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122B1 - 영상신호 기록방식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기록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122B1
KR870001122B1 KR1019840001628A KR840001628A KR870001122B1 KR 870001122 B1 KR870001122 B1 KR 870001122B1 KR 1019840001628 A KR1019840001628 A KR 1019840001628A KR 840001628 A KR840001628 A KR 840001628A KR 870001122 B1 KR870001122 B1 KR 87000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e
frequency
circuit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252A (ko
Inventor
유따까 이찌노이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기록방식
제1도 및 제3도는 각각 본 발명 방식의 각 실시예와 그 재생계를 가리키는 블럭계통도.
제2a도 및 제2b도는 표준방식의 칼라 영상 신호 파형과 시분할 다중신호의 일예를 가리키는 파형도.
제4도는 제3도의 블럭계통중의 비선형 증폭회로의 일예를 가리키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분할 다중신호 입력단자 18 : FM복조회로
3,29 : FM변조기 21 : 2H 지연회로
5,7,16,17 : 주파수 변환기 22 : 기산회로
6,8 : 국부발진회로 26 : 차전위발생회로
10,11 : 자기헤드 28 : 스윗칭펄스 발생회로
12 : 자기테이프 29 : 전위차 보정회로
14 : 스위치회로 30 : 비선형 증폭회로
본 발명은 영상신호 기록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도신호 및 선순차색차신호를 시분할 다중하여, 이 시분할 다중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기록매체상의 트랙에, 트랙간의 가드밴드를 작게 또는 가드밴드 없이 기록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영상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이것에 의하여 얻어진 피주파수 변조파인 FM 영상 신호를 예를들면, 자기 기록매체에 트랙을 형성하여 기록함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트랙은 서로 아지머스각도가 상이한 헤드에 의하여 기록형성함에 의하여, 재생시는 아지머스 손실효과를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트랙간에 가드밴드를 작게 또는 가드밴드 없이 기록하여 기록매체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 아지머스 기록 재생방식에 있어서,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대폭 저감할 수 있는 것은, FM 영상 신호가 아지머스 손실 효과가 큰 고주파수 영역을 점유하는 것과 같은 기록대역에 선정하는 외에, 각 트랙의 수평동기 신호기록위치가 트랙폭 방향상 정열하도록(소위 H정열) 기록하여 필드상관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FM 파에노이즈가 혼입한 경우에 복조신호에 나타나는 노이즈는, 삼각노이즈로서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이, 캐리어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의 노이즈만큼 억압효과는 크고, 노이즈가 캐리어 주파수로부터 떨어지는 것만큼 비례적으로 억압효과가 작게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의 H정열하지 않은 트랙패턴의 기록매체 재생시에는, 재생해야 할 트랙의 재생신호와 그 인접트랙으로 부터의 크로스토크 성분과의 사이의 라인상관이 없어지고, 재생 FM 영상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와 크로스토크 성분의 캐리어 주파수는 일반으로 접하지 않고 있고, FM 파의 최대주파수편이 분만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이것에 의하여 복조신호에 나타나는 크로스토크에 의한 노이즈레벨을 작게 억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H정열되어 있지 않은 FM 영상신호의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경우는, 인접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는 아지머스 손실 효과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크로스토크에 의한 비트 방해에 의하여 화면이 보기 흉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는 인접하는 트랙간의 FM 캐리어 주파수를 수평주사주파수의 1/2의 기수배만 상이하게 하여, 인접트랙으로부터 혼입하는 크로스토크에 의한 비트방해를 시각적으로 경감하는, 소위 FM 캐리어 인터리브라고 하는 방법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이 방법은 영상신호에 라인상관이 있음에 의하여 재생해야 할 트랙으로부터의 재생 FM 영상신호와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 성분의 양 FM 캐리어 주파수를 수평주사 주파수의 1/2의 기수 배만 다르게 하면, 크로스토크 성분에 의한 비트의 위상이 1수평주사기간(1H)마다 반전한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비트방해를 시각적으로 보기 힘들게 하는 방법이다.
