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386B1 - 계합기(係合器) - Google Patents

계합기(係合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386B1
KR870000386B1 KR1019830000848A KR830000848A KR870000386B1 KR 870000386 B1 KR870000386 B1 KR 870000386B1 KR 1019830000848 A KR1019830000848 A KR 1019830000848A KR 830000848 A KR830000848 A KR 830000848A KR 870000386 B1 KR870000386 B1 KR 87000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convex
members
spiral
irregula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25A (ko
Inventor
마사유끼 야스이
야스꼬 야스이
Original Assignee
마사유끼 야스이
야스꼬 야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329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606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20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31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74768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62312U/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유끼 야스이, 야스꼬 야스이 filed Critical 마사유끼 야스이
Publication of KR84000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계합기(係合器)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계합기의 구체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웅자(雄雌)부장의 계합상태이며 또한 자부장를 절단해서 표시한 측면도.
제2도는 웅부재의 평면도.
제3도는 자부재의 저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웅자부재를 표시한 것이고 또한 자부재의 일부를 절단해서 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요조(凹條)의 나사맞춤 시단측 우각부(隅角部)에 안내면을 설치한 자부재의 일부의 절단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의 웅자부재의 계합상태의 부분절단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의 웅자부재의 계합상태의 자부재를 절단해서 표시한 측면도.
제8도는 나선상 요 또는 철조(凸條)를 전개하고 또한 그의 단면형상을 예시하는 도.
제9도에서 제12도까지는 요철조 배열의 각각 다른 형태를 웅자부재의 계합상태로 또한 자부재를 절단해서 표시한 일부의 측면도.
제13도에서 제15도까지는 계합용안내부가 있는 요조의 각각 다른 형태를 표시한 자부재의 일부의 절단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의 웅자부재의 계합상태의 부분 절단측면도.
제17도에서 제24도까지는 본 발명계합기의 각각 다른 사용예를 표시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웅부재(雄部材) 2 : 자부재(雌部材)
3, 4, 5', 6' : 철조(凸條) 3', 4', 5, 6 : 요조(凹條)
7 내지 10 : 무요철조부(無凹凸條部) 11, 12 : 스토퍼
본 발명은 서로의 철조(凸條)가 상대방의 요조(凹條)에 계합하여 나사맞춤하는 웅자부재의 각 철조에 상대방의 철조를 통과시킬 수 있는 무철조부분을 축선과 평행의 동일직선상에 설치하고 또 양부재의 요철조에 관하여 나사맞춤방향의 과도한 나사돌리기를 제한하는 스토퍼수단을 설치한 계합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목적은 계합이나 이탈이 용이하고 계합시에 외력에 의해서는 간단히 빠지지 않게 하는데 있다.
양부재의 철조를 상대방의 무철조부분에 합치시키면 양부재의 축방향의 상대적 이동에 의한 끼워맞춤, 이탈이 자유롭게 된다. 이 끼워맞춤상태에서 한쪽부재의 철조를 다른쪽 부재의 요조에 합치시켜서 양부재를 상대적으로 나사돌리면 쌍방이 나사맞춤상태로 되어 인장 또는 압축력에 견딘다.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후 설명한다. 도면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응부분을 표시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은 웅부재, 2는 자부재이다. 웅부재(1)는 축선의 주위에 또한 축선과 평행으로 1렬이상이며 길이가 같고 또한 등(等)경사각으로 배치된 1조(條) 이상의 부분적 나선상 철요조(3,3' 및 4,4')를 가지며, 자부재(2)에는 이들의 철요조에 대응하는 요철조(5,5' 및 6,6')가 형성된다.
그리고 양부재(1,2)는 서로 요철부, 철요부에서 나사맞춤한다. 그리하여 양부재(1,2)의 요철조(3,3',4,4'와 5,5',6,6')는 축직교면상에 있어서 상호 불간섭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각부재(1,2)마다 인접하는 요철조(3,3' 및 4,4')간 및 (5,5' 및 6,6')간은 각각 무요철조부(7,8 및 9,10)로 되어 있다. 무요철조(9,10)부가 자부재(2)의 횡단면상에서 점하는 중심각도를 각각이 대응하는 철조(3,4)의 중심각도보다 크게 하므로써 양부재(1,2)가 자유로히 되는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단면상에 있어서의 무요철조부의 수 및 위치등도 용도에 따라 적당히 정해진다. 11,12는 웅부재(1)의 요조(3',4')의 나사맞춤방향의 종단부에 설치한 스토퍼로서 웅자부재(1,2)에 인장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철조(5',6')의 나사맞춤방향 시단면이 이 스토퍼(11,12)에 맞닿아서 양부재(1,2)의 그 이상의 상대적 회동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 스토퍼를 자부재(2)의 요조(5,6)의 나사맞춤방향종단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13은 자부재(2)의 하단개구의 폐색부이며 이것은 없어도 된다. 또 이 스토퍼(11,12)를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사면으로 바꾸어도 된다.
