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196B1 -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 Google Patents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196B1
KR870001196B1 KR1019840003226A KR840003226A KR870001196B1 KR 870001196 B1 KR870001196 B1 KR 870001196B1 KR 1019840003226 A KR1019840003226 A KR 1019840003226A KR 840003226 A KR840003226 A KR 840003226A KR 870001196 B1 KR870001196 B1 KR 87000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head
pump
pist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280A (ko
Inventor
에프 코세테 더글라스
Original Assignee
에프 코세테 더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코세테 더글라스 filed Critical 에프 코세테 더글라스
Publication of KR85000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1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without contact of the fluid remaining in the container with the atmospheric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97Means for filling or refilling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4Piston pumps comprising a movable cylinder and a stationary pist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펌프의 실시예의 반수직 단면도.
본 발명은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펌프 체임버를 충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저압력을 가지며 플런저 헤드의 외면에 압력이 가해진 생산물로 재충전 되게하는 컨테이너로부터 생산물을 투사하기 위한 펌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에어로솔용 투사 장치들은 압력이 가해진 생산물로 재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투사 장치들은 스프레이버튼의 수동압하에 따라 압력이 가해진 생산물을 분사하기 위한 제어 밸브로써 간단히 작동되는데,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충전 방법은 압력 충전 방법으로써 알려져 있다. 투사된 상기 생산물은 생산물이 대기압하에 있을 때 매우 빠르게 증발하는 형태라든가 또는 생산물의 추진이 질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변 가스의 압력하에 있는 컨테이너 상의 액체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키는 형태의 추진액체로 압하된다. 상기 압력충전 기술은 선택적인 “코울드-필링방법”(cold-filling method)보다 양호하며, 에어로솔 투사용 이산화탄소, 산화 질소와 같은 용해성 또는 불용성 추진 기체의 사용은 프로판, 부탄과 같은 추진액체 가스의 사용보다 훨씬 더 양호한데, 그 이유는 압하된 가스들이 투사되는 향기나 또는 민감한 약 생산물과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컨테이너에 밀봉하여 있는 이러한 모든 에어로솔 투사기들은 대기에 관통하는 컨테이너를 필요로 하는 공지의 펌프 스프레이보다 더 양호한 장점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공기의 출현을 용납하지 않는 이러한 생산물은 시장에서 에어로솔 투사기들의 많은 형태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민감성 약제와 같은 산화물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밸브 제어형 에어로솔 투사기에 필요한 다양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에 구멍을 낼 필요가 없는 펌프-형 투사기가 U.S.P. 3,211,346호에 발표되었는데, 그 안의 물질을 펌프 체임버 상으로 흐르도록 하는 불활성 가스의 압력하에 물질이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 상에 구멍을 낼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트로틀-형 펌프는 방전이 핑거 액튜에이터 상에 압력을 하강시킴에 따라 서서히 폐쇄되어 원치않는 드리블(dribbles)을 야기하고 방전 효율이 떨어지며, 공기가 핑거 압력의 해방시 펌프 용량을 확대시킴으로써 펌프 체임버 상으로 도입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종류의 펌프의 사용에서와 마찬가지로 결점이 제기된다.
