)은 새로운 용도로 특히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울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신규하고 개량된 저어널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는 상부 베어링에 가해지는 방사상 하중이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따라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는 하부 베어링에 가해지는 스러스트 하중이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는 상부 베어링의 용적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 따라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는 개량된 오일 밀봉 및 공기 밀봉을 설계상 포함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라 보울밀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 장치는 신규하게 구성된 보울밀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용도를 개장하여 똑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두가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 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정신과 범주 내에서는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6)

  1. 보울밀(10)에서 분쇄로울(20)에 베어링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는 저어널 베어링 장치(50)에 있어서,
    (가) 제1직경을 갖는 제1부분(60), 제2직경을 갖는 제2부분(74), 제3직경을 갖는 제3부분(78) 및 제4직경을 갖는 제4부분(102)의 직경이 서로 다른 부분(60,74,78 ,102)을 갖는 저어널 샤프트(22)와,
    (나) 저어널 샤프트(22)에 제1베어링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으로서, 저어널 샤프트(22)의 제1부분(60)에 둘러싸는 관계로 지지된 하부 베어링(60)과,
    (다) 저어널 샤프트(22)에 지지된 관계로 하부 베어링(62)을 유지하기 위해 작동하며, 또한 저어널 샤프트(22)에 장착된 관계로 분쇄로울(20)을 수용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으로서, 저어널 샤프트(22)의 제2부분(74)에 둘러싸는 관계로 지지된 하부 저어널 하우징(56)과,
    (라) 저어널 샤프트(22)에 제2베어링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며, 저어널 샤프트(22)의 제3부분(78)에 둘러싸는 관계로 지지된 것으로서, 저어널 샤프트(22)상에서 작용하는 합성력이 당해 상부 베어링(80)과 하부 베어링(62)에 의해 한정된 베어링 간격 내에서 작용하도록 하부 베어링(62)으로부터 저어널 샤프트(22)의 길이를 따라 예정된 거리로 이격된 상부 베어링(80)과,
    (마) 저어널 샤프트(22)에 오일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으로서, 저어널 샤프트(22)에 둘러싸는 관계로 지지된 오일 밀봉 웨어링 수단(86)과,
    () 상부 베어링(80)과 오일 밀봉 웨어링 수단(86)을 저어널 샤프트(22)상에 지지된 관계로 유지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것으로서, 저어널 샤프트(22)의 제3부분(78 )에 둘러싸는 관계로 지지된 상부 저어널 하우징(58)과,
    (사) 저어널 샤프트(22)의 제4부분(102)에 둘러싸는 관계로 지지된 저어널 헤드( 98)와, 그리고
    (아) 밀봉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으로서, 상부 저어널 하우징(58)의 외면에 결합되는 관계로 배치되도록 저어널 헤드(98)에 지지된 공기 밀봉링 수단(8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저어널 베어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베어링(62)은 경사진 로울러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저어널 베어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 베어링(80)은 한쌍의 경사진 로울러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저어널 베어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오일 밀봉 웨어링 수단(86)은 저어널 샤프트(22)를 둘러싸는 밀봉 웨어링(92)과, 상기 웨어링(92)에 결합되는 관계로 배치되도록 지지된 복수개의 오일 밀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저어널 베어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 밀봉링 수단(88)은 경사진 면을 갖는 부재(96)를 포함하는데, 상기 부재(9 6)는 저어널 헤드(98)에 고정되어 부재(96)의 상기 경사진 면이 상부 저어널 하우징( 58)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저어널 베어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기 밀봉링 수단(88)은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저어널 베어링 장치.
KR1019840002237A 1983-04-27 1984-04-26 미분기 저어널베어링 장치 KR870001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9279 1983-04-27
US06/489,279 US4538768A (en) 1983-04-27 1983-04-27 Pulverizer journal bea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594A KR840008594A (ko) 1984-12-17
KR870001287B1 true KR870001287B1 (ko) 1987-07-11

