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581Y1 -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581Y1
KR870000581Y1 KR2019860008170U KR860008170U KR870000581Y1 KR 870000581 Y1 KR870000581 Y1 KR 870000581Y1 KR 2019860008170 U KR2019860008170 U KR 2019860008170U KR 860008170 U KR860008170 U KR 860008170U KR 870000581 Y1 KR870000581 Y1 KR 870000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shaft
elevator
connector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도루 요꼬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14380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36089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8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5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제 1(a) 도는 본 고안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부분단면 입면도.
제 1(b) 도는 감속기의 내부구성을 표시하는 부분단면 평면도.
제 2 도는 제1도의 Ⅱ-Ⅱ선의 단면도.
제 3 도는 탄성전도체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
제 4 도는 탄성전도체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 : 기계실
4 : 제1지지체 7 : 감속기
9 : 전자브레이크 11 : 기대
13 : 구동활차 15 : 탄성전도체
18 : 엘리베이터카 19 : 균형추
본 고안은 로우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라 약칭함)등을 승강시키는 트랙숀식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로서 감속기가 전동기에 의하여 작동되고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구동활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으며, 구동활차에 권회된 로우프에 의하여 카 및 균형추가 승강 운전되는 것이 있다.
이 경우에, 감속기의 위치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로 우프를 통하여 카에 전달되어 카내의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는 불합리성이 있었다.
또한 감속기를 헤리칼치차등의 평행축 치차에 의하여 구성된 것으로 하고, 전동기를 교류전동기로 하며 이 전동기를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제어(이하 제어라 한다)하는 엘리베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평행축 치차에 의하여 감속기의 동력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에 에너지의 절감작용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교류 전동기는 직류전동기에 비하여 소형이고 직류전동기에서의 부러쉬가 없으므로 견고하고 염가이며,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평행축치차는 맞물림의 진동이 크고, 또 교류전동기의 VVVF 제어는 인버티부에서의 변조시에 발생하는 전류의 디스토션에 의하여 교류전동기에 리플진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평행축치차의 감속기와 VVVF 제어되는 교류전동기를 가지는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감속기의 진동과 교류전동기의 진동이 로우프를 통하여 카에 전달되는 불합리성이 있다.
일본국 특개소 57-90381(1982.6.5.공개)에는 전동기를 방진지지(防振支持)케하여 전동기가 발생하는 진동이 다른 부분(예컨대 감속기, 지지부재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구성에서는 감속기의 치차가 발생하는 진동은 그대로 활차에 전달된다.
이 진동이 로우프를 통하여 카에 전달되어 탑승감을 손상시키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가 발생하는 진동도 활차에 전달되어 버리는 구성으로 되어 방진면에서 불충분하며, 결국 전동기에 대한 방진대책만으로서는 카에 대한 방진대책으로는 불충분하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구동기에 대하여 구동활차를 방진케하여 로우프를 통하여 카에 전달되는 진동이 적은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동기 및 전동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기를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설치된 지지체에 장착하고 또 기계실에 설치된 지지체에 구동기에 대하여 방진배치된 기대(基臺)에 구동활차를 방진적으로 지지케하고 구동활차의 축과 구동기의 출력축과를 탄성전도체에 의하여 회전연결시킨 것이다.
이로 인하여 구동기에 생기는 진동이 탄성전도체에 의하여 방진되어 구동활차의 진동이 감소된다. 따라서 구동활차에 권회된 로우프를 경유하여 엘리베이터의 카에 전달되는 진동이 적어져 탑승감이 좋은 카를 얻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제1(a)도-제3도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중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로서, (2)는 이 승강로(1)의 상방에 설치된 기계실, (2a)는 기계실(2)의 바닥(3)은 바닥(2a)에 장설된 한쌍의 지지대, (4)는 이 지지대(3)의 상호간에 가설된 2개의 비임(t-1)으로 된 제1지지체, (5)는 제1지지체(4)에 방진고무(6)을 통하여 지지된 감속기, 전동기, 브레이크등을 가진 구동기, (7)은 구동기(5)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감속기로서, 제1(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헤리칼치차로 구성된 감속기구(7a), 입력축(7b), 출력축(7c)등을 갖고 있다.