계속적인 펌프 개발, 즉 컨테이너 벤트(container vent)를 가지지 않는 압력 빌드-업 스프레이어(pressure build-up sprayer)가 U.S.P. 4,271,875호의 제6도, 제7도에 예시되었는데, 이 장치는 피스톤 업스트로크(up-stroke)동안 피스톤 체임버 속과 딥튜브(dip tube)를 통해 컨테이너 상류로부터 생산물을 인가하기 위한 니트로겐과 같은 압력 가스를 사용하는데 이용된다.압력 유체들이 신축성이 있는 쟈켓을 통해 펌프체임버 외부로부터 투사되는 것과 같이 상기 설비는 이 펌프 투사기를 충전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펌프 구조는 본 발명의 기본 발명인 본 출원인의 수동 작동 투사펌프 U.S.P. 4,050,613호의 장점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한, 본워노다 먼저 출원한 특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일 플런저 유니트는 다른 부품들과 협동하여 여러 기능, 즉 펌프 실린더, 압력 축적 체임버 피스톤 압력 작동 방전 밸브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미국 특허원 제121,223호의 유니트 플런저는 컨테이너 벤트 밸브의 기능을 수행하고, 전술한 CIP 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상부 단부상에 표면을 상호 접하는 피스톤의 설비는 플런저 헤드가 플런저 다운 스트로크 단부 다음에 축적 체임버로부터의 생산물을 계속적으로 방출하게 한다. 특허 CIP 출원에서 컨테이너 벤트 밸브는 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플런저 헤드의 원통부에 보유 비드(retention bead)와 함께 베어링 부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플런저 헤드상에 설치되어 방전의 개, 폐의 제한없이 응답하도록 이러한 힘들의 영향으로 부터 플런저를 격리한다. 종래의 기술과 이와 관련하여 개발된 이러한 모든 특징은 압력 충전에 적합한 압력 축적형의 언벤트한 투사기(unvented dispenser)에 합세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개발된 컨테이너 벤트 압력 빌드-업 스프레이어의 결점을 해소하고 효율적이며 매우 빠른 속도로 유체로 충전된 압력하에 있을 수 있는 압력 축적형의 수동 작동형 투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성 있는 립 시일을 가지는 환형 스커트가 플린저나 또는 플런저 왕복 운동동안 충전 통로를 폐쇄하기 위한 펌프의 플런저 헤드로부터 연장하고, 이러한 통로는 펌프 몸체내에서 개방함으로써 한정되고 유체의 흐름이 컨테이어 속으로 흐르도록 펌프 몸체상에 정지 피스톤을 둘러싸는 환형벽이 압력이 충전되는 동안 허용되고, 이러한 립 시일은 충전되는 동안 압력하에서만 환형 벽으로부터 떨어져 고정되는 투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런저가 방전의 개방, 폐쇄 동작 기간동안 상부로부터의 수압과 하부로부터의 스프링력에 응답하여 어떤 제한없이 자유로이 플로트 (float)할 수 있도록 상호 동작 기간동안에 플런저 헤드에 대하여 측면적으로 또는 편심적으로 힘을 받는 힘의 영향에 대하여 플런저를 격리하기 위한 안티-쿠킹 플런저 헤드(anti-cocking plunger head)를 가지는 투사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런저가 플런저 헤드 다운 스트로크의 단부 앞에 피스톤의 상부 단부에 대하여 저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플런저가 상부 단부에서 상호 교차되어 플런저 헤드가 방전을 폐쇄하는 플런저 업스트로크의 개시와 이것의 다운 스트로크의 단부 앞에 축전 체임버로부터 생산물을 계속 방출하는 투사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 장점 및 다른 목적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기의 기술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의 펌프 어셈블리(10)는 현재의 펌프가 컨테이너 벤트를 가지지 않는 것만을 제외하고 전술한 CIP 출원의 제1도에서 예시된 펌프(1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는 펌프 몸체(11)와 투사되는 압력 생산물의 컨테이너(예시 안됨)의 네크 상에 단단하게 고착되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된 캡(12)을 포함한다. 펌프 어셈블리는 이산화탄소, 산화 질소 등과 같은 압력 가스를 인가하여 생산물들로 충전된 컨테이너를 가지며, 컨테이너와 생산물을 충전한 다음에 충전선상에 정충전(상술한 방법대로)될 수 있다. 그리고 환형 슬리이브(13)는 펌프 몸체의 상부벽(14)에 의존하여 펌프 몸체와 컨테이너 사이에서 유속의 타이트한 밀봉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컨테이너 네크와 결합되어 연장된다.
정지되고 속이 빈 업스탠딩 피스톤(upstanding piston)(15)은 컨테이너가 압력 충전되는 것을 통해 압력 충전통로(17)를 한정하기 위해 피스톤의 베이스로부터 약간 떨어져 둘러싸는 환형 벽(16)을 통해 벽(14)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충전부(18)는 슬럼프 드레인이 통로(17)의 저 단부상의 펌프 몸체상에 위치하여 유체가 충전되는 동안 컨테이너에 인입되는 기능을 가진다. 이 부분은 왕복 운동 동안 립 시일에 의해 개방되는 것이 회피되도록 플런저 헤드 다운스트로크의 단부상에 배치된다.
상기 피스톤은 종래의 딥 튜브(21)가 어떠한 공지의 방법으로 안착되는 입구 통로(19)를 한정하며 상기튜브는 상기 생산물이 컨테이너로부터 투사되도록 연장된 하부 단부를 가진다. 볼 체크 밸브(22)와 볼 시이트(23)들은 입구를 제어하는 밸브용 피스톤 상부 단부상에 제공되고, 다수의 볼 유지핑거(24)는 흡인스트로크 동안 시이트되지 않도록 피스톤의 상부단부에 제공되고, 다수의 볼 유지핑거(24)는 흡인스트로크 동안 시이트되지 않도록 피스톤의 상부단부에 볼체크 밸브를 둘러싼다. 피스톤의 상부 단부는 가볍게 외부로 플레어하고 실질적으로 신축성이 없는 환형 립 시일(25)에서 종결된다.
내부 보어를 가지는 환형 플런저나 또는 축적기(26)는 가변 체적 펌프 체임버(27)를 한정하기 위하여 정지 피스톤상에 연결된다. 복귀 스프링(28)은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펌프 몸체 위에 전체적으로 상승된 피스톤을 향하여 플런저를 탄력적으로 자극하는 플런저의 저단부와 펌프 몸체의 솔더(29) 사이에서 압하된다.