한편, 근년의 반도체기술, 정밀가공기술, 소형부품기술 등의 비약적인 진보발전도 있고, 기록 재생장치의 화질의 고품위화나 장치의 소형경량화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어왔다. 장치의 소형경량화를 위하여서는 카세트 규격 및 드럼직경의 축소화가 크게 영향을 미치고, 소형 카세트에 소요의 기록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테이트 주행속도를 느리게 할 필요가 있고, 이와같은 소형경량화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고품위의 화질을 얻기 위하여 각종의 기록 재생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그 중의 하나로서 반송색 신호를 FM 복조하여 얻은 2종의 색차신호를 시간축 압축함과 동시에 휘도신호도 시간축 압축하여 이들 신호를 시분할다중하여, 이 시분할다중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서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재생시는 기록시와는 역의 신호처리를 행하여 원 표준방식에 칼라영상신호의 재생출력을 얻는 구성의 기록재생장치가 있었다(예를들면, 특개소 제53-5926호 공보 참조).
이 기록재생장치는,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의 양대역의 상위를 감안하여, 대역이 좁은편의 신호인 색차신호쪽을 수평귀선 소거기간내에서 전송할 수가 있겠금, 1H 기간내에서 전송되는 하나의 색차신호를 1H기간의 약 20%의 기간에 시간축 압축하고 또 대역이용을 등의 점으로부터 유리토록 휘도신호에 대해서는 시간축 압축 색차신호와 같은 정도의 대역을 점하겠금 1H기간의 약 80%의 기간에 시간축 압축하여 전송하고, 다시 두개의 색채신호에 대해서는 1H 마다 번갈아 전송하는 선순차신호로서 시분할다중하고, 이 신호를 FM 변조기에 공급하여, 이 FM 변조기의 출력신호를 자기테이프 등에 기록하고, 재생시는 기록시와는 역의 신호처리를 행하여서 재생칼라 영상신호를 얻는 기록재생방식(이하, 이것을 타임플랙스 방식이라고 불르기로 함)에 기인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시분할다중신호를 전송하는 타임플렉스 방식에 의하면, 휘도신호와 색차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는 기간은 존재치 않기 때문에, NTSC 방식과 PAL 방식 칼라 영상신호와 같이 휘도신호와 반송색 신호를 각각 공용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일이 있는 휘도신호와 색차신호 사이에서의 상호간섭과 모아레를 발생하는 일은 없고, 또 타임플렉스 방식에 있어서의 상기의 시간축 압축 휘도신호 및 시간축 압축 색차신호는 공히 저 주파수 대역에서는 에너지가 크고, 고주파수 대역에서 에너지가 작게 되는 에너지 분포를 가지게 되고, 주파수 변조에 적합한 신호형태이기 때문에, 변조지수를 크게 잡을 수 있어서 S/N 비를 대폭 개선할 수가 있고, 또 더우기 전송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의 타임플렉스 방식에 기인하는 시분할 다중신호는 선순차색신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라인상관이 없고,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트랙의 FM 캐리어 주파수를 수평주사주파수의 1/2의 기수배만 상이하게 하는 상기 FM 캐리어 인터리브의 수법을 그대로 적용하여도, 인접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에 의한 비트 방해를 시각적으로 경감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타임플렉스 방식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트랙의 FM 캐리어 주파수를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의 기수배만 달리함에 있어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영상신호 