제4도는 웅자부재의 나사맞춤의 축방향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예이다. 요철조(3,3',4,4' 및 5,5',6,6')의 설치위치는 도시와 같이 2열의 경우는 1/2 피치씩, 또 3렬의 경우는 1/3 피치씩 축선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웅자부재(1,2)를 상대적으로 180
Figure kpo00001
회전시켜서 축방향으로 조금 어긋나게 하고 다시 나사맞춤하면 1/2P만큼 축방향 상대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물론 그것보다 큰 조정도 자유롭다. 이 구성에 의해 큰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제5도는 자부재(2)의 요조(5)의 나사맞춤시단측도입 우각부(5a)에 이것에 나사맞춤하는 웅부재(1)의 철조(3 또는 4)의 단연(端緣)의 원활한 도입을 수행하는 안내면(5a')을 형성한 것이다. 이 안내면은 웅부재(1)의 동일한 우각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제6도는 부세수단을 끼어 장치한 경우이다.
즉 양부재(1,2)간에 자부재(2)의 철조(5',6')의 나사맞춤방향 종단면 즉 여기서는 하단면에 각각 스토퍼(11,12)를 압접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21)을 끼어 장치한 것이다. 부세수단(21)을 끼어 장치하는 장소로서는 자부재(2)내에 이것을 넣어서 하단을 돌기 또는 저개(底盖)등의 수(受)부재(22)에 의의시키고 상단을 웅부재(1)의 하단면에 맞닿게 하던가, 웅부재(1)의 상단에 수부재(23)를 설치하여 자부재(2)의 상단면과의 사이에 끼어 장치하면 된다. 후자의 경우 적의 안내부(24,25)를 설치하면 부세수단(21)과 철조(3,4)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7도는 서로 계합하는 요철조의 단면형상을 변화시키므로써 그의 단면변화에 스토퍼기능을 갖게한 것이다. 양부재(1,2)가 나사맞춤하는데 대응하는 철조와 요조 예컨대 3"와 5"(도면에서는 6"밖에 나타나지 않는다)의 단면이 나사맞춤시단부(3"a,5"a)로부터 종단부(3"b, 5"b)로 향해서 변화한다. 이 변화의 형태에는 제8도의 전개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a) 연속형, (b) 단속형(斷續型), (c) 연속과 단속의 결합형이 포함되고 단면형상도 이형형(異形型)(a),(b)과 동형축척형(同形縮尺型)(c)이 포함된다. 또한 변화의 방법은 요조(5")에서는 대에서 소로, 또 철조(3")에서는 소에서대로 변화되어 간다. 그리고 이들의 철조(3")와 요조(5")의 나사맞춤상태에 있어서 그들의 단면변화가 실질상의 스토퍼의 작용을 하여 웅자부재(1과 2)의 계합을 수행한다.
제9도는 나선상 요철조의 각측선방향의 배열이 1렬이상이며 나사맞춤하는데 대응하는 요철조(3", 5")가 1렬안에서 동일한 단면변화를 나타내는 2조 이상의 요철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서 웅자부재(1,2)의 상대적 상하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제10도는 나선상 요철조의 각축선방향의 배열이 동중심 각도의 2열=이상이며 또한 동일축 직교면상에 각렬의 나선상 요조 또는 철조끼리가 배치되고 나사맞춤하는데 대응하는 1렬속에서의 요철조(3"와 5", 4"와 6")의 단면변화가 다른 모든 열에서 동일한 1조이상의 요철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수평면상에서의 양부재(1,2)의 상대적 위치를 규제하지 않고 나사맞춤할 수 있다.
11도는 나선상 요철조의 각축선방향의 배열이 동중심 각도의 2열이상이며, 또한 동일 축 직교면상에 각열의 나선상 요조 또는 철조끼리가 배치되고 나사맞춤하는 것에 대응하는 요철조(3"와 5", 4"와 6")가 모두 동일한 단면 변화를 나타내는 각열 2조이상의 요철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서 양부재(1,2)의 상대적인 상하 위치 및 수평면상에서의 위치의 쌍방을 자유로히 조절할 수 있다.
