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21Y1 -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21Y1
KR870001021Y1 KR2019840007523U KR840007523U KR870001021Y1 KR 870001021 Y1 KR870001021 Y1 KR 870001021Y1 KR 2019840007523 U KR2019840007523 U KR 2019840007523U KR 840007523 U KR840007523 U KR 840007523U KR 870001021 Y1 KR870001021 Y1 KR 870001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ignal
control device
switching means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580U (ko
Inventor
마사미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9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6Control devices non-automatic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단상려자에 의한 모오터의 토오크 특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의정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1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운전지령 제어회로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고안방식의 권동식 엘리베이터를 하물의 양중에 이용하였을 때의 예를 도시한 회로도.
본 고안은 권동식(卷胴式)엘리베이터(elevator)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단상려자(單相勵磁)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하강운전시킬 때, 모오터(motor)의 로우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사이에 작동하는 정지도오크(torque)에 의해서 모오터가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권동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그 하강운전시는 모오터를 단상려자하는 것에 의해, 바구니형 운반체를 운전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일반으로 모오터를 단상려자하였을 때의 토오크특성은, 제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모오터가 일단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이에 따라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토오크가 발생하지만, 로우터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모오터를 단상려자하였을 때에는, 스테이터의 교번자계(交番磁界)와 이에 의한 로우터전류와의 상호작용으로 스테이터와 로우터 사이에 흡인력(吸引力)이 작용해서, 로우터가 정, 역 어느쪽으로 회전할려고 하는 힘에 대항해서 정지할려고 하는 정지토오크가 발생한다.
한편, 권동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brake)가 개방된 후, 바구니형 운반체의 자중에 의해 모오터를 회전시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권상기(卷上機)의 축수부분등의 마찰, 바구니형 운반체와 가이드 레일(guide rail)사이의 마찰력 등은, 정지시에 특히 크기 때문에, 바구니형 운반체측 중량이 가벼운 때는, 상기 마찰력과 모오터의 정지토오크에 의해서, 모오터가 단상려자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지한 그대로 되어 버린다.
또, 권동식 엘리베이터에서는 바구니형 훈반체를 부착하기 전에 하물의 양강(楊降)으로 사용할 때가 있고 이때에 있어서도, 로우프(rope) 및 그 앞의 후크(hook)를 내릴 때, 모오터를 단상려자하고 있으면, 로우프로 인장(引張)하는데 매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현실적으로 하물의 양중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또, 로우프로 후크를 인장하고 나서 단장려자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조작이 복잡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하강운전시는 부레이크를 개방한 후, 모오터의 회전이 소정치 이상으로 된 다음에, 모오터에 단상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에 의해, 모오터가 정지토오크로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권동식 제어장치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 1은 3상유도(相誘導)모오터(이하 모오터라 한다)이고, 이 모오터 1은 3상 전원 2에 접속되어 있고 동시에, 모오터 1과 3상 전원 2를 연결하는 각 R, S, T상의 각 선에는 콘택터(contactor) 3의 접점 3a, 3b, 3c가 직렬로 접속되고, 또 R, S상의 각선에는 쌍방향성의 사이리스터(thyristor) 4a, 4b가 직열로 접속되고, 그리고 사이러스터 4a의 게이트(gate)와 R상 상이는 다음에 기술하는 릴레이(realy) A의 상개접점(常開接點) Aa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5는 정류기이고, 그 입력단은 콘택터접점 6a, 6b를 거쳐서 상기 콘택터접점 3b, 3c의 전원측의 S, T상선에 접속되며, 또 그 직류출력단은 콘택터접점 7a, 7b를 거쳐서 콘택터접점 3b, 3c의 모오터 1측선에 접속되어 있다.
또, 8은 상기 모오터 1에 직결한 로우프를 감는 드럼(drum), 9는 모오터 1과 로우프를 감는 드럼 8의 직결부 사이에 마련한 부레이크(brake)장치로, 이것을 개방상태로 동작하는 려자코일(coil) 9a를 구비하고, 이 려자코일 9a는 콘택터 10의 접점 10a를 거쳐서 직류전원 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드럼 8에는 로우프 12에 감기어 있고, 이 로우프 12의 수하단(垂下端)에는 바구니형 운반체 13이 연결되어 있다. 14는 모오터 7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이다.