플런저 헤드(31)는 펌프 체임버(27)와 개방 상태로 연통하는 동봉된 가변 체적 축적 체임버(33)를 한정하고 플런저(26)를 수용하는 하부로 지시된 블라인드 소켓(32)를 가진다. 이 축적 체임버는 펌프 체임버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플런저의 환형 상부로 나타낸 단부는 복귀 스프링(28)의 상부 트러스트의 반대 위치에 축적 체임버내에서의 유속 압력으로 노출된다.
플런저 헤드는 상부쪽으로 곧게 일직선으로 뻗는 핑거피이스(34)를 보이도록 형성되어 이것에 인가된 간헐적인 핑거 압력은 정지 피스톤(15)상에서 왕복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플런저에 전송되며, 플런저의 각 압력은 헤드가 수신되는 핑거 압력으로 플런저를 전체 상승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28)에 의해 억제된다.
플런저는 플런저 헤드가 펌프 몸체상의 원추형 부분(37)의 내부 표면을 따라 그 측면으로써 안내되도록 하는 외부 직경을 가지는 방사상으로 외부로 연장한 보유 베드(36)상에서 종결하는 원형 부분(35)을 가진다. 칼라의 상부 단부는 소정의 위치로 플런저 헤드의 이동을 상부로 제한하기 위하여 베드(36)와 협동하는 쉽게 내부로 연장한 보유 베드(38)를 가진다. 하나나 또는 2개의 보유 베드(36)(38)는 유체들이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후술하는 방법으로 컨테이너 속으로 충전되는 개방 축 슬로트(예시 않음)가 제공되어 있다.
플런저 헤드는 플런저와 플런저 헤드사이의 환형 스페이스에 의해 한정된 방전 체임버로부터 연장한 그리고 방전오리피스(41)내에서 종결된 방전 통로(39)를 포함한다. 따라서, 투사된 생산물은 펌프 동작 기간동안 축적 체임버로부터 대기속으로 이러한 방전 통로를 통하여 이동되고, 방전 통로가 플런저의 블라인드 상부 단부 하부에 있는 블라인드 소켓속으로 개방되어 이러한 상부 단부가 후자가 스프링(28)에 의해 소켓(32)의 블라인더 단부속으로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승되는 위치로 돌출될 때 상기 플런저에 의해 정상적으로 커버된다.
플런저 헤드의 내면은 체적을 부분적으로 대신하는 펌프 체임버속으로 생산물과 헤드의 전체 부분으로써 윤곽 표면(43)을 이동한다. 이러한 윤곽 표면은 립 시일(25) 뿐만 아니라 볼 체크 밸브와 볼 보유 핑거를 포함하는 피스톤의 상부 단부상의 윤곽을 배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의 상부 단부와 플런저 헤드의 반대 내부 단부는 보완적으로 윤곽이 형성되어 투사 작동 전에 헤드의 압하 동작 기간동안 직면 윤곽을 가져올 때 방전을 통해 그 안의 어떤 축적된 공기의 추출이 필요하면 프리미임(prime)되고 공기는 동일한 개방을 위하여 방전에 관련된 플런저를 이동하기 위하여 대형 직경 축적기에서 작동되고 압축된다.
환형 밸브 스커트(44)는 플런저 헤드로부터 의존하고 플런저 헤드 왕복 운동을 통해 벽(16)의 내부 표면(26)에 부착되는 환형 립 시일(45)상에서 종결된다. 이러한 내부 표면은 펌프 몸체의 중심축과 같은 축선상에 놓이는 직선 실린더에 의해 한정되어 통로(17)가 펌핑 작동을 통해 립 시일에 의해 폐쇄된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현재의 펌프 어셈블리는 컨테이너의 윤곽이 컨테이너의 벤트를 요구함이 없이 펌프 체임버속으로 빠르게 흐르는 압축 가스의 영향하에 있는 폐쇄된 시스템이다. 따라서 생산물 오염이 향수와 민감성 약제와 같은 물질이 투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한 곳에서 이산화탄소, 산화 질소와 같은 압력 가스가 상술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생산물의 자연적인 상태에 따라 선택된 압력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생산물만이 컨테이너로부터 펌프 체임버로 이동된다.
