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738B1 -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738B1
KR870000738B1 KR1019840004586A KR840004586A KR870000738B1 KR 870000738 B1 KR870000738 B1 KR 870000738B1 KR 1019840004586 A KR1019840004586 A KR 1019840004586A KR 840004586 A KR840004586 A KR 840004586A KR 870000738 B1 KR870000738 B1 KR 870000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phenylserine
benzaldehyde
glycine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728A (ko
Inventor
미따류우이찌
도시오 가또오
죠오지로오 히구찌
아끼히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미쓰이도오 아쓰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오꾸 미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139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327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4652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9395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도오 아쓰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오꾸 미쯔오 filed Critical 미쓰이도오 아쓰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from compounds containing already amino and carboxyl groups or derivatives thereof
    • C07C227/16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from compounds containing already amino and carboxyl groups or derivatives thereof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amino or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27/44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3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3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at least one amino group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β-페닐세린류는 생물학적 활성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β-페닐알라닌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로서 유용한 일종의 α-아미노산이다.
β-페닐알라닌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공지방법이 있다. 이를테면, 글리신의 구리복합체를 벤즈알데히드와 반응시키는 방법 (1)(예를들면, 서독 특허 제 960,722호)이 있다. 그러나, 구리염을 사용하면 오염문제가 야기되고 폐수처리가 곤란하게 된다. 더우기,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수율이 낮은 결함이 있다. 또 다른 공지의 방법으로서는 알카리 존재하에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킨 다음, 생성물을 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된 β-페닐세린의 제법(2)이 있다. 이를테면, 케네스 엔·에프·쇼오와 시드니 더블유·폭스가 지은 “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75, 3419 (1953)”에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중에서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킨 다음 생성물을 염산으로 처리함으로써 70%의 수율로 β-페닐세린을 얻는 것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심각한 문제를 갖고 있다. 상기 인용문헌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리신과 벤즈 알데히드와의 반응 생성물인 N-벤질리덴 -β-페닐세린의 나트륨염이 일시적으로 침전되며 반응 혼합물은 전체적으로 고화된다. 그결과,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으로 교반할 수 없게 된다. 하기 반응식(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반응 구조에 따라, 먼저 글리신 1몰은 벤즈알데히드 1몰과 축합되어 N-벤질리덴-β-페닐세린을 형성한다. N-벤질리덴-β-페닐세린을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원하는 β-페닐세린이 형성된다.
Figure kpo00001
따라서, 상기 반응에서는 글리신 1몰당 벤즈알데히드 2몰이 필요하고, 중간생성물 N-벤질리덴-β-페닐세린을 처리하는 단계에서 벤즈알데히드 1몰이 형성된다. 종래 방법에서, 생성물(β-페닐세린)로부터 벤즈알데히드를 분리하도록 접착 벤즈알데히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β-페닐세린 결정체를 알콜로 세척한다. 이는 β-페닐세린을 분리한후 남아있는 여액으로부터 벤즈알데히드를 회수하기가 복잡해지는 결함이 있다. β-페닐세린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방법은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고 공업적으로 실시하는데 있어 완전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알카리 존재하에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의 반응시 반응혼합물의 유동성을 증진시키고 그 교반을 매우 온화하게 실시하여 증가된 수율로 β-페닐세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카리 존재하에 글리신을 벤즈알데히드와 반응시키고, 그 생성물을 산으로 처리하고, 이 반응이 물과 소수성유기용매로 구성된 혼합용매중에서 실시되는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또한 상전이촉매 또는 계면활성제,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상기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더좋은 결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상기 공기방법에서의 수용액중 교반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더우기, β-페닐세린과 벤즈알데히드는 무기산염 수용액으로서의 β-페닐세린과 벤즈알데히드를 유기용매에 용해한후 유기층으로부터 수성층을 분리함으로써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리된 유기용매층은 반응에 의해 소비되는 양에 해당하는 벤즈알데히드의 양을 단순히 공급함으로써 용해된 벤즈알데히드를 분리 및 회수하지 않고서도 재순환될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큰 장점이다.