또 제12도의 경우 나선상 요철조가 각축선과 평행으로 동중심각도로 2열배열되고 나사맞춤하는데 대응하는 요철조가 모두 동일한 단면변화를 나타내는 각열 2조 이상의 요철조를 가지며 1/2피치씩 각열의 요철조(3"과 5",4"와 6")의 설치위치를 축선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게 한 것으로 수평회전방향에서의 요철조의 맞물림을 변경하므로써 축선방향의 조절폭을 보다 작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n렬있으면 1/n피치씩 어긋나게 하면 된다.
제13도는 자부재(2)의 요조가 단면변화가 있는 요조(5")의 경우로서 이들의 나사맞춤시단부(5"a)에 이것에 나사맞춤하는 웅부재(1)의 철조(3 또는 4)의 단연의 원활한 도입을 수행하는 안내면(5"a)을 형성한 것이다.
이 안내면은 웅부재(1)의 동일한 시단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제14도는 자부재(2)의 요조가 단면변화가 있는 요조(5")의 경우로서 이들의 나사맞춤종단축 단면(5"b)에 관련하여 외면을 축선방향으로 연속하는 안내면(15')으로 한 안내부(15)를 형성한 것으로서 양부재(1,2)의 끼워맞춤 또는 이탈할때 웅부재(1)의 철조(3" 또는 4")의 나사맞춤 종단측단면(3"b)및/또는(4"b)의 대응하는 면을 자부재(2)의 안내면(15')에 맞닿게 하면 걸리는 일이없이 원활하게 끼워맞춤과 이탈을 시킬 수가 있다. 물론 이 안내부(15)를 웅부재(1)의 나사맞춤 종단측단면(3"b, 4")에 관련해서 또는 양부재에 설치하여도 된다.
제15도는 제14도와 동일한 경우로서 동일한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부재(2)의 요조(5")의 나사맞춤 종단측단부(5"b)에 모각은 부(chamfering 部)(5"b')를 형상할 것이다.
제16도는 제7도에 상응하는 계합기에 제6도에 상응하는 부세수단을 장치한 것으로서 그 작용 및 효과는 각각의 도면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한 설명으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17도 이하는 이 계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요철조에 단면변화가 없는 경우나 있는 경우나 사용상에 큰 차이는 없으므로 스토퍼가 부착된 것을 주체로 하여 양자를 포괄적으로 설명한다.
제17도 및 제18도는 레일의 체결장치에 대한 채용의 경우로서 31은 레일, 32는 판스프링, 33은 스프링받이, 34는 침묵, 35는 패킹을 표시한다.
자부재(2)를 침목(34)에 매설하고 수부재(23)가 있는 웅부재(1)를 판스프링(32)을 통해서 자부재(2)내에 서로 자유롭게 해서 압입하고 웅부재(1)을 되돌려 틀으면 판스프링(32)의 반력으로 웅부재(1)는 소정위치에서 정지하고 판스프링(32)에 의한 소정의 체결력을 얻을 수 있다.
웅부재(1)의 상하위치는 자유로히 조정할 수 있으므로 마모나 진동등으로 체결력 부족을 초래하였을 때에는 수시로 조정해주면 된다. 웅부재(1)를 밀어넣지 않고 판스프링(32)의 탈출을 수부재(23)로 저지하면서 권성부(卷成部)(32')를 끌어올려서 스프링받이(33)로 받고 소정의 체결력을 얻는 형식의 경우 웅부재(1)의 압입이라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삽입방향이나 깊이등에 규제가 있는 경우는 제4,9,11,12도에 표시한 형태의 것을 채용하면 좋다. 또 양부재의 무요철조부(7,8,9 및 10)에 의해서 나타나는 공간에 패킹(35)을 채우면 양부재(1,2)의 되돌아 가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19도는 콘크리이트부재를 매달아 올리는데 사용한 본 발명 계합기의 사용예이다. 콘크리이트부재(41)의 적소에 자부재(2)를 매설해 두고 웅부재(1)를 자부재(2)에 끼워넣어서 나사맞춤하고 그의 매다는 고리(42)에 현수용밧줄(43)의 훅(44)을 걸어서 현수용밧줄(43)을 끌어 올리면 웅부재(1)는 소정위치에서 정지하므로 콘크리이트부재(41)를 간단히 매달아 올릴 수가 있다. 부세수단(21)이 있으면 매달아올릴때 하나하나 나사맞춤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나 반대로 매달아 내려서 떼어낼때는 부세수단(21)에 역행해서 웅부재(1)를 떼어내지 않으면 안된다.