제3도는, 상기 원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상승 및 하강운전지령 제어회로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승운전지령신호 UP 및 하강운전지령신호 DN를 2입력으로 하는 OR게이트 20을 구비하고, 이 OR게이트 20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 21의 베이스(base)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 21의 콜랙터(collector)와 전원V사이에는 상기 콘택터 3과 상기 콘택터 10의 병열회로가 직열로 접속되어 있다. 또 22는 속도패턴(patterm) 발생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하강속도 설정신호VT와 상기 속도검출기14로부터의 속도신호VS와를 비교하는 비교기로, 이 비교기 22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하강운전지령신호 DN는 AND게이트 23에 가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또 AND게이트 23의 논리적(論理積)출력신호와 상기 상승운전지령신호 UP는 OR게이트 24에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OR게이트 24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 25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이 트랜지스터 25의 콜랙터와 전원V사이에는 상기 릴레이A가 직열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권동식 엘리베이터를 상승방향으로 일정속도로 운전할 때는, 상승운전지령UP가 발생하면, OR게이트 20, 24가 동작하여, 트랜지스터 21, 25를 도통시킨다. 이 때문에 콘택터 3, 10 및 릴레이A가 픽업(pick-up)되어, 릴레이접점Aa가 폐성(閉成)에 의해 사이리스터 4a가 전부점호(點弧)됨과 동시에, 콘택터접점 10a가 폐성에 의해 려자코일 9a가 려자해서 부레이크장치 9가 개방된다. 그리고 사이리스터 4b의 점호각을 서서히 크게 해서 최종적으로 점호시키도록 하면, 모오터 1은 그 회전속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3상력행(相力行)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바구니형 운반체 13을 상승시킨다. 이 상승운전중 감속제어할 때에는, 콘택터 3을 드롭 아웃터(dop-out)해서 그 접점 3a~3c를 열고, 콘택터접점 6a, 6b 및 7a, 7b를 폐성시켜 정류기 5를 통해, 모오터 1에 직류전류를 공급하고, 그리고 사이리스터 4b의 도통각을 제어함으로서, 가변 제어된 제동토오크를 발생시켜, 모오터 1을 감속시켜서 비구니형운반체 13을 목적하는 층에 착상시킨다.
또, 권동식 엘리베이터를 하강방향으로 일정속도로 운전시킬 때는, 사이리스터 4b를 불도통으로 하고, 사이리스터 4a만을 도통시키지만, 이때는 우선 브레이크를 열고, 모오터 1이 바구니형 운반체자중에 의해 소정의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에 사이리스터 4a를 점호시킨다.
즉, 하강운전할 때 하강운전지령신호 DN이 발생하면, OR게이트 20이 동작하여, 트랜지스터 21이 도통한다. 이로 인해, 콘택터 3 및 10이 픽업하여 각각의 접점 3a~3c 및 10a를 폐성하여, 접점 10a가 폐성으로 려자코일 9a를 려자해서 브레이크장치 9를 개방한다. 이때, 사이리스터 4a는 도통하지 않고, 또한 사이리스터 4b는 하강방향의 가속, 일정속도시에 불도통이 그대로이기 때문에, 모오터 1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브레이크가 개방되면 모오터 1은 운반물의 자중에 의해서 회전을 시작한다. 그리고 모오터 1의 회전속도, 즉 속도검출기 14로 검출되는 속도신호 Vs가 하강속도설정신호 VT이상이 되면, 비교기 22의 출력신호가 「H」로 되고, 이 「H」출력과 하강운전신호 DN에 의해서 AND게이트 23이 동작하고, 여기에서 출력되는 「H」신호는 OR게이트 24를 통해서 브랜지스터 25에 가해져서 트랜지스터 25를 도통시킨다.
이 때문에 릴레이A가 픽업하여 그 접점 Aa를 폐성하므로, 사이리스터 4a를 도통시킨다. 사이리스터 4a가 도통하면, 모오터 1은 단상려자되여 단상토오크가 발생한다. 이때 모오터 1은 바구니형 운반체의 자중에 의해 회전된 후에 단상려자되기 때문에 그 단상려자에 따라서 정지토오크가 발생하여도 정지되는 일없이 바구니형 운반체 13은 하강된다.