역시, 계면활성제가 반응에 사용될 때, 유기용매층은 용해된 계면활성제를 분리 및 회수하지 않고서도 재순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β-페닐세린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종래 기술문제를 해결할 뿐 만 아니라 유기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와 벤즈알데히드를 효과적으로 재순환 시킬수 있어 높은 수율과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의 공업성 가치가 높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벤즈알데히드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벤즈알데히드이다. 치환된 벤즈알데히드 중 치환제에 예로서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콜시기, 아릴옥시기, 벤질옥시기,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페닐기 및 메틸렌디옥시기가 있다. 치환체의 수와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벤즈알데히드의 특별한 예로는, 벤즈알데히드, o-톨루알데히드, m-톨루알데히드, p-톨루알데히드, P-에틸 벤즈알데히드, o-아니스알데히드, m-아니스알데히드, p-아니스알데히드, 3,4-메틸렌디옥시벤즈알데히드, m-페녹시벤즈알데히드, m-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 p-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 3,4-디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 o-클로로벤즈알데히드, m-클로로벤즈알데히드, p-클로로벤즈알데히드, o-브로모벤즈알데히드, m-브로모벤즈알데히드, p-브로모벤즈알데히드, 2,4-디클로로벤즈알데히드, 3,4-디클로로벤즈알데히드, o-니트로벤즈알데히드, m-니트로벤즈알데히드, p-니트로벤즈알데히드, p-시아노벤즈알데히드와 P-디페닐알데히드가 있다. 사용된 벤즈알데히드의 양은 글리신 1몰당 적어도 2몰이고, 특별한 상한선은 없다. 보통 벤즈알데히드의 양은 글리신 1 몰당 2.0 내지 4.0 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소수성 유기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이고, 수성층 및 유기층을 형성하는 어떠한 소수성 유기용매도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에틸벤젠 같은 탄화수소류 : 염화메틸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로벤젠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1-헵탄올, 2-헵탄올 및 3-헵탄올 같은 알콜류 : 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 같은 에테르류 : 메틸이소부틸 케톤 및 디이소부틸 케톤 같은 케톤류 : 및 초산에스테르 및 인산에스테르 같은 에스테르류가 있다. 이들 화합물은 예증적인 목적으로만 주어진 것이다.
이들 용매는 보통 단독으로 사용되지만, 2이상의 혼합물이 반응에 역효과를 미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유기용매의 양은 반응 온도에서 벤즈알데히드 출발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응 조작과 반응 용량효율면에서 볼 때, 보통은 벤즈알데히드 중량의 0.3 내지 20배, 양호하기로는 0.5 내지 10배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반응은 물과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유기용매로 구성된 혼합용매중에서 실시된다. 혼합물 중 물과 유기용매 사이의 비율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보통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유기용매 20 내지 500 중량부가 사용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글리신 출발물질의 중량에 적어도 2배, 양호하기로는 3 내지 20배이다. 물의 양이 글리신의 중량에 대해 20배를 초과할때, 반응 생성물의 수율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알카리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같은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 수산화물이다. 알카리의 양은 글리신 출발물질 기준으로 이론양 이상, 양호하기로는 적어도 1.2 당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알카리 양에는 상한선이 없다. 그러나, 너무 많은 양의 알카리가 사용되면, 산처리시 사용될 산의 양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보통, 글리신 1 몰당 4 몰 이하가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공정은 물과 소수성 유기용매의 혼합물 중에서 알카리 존재하에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상전이 촉매를 반응계에 첨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반응을 촉진시키고 β-페닐세린의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알카리의 양이 글리신 출발물질 기준으로 1.5당량 이하로 사용될 때, 상전이 촉매를 첨가하면 그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상전이 촉매의 예로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수소 황산염 및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같은 4차 암모늄염 ; 그리고,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우틸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헥사데실트리부틸 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및 에틸트리옥틸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같은 4차 포스포늄 염이 있다. 상전이 촉매의 양은 촉매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전이 촉매의 충분한 양은 글리신 출발물질 100g 당 0.01 내지 2.Og이다.
상전이 촉매 대신에 특정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알카리 존재하의 반응에서 반응 혼합물의 유동성을 증진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매우 부드럽게 교반할 수 있어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더우기, 이와 같이 하면 β-페닐세린의 수율을 증가시킨다. 계면활성제는 알칼리 존재하의 반응 후에 실시되는 반응생성물을 산으로 처리하는 단계에서 수성층과 유기용매층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 음이온, 양이온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특히 유효하다. 특수한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틸 에테르, 소르비탄에스테르, 소르비탄에스테르 에테르 및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가 있다.