플런저나 또는 축적기(26)의 상단부는 제1도의 플런저의 방전 밸브 폐쇄 위치와 플런저 헤드 상부 단부에 의지하여 링(48)의 외부 표면에 밀봉된 외부적으로 연장한 플랜지(47)를 가진다. 상기 플런저의 하부 단부는 내부표면 스커트(44)와 일체로 밀봉되고 방전 체임버(42)와 한계를 정하고 있고 립 시일(49)을 한정하기 위해 구부러져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립 시일(49)의 종단부는 방전 통로(39)하부에 놓여있어 플런저와 플랜지(47)로써 방전을 개방하는 헤드 사이를 간단하게 이동시켜 링(48)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된다. 따라서 급속 개방 방전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펌프 어셈블리는 본발명의 펌프 어셈블리가 컨테이너 벤팅이 필요 없는 폐쇄된 시스템을 구성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출원인의 CIP 출원의 펌프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품(35)(44)들과 함께 플런저 헤드(31)는 플런저 헤드의 왕복 운동을 통하여 그것의 부품(15)(16)(37)들을 포함하는 펌프 몸체의 축과 동일한 축 위치를 가진다. 플런저 헤드상에 위치한 보유 베스(38)와 립 시일(45)는 컬러(37)와 벽(16)의 내부 표면을 따라 그들이 일체로 작동한다. 따라서 플런저 헤드는 스톱 리미트들 사이에 축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행하며 컬러(37), 통로(17), 정지 위치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프몸체 축과 일치하는 축들을 유지한다. 이러한 측면 축 제어로 플런저 헤드는 그 축들을 쿡(cook)함이 없이 여러 비-축력을 인가 받게 되거나 축 합동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왕복 운동 동안 플런저 헤드에 인가되는 편심력은 플런저에 보유력을 인가하거나 또는 어떤 바이어스력을 가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밸브로써 작동하는 플런저는 상위 수압과 하위 스프링력을 자유로이 플로트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이러한 힘들에 응답하여 이동에 대하여 억제되지 않는다.
플런저 헤드 상에 편심력은 플런저와 그 밸브 사이의 마찰 부하를 감소시켜 플런저가 방전 통로에 남아 있는 생산물의 작은 질량으로 플런저 다운스트로크의 단부에서 개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헤드 상에 작용력이 구제될 때 브레이크나 또는 마찰 유지력은 이완되어 스프링이 플런저를 폐쇄된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플런저 방전 스트로크의 단부상의 방전 통로에 남아있는 생산물의 소량은 플런저 인테이크 스트로크 개시시 깨끗해져 플런저가 스프링 압력에 응답하여 폐쇄된다. 재방전 스트로크 개시시 기대치 않은 이러한 방전은 불편하기 때문에 피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플런저가 측면 압력에 따른 마찰 개입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억제될 수 없기 때문에 유압과 스프링력 사이의 균형하에서 만들어진 연속적 일시적으로 동작에 응답하게 된다.
현재의 펌프 어셈블리의 동작은 컨테이너 내의 생산물의 압력가스의 영향하에 있다는 사실만을 제외하고는 본 출원인의 U.S.P. 제4,050,613호와 전술한 출원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따라서 플런저 방전 단수에서 폐쇄된 방전을 가진 플런저 업스트로크는 펌프 체임버를 확장하고 국부적인 진공을 발생시켜 압축된 가스의 압력이 딥튜브와 펌프 체임버를 통해 생산물에 인가되고 입구볼 체크 밸브를 언시이트(unseat)한다. 컨테이너에서 투사되는 생산물은 압축된 가스의 나머지를 그 안에 보유하는 헤드스페이스 상에 압축된 가스의 부분을 그 안에서 용해한다. 따라서 컨테이너내의 생산물은 비워질 때까지 압축된 가스의 영향하에 남게된다. 그리고 하부로 플런저 왕복 운동 동안 발생된 펌프 체임버내의 수압 방전압력은 컨테이너 내의 내부 압력과 복귀 스프링의 합력로 초과하여야 이러한 수압이 축척 체임버 내에서 작동하는 방전 개방 압력을 창출하는 것과 동일하게 방전 개방에 영향을 미친다. 플런저의 상부 단부에 위치한 플랜지(47)는 현재의 압력 빌드-업 스프레이 펌프의 디자인 방전 압력에까지 컨테이너 압력이 견딜 수 있는 밀봉된 방전 밸브를 한정한다.
현재의 펌프 어셈블리는 그안의 압축된 추진 가스를 가지는 생산물로 채워진 컨테이너에 응용되거나 또는 컨테이너에 스프레이가 인가된 후 그리고 충전된 후 충전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다. 종래의 에어로솔 충전선로상에 사용된 것과 같은 충전헤드(51)는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편리한 위치에 밀봉 방법으로 펌프 어셈블리상에 연결된다. 상기 도면에서 굵게 표시한 화살표는 보유 비드들의 흠들을 유체의 충전통로를 나타낸 것으로 방전 헤드가 방전압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압하된다.