Family

ID=2394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237A KR870001287B1 (ko) 1983-04-27 1984-04-26 미분기 저어널베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38768A (ko)
EP (1) EP0126279B1 (ko)
JP (1) JPS59206055A (ko)
KR (1) KR870001287B1 (ko)
AU (1) AU567342B2 (ko)
CA (1) CA1227239A (ko)
DE (1) DE3476104D1 (ko)
ES (1) ES8503521A1 (ko)
IN (1) IN159913B (ko)
MX (1) MX1607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509A (en) * 1985-08-15 1988-07-26 Combustion Engineering, Inc. Supermill journal spring system
JPS62274954A (ja) * 1986-05-23 1987-11-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蓄積通信装置
JPS6325149U (ko) * 1986-07-31 1988-02-19
US4969895A (en) * 1989-01-23 1990-11-13 Richards Medical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ension on a ligament graft
US5538192A (en) * 1994-08-16 1996-07-23 Parham; Robert L. Plunger can and spring compressor
JP2883046B2 (ja) * 1996-08-06 1999-04-19 株式会社共立合金製作所 霧化ノズル
US20060118673A1 (en) * 2004-11-22 2006-06-08 Wark Rickey 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ed coal mill journals
CN100408190C (zh) * 2005-12-22 2008-08-06 上海重型机器厂有限公司 碗式中速磨煤机
US8087172B2 (en) * 2008-09-26 2012-01-03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life journal assembly
US8491196B2 (en) * 2008-11-11 2013-07-23 Babcock Power Services, Inc. Bearing upgrade and kit
WO2012001701A2 (en) * 2010-06-28 2012-01-05 Abhay Vishwas Ranade Novel external flushing and lubrication of top/upper bearing of gear box of coal mill & improved filtration of oil
FR2979838B1 (fr) * 2011-09-09 2016-01-15 Cie Engrenages Et Reducteurs Messian Durand Entrainement de broyeur vertical a plusieurs entrainements principaux
CN103521307B (zh) * 2013-10-25 2016-04-27 湖南中宏重型机器有限公司 立式环磨机组合式锤轮
EP2999542B1 (de) * 2014-10-31 2017-08-09 Loesche GmbH Mahlwalze
US10799874B2 (en) * 2015-05-27 2020-10-13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Modified journal assembly for pulverizer
US10448583B2 (en) * 2015-10-05 2019-10-22 Deere & Company Disc saw felling head for a feller buncher
US10668476B2 (en) * 2016-08-03 2020-06-02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Enclosures for vertical pulverizer systems
CN108786988A (zh) * 2018-08-17 2018-11-13 刘守峰 一种农业立式高效榨油机
JP6828113B1 (ja) * 2019-09-30 2021-02-10 三菱パワー株式会社 余寿命推定システム及び固体燃料粉砕装置、並びに余寿命推定方法、並びに余寿命推定プログラム
CN115155741A (zh) * 2022-06-15 2022-10-11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营口电厂 一种中速磨煤机陶瓷金属复合磨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4579A (en) * 1962-05-28 1963-12-17 Chicago Rawhide Mfg Co Hub cap plug valve and assembly
US3169809A (en) * 1963-01-07 1965-02-16 Alfred H Pendleton Wheel bearing seal
US3833277A (en) * 1973-01-12 1974-09-03 Timken Co Bearing assembly with vent means in the bearing thereof
US4002299A (en) * 1975-09-29 1977-01-11 Combustion Engineering, Inc. Hydraulically loaded pulverizer journal
IT7852981V0 (it) * 1978-03-07 1978-03-07 Riv Officine Di Villar Perosa Erfezionamento ai cuscinetti a rotolamento per l estremita di un albero delle ruote di un veicolo mobile su rotaie
JPS5847949Y2 (ja) * 1981-04-23 1983-11-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ロ−ラミルにおけるロ−ラ軸受部シ−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740184A (en) 1984-11-01
MX160791A (es) 1990-05-17
JPH0232019B2 (ko) 1990-07-18
DE3476104D1 (en) 1989-02-16
IN159913B (ko) 1987-06-13
JPS59206055A (ja) 1984-11-21
EP0126279B1 (en) 1989-01-11
EP0126279A3 (en) 1986-06-11
AU567342B2 (en) 1987-11-19
KR840008594A (ko) 1984-12-17
CA1227239A (en) 1987-09-22
ES531925A0 (es) 1985-03-16
US4538768A (en) 1985-09-03
ES8503521A1 (es) 1985-03-16
EP0126279A2 (en) 198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287B1 (ko) 미분기 저어널베어링 장치
US4523721A (en) Bowl mill with primary classifier assembly
US4234132A (en) Bowl mill with air deflector means
US7240868B2 (en) Dynamic ring classifier for a coal pulverizer
US7584917B2 (en) Seal for coiled spring assembly
US4907751A (en) Rotating throat for coal pulverizer
US5597124A (en) Particle size reduction
US80871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life journal assembly
US4752037A (en) Vane wheel assembly for rb mills
US8622623B2 (en) Bearing upgrade and kit
AU583411B2 (en) Supermill journal spring assembly
US4602745A (en) Coverging/diverging orifice assembly for embodiment in a bowl mill
US4605174A (en) Vane wheel arrangement with nihard wear plates
KR20190021319A (ko) 미분쇄기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4706900A (en) Retrofitable coiled spring system
US2545254A (en) Air swept pulverizer having an eccentrically arranged air throat flow area
US20030141396A1 (en) Two-fluted housing liner
WO1997023292A1 (en) Energy-efficient grinding rolls for coal pulverizers
US7566016B2 (en) Pulverizer with keyless main shaft
US20130146695A1 (en) Journal brush seal assemblies
JP2690753B2 (ja) 竪型ローラミル
KR20030020432A (ko) 개선된 팬 조립체를 구비한 고체 연료 분쇄 및 점화시스템을 위한 배기 장치
KR20000025088A (ko) 내마모성 미분기 분쇄장치
JPH03262549A (ja) 粉砕ローラミルおよび粉砕ローラミルによる粉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