기록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종의 시간축 압축 색차 신호가 1수평 주사기간내에 하나의 이 시간축 압축색차신호가 수평동기신호와 시간축 압축된 1수평주사 기간분의 휘도 신호 또는 비시간축 압축 휘도신호에 각각 시분할 다중된 시분할다중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이 주파수 변조된 시분할 다중신호를 1필드의 지연수배의 기간을 단위로 하여 기록매체에 트랙을 형성하여 기록하는 기록방식이고, 이 기록매체상의 서로 인접하는 트랙에 기록되는 상기 주파수 변조된 시분할다중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서로 수평주사 주파수의 1/4의 기수배에 상당하는 주파수만 다르게 하여 기록하겠금 구성한 것이며, 이하 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방식의 제1실시예를 재생계와 함께 가리키는 블럭계통도이다. 동도증, 입력단자(1)에는 상기한 타임플렉스 방식에 의거한 시분할다중신호가 들어온다. 이 시분할다중신호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생성된다. 표준방식(NTSC, PAL 혹은 SELAM 방식)의 칼라영상 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휘도신호는 1H 내의 수평귀선 소거기간을 제거하는 영상기간의 예를들면 80%정도의 기간으로 전송되도록 시간축 압축되고, 다른쪽 반송색신호는 복조되어서 2종의 색차신호(예를들면, R-Y, B-Y)로 된 후 선순차색차신호로 변환되어, 다시 영상기간의 약 20%정도의 기간으로 전송되겠금 시간축 압축된다. 그후, 이들 시간축 압축 휘도신호 및 시간축 압축선 순차색차신호는 별도로 생성된 수평동기신호와 함께 시분할다중된다. 그리고, 색차신호는 선순차로 전송되기 때문에, 재생계에서 재생색차신호가 2종의 어느편인가를 판별시키기 위한 판별용 버스트 신호(예를들면 1.5MHz 정도의 버스트파)가 수평동기 신호에 2H 주기로서 중첩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표준방식 칼라 영상신호가 제2a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수평주사 기간이 64㎲로서, 영상기간이 52㎲, 필드주파수가 50Hz의 칼라바 신호인 경우는, 상기의 타임플렉스 방식에 의거하는 시분할다중신호는 제2b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은 파형으로 된다. 제2b도에 있어서, (R-Y) C는 시간축 압축된 색차신호(R-Y)를 가리키고, (B-Y) C는 시간축 압축된 색차신호(B-Y)를 가리키고, H,S는 수평동기신호를 가리킨다. 이 시분할다중신호는 2종의 시간축 압축 색차신호(R-Y) C, (B-Y) C가 1H마다 번갈아 전송되고, 또한 1H 내에 하나의 시간축 압축 색차 신호(R-Y) C 또는 (B-Y) C가 수평동기신호 H,S와 시분할다중된 1H분의 휘도신호와의 시분할다중신호이고, 다시 상기한 이유로부터 판별용 버스트신호가 시간축 압축 색차신호(B-Y) C의 전송라인의 수평동기신호에 중첩되어 있다.
이 시분할다중신호는 제1도에 가리키는 AGC 회로(2)에 공급되어, 여기서 규정레벨로 제어된 후 FM변조기(3) 및 기록회로(4)에 각각 공급된다. 이 FM변조기(3)은 무변조시의 캐리어 주파수 fc로서 AGC 회로(2)로부터의 시분할다중신호를, 캐리어가 시분할다중신호의 싱크립 레벨때의 소정의 제1의 주파수로 부터, 화이트 피크 레벨때의 소정의 제2의 주파수까지의 사이에서 편위하도록 주파수 변조한다. 