벽(16)의 내부 표면(46)과 접속하여 있는 환형 립 시일(45)은 포지티브 가스 압력하에 액체든지 또는 기체든지 간에 어떠한 내용물을 내포하고 있는 컨테이너로 부터 상기 내용물들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립 시일이 충전되는 동안 충분히 탄력이 있으면 상기 시일(45)의 충전압력은 립 시일을 바이패스 하도록 컨테이너 내의 압력을 인가하여 충전 유체가 포트(18)를 통해 컨테이너에 유입되도록 상기립시일이 표면(46)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안으로 구부러져 있다. 충전된 다음에 상기 립 시일(45)의 내부표면에 대하여 동작하는 고압력은 충전 장치가 제거될 때 상기 밸브가 대기압에 복귀되는 것처럼 부재(46)에 대하여 밀봉 연결되어 있는 그안에 유지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10A)는 펌프 어셈블리(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펌프 어셈블리(10)와 동일한 예시번호를 병기하여 표기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플런저(26a)는 시일(45)에서 종결되는 스커트 (44a)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도에 예시한 자유로운 플로팅을 만들지 못한다. 다시말해서 펌프 어셈블리는 제1도에 관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동 하지만 컨테이너는 충전 통로를 나타내는 화살표에 의해 예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51)의 사용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립 시일(45)는 유체가 단자(18)를 통해 컨테이너로 인입되는 동안 표면(46)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떨어져 구부러져 있고, 충전장치가 제거될 때 표면(46)에 대하여 밀봉 폐쇄되어 있다.
제3도에 예시된 펌프 어셈블리(10B)는 플런저(26b)의 상부 단부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만을 제외하고는 어셈블리(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의 자유 플로팅 특성에 부과하여 플런저 다운 스트로크의 단부에 있는 플런저 헤드 하에 그 자신이 리시이트 되며, 재충전이 시작된 다음에 플런저 재충전 스트로크가 방전 분출을 피하기 전에 생산물은 재충전 스트로크의 개시전에 축적 체임버로부터 세척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1도의 표면(43)과 동일한 상호 직면한 윤곽 표면(43a)은 일체적으로 플런저의 상부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표면은 플런저 헤드의 내측면으로부터 예시번호 52에서 약간 격리된 커버벽을 가지는데, 상기 커버벽은 펌프 체임버와 축적 체임버 사이의 개방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53)들을 가진다. 따라서 플런저 헤드의 압하시 윤곽 표면(43a)은 정지 피스톤에 대하여 밑바닥에 있고 플런저 헤드 앞의 볼 체크 밸브는 방전 스트로크의 단부에 도달한다. 플런저 헤드 압하시 축적체임버 내의 수압은 헤드의 다운 스트로크 동안 플런저로 부터 약간 떨어져 위치한 헤드를 유지하여 다운 스트로크가 계속됨에 따라 헤드는 정상의 방전스트로크의 부분으로써 플런저 상부에서 생산물을 추출하는 윤곽 핑거력에 의해 수압에 대하여 하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에프터 스프레이”(after spray)가 방전 스트로크의 단부에서의 플런저 폐쇄 동작을 기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피해져 방전 스트로크의 단부에서의 방전을 통해 생산물의 드리핑(dripping)이나 드라이블링(dribbling)을 피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헤드의 내부 측면상에 수용된 윤곽표면(43)과 헤드의 이러한 상호 직면 윤곽이 플런저의 개방 상부 단면상에 돌출되어 헤드 내부 안쪽은 정지 피스톤의 상부단부에 대하여 밑면에 있고, 볼은 방전스트로크의 단부에 있는 부재를 체크 한다. 따라서 오리피스(41)가 제어 디자인 압력의 용량을 방전 시키는 바를 초과하는 펌프비를 발생하는 속도로 방전 스트로크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호 직면 윤곽은 방전 스트로크의 저부에 도달하는 반면에 플런저는 방전 밸브 개방모드에 있게 되어 헤드 내의 시이트로 부터 변위 되며, 압력비로 방전을 계속하고 스프링력이 축적기를 헤드의 내부에 대하여 폐쇄된 밸브 위치에 복귀 시키기 때문에 축적된 생산물을 추출한다. 밸브가 폐쇄된 다음에 이러한 계속적인 방전은 ″에프터 스프레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행한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상호 직면 공기 변위일체 윤곽을 가지며 디펜팅 스커트가 없는 플런저 부재는 정상적인 마찰 계수에 수압과 스프링을 더한 값에 응답하는 자유 플로팅부재가 된다. 플런저 헤드는 통로(17)의 내부 표면(46)과 밀봉 연결되는 립 시일(45)과 환형 스커트(44b)를 수용하여 펌핑 동작동안 폐쇄된 통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헤드 보유 베드(36)와 협력하는 일체 가이드로써 작동한다. 따라서 직면부품에 관련하여 슬라이드(slide)하는 펌프 어셈블리의 각 부품은 다른 협동 부품들과 함께 축의 합치로 유지되어 불필요한 윤곽-생산물 커플들을 제거한다.
제4도의 펌프 어셈블리(10c)는 스커트(44c)가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17)를 폐쇄하기 위하여 플런저(26c)로 부터 연장되는 점만을 제외하고 제2도의 펌프 어셈블리와 비교된다. 그러나 제3도의 표면(43b)과 동일한 윤곽표면(43c)은 일체 부분으로써 플런저(26c)의 상부 단부에 제공되어 제3도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 실시예의 플런저와 플런저 헤드는 전술한 CIP 출원의 실시예의 플런저헤드와 플런저와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동일하다. 상술한 여러 실시예의 펌프 몸체는 CIP 출원의 펌프어셈블리에 관련하여 수정이 필요한데, 이것은 현재의 어셈블리를 압력이 가해진 컨테이너로 이용 되도록 폐쇄된 시스템을 만들을 필요성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교시의 관점에서 많은 수정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내에서 상술한 특정한 기술 이외에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이 명백하다.

