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204Y1 -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204Y1
KR870001204Y1 KR2019840014480U KR840014480U KR870001204Y1 KR 870001204 Y1 KR870001204 Y1 KR 870001204Y1 KR 2019840014480 U KR2019840014480 U KR 2019840014480U KR 840014480 U KR840014480 U KR 840014480U KR 870001204 Y1 KR870001204 Y1 KR 870001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istor
switching
outpu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900U (ko
Inventor
김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 성 사
Priority to KR2019840014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204Y1/ko
Publication of KR8600089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9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7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against abnormal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본 고안은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서 변압기의 1차측에만 온도보상회로를 구성하여 2차측에서 안정된 직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다출력 안정화 전원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는 변압기의 1차측에는 온도보상회로가 없고 2차측의 각 전압에 따른 출력단마다 온도 보상회로를 별도로 부가해야 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져서 제품의 부피가 커지게 되었고 제조원가도 높아졌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변압기 1차측에만 온도 보상회로를 구성하여 2차측의 각 출력단의 정전압을 1차측에서 제어하도록 하여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게 하고 안정된 다출력 직류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은 제1도와 같이, 주변압기(T)와 결합된 변압기(T1)는 저항(R1)과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로 정류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1)와 저항(R2~~R6)으로 구성된 온도 보상회로(가)에 가해지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2, R7)을 통해 스위칭 제어부(나)의 검출입력(3)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다 : 스위칭부, 라 : 2차정류부, 마 : 스위칭 제어부와 스위칭부의 전원공급부, R8~R12: 저항, C2~C5콘덴서, D2: 트랜지스터(Q1) 보호용 다이오드, D3: 다이오드, T2,T3: 주변압기(T)의 2차 권선이다.
제1도에서 1차 정류부(마)에 입력된 교류전원(ACV) 전압은 직류로 정류되어 주변압기(T)에 전류를 흘려주게 되는데, 이때 스위칭 제어부(나)에서는 스위칭부(다)를 제어하여 주변압기(T)의 1차측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하여 2차측 권선(T3)에 교류전압이 출력되도록 하여 2차 정류부(라)에서는 이 교류전압을 다시 정류하여 다수개의 안정화된 직류를 출력(V1,V2)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기술수단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제1도에서 스위칭 제어부(나)는 집적회로로 구성되는데 이 스위칭 제어부(나)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2차 정류부(라)의 출력전압이 변동된다. 따라서 이 변동되는 전압에 따라 변압기(T1) 양단에 유기되는 전압도 변하게 되고 이 전압은 저항(R1)과 다이오드(D1)를 통해서 정류되어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저항(R2~R6)과 트랜지스터(Q1)로 된 온도 보상회로(가)에 가해지게 된다.
즉, 저항(R3,R5,R6)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류가 변동되고, 이에 따라서 콜렉터 전류도 변하게 되어 저항(R2)에서 강압되는 전압도 변동되게 된다.
따라서 저항(R2)과 다이오드(D3)의 캐소드의 접합점의 전위가 변동되고, 이 변동된 전압분이 저항(R7)을 통해서 스위칭 제어부(나)의 검출입력(3)에 입력되므로 스위칭 제어부(나)는, 저항(R10)을 통해서 입력되는 콘덴서(C1) 양단의 전압과 저항(R7)을 통해서 입력되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위변화를 검지한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부(나)를 제어하고, 스위칭부(다)는 스위칭 제어부(나)의 제어에 의하여 주변압기(T)에 흐르는 스위칭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2차 정류부(라)의 출력전압이 변동되지 않도록 적절한 제어를 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온도 보상회로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변압기(T1)의 부극성 단자쪽에서 전류를 흘러주게 되므로 검출되는 전압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부극성으로 가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온도변화에 따른 정전압 장치의 전압변동을 주변압기의 1차측에서 보상해 주게 되므로 안정된 직류를 출력할 수 있고 또 회로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도 용이하게 되며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주변압기(T)와 결합된 변압기(T1)는 저항(R1)과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로 정류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1)와 저항(R2~R6)으로 구성된 온도보상회로(가)에 가해지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2, R7)을 통해 스위칭 제어부(나)의 검출입력(3)에 연결하여서 된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KR2019840014480U 1984-12-31 1984-12-31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KR870001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480U KR870001204Y1 (ko) 1984-12-31 1984-12-31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480U KR870001204Y1 (ko) 1984-12-31 1984-12-31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00U KR860008900U (ko) 1986-07-31
KR870001204Y1 true KR870001204Y1 (ko) 1987-03-27

Family

ID=7016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480U KR870001204Y1 (ko) 1984-12-31 1984-12-31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2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00U (ko) 198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3787A (e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control of output supply voltage and overcurrent
KR101020243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GB1497238A (en) High efficiency power supply having a reactive buck automatic dc voltage regulator
CA2006426C (en) Control circuit for regulating current flow through a load
KR0155183B1 (ko) 절연형 스위칭전원
KR870001204Y1 (ko)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US7239533B2 (en) DC power supply apparatus
US5708572A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US4038594A (en) Distortionless sine wave amplification
GB1180576A (en) AC Solid State Voltage Regulator
JPH05308733A (ja) 充電回路方式及び充電装置
KR860000795Y1 (ko) 스위칭 모우드 전력공급장치의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JP2736059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900003645Y1 (ko) 전원 전압 자동 제어 회로
KR970000504B1 (ko) 소비 전력 절감회로
GB939139A (en) A.c. powered voltage regulating circuit
SU1012405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40001193Y1 (ko) 정전압기의 발열 감쇄회로
SU1203490A1 (ru) Стабилизатов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H0580185U (ja) 電源回路
JPS627773B2 (ko)
KR970000446Y1 (ko) 220v 전용 전원회로
JPS62262660A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
KR900001912Y1 (ko) 전원 장치
JPH05342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