이 FM 변조기(3)으로부터 빼낸 FM 시분할다중신호는 주파수변환기(5)에 공급되고, 여기서 국부발진회로( 6)로 부터의 제1의 국부발진주파수(fo1)와의 화의 주파수 성분 fc+fo1이 얻어지는 것과 같은 주파수변환 되어진 후, 주파수변환기(7)에 공급되어, 여기서 국부발진회로(8)로부터의 제2의 국부 발진주파수 fo2와의 차의 주파수 성분(fc+fo1)-fo2가 얻어지는 것 같은 주파수변환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의 국부발진주파수 fo1과 제2의 국부발진주파수 fo2와는 그들 차의 주파수 fo1-fo2가 입력시 분할다중신호의 수평주사주파수fH(제2B도의 예에서는 15.625KHz)의 1/4의 기수배의 주파수로 되도록 선저되어 있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기(7)로부터 빼낸 FM 시분할다중신호는 그 캐리어 주파수가 FM변조기(3)의 출력 FM 시분할 다중신호의 그것에 비하여 수평 주사주파수 fH의 1/4의 기수배의 주파수(fo1-fo2)만 달리한 신호로 변환되는 것이 되고, 차단의 기록회로(9)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주파수 변환기를 (5),(7)로 가리키는 것과 같이 2단종속 접속한 것은, 서로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의 기수배만 달리한 두개의 캐리어 주파수가 근접하고 있는 경우, 가령 1단의 주파수 변환기뿐만으로 주파수 변환을 하면, 입력 FM 시분할다중신호와 국부발진주파수가 근접하고 있고, 소요캐리어 주파수의 FM 시분할다중 신호를 필터회로로서 분리여파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리적으로는 국부발진 주파수 (fo1-fo2)를 단일의 주파수 변환기에 공급하여 소요캐리어 주파수의 FM 시분할다중신호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회로(4)로부터 증폭등의 신호처리를 받아서 빼내어진 캐리어 주파수 fc의 제1의 FM 시분할다중신호는 자기헤드(10)에 공급되어, 또 기록회로(9)로부터 빼낸, 캐리어 주파수 fc와는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배의 주파수만 달리한 캐리어 주파수의 제2의 FM시분할다중신호는 자기헤드(11)에 공급된다. 여기서 자기헤드 (10) 및 (11 )는 회전드럼 또는 상하의 고정실린더에 끼어져서 회전하는 헤드디스크등의 회전체에 180°의 각도 간격으로 부착되고 있고, 또 그들의 아지머스 각도를 서로 달리하겠금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회전체에 180°강의 각도범위에 걸쳐 감겨 돌아가게 되어서 일정속도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12)상을 번갈아 1필드의 자연수배(여기서는 일예로서 일배로 한다)의 주기로 접동주사 한다(실제로는 약간의 오버랩 주사기간이 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것에 의하여 자기테이프(12)상에는 주지하고 있는 바와같이, 테이프 장수방향에 대하여 경사한 비디오트랙이, 가드밴드 없이, 또는 가드밴드가 매우 작게 되도록 하여서 순차로 기록형성되고 또 한개의 비디오 트랙에는 1필드분의 FM 시분할다중신호가 기록된다. 또 자기테이프(12)상의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비디오 트랙의 한쪽에는 자기헤드(10)에 의하여 제1의 FM 시분할다중신호가 기록되어 있고, 다른쪽의 트랙에는 자기헤드(11)에 의하여 제2의 FM 시분할다중신호가 기록되고 있고, 따라서 양트랙의 FM 캐리어 주파수는, 서로 수평주사 주파수(fH)의 1/4의 기수배만 달리 하겠금 하여서 기록되고 있다.
이상이 본 발명 방식의 제1실시예로서, 다음에 상기와 같이 기록된 자기테이프 (12)의 재생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자기헤드(10)에 의하여 재생된 상기 제1의 FM 시분할다중신호는 재생증폭기(13)에서 소요레벨로 증폭된 후 스위치 회로(14)에 공급된다, 한편 자기헤드(11)에 의하여 재생된 상기 제2의 FM 시분할다중신호는 재생증폭기(15)를 통하여 주파수변환기(16)에 공급되어, 여기서 국부발진회로(8)로 부터의 제2의 국부발진주파수 fo2와의 화의 주파수 성분이 얻어지는 것과 같은 주파수 변환이 행하여 진다. 이것에 의하여 주파수 변환기(16)로 부터 빼내는 재생 FM 시분할 다중신호는, 캐리어 주파수가(fc+fo1)로 되고, 다시 차단의 주파수 변환기(17)로서 국부발진회로(6)로 부터의 제1의 국부발진 주파수 fo1과의 차의 주파수성분이 얻어지는 것과 같은 주파수 변환이 해하여짐에 의하여 주파수 변환기(17)로 부터 캐리어 주파수 fc의 재생시분할 다중신호로서 빼내어진다.