보통,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되지만, 2이상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많으면 그 효과가 없어진다. 또, 그 양이 너무 많으면, 반응시 반응혼합물의 교반이 오히려 어려워진다.
보통, 계면활성제의 적당한 양은 글리신 출발물질 기준으로 0.2 내지 20중량%, 양호하기로는 0.5 내지 15중량%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산 처리후, 얻어진 유기용매층을 재사용할 때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기용매에 용해할 수 있으나 물에는 난용성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는 출발물질, 용매 및 기타물질의 공급 순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글리신이 용해된 유기용매, 물 및 알데히드와 선택적으로는 상전이 촉매가 공급되고, 교반과 동시에 고체 또는 수용액으로서의 알카리가 적가되어 반응이 실시된다. 그런가 하면, 글리신을 물과 알카리에 용해한 다음, 벤즈알데히드와 계면활성제의 용액을 유기용매에 적가하여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고체 또는 수용액으로서의 알카리를 글리신, 물, 벤즈알데히드, 유기용매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에 적가하여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응은 0 내지 80℃에서 1 내지 50시간동안, 양호하기로는 10 내지 60℃에서 3 내지 30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N-벤질리덴-β-페닐세린의 알카리금속염 또는 알카리 토금속염이 생성된다. N-벤질리덴기를 가수분해하고 β-페닐세린을 제조하기 위해서 반응생성물은 N-벤질리덴 -β-페닐세린의 알카리 금속염 또는 알카리 토금속염을 분리하지 않고 무기산으로 처리된다. 특히, 무기산은 반응에 사용되는 알카리와 글리신의 총당량과 같거나 그이상의 양으로 반응물에 적가되며, 그 혼합물은 0 내지 80℃, 양호하기로는 10 내지 60℃로 처리된다. 결과적으로, N-벤질리덴-β-페닐세린은 쉽게 가수분해되어 상응하는 β-페닐세린을 얻을 수 있다. 생성물은 과량의 무기산에 의해 수성층에서 무기산염으로서 용해한다. 이때에 사용되는 산은 염산, 황산, 인산 및 붕산같은 무기산이다. 무기산은 형성된 β-페닐세린을 그 무기산염으로 전환하는 데 충분한 양, 즉, 반응에 사용되는 알카리와 글리신의 총당량과 같거나 그 이상의 양으로 사용된다. 동시에, 반응에 의해 소비되지 않는 과량의 벤즈알데히드와 산처리에 의해 N-벤질리덴기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생성된 벤즈알데히드는 유기용매층에 용해한다. 산처리 후 수성층을 유기용매층으로부터 분리시킨다. β-페닐세린의 결정체를 침전하기 위해서 수성층을 수산화나트륨 같은 알카리로 중화한다. 결정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유기용매층은 미반응 벤즈알데히드와 선택적으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유기용매층은 반응에 의해 소비되는 양에 해당하는 벤즈알데히드의 양을 단순히 공급함으로써 이들 물질을 회수하지 않고 재순환될 수 있다.
다음 실시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예증한다.
[실시예 1]
물(400g), 벤즈알데히드 212g 및 톨루엔 120g을 글리신 60g에 첨가하였다. 10 내지 15℃에서 교반하면서, 45% 수산화나트륨 177.8g을 2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온도를 20℃까지 점차적으로 올린 다음 반응을 20 내지 25℃에서 20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반응후 35% 염산 292.0g을 40℃ 이하에서 45분동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정지시킨 후, 저부수성층을 분리한 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였다. β-페닐세린의 생성비는 글리신 기준으로 92.6%이었다. 수성층을 45% 수산화나트륨으로 pH 6까지 중화한 후, 0 내지 5℃까지 냉각한 다음,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고 차가운 물로 세척한 다음 50℃ 및 감압하에서 건조하여 β-페닐세린의 백색결정질 131.4g을 얻었다. 고성능 액체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이 생성물의 순도는 90.5%이었다. 미분열 분석결과 생성물은 결정수 1분자를 가졌다. 생성물의 수율(글리신 기준)은 82.0%이었다.