제20도는 현수선반용의 사용예이다. 웅부재(1)는 천정(51)과 바닥(52)사이에 걸쳐서도 좋고 천정(51)에서 도중까지 매달리게 해도 되지만 2개가 나란히 준비된다. 선반판(53)의 양단부에 패합공(54)이 뚫리고 자부재(2)에 설치한 훅(55)과 괘합한다. 훅(55)의 자부재(2)에 대한 설치위치는 양측의 자부재(2,2)가 대향하여 정지(靜止)된 상태에서 훅(55,55)이 마주보게 정해진다. 이 경우 선반판(53)의 승강시에 자부재(2)에서 떼어낼 필요가 있으나 선반판(53)의 아암을 자부재에 부착하고 그리고 또 이 아암을 자부재에 대하여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 일일이 선반판을 떼어낼 필요가 없게 된다.
제21도는 사닥다리에 상당한 사용방법이다.
건조물(61)에 따라서 2개의 웅부재(1,1)를 어깨폭간격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웅부재(1,1)에 2개씩 자부재(2a,2a 및 2b,2b)를 끼어넣는다.
자부재(2a,2a)에는 손잡이(62,62)를 설치하고 자부재(2b,2b)에는 발걸이(63,63)를 설치한다. 각각의 손으로 각각 다른 자부재(2a,2a)의 손잡이(62,62)를 쥐고 각각의 발을 각각의 다른 자부재(2b,2b)의 발걸이(63,63)에 올려 걸친다.
이 상태에서는 자부재는 자중(自重) 및 체중에 의해 소정위치에 계지된다.
위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고자 할때 4, (肢)를 각각 따로 순차적으로 움직이고 각각의 자부재를 일단 웅부재에 대하여 자유로운 위치로 나사틀어서 자부재를 승강시키고 다시 반대로 나사틀어서 선회정지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어느 피치씩위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제22도는 건조물의 외벽패널 부착부재로서 사용한 예를 표시한 것이다. 패널(71)은 하부를 보울트(72)에 의해 들보(73a)에 관련시켜 강결(剛結)하고 상부를 이 상부에 직접 또는 부착용 암나사(74)를 끼어서 설치한 자부재(2)에, 들보(73b)의 부착공(75)에 수부재(23)가 있는 웅부재(1)를 삽통하여 끼어 넣고 이웅부재(1)를 되틀어서 나사맞춤하므로써 소정위치에서 정지하고 들보(73b)에 느슨히 결합시킨다.
패널(71)이 쉽게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탄성재(76)를 들보 (73b)와 패널(71)에 관련시켜 배설한다. 부세수단(21)이 있는 계합기의 채용이 바람직하다.
제23도는 덕트를 매다는데 사용한 경우이다. 자부재(2)를 천정(81)에 부착하고 덕트(82)의 현수띠(83)의 귀편(84,84)에 " "형틀쇠(85)를 끼어서 보울트(86)로 고정시키고 이틀쇠(85)에 정위치에서 회전자유로 웅부재(1)를 부착하고 이부재(1)를 자부재(2)에 밑에서 삽입해서 비틀어 방향을 바꿔서 나사맞춤한 것이다. 덕트(82)등의 자중에 의해 양부재(1,2)가 소정위치에서 계지되고 덕트(82)가 매달려서 설치된다. 그리고 만일의 탈출방지용으로 양부재(1,2)의 나사맞춤후 수부재(87)와 자부재(2)사이에 칼라(83)를 끼워도 된다.
제24도는 악보대(91)의 승강장치의 경우의 예이다. 대(91)의 지주(92)에 웅부재(1)를 부착하고 지대(支臺)(93)의 상단에 자부재(2)를 부착한다. 세트스크루우식과 같이 높이 조절을 할때마다 나사를 풀거나 죄이거나할 필요가 없고 각각에 요철조열(凹凸條列)을 상대방의 무요철조부에 맞추는 것만으로 승강할 수 있고 거기서 나사맞춤하면 자중에 의해 소정위치로 멈춘다.
책상, 의자, 마이크등의 경우도 대체로 동일하게 해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책상과 같이 증량물의 경우는 웅자부재의 한쪽을 정위치에서 회전자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웅자부재의 한쪽의 무요철조부에 다른쪽의 요철조부를 합치시켜서 양부재를 자유로이 끼워맞춤과 이탈을 할 수 있고 끼워 맞춘상태에서 한쪽의 철조를 다른쪽의 요조에 맞추어서 틀면 양부재를 결합시켜서 소정위치로 유지할 수가 있고 2개 이상의 물품의 결합용으로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우기 큰 외력에도 충분히 견디어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특징이 있다.