Claims (14)

  1.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가 곧게뻗은 정지 피스톤을 가지는 펌프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는 투사될 생산물의 컨테이너가 유체의 타이트한 방법으로 안착되기 적당하게 구성되며, 왕복운동할 수 있는 플런저 수단은 가변 용적 펌프 체임버와 상기 피스톤의 제어 입구 통로를 한정하기 위하여 왕복운동용 상기 피스톤상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 몸체에 전체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인가되는 횡형 플런저를 구성하며, 상기 플런저 수단은 상기 펌프 체임버와 개방통신의 가변 용적 축적 체임버를 한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왕복운동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상에 배치된 플런저 헤드를 구성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펌프 체임버내의 압력의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플런저에 의한 개방, 폐쇄운동에 적합한 방전 통로와, 상기 전체 상승 위치의 상기 플런저가 상기 통로를 폐쇄하기 위하여 밸브로써 작동하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플런저 헤드의 이동을 상부로 제한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생산물을 압축하기 위한 재충전 통로의 개방통로와 왕복운동용의 상기 플런저 수단으로 부터 의존하는 스커트를 한정하고 상기 피스톤을 둘러쌓는 환형벽과 재충전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는 왕복운동동안 상기 플런저 수단을 안내하고 상기 통로를 폐쇄하기 위한 상기 벽의 내부 표면과 연동관계로 밀봉되어 있는 환형 탄성 립 시일을 가지며, 상기 립 시일은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편향되게 떨어져 충전 동작동안 상기 립 시일의 외부 표면에 인가된 압축된 생산물의 충전에 응답하여 상기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형 투사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상기 플런저로부터 의존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상기 플런저 헤드로 부터 의존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통로는 왕복운동 동안 상기 립 시일에 의한 개방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 다운스트로크의 단부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통로는 왕복운동 동안 상기 립 시일에 의한 개방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 헤드 다운스트로크의 단부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헤드와 상기 펌프 몸체는 상기 플런저 헤드의 상기 상향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보유 비드들을 가지는 원통부들을 끼워넣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형 투사펌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몸체는 상기 피스톤을 둘러쌓는 컬러와, 플런저 헤드의 왕복운동 동안 상기 컬러와 슬라이드 인동관계로 제1환형 베어링 부재를 한정하는 상기 플런저 헤드와, 상기 컬러와 상기 베어링 부재상에 위치한 상기 제한수단과, 제2베어링 부재를 제한하는 상기 스커트 상에 위치하며 왕복운동 동안 상기 헤드에 인가된 편심력을 저지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상기 립 시일로 구성되어, 상기 플런저로 부터의 상기 힘을 격리하여 방전 통로의 개폐 이동동안 어떠한 제한 없이 응답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축적용 투사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포트를 가지는 벽 수단이 상기 피스톤의 상부단부에 직면하는 상기 플런저의 상부 단부상에 상호 보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벽수단이 플런저 다운스트로크의 단부상의 상기피스톤의 상기 상부 단부에 대하여 유지된 다음 상기 플런저가 방전폐쇄 위치로 이동되기전에 상기 벽 수단이 상기 헤드의 압하시 상기 방전 통로를 통해 생산물을 상기 헤드가 계속적으로 추출하게 허용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축적용 투사 펌프.
  9. 제3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포트를 가지는 벽 수단이 상기 피스톤의 상부 단부에 직면하는 상기 플런저의 상부 단부상에 상호 보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벽수단이 플런저 다운스트로크의 단부상의 상기피스톤의 상기 상부 단부에 대하여 지탱된 다음 상기 플런저가 방전 폐쇄위치로 이동되기전에 상기 벽수단이 상기 헤드의 압하시 상기 방전 통로를 통해 생산물을 상기 헤드가 계속하여 추출 허용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축적용 투사 펌프.