스위치회로(14)는 재생증폭기(13)로 부터의 주파수 fc의 재생시분할 다중신호와, 주파수 변환기(14)로 부터의 캐리어 주파수 fc의 재생시분할 다중신호를 각각 1트랙 주사기간마다 번갈아 전환하여 하나의 연속한 재생시분할 다중신호로서 FM 복조회로(18)에 출력하고, 여기서 FM 복조하여 먼저의 제2b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은 파형의 재생시분할 다중신호를 얻는다. 이 재생시분할 다중신호는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배의 주파수성분(fo1-fo2)을 제거하기 위하여 우선 저역필터(19)와 고역필터(20)에 각각 공급되어, 여기서 대역이 저역과 고역으로 분할되게 된다. 고역필터(20)에서 빼낸 상기 주파수(fo1-fo2)를 포함하는 고주파수 신호는 2H 지연회로(21)를 통하여 가산회로(22 )에 공급하는 한편, 직접 가산회로(22)에 공급된다. 이 2H 지연회로(21)를와 가산회로 (22)는 빗형 필터를 구성하고 있고, 고역필터(20)로 부터 빼낸 고주파수 신호중의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의 기수배의 주파수 성분은, 2H마다 위상이 180°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가산회로(22)로 부터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의 기수배의 주파수 성분(fo1-fo2)이 해소된 고주파수 신호가 빼내어진다. 가산회로(22)로 부터 상기 주파수 성분 (fo1-fo2)이 제거되어서 빼내어진 고주파수 신호와, 저역필터(19)로 부터의 저주파수 성분은 합성회로(23)에 공급되어, 여기서 합성되어서 불필요 주파수 성분(fo1-fo2)이 해소된 재생시분할 다중신호로 되어, 다시 영상신호 출력회로(24), 출력단자(25)를 경우하여 시간축 신장회로(도시치 않음)에 공급되어, 여기서 각기 먼저의 시간축에 신장되어서 재생휘도 신호 및 재생선순차색차 신호로 변환된다. 재생선 순차색신호는 다시 소망의 표준방식의 반송색 신호의 신호형태로 되겠금 인코드된 후, 상기의 재생휘도 신호와 다중되어서 예를들면 제2A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은 파형의 재생 표준방식 칼라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나서 모니터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되어서 칼라 화상이 표시된다.
그런데, 스위치회로(14)로 부터의 재생 FM 시분할다중 신호중에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 성분이 아지머스 손실 효과에 의하여 저감되어서 들어가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시분할다중 신호는 상기한 것과 같이, 2종의 색차신호가 시간축 압축되어서 선순차로서 전송되기 때문에, 라인상관은 없고, 2H마다의 상관이 있다. 따라서 상관의 주기는 1/fH가 아니고 2/fH로 된다.
한편, 서로 인접하는 트랙의 FM 캐리어 주파수의 차는 상기 한 바와같이, fH/4의 기수배이고, 따라서 상기 크로스토크 성분을 2라인마다 위상이 반전하게 되고, 크로스토크에 의한 비트방해(노이즈)를 시각상 경감할 수가 있다. 이 크로스토크 성분의 시각상의 경감효과는 재생시분할 다중신호 중의 휘도신호부분은 물론이고, 색차신호(R-Y),(B-Y)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도 2라인마다 크로스토크 성분에 의한 비트는 오프세트 관계로 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 성분의 시각적 경감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 방식에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3도는 본 발명 방식의 제2실시예와 그 재생계의 블럭계통도를 가리킨다. 동 그림중 제1도와 동일구성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있어서, AGC 회로로부터 빼낸 시분할 다중신호는 차전위 발생회로(26)에 공급된다. 한편, 입력단자(27)에 들어온 자기헤드(10),(11)의 회전위상에 동기한 펄스에 기인하여 스윗칭펄스 발생회로(28)로 부터 2트랙 주사주기의 구형파가, 스윗칭펄스로서 차전위 발생회로(26)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입력 시분할다중 신호는 1트랙주사주기 걸러마다 일정 전위가 부가되어서 차전위 발생회로(26)로 부터 빼내어서 FM 변조기(29)에 공급된다. 차전위 발생회로(26)의 출력시분할 다중신호는 예를들면 그 싱크팁레벨이 상기 1트랙주사기간(예를들면 1필드)마다 상기 일정 전위만 번갈아 상하로 시프트 되어서, 서로 인접하는 1필드간에서는 이 일정전위만 단차가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 일정전위는 FM 변조기(29)의 출력 FM 시분할다중 신호중의 싱크팁레벨에 상당하는 FM 캐리어 주파수가, 서로 인접하는 1필드간에 있어서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의 기수배의 주파수만 달리하는 것과 같은 치로 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FM 변조기(29)로 부터는 FM 캐리어 주파수가 fc인 제1의 FM 시분할 다중신호와, 제1의 FM 시분할다중신호의 FM 캐리어 주파수는 fH/4의 기수배의 주파수만 다른 FM 캐리어 주파수의 제2의 FM 시분할 다중신호가 1트랙 주사주기 (여기서는 1필드주기)로 번갈아 빼내어, 기록회로(4) 및 (9)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12)상의 서로 인접하는 비디오 트랙의 FM 시분할 다중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는 서로 fH/4의 기수배의 주파수만 달리하여 기록되고 있다.