제4도는 권동식 엘리베이터를 하물의 양강에 이용할 때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로우프 12의 수하단에 후크 15를 연결하고, 이 후크 15에는 로우프 16이 걸려져 있다. 그리고 제2도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강방향의 운전지령을 리모오트 스위치(remote switch)에 의해 발생시키면, 제2도인 때와 마찬가지로 콘택터 3 및 10이 픽업되고, 그 접점 10a가 폐성에 의하여 려자코일 9a를 려자해서, 브레이크장치 9를 개방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로우프 16를 거쳐서 로우프 12를 아래쪽으로 잡어당기면, 모오터 1이 회전되고, 그리고 모오터 1의 회전속도가 설정치 VT이상으로 되면, 릴레이 A가 픽업되어 사이리스터 4a를 도통해서 모오터 1을 단상운전시켜 드럼 8에서 로우프 12를 용이하게 풀어낼 수가 있다. 그리고 하강운전시의 모오터의 소강속도검출 및 단상운전으로의 절환제어수단은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권동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그 하강운전시는 브레이크를 개방한 후, 모오터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고 나서 모오터에 단상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단상려자에 의해 정지토오크가 발생하여도 모오터가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기 엘리베이터의 하강운전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강운전시 3상모오터(1)를 단상려자해서 바구니형 운반체(13)를 운전하도록 한 권동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모오터의 회전속도(Vs)와 사전에 정해진 설정치(VT)와를 비교하여 모오터의 회전속도가 설정치보다 커지면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22)와 이 비교기로부터의 신호와 하강운전을 지령하는 신호(DN)와를 입력하고 모오터의 회전속도가 설정치보다 크고, 또한 하강운전인 것을 검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이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모오터에 대한 단상전력의 공급을 개시시키는 절환수단(Aa)을 가진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또 운전지령이 발생되면 그것을 검지해서 브레이크(P)를 해방시킬과 동시에, 상기 모오터(1)와 전원(2)를 접속하기 위한 콘택터(3)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가진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승운전이 지령(UP)되었을 때에는, 상기 모오터(1)에 3상전력을 공급하여서 할 동작을 하는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3상전원(2)중의 2상에 제어정류소자(4a, 4b)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점환수단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1개에 대해 모든 점호를 위한 지령을 공급하는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승운전을 지령하는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와 상기 신호발생수단이 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상기 모든 점호지명을 1개의 제어정류소자에 대해 공급하는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6.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하강운전개시시 바구니형 운반체(13)를 그 자증에 의해 주행을 개시하고 상기 제어정류소자(4a, 4b)는 모두 점호되지 않는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7. 청구범위 제6항에 있어서, 하강운전시 상기 제어정류소자(4a, 4b)중 상기 절환수단에서 모든 점호신호를 받지 않는 쪽의 소자는 언제나 불도통으로 유지되는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2019840007523U 1983-08-30 1984-08-02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7000102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58204A JPS6061475A (ja) 1983-08-30 1983-08-30 巻胴式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158204 198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580U KR850009580U (ko) 1985-12-05
KR870001021Y1 true KR870001021Y1 (ko) 1987-03-20

Family

ID=1566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523U KR870001021Y1 (ko) 1983-08-30 1984-08-02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S6061475A (ko)
KR (1) KR870001021Y1 (ko)
FR (1) FR2551043B1 (ko)
GB (1) GB2149241B (ko)
IN (1) IN160795B (ko)
MX (1) MX1559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5408B (en) * 1984-10-03 1988-09-21 Smith Ind Plc Moto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2007326450A (ja) * 2006-06-07 2007-12-20 Mazd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自動車
JP2007326449A (ja) * 2006-06-07 2007-12-20 Mazd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自動車
CN108429232A (zh) * 2018-05-14 2018-08-21 兖州煤业股份有限公司 主井提升机保护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1044A (en) * 1975-05-09 1976-11-15 Hitachi Ltd Ac elevator control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580U (ko) 1985-12-05
GB2149241B (en) 1987-04-15
FR2551043A1 (fr) 1985-03-01
GB2149241A (en) 1985-06-05
JPS6061475A (ja) 1985-04-09
FR2551043B1 (fr) 1988-10-14
MX155936A (es) 1988-05-24
IN160795B (ko) 1987-08-08
GB8421252D0 (en) 198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197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manual drive in an elevator after mains power-off
US8960371B2 (en) Gravity driven start phase in power limited elevator rescue operation
JP498654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6094024A (en) Dynamic braking system for a motorized lifting mechanism
JP2000211838A (ja) 停電時のエレベ―タ救出運転制御方法
US4094385A (en) Levelling apparatus for AC elevator
US4337846A (en) Elevator relevelling control apparatus
KR870001021Y1 (ko) 권동식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50002102Y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US5457372A (en) Load sensing, soft-brak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2265878A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
JP4295408B2 (ja) クレーンの主巻駆動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S5889570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4391613B2 (ja) 巻上機制御装置
EP1163181A1 (en) Dynamic braking system with speed control for an elevator cab
KR870000562B1 (ko)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JPS5940747B2 (ja) バケツトクレ−ンの速度制御装置
JPH0650640Y2 (ja) シャッターの自重降下装置
JP200324656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800000913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 착상장치(自動着床裝置)
US1197835A (en) Alternating-current hoist.
JPH0347075B2 (ko)
US1127364A (en) Furnace-hoist.
JPH04275082A (ja) 巻上機の制御装置
KR820001652Y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