  10. 투사펌프가 유체생성물의 컨테이너상에 설치되어 생산물이 투사되도록 펌프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몸체는 그 내부에 밸브 제어입구 통로를 가지는 정지 피스톤과 가변 용적 펌프 체임버를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상에 왕복운동을 행하기 위해 설치되며 밸브 제어 방전 통로를 가지는 플런저 수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몸체는 그 내부에 포트를 가지며, 환형 벽은 압력이 충전되는 동안 컨테이너상에 유체가 자유로이 흐르도록 하는 상기 포트를 포함하는 충전 통로를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을 둘러쌓며, 상기 플런저 수단에 신축성이 있는 환형 립이 플런저 수단의 왕복운동 동안 상기 충전 통로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벽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고 충전되는 동안의 압력하에서만 상기 벽으로 부터 떨어져 신축성이 있어 컨테이너로 유체가 흐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축적용 투사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단은 상기 펌프 체임버를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상에 왕복운동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가해지는 환형 플런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플런저 수단은 상기 헤드의 상부로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상기 플런저 헤드와 상기 몸체상에 원통형 부분을 끼워놓고 상기 체임버내의 압력의 변화에 응답하여 이동되는 동안 상기 플런저에 의해 개방, 폐쇄되기 적당하게 채택된 상기 방전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 상에 배치된 플런저 헤드를 구성하며, 상기 립은 상기 벽과 연동관계로 베어링 부재를 한정하며 상기 헤드상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 원통부는 상기 몸체 원형부분과 연동관계로 다른 베어링 부재를 한정하며, 상기 베어링 부재가 왕복운동 동안 편심력이 상기 헤드에 인가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동작하여 상기 플런저로부터 상기 힘이 격리되어 상기 방전 통로의 개방, 폐쇄의 이동 동작기간 동안 제한없이 응답하는 구성을 특징으로하는 압축 축적형 투사 펌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단은 상기 펌프 체임버를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 상에 왕복운동을 행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인가된 환형 플런저를 구성하며, 상기 플런저 수단은 상기 체임버내의 압력의 변동에 응답하여 이동되는 동안 상기 플런저에 의해 개방, 폐쇄되기 적당하게 채택된 상기 방전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상에 배치된 플런저 헤드와 상기 플런저상에 설치된 상기 립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압축축적형 투사 펌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단부를 직면하는 수단은 상기 체임버상으로 연장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부 단부상에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부단부에 보온적으로 윤곽이 형성되며, 상기 벽수단이 플런저 다운 스트로크의 단부의 상기 피스톤의 상기 상부 단부에 대하여 지탱한후 상기 플런저 수단이 방전 폐쇄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벽 수단이 상기 헤드의 압하시 상기 방전 통로를 통하여 생산물을 상기 헤드가 계속하여 추출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압축 축적형 투사 펌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 단부를 직면하는 수단은 상기 체임버 상에서 연장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부 단부상에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상부 단부상에 보완적으로 윤곽이 형성되며, 상기 벽 수단이 플런저 다운스트로크의 단부의 상기 피스톤의 상기 상부 단부에 대하여 유지한후 상기 플런저가 그 방전 폐쇄위치로 이동되기전에 상기 벽 수단이 상기 헤드의 압하시 상기 방전통로를 통해 생산물을 상기 헤드가 계속하여 추출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압력 추출형 투사 펌프.
KR1019840003226A 1983-06-08 1984-06-08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KR870001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02,272 US4503997A (en) 1983-06-08 1983-06-08 Dispensing pump adapted for pressure filling
US502272 199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80A KR850000280A (ko) 1985-02-26
KR870001196B1 true KR870001196B1 (ko) 1987-06-20

Family

ID=2399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226A KR870001196B1 (ko) 1983-06-08 1984-06-08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503997A (ko)
JP (1) JPS6013667A (ko)
KR (1) KR870001196B1 (ko)
AU (1) AU555266B2 (ko)
BE (1) BE899863A (ko)
CA (1) CA1230867A (ko)
DE (1) DE3420961A1 (ko)
DK (1) DK162489C (ko)
FR (1) FR2547363B1 (ko)
GB (1) GB2141185B (ko)
GR (1) GR81573B (ko)
IE (1) IE55566B1 (ko)
IT (1) IT1178396B (ko)
LU (1) LU85398A1 (ko)
NL (1) NL84018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443A (en) * 1983-06-08 1987-02-03 Corsette Douglas Frank Manually operated dispensing pump
GB8625491D0 (en) * 1986-10-24 1986-11-26 Bespak Plc Discharge pump assembly
FR2620052B1 (fr) * 1987-09-09 1990-04-27 Valois Vaporisateur du type pompe manuelle a precompression pour utilisation avec un gaz propulseur
US4838461A (en) * 1988-04-14 1989-06-13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ing package for a viscous product
US5503306A (en) * 1994-10-19 1996-04-02 Aptar Group, Inc. Manually actuated pump
US5505343A (en) * 1994-10-19 1996-04-09 Knickerbocker; Michael G. Manually actuated pump
DE4438364A1 (de) * 1994-10-27 1996-05-02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füllung einer Austragvorrichtung
DE19715712C2 (de) * 1997-04-15 2002-10-31 Berner Torantriebe Gmbh Sektionaltor
US5839617A (en) * 1997-07-29 1998-11-24 Owens-Illinois Closure Inc. Pump dispenser
US5839616A (en) * 1997-08-14 1998-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container having pivotal connector for an actuation lever
DE19807922A1 (de) * 1998-02-25 1999-08-26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DE19845910A1 (de) 1998-10-06 2000-04-13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US6308865B1 (en) * 2000-10-24 2001-10-30 Hui-Yu Lin Container-mounted pump means with external restoring spring
CN1283365C (zh) * 2001-09-21 2006-11-08 艾里希普费弗工程师有限公司 具有一个介质容器和用于该容器的泵机构的配量装置
FR2862106B1 (fr) * 2003-11-07 2007-08-24 Valois Sas Pomp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2871786B1 (fr) * 2004-06-16 2007-08-10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2911175B1 (fr) * 2007-01-08 2009-05-08 Taema Sa Collerette de montage d'un chapeau de protection et ensemble de stockage et de delivrance de gaz comportant un telle collerette
FR3003480B1 (fr) * 2013-03-22 2016-12-23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rechargeable.
