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49Y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349Y1
KR200288349Y1 KR2020020017284U KR20020017284U KR200288349Y1 KR 200288349 Y1 KR200288349 Y1 KR 200288349Y1 KR 2020020017284 U KR2020020017284 U KR 2020020017284U KR 20020017284 U KR20020017284 U KR 20020017284U KR 200288349 Y1 KR200288349 Y1 KR 200288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elevator
shock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주)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림 filed Critical (주)수림
Priority to KR2020020017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34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원활히 흡수되도록 하여 카로 충격 및 진동이 전달되는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와이어 로프가 감겨진 구동활차와, 상기 구동활차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권상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가 고정되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과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 통로 내의 벽면에 고정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대응되는 각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 진동을 흡수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완충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Traction achine damping device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권상기에 설치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아파트나 건물등에 주로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승객 또는 물건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용 기기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통상 기계실을 가지는 형태와 기계실이 없는 형태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시한 도 1는 기계실이 없는 형태의 엘리베이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한 엘리베이터는 크게 권상기(traction machine)(10)와, 다수의 현수활차(21,22)와, 카(car)(30), 균형추(40) 그리고, 한 쌍의 카 가이드레일(50)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60)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상기(10)는 카 가이드레일(50)의 상부측에 고정된 프레임(70)에 설치되며, 와이어 로프(80)로 각 현수활차(21,22)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구동활차(traction sheave)(11) 및 상기 구동활차(11)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70)은 벽면(승강 통로 내의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80)는 그 일단이 카 로프 저지부(71)에 고정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균형추 로프 저지부(72)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활차(11)와 2개의 카 하부현수활차(21) 및 균형추용 현수활차(22)에 순차적으로 감기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균형추(40)는 카(30)의 이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카(30)의 동작시 그 평형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 가이드레일(50)은 상기 카(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균형추 가이드레일(60)은 상기 균형추(4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2)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구동활차(11)가 회전하면서 견인력을 발생시켜 각 현수활차(21,22)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8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듯, 와이어 로프(80)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카(30)와 균형추(40)는 서로 역방향을 향하여 승강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권상기(10)가 단순히 프레임(70)에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프레임(70)은 벽면에 고정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권상기(10)의 구동에 의한 와이어 로프(80)의 견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와이어 로프(80)와 구동활차(11)간의 순간적인 접촉에 따른 충격이 발생되고, 구동중에는 권상기의 진동이 와이어로프를 타고 카로 전이되지만 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충격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해 카(30) 내에 탑승한 승객의 불안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충격에 의한 진동을 빠르게 감쇠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카(30) 내에 탑승한 승객 혹은, 물건 등으로의 상기 충격이 전달되어 탑승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원활히 흡수되도록 하여 권상기로부터 카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완충 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정면에서 본 권상기 부위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부 측면도
도 4는 도 2의 B부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권상기 710. 메인 프레임
720. 상부 프레임 730. 하부 프레임
740. 완충체 741. 방진고무
742. 체결공 743,744. 체결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와이어 로프가 감겨진 구동활차와, 상기 구동활차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권상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가 고정되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과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 통로 내의 벽면에 고정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대응되는 각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 진동을 흡수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완충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완충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는 크게 메인 프레임(710)과, 상부 프레임(720) 및 하부 프레임(730) 그리고, 다수의 완충체(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메인 프레임(710)은 상부 프레임(720) 및 하부 프레임(730)에 고정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이룬다.
이 때, 상기 메인 프레임(710)은 상기 권상기(1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권상기(10)는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내부 둘레면 저부에 장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720)은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상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710)과는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승강 통로 내의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730)은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하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710)과는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승강 통로 내의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체(7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방진고무(741)와, 상기 방진고무(741)의 상면 및 하면에 일체화되고, 다수의 체결공(742)이 형성된 체결편(743, 7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완충체(740)의 갯수는 크게 상관하지 않으며, 통상 3~4개 정도로 구성하며, 메인 프레임(710)과 상부 프레임(혹은, 하부 프레임)(720)간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체결한다.
이 때, 상기 메인 프레임(710)과 상부 프레임(720) 사이에 구비되는 각 완충체(740)의 상부 체결편(743)은 상기 상부 프레임(720)의 저면에 볼트(750) 체결됨과 더불어 하부 체결편(744)은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상면에 볼트(750) 체결한다.
이와 동시에, 도시한 도 4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710)과 하부 프레임(730) 사이에 구비되는 각 완충체(740)의 상부 체결편(743)은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저면에 볼트(750) 체결됨과 더불어 하부 체결편(744)은 상기 하부 프레임(730)의 상면에 볼트(750) 체결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충격 저감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권상기(1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12)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구동활차(11)가 회전하면서 견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활차(11) 및 각 현수활차(22)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8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와이어 로프(80)는 상기 구동활차(11)의 회전에 의해 갑작스러운 견인력을 전달받음에 따라 순간적으로 상기 구동활차(11)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수직 방향으로의 충격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구동중에는 권상기의 구동 진동이 와이어로프를 타고 카(30)로 전이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활차(11)와 와이어 로프(80) 간의 접촉에 따른 충격 진동이 메인 프레임(710)으로 전달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 프레임(710)을 수직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하지만,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수직 방향인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 프레임(720) 및 하부 프레임(730)이 고정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710)과는 다수의 완충체(7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전달되는 충격 진동은 상기 완충체(740)의 방진고무(74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쇠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권상이의 구동에 따른 진동 역시 메인 프레임(710) 자체내에서 감쇠된다.
특히, 상기한 완충체(740)에 의한 감쇠 작용은 상기 메인 프레임(710)의 상, 하측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메인 프레임(71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 진동은 더욱 급격하게 감쇠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로프(80)의 이동에 따른 카(30)의 승강이 별도의 충격 진동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는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완충체에 의해 원활히 흡수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에서 전달되는 충격 진동의 빠른 감쇠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발생된 충격 진동이 카로 전달됨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탑승객이 느낄수 있는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와이어 로프가 감겨진 구동활차와, 상기 구동활차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권상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가 고정되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과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 통로 내의 벽면에 고정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대응되는 각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 진동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완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완충체는
    방진고무와, 상기 방진고무의 상면 및 하면에 일체화되고,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완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각 완충체의 상부 체결편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 볼트 체결됨과 더불어 하부 체결편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볼트 체결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각 완충체의 상부 체결편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에 볼트 체결됨과 더불어 하부 체결편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 볼트 체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완충 장치.
KR2020020017284U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KR200288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84U KR200288349Y1 (ko)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84U KR200288349Y1 (ko)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349Y1 true KR200288349Y1 (ko) 2002-09-11

Family

ID=7312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84U KR200288349Y1 (ko)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3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94A (ko) * 2002-08-29 2004-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94A (ko) * 2002-08-29 2004-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US6138799A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JP5161563B2 (ja) エレベータ
JPH11310370A (ja) バッファ機構
JP563619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4442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06947A (ko)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
EP1405813B1 (en) Elevator device
USH702H (en) Controlling the motion of a compensating rope in an elevator
JPWO200712270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88349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완충장치
JP5280300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200417551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179355A (ja) エレベータ
JP200702267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2653547B2 (ja) エレベータ
JP4519979B2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装置
JP200426260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H0524769A (ja) 高速エレベータ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417245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1139718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WO2006123393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7142081A1 (ja) エレベータの防振装置
JP4528017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いロープの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