이어서, 재생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건대, 제3도에 었어서 FM 복조회로 (18)로 부터 빼내는 재생시분할 다중신호는 그 싱크팁레벨이 1필드마다 일정 전위만 번갈아 상하로 시프트된 신호이기 때문에, 전위차 보정회로(29)에 의하여 스윗칭펄스 발생회로(28)로 부터의 2필드주기의 스윗칭펄그(구형파)에 응하여 상기의 전위차가 해소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위차 보정회로(29)로 부터 싱크팁레벨이 늘 일정의 전압에 고정된 재생시분할 다중신호가 빼내어져 저역필터(19)및 고역필터 (20)에 각각 공급된다.
비선형 증폭회로(30)은 제4도에 가리키는 바와같이 고역필터(20)의 출력신호가 베이스에 공급되는 초단의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은 다이오드(D1) 및 (D2)가 서로 역방향으로 병렬접속되어 있고, 다시 가변저항기 VR을 통하여 출력단의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다이오드(D1)(D2)를 통과하는 신호레벨이 작은 경우는 고저항치를 가리키고, 큰 경우는 저저항치를 가리키어, 신호레벨의 대소에 따라 감쇠량을 달리하게 하는 회로이다. 한편, 크로스토크로서 인접 트랙으로부터 재생시분할 다중신호에 혼입하는 fH/4의 기수배의 불필요주파수 성분은, 자기헤드(10),(11)의 비디오 트랙에 대한 트랙 어긋남에 대강 비례하여 증대하고, 트랙 어긋남의 최대량을 10%로 하면, 이 불요주파수 성분은, -20dB이하로 된다.
그래서, 이 비선형 증폭회로(30)의 특성을 -20dB 이하의 신호에 대해서는 감쇠량을 크게, -20dB 이상의 신호에 대해서는 감소량을 작게 하겠금 설계함에 따라서, 상기의 불요주파수 성분을 제거할 수가 있다. 단 -20dB 이상의 신호에 이 불요주파수 성분이 중첩하고 있을 때에는, 이 불요주파수 성분은 완전히는 제거할 수 없지만 불요주파수 성분의 존재는 시각상에서는 하등의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비선형 증폭회로(30)의 제4도의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로부터 빼낸 고주파수 신호는 합성회로(23)에 공급되어, 여기서 저역필터(19)로 부터의 저주파수 신호와 합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제1실시예와 똑같이 하여 인접 트랜으로부터 재생시 분할다중신호 중에 혼입하는 크로스토크에 의한 비트방해를 시각상 경감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양실시예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입력시 분할다중신호 중의 휘도신호는 색차신호의 시간축 압축비를 크게함에 따라서 시간축 압축되어 있지 않고, 또는 영상기간의 예를들면 약 80%의 신호부분의 전송이 차단된 것과 같은 비시간축 압축휘도 신호일지라도 재생화상에 약간의 좋지않은 상태는 발생하지만 적용할 수가 있고, 또 FM 변조기(3),(29)의 발진주파수를 결정하고 있는 소자 혹은 신호를 입력시 분할다중신호의 1트랙주사주기 마다 절환하여 서로 fH/4의 기수배의 주파수만 달리한 2종의 캐리어 주파수를 1트랙주사주기 마다 번갈아 얻겠금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주파수 변환기(5),(7) 국부발진회로 (6),(8) 차전위 발생회로(26)는 불필요하게된다. 또 본 발명 방식과는 직접의 관계는 없지만, 2H 지연회로(21) 및 가산회로 (22)로 이루어지는 빗형 필터대신에 비선형 증폭회로(30)를 사용하여도 좋고, 역으로 비선형 증폭회로(30) 대신에 상기의 빗형 필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술한바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타임플렉스 방식에 기인한 라인상관성이 없는 시분할 다중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할때, 서로 인접하는 트랙의 캐리어 주파수를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1/4배의 기수배만 다르게 하여 기록하였기에, 이 기록매체를 재생하였을시에 재생시 분할다중신호 중에, 인접트랙으로부터 크로스토크로서 재생되어서 혼입하는 FM 시분할 다중신호의 복조성분을 2라인마다 위상반전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상기 크로스토크에 의한 비트방해를 휘도신호, 색차신호 어느 경우라도 시각상 경감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2종의 시간축 압축 색차신호가 1수평주사 기간마다 번갈아 전송되고, 또한 1수평주사 가간내에 하나의 이 시간축 압축 색차신호가 수평동기 신호와 시간축 압축된 1수평주사 기간분의 휘도신호 또는 비시간축 압축 휘도신호로 각각 시분할 다중된 시분할 다중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이 주파수 변조된 시분할 다중신호를 1필드의 지연수배의 기간을 단위로하여 기록매체에 트랙을 형성하여 기록하는 기록방식이고, 이 기록매체상의 서로 인접하는 트랙에 기록되는 이 주파수 변조된 시분할 다중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서로 수평주사 주파수의 1/4의 기부배에 상당하는 주파수만 다르게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방식.