이 감속기(7)은 입력축(7b)에 설치된 치차와 중간축에 설치된 치차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중간축을 회전시키고, 이 중간축에 설치된 치차와 출력축(7c)에 설치된 치차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출력축(7c)를 회전시키도록 되어있고, 이들의 치차에 의하여 입력축(7b)의 회전을 감소시킨 회전으로서 출력축(7c)에서 출력한다.
(8)은 감속기(7)에 장착되어 입력축(7b)에 회전연결되고 구동기(5)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교류전동기로서(9)는 이 교류전동기(8)에 장착되어 구동기(5)를 제동하는 전자브레이크, (10)은 지지대(3)의 상호간에 가설되어 제1지지체(4)와는 떨어져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비임으로 된 제2지지체, (11)은 방진고무(12)에 의하여 제2지지체(10)에 방전지지시킨 기대, (13)은 기대(11) 위에 배치되어 회전축(13a)의 양단이 각기대(11)에 설치된 베아링대(14)에 지지시킨 구동활차, (15)는 회전축(13a)과 출력축(7c)을 회전 연결시킨 탄성 이음으로 된 탄성진동체로서,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회전축(13a) 및 출력축(7c)에 각각 고정된 프랜지(15b)가 원환상의 고무제 연결자(15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원환상 연결자(15b)는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공간이용면에서 볼때 매우 우수한 것이다.
(16)은 기대(11)의 하면에 지지된 편 향활차, (17)은 구동활차(13) 및 편향활차(16)에 권회되어 단부가 승강로(1)로내 내려져 있는 복수개의 로우프, (18)은 로우프(17)의 일단에 고착시킨 카로서, (18a)는 로우프(17)에 연결된 프레임, (18b)는 프레임(18a)에 방진고무(18c)를 개재시켜 지지된 카실, (19)는 로우프(17)의 타단에 고착시킨 균형추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구동활차(13)는 구동기(5)를 지지하고 있는 제1지지체(4)와는 별개의 제2지지체(10)에 방진고무(12)를 통하여 지지시킨 기대(11)에 장착됨과 동시에 구동기(5)의 출력축(7c)에 대하여 탄성전도체(15)를 통해 회전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감속기(7)의 감속기구(7a)의 치차의 맞물림에 의해 생기는 진동 및 교류전동기(8)의 VVVF 제어에 의해 생기는 회전방향의 맥동진동(脈動振動)의 양쪽(雙方)이 탄성전도체(15)에 의하여 방진되어 구동활차(13)의 진동이 감소된다.
또한 감속기구(7a), 교류전동기(8)의 상하방향진동은 방진고무(12)에 의하여 구동기(5)→제1지지체(4)→지지대(3)→제2지지체(10)→기대(11)→활차(13)의 경로에서의 진동전달이 방지되어 구동활차(13)의 진동이 감소된다.