융점 198 내지 200℃(분해).
C9H13NO4에 대한 원소분석치(%)
C H N
계산치 : 54.26 6.57 7.03
실측치 : 54.18 6.37 7.15
[실시예 2]
벤즈알데히드 89.0g을 실시예 1에서 회수된 벤즈알데히드의 톨루엔용액에 부가적으로 도입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똑같은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β-페닐세린 130.6g을 얻었다.
[실시예 3]
톨루엔 대신 디클로로에탄 200g을 사용하고, 45% 수산화나트륨 대신 50% 수산화칼륨 224g을 사용하고, 반응온도를 30 내지 35℃로 변경하고 반응시간을 18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β-페닐세린 129.5g을 얻었다. 생성물의 순도는 90.9%이었다. 글리신을 기준으로한 수율은 81.2%이었다.
[실시예 4]
글리신 60g과 수산화나트륨 48g을 물 500g에 용해하였다. 그 다음, 트리옥틸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0.5g을 첨가하고, 25내지 30℃에서 교반과 동시에 톨루엔 150g과 벤즈알데히드 169.6g의 용액을 약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25 내지 35℃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을 더 실시하였다. 반응후, 35% 염산 209g을 40℃ 이하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정치시킨후, 저부의 수성층을 분리한후, 실온에서 45% 수산화나트륨으로 pH 6까지 중화한 다음, 0 내지 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한 후 차가운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β-페닐세린 125.3g을 얻었다. 생성물의 순도는 90.6%이었다. 글리신을 기준으로 한 수율은 78.3%이었다.
[실시예 5∼8]
유기용매를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로부터 β-페닐세린을 합성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9∼13]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벤즈알데히드 대신 치환된 벤즈알데히드류를 각각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1]
β-페닐세린의 합성(글리신 60g 기준)
Figure kpo00002
( *) : 단일 수화물로서의 순도
(**) : 글리신을 기준으로 한 수율
[표 2]
각종 치환된 벤즈알데히드류와의 반응 결과(*)(글리신 1.50g(0.2 몰) 기준)
Figure kpo00003
( *) : 알카리로서 45% 수산화나트륨 44.4g을 사용했음.
사용된 물의 양은 100g이었음.
(**) : 촉매로서 트리옥틸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음.
[표 2 (계속)]
Figure kpo00004
[실시예 14]
수산화나트륨의 양이 글리신 기준으로 1.5 또는 2.1 당량으로 변경되고, 상전이 촉매로서 트리옥틸 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0.5g 존재하에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똑같이 반복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산으로 처리하므로써 얻어진 수성층에서의 β-페닐세린의 생성비가 측정되었다. 비교하기 위해 상전이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kpo00005
[실시예 15]
글리신 30g을 물 90g과 45% 수산화나트륨 88.9g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25℃에서 교반하면서 벤즈알데히드 110.2g, Rheodol AO-15(소르비탄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카오 숩 컴페니, 리미티드의 제품)와 톨루엔 150g의 용액을 25 내지 30℃에서 약 30분 동안 적가한 다음 30 내지 35℃에서 8시간 동안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동안 반응 혼합물은 잘 교반하였다. 그후 35% 염산 146g을 40℃ 이하에서 약 40분동안 적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정지시킨 후 지부의 수성층을 분리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석하였다. 글리신을 기준으로 한 β-페닐세린의 생성비는 95.7 몰 %로 확인되었다.
수성층을 45% 수산화나트륨으로 실온에서 pH 5.6까지 중화한 후, 0 내지 5℃에서 냉각한 다음 같은 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차가운 물로 세척한 후 60 내지 70℃ 및 감압하에서 건조하여 백색 결정질의 β-페닐세린 69.8g을 얻었다.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석된 생성물의 순도는 90.6%이었다. 미분 열분석 및 카알-피서법에 의한 수분 측정결과 생성물은 결정수 1분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분리된 생성물의 수율은 글리신 기준으로 87.2%이었으며, 197 내지 199℃(분해)의 융점을 가졌다.