CN103452790A (zh) * 2013-08-20 2013-12-18 米顿罗工业设备(上海)有限公司 一种计量泵用中高压进口柱塞泵头结构
KR101657945B1 (ko) * 2015-05-06 2016-09-20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쿼터턴 밸브용 유압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2324A (en) * 1963-01-18 1966-02-01 American Lecithin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erosol dispensers
US3211346A (en) * 1964-07-15 1965-10-12 Meshberg Philip Pump-type dispenser
US3651997A (en) * 1970-03-23 1972-03-28 Risdon Mfg Co Combined pressure filling and dispensing control valve for aerosol containers
US3995666A (en) * 1975-12-24 1976-12-07 Vca Corporation Method for filling aerosol spray dispensers
US4274560A (en) * 1976-04-30 1981-06-23 Emson Research Incorporated Atomizing pump dispenser
US4050613A (en) * 1976-08-31 1977-09-27 Corsette Douglas Frank Manual actuated dispensing pump
US4271990A (en) * 1978-05-12 1981-06-09 Security Plastics, Inc. Pumping system for dispensing product from a container
US4271875A (en) * 1978-09-21 1981-06-09 Philip Meshberg Dispenser adapted for fast pressure filling
US4218198A (en) * 1978-11-02 1980-08-19 Security Plastics, Inc. Pump having non-throttling peripheral valve
US4220265A (en) * 1979-02-21 1980-09-02 Ethyl Corporation Pressure fillable dispensing device
US4343417A (en) * 1980-02-13 1982-08-10 Corsette Douglas Frank Dispensing pump locking means
US4402432A (en) * 1980-02-13 1983-09-06 Corsette Douglas Frank Leak-proof dispensing pump
JPS5756066A (en) * 1980-09-22 1982-04-03 Yoshino Kogyosho Co Ltd Sp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6384B2 (ko) 1991-07-16
DK162489B (da) 1991-11-04
IE841263L (en) 1984-12-08
DE3420961C2 (ko) 1989-09-21
US4503997A (en) 1985-03-12
AU555266B2 (en) 1986-09-18
BE899863A (fr) 1984-10-01
DK274584D0 (da) 1984-06-01
GB2141185A (en) 1984-12-12
DK274584A (da) 1984-12-09
GR81573B (ko) 1984-12-11
DE3420961A1 (de) 1984-12-13
DK162489C (da) 1992-03-30
IT1178396B (it) 1987-09-09
NL8401809A (nl) 1985-01-02
FR2547363A1 (fr) 1984-12-14
KR850000280A (ko) 1985-02-26
IT8448337A0 (it) 1984-06-07
AU2893184A (en) 1984-12-13
FR2547363B1 (fr) 1989-07-21
LU85398A1 (fr) 1984-11-30
GB2141185B (en) 1986-12-17
GB8414173D0 (en) 1984-07-11
JPS6013667A (ja) 1985-01-24
CA1230867A (en) 1987-12-29
IE55566B1 (en) 1990-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196B1 (ko) 압력 축적형 투사 펌프
US5518377A (en) Vertical metering pump having piston biasing elastomeric gasket
US4402432A (en) Leak-proof dispensing pump
US5458289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with reduced clogging
JP3372166B2 (ja) 前圧縮ポンプ型スプレー
US4051983A (en) Pump sprayer
JP3679977B2 (ja) トリガー作動ポンプ式噴霧器およびその排出弁アセンブリー
US4596344A (en) Manually actuated dispenser
RU2243146C2 (ru) Двухпружинный насо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сжатия с признаком заливки
JPS6027470Y2 (ja) ポンプデイスペンサ
US5850948A (en) Finger-operable pump with piston biasing post
JPH05192613A (ja) 液体ポンプ分与器
US4494680A (en) Manually operated dispensing pump
US4692103A (en) Precise output pump sprayer
US5277341A (en) Device for spraying a fluid by means of a pump that is actuated repeatedly by a solenoid
EP1161387B1 (en) Atomizing pump spray
US5323933A (en) Atomizer micorpump for liquids
GB1453014A (en) Dispensing unit for liquid
EP0689876A1 (en) Pump sprayer with stationary discharge
KR20030020286A (ko) 수동 펌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