KR1019840001628A 1983-03-31 1984-03-29 영상신호 기록방식 KR870001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415 1983-03-31
JP58056415A JPS59182693A (ja) 1983-03-31 1983-03-31 映像信号記録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252A KR840008252A (ko) 1984-12-13
KR870001122B1 true KR870001122B1 (ko) 1987-06-08

Family

ID=1302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628A KR870001122B1 (ko) 1983-03-31 1984-03-29 영상신호 기록방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S59182693A (ko)
KR (1) KR870001122B1 (ko)
DE (1) DE3412110A1 (ko)
FR (1) FR2543775B1 (ko)
GB (1) GB2141894B (ko)
NL (1) NL19218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03B1 (ko) * 1988-12-31 199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4546A (en) * 1966-04-25 1969-12-16 Iit Res Inst Color television camera with single scanning beam
JPS5857035B2 (ja) * 1976-03-01 1983-12-17 ソニー株式会社 カラ−映像信号の記録装置
US4220964A (en) * 1977-11-21 1980-09-02 Sony Corporation Secam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4335393A (en) * 1980-04-15 1982-06-15 Harris Video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sequentially encoded color and luminance processing of video type signals to improve picture qu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41894B (en) 1986-08-06
KR840008252A (ko) 1984-12-13
NL192180C (nl) 1997-02-04
GB2141894A (en) 1985-01-03
JPS645515B2 (ko) 1989-01-31
NL8400999A (nl) 1984-10-16
DE3412110A1 (de) 1984-10-11
JPS59182693A (ja) 1984-10-17
NL192180B (nl) 1996-10-01
FR2543775B1 (fr) 1989-05-19
FR2543775A1 (fr) 1984-10-05
GB8407489D0 (en) 198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884B1 (ko) 칼라 영상신호 재생장치의 클럭펄스 발생회로
US3717725A (en) Television signal recording system with color information recorded on a low frequency carrier at reduced amplitude with respect to the luminance information
JPH0134516B2 (ko)
CA1124835A (en) Secam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4134126A (en) Color recorder having means for reducing luminance crosstalk in displayed image
US4555735A (en) Interconnection system between image pickup device and recording device
US4661863A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0210082A (ja) 画像のクロスト−クの低減装置を備えたビデオレコ−ダ
US4077046A (en) System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 video signal
US4618894A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593327A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KR870001122B1 (ko) 영상신호 기록방식
EP0156731B1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udio and video signals
JPS6015866A (ja) 少なくとも1つの音声信号が記録されるビデオレコ−ダ
JPS59172898A (ja) カラ−映像信号再生装置におけるクロツクパルス発生回路
KR900001450B1 (ko) 기록 재생 장치
GB1569042A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video signals
KR910009771B1 (ko) 칼라 영상 신호 변환 방법
JPH0459831B2 (ko)
JPH0431236B2 (ko)
JPH0792893B2 (ja) 磁気記録方法
JPS59168792A (ja) Secam方式カラ−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S6238917B2 (ko)
JPS6412157B2 (ko)
JPS5832834B2 (ja) 情報信号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