C9H13NO4에 대한 원소 분석치(%)
C H N
실측치 : 54.10 6.78 6.81
계산치 : 54.26 6.57 7.03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15의 과정에서, 유기용매(톨루엔)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반응을 실시하였다. 벤즈 알데히드를 적가한 후 모든 혼합물이 고화되어 교반될 수 없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에서 회수된 벤즈알데히드의 톨루엔용액에 벤즈알데히드 44.5g을 새롭게 침가한 후 실시예 15에서와 똑같은 반응을 실시하였다. 산 처리후 얻어진 수성층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석하였다. β-페닐세린의 생성비는 글리신 기준으로 95.1%로 밝혀졌다. 반응하는 동안 반응 혼합물의 유동성은 실시, 15에서와 똑같았다.
[실시예 17∼21]
계면활성제양과 종류가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자를 표 4에 나타냈다(글리신 30g 기준).
[표 4]
Figure kpo00006
a) : 카오 숩 컴페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b) : 카오 숩 컴페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c) : 카오 숩 컴페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옥시에틸린/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d) : 카오 숩 컴페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 테아레이트.
e) : 단일 수화물로서의 순도.
[실시예 22∼25]
용매종류, 용매량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을 표 5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표 5]
Figure kpo00007
(*) : 일수화물로서의 순도
15와 똑같은 방법을 반복 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글리신 30g 기준 : Rheodol AO-15(15g)를 계면활성제로서 사용 하였다).
[실시예 26]
글리신 30g을 물 90g 및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12.2g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0℃까지 냉각 시킨 후, 벤즈알데히드 127.2g, Rheodol AO-15 카오 숩 컴페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와 톨루엔 150g으로 된 용액을 10내지 15℃에서 약 1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똑같은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을 더 실시하였다. 반응 후, 35% 염산 146g을 20℃이하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더 교반하였다. 정지시킨 후 저부 수성층을 분리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석하였다. 수성층에서 생성된 β-페닐세린의 비율은 글리신 기준으로 86.0 몰 %이었다.
수성층을 45% 수산화나트륨으로 pH 5.6까지 중화한 후, 0 내지 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고, 차가운 물로 세척한 후 70℃ 및 감압하에서 건조하여 백색 β-페닐세린 58.9g을 얻었다. 그의 단일수화물로서 β-페닐세린의 순도는 98.4%이었다. 분리된 생성물의 수율은 72.7 몰 %이었다(글리신 기준).
[실시예 27~30]
표 6에 나타낸 각각의 치환된 벤즈알데히드를 벤즈알데히드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에서와 똑같은 방법을 반복 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표 6]
Figure kpo00008
[표 6 (계속)]
Figure kpo00009

Claims (6)

  1. 알카리 존재하에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킨 후 그 반응 생성물을 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이 반응이 물과 소수성 유기용매로 구성된 혼합용매중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유기용매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또는 에틸벤젠과 같은 탄화수소 : 염화메틸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0-디클로로벤젠 또는 트리클로로벤젠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 :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헵탄올, 1-헵탄올, 2-헥탄올, 또는 3-헵탄올 같은 알콜 : 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 같은 에테르 :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디이소부틸케톤 같은 케톤 : 또는 초산에스테르 또는 인산에스 테르 같은 에스테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량이 물 100중량부당 20 내지 5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알카리 존재하에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이 반응이 상전이 촉매하에서 물과 소수성 유기용매로 구성된 혼합용매중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5. 알카리 존재하에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이 반응이 계면활성제 존재하에서 물과 소수성 유기용매로 구성된 혼합용매중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KR1019840004586A 1983-08-01 1984-08-01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KR870000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39455A JPS6032753A (ja) 1983-08-01 1983-08-01 β−フェニルセリン類の製造法
JP139455/83 1983-08-01
JP46529/84 1984-03-13
JP4652984A JPS60193952A (ja) 1984-03-13 1984-03-13 β−フエニルセリン類の製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728A KR850001728A (ko) 1985-04-01
KR870000738B1 true KR870000738B1 (ko) 1987-04-13

Family

ID=2638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586A KR870000738B1 (ko) 1983-08-01 1984-08-01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605759A (ko)
KR (1) KR870000738B1 (ko)
AU (1) AU569099B2 (ko)
CA (1) CA1228075A (ko)
CH (1) CH660184A5 (ko)
DE (1) DE3428442A1 (ko)
FR (1) FR2550190B1 (ko)
GB (1) GB2146020B (ko)
IT (1) IT1180208B (ko)
MX (1) MX157830A (ko)
NL (1) NL1917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2475A1 (de) * 1986-12-12 1988-06-23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s-phenylserin
US5102792A (en) * 1987-08-13 1992-04-07 W. R. Grace & Co.-Conn. Selective production of L-serine derivative isomers
FR2662441B1 (fr) * 1990-05-22 1992-10-23 Rhone Poulenc Sante Procede de preparation enantioselective de derives de la phenylisoserine.