따라서, 구동기(5)에서 발생하여 로우프(17)를 경유하여 카(18)에 전달되는 진동이 적어져 탑승감이 좋은 카(18)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전도체(15)를 탄성이음자로 구성하였으나, 제4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회전축(13a) 및 출력축(7c)에 각각 풀리가 설치되고 이 풀리에 권회된 V벨트등의 탄성체(15A)로 된 탄성전동체로 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출력축(7c)의 진동은 탄성체(15A)에 흡수되어 활차가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13a)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도의 탄성이 음자와 마찬가지로 진동전달 방지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제1도-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활차(13)와 편향활차(16)가 동일한 기대(1)에 고착되어 있으므로방진고무(12)에 수평방향의 하중이 작용함이 없이 간단한 방진구조로 할 수 있어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5)가 방진고무(6)에 의하여 그리고 구동활차(13)가 방진고무(12)에 의하여 승강로(1)가 설치된 건물에 대하여 방진되어 있으므로 건물의 거실에 진동, 소음등을 발생하지 않아 거주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방진고무(6)는 제1지지체(4)와 구동기(5)와의 사이에 개폐되어 있으므로 구동기(5)의 진폭을 작게할 수 있다. 즉 방진고무(6)를 제1지지체(4)와 지지대(3)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면 제1지지체(4)로지지대(3)에 대하여 진동하게 되어 진동량이 구동기(5)의 진동량에 가해지기 때문에 구동기(5)의 진폭이 커지게 되지만 본 고안의 구성은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진고무(12)에 관하여도 위와 같은 동일한 작용효과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편향활차(16)는 방진고무(12)에 의해 방진지지된 기대(11)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기(7) 및 교류전동기(8)에서 발생한 진동이 편향활차(16)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편향활차(16) 및 로우프(17)를 통하여 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진고무(12)는 활차(13) 및 편향활차(16)의 양쪽에 대하여 방진기능을 발휘하므로 편향활차(16)에 대하여 별개의 방진고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카의 승강로(1)에 인접하여 설치된 기계실에 설치한 지지장치, 전동기 및 감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에 방진적으로 지지된 구동기(5), 상기 지지장치에 방진적으로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카에 연결된 메인로우프가 권회되는 활차(13)등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5)의 출력축(7c)과 상기 활차(13)의 회전축(13a) 사이에 설치되고, 또 상기 출력축(7c)과 회전축(13a) 쌍방에 걸어 맞추어져, 상기 출력축(7c)의 회전운전을 상기 회전축(13a)으로 전달하는 도체이며,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7c)과 회전축(13a)과를 방진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전도체(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탄성전도체(15)는 활차(13)의 회전축(13a)과 구동기(5)의 출력축(7c)이 연결되는 측면을 가진 환상탄성 연결자(15b)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환상탄성연결자(15b)는 내부가 중공(中空)이고, 양측면 중앙부에 그 중공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13a) 및 출력축(7c)에 각각 장착된 프랜지(15a)를 상기 개구부의 주연부에서 연결자(15b)로 고정함으로써 회전축(13a) 및 출력축(7c)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엘리베이터구동장치.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연결자(15b)는 그 주벽부분이 반원호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중공환체(中空環體)이고 회전축(13a) 및 출력축(7c)의 축을 따르는 방향 및 연결자(15b)의 양측면을 따르는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도 변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장치.
  5.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환상연결자(15b)의 외주부가 프랜지(15a)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
KR2019860008170U 1982-08-19 1986-06-10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870000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170U KR870000581Y1 (ko) 1982-08-19 1986-06-10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3801 1982-08-19
JP57143801A JPS5936089A (ja) 1982-08-19 1982-08-19 エレベ−タ駆動装置
KR1019830001369A KR840005703A (ko) 1982-08-19 1983-04-02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KR2019860008170U KR870000581Y1 (ko) 1982-08-19 1986-06-10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369A Division KR840005703A (ko) 1982-08-19 1983-04-02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581Y1 true KR870000581Y1 (ko) 1987-02-21

Family

ID=2731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170U KR870000581Y1 (ko) 1982-08-19 1986-06-10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5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1746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内に配置したエレベータモータ
JP43126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0688735B1 (en) Elevator machinery and its installation
US5899301A (en) Elevator machinery mounted on a guide rail and its installation
KR10120791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용 디바이스
CA2277284A1 (en) Elevator drive machine
JPH0840671A (ja) 自己推進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1100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45977B2 (ja) エレベータ
JPH0270689A (ja) エレベータ装置
CA1200212A (en) Elevator drive apparatus with vibration isolation means
KR870000581Y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CA1195624A (en) Symmetrically arranged elevator drive apparatus
KR860002593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4519979B2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装置
JP4223613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JP3599584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123357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KR200288349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JP4123797B2 (ja) 往復移動体駆動装置
KR20010011800A (ko)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의 진동 및 소음 저감장치
KR840001991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S6360885A (ja) エレベ−タ用巻上機
JPH0761755A (ja) エスカレータ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0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