WO1995023869A1 (fr) * 1994-03-03 1995-09-0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de de fabrication de (r)-2amino-1-phenylethanol ou de ses derives halogenes, procede de fabrication de phenylserine a activite optique ou de ses derives halogenes et nouveau compose de 3-(3-chlorophenyl)serine
AU2004303492A1 (en) 2003-12-19 2005-07-07 Basf Aktiengesellschaft Benzoyl-substituted phenylalanine amides
CN111440079B (zh) * 2020-04-29 2024-03-08 山东普洛汉兴医药有限公司 一种dl-苏式-对氯苯丝氨酸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44070A (de) * 1955-03-25 1960-01-31 Parke Davis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rinen
US3871958A (en) * 1972-03-04 1975-03-18 Ajinomoto Kk Biological method of producing serine and serinol derivatives
IT1196409B (it) * 1979-05-24 1988-11-16 Lepetit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ei derivati della serina
GB2051790B (en) * 1979-05-24 1983-03-09 Lepetit Sp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eri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80208B (it) 1987-09-23
FR2550190B1 (fr) 1989-06-09
KR850001728A (ko) 1985-04-01
DE3428442C2 (ko) 1991-11-07
MX157830A (es) 1988-12-15
CH660184A5 (de) 1987-03-31
NL191706C (nl) 1996-04-02
NL8402400A (nl) 1985-03-01
AU569099B2 (en) 1988-01-21
GB2146020A (en) 1985-04-11
DE3428442A1 (de) 1985-02-21
GB2146020B (en) 1986-10-29
GB8419442D0 (en) 1984-09-05
FR2550190A1 (fr) 1985-02-08
CA1228075A (en) 1987-10-13
IT8422145A0 (it) 1984-07-31
US4605759A (en) 1986-08-12
NL191706B (nl) 1995-12-01
AU3123784A (en) 198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8951B2 (ko)
KR870000738B1 (ko) β-페닐세린의 제조방법
KR950012996B1 (ko) 결정성 트리브로모스티렌의 제조방법
US5106604A (en) Use of metal salts in the synthesis of oligomeric hydrogensilsesquioxanes via hydrolysis/condensation reactions
EP075592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high purity 2,4' -dihydroxydiphenylsulfone
KR100511534B1 (ko) 아미드 화합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US6140527A (en) Process for producing butyric ester derivatives
EP0456799B1 (en) Improved method of preparing an intermediate for the manufacture of bambuterol
US4384118A (en) 4-(3-Iodopropargyloxy) pyrimidine derivatives
JP2000143810A (ja) 水素シルセスキオキサン樹脂の製造方法
HU181708B (en) Process for producing treo-bracket-p-nitrophenyl-bracket closed-serin and hydrochloric acid additional salt
EP1435351B1 (en) Highly concentrated aqueous solutions of n,n-dialkylglycin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P0344675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elegiline hydrochloride
JPH0212464B2 (ko)
JPH0421674A (ja) 2―クロロ―5―(アミノメチル)チアゾールの製造方法
JPS60193952A (ja) β−フエニルセリン類の製法
JP2507505B2 (ja) 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の新規製造方法
CN115872882B (zh) 一种3-氯-丙氨酸的合成方法
KR20000017154A (ko) O,s-디알킬 포스포로아미도티오에이트의 n-아실 유도체의개선된 제조방법
JP3061642B2 (ja) 精製方法
EP0479664A1 (fr) Procédé de synthèse de monohalogénoalcanoylferrocènes
JPH05178833A (ja) N−シアノアセトアミ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3998075B2 (ja) ポドフィロトキシンの脱メチル化法
JP3998074B2 (ja) ポドフィロトキシンの脱メチル化方法
CN116535327A (zh) 一种提高芳香二氟甲基化合物在制备和使用时稳定性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