Claims (15)

  1. 각 축선의 주위에 또한 각축선과 평행으로 1렬 이상이며 각각 같은 길이(等長), 같은 경사각(等傾斜角)으로 배치된 1조(條)이상의 부분적 나선상 요철조(條)로 서로 상대방의 대응하는 요철조와 나사맞춤할 수 있는 웅부재(雄部材)와 자부재(雌部材)로 구성되고 양부재의 요철조가 축 직교면상에 있어서의 상호 불간섭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각 부재마다의 요철조 단면간은 무(無) 요철조부(部)로 되어 있고 양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요조의 나사맞춤방향의 종단부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양부재간에 양부재를 스토퍼에 의한 압접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이 끼어서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선상요 철조의 각축선방향의 배열이 등(等) 중심각도의 2열 이상이며, 또한 동일측 직교면상에 각렬의 나선상 요조 또는 철조끼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선상 요철조의 각 축선방향의 배열이 등중심각도의 2열 이상이며 또한 각렬 2조 이상의 요철조를 가지며, 각렬마다에 요철조의 설치위치가 이 열수분의 1피치씩 축선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웅자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철 또는 요조의 나사맞춤 시단부에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토퍼 외면이 축선방향으로 연결하고 웅자부재 계탈시의 안내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7. 각축선의 주위에 또한 각 축선과 평행으로 1렬이상이며 각각축 직각면상에서의 투영길이가 같고 (等長), 또한 실질적으로 나사맞춤할 수 있는 경사각으로 배치된 1조이상의 부분적 나선상 요철조로 서로 상대방의 대응하는 요철조와 나사맞춤할 수 있는 웅부재와 자부재로 구성되고 양부재의 요철조가 축직교면상에 있어서의 상호 불간섭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각 부재마다의 요철조 단면간은 무요철조부로 되어 있고 양부재가 나사맞춤하는 것에 대응하는 적어도 각 1조의 요철조의 단면이 나사맞춤 시단부로부터 종단부에 향해서 연속적 및/또는 단속적으로 요조에서는 대에서 소, 철조에서는 소에서 대에로 변화하여 나사맞춤 상태에 있어서 그의 단면변화가 실질상 스토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8. 제7항에 있어서, 양부재간에 양부재를 나사맞춤 완료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이 끼어서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나선상 요철조의 각 축선방향의 배열이 1렬 이상이며 나사맞춤하는 것에 대응하는 요철조가 1렬중에서 동일한 단면변화를 나타내는 2조 이상의 요철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나선상 요철조의 각 축선방향의 배열이 등중심각도의 2렬 이상이며, 또한 동일 축직교면상에 각릴의 나선상 요조 또는 철조끼리가 배치되고 나사맞춤하는 것에 대응하는 1렬중에서의 요철조의 단면변화가 다른 모든 열에서 동일한 1조이상의 요철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나선상 요철조의 각 축선방향의 배열이 등중심각도의 2열 이상이며, 또한 동일축 직교면상에 각릴의 나선상 요조 또는 철조끼리가 배치되고, 나사맞춤하는 것에 대응하는 요철조가 모두 등일한 단면변화를 나타내는 각렬 2조이상의 요철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나선상 요철조의 각 축선방향의 배열이 등중심각도의 2열이상이며, 나사맞춤하는 것에 대응하는 요철조가 모두 등일한 단면변화를 나타내는 각렬 2조 이상의 요철조를 가지매, 각렬마다 요철조의 설치위치가 이 열수분의 1피치씩 축선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웅자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철 또는 요조의 나사맞춤 시단부에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14.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웅자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철 또는 요조의 나사맞춤 종단축 단면에 관련해서 외면을 축선방향으로 연속하는 안내면으로 한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15.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웅자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철 또는 요조의 나사맞춤 종단 측단부에 모깎은부(Chamfering 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합기.
KR1019830000848A 1982-03-03 1983-03-02 계합기(係合器) KR870000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329/82 1982-03-03
JP3232982A JPS58160611A (ja) 1982-03-03 1982-03-03 係合器
JP57-32329 1982-03-03
JP13220782A JPS5923115A (ja) 1982-07-30 1982-07-30 係合器
JP15747682U JPS5962312U (ja) 1982-10-20 1982-10-20 ねじ戻し型係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25A KR840004225A (ko) 1984-10-10
KR870000386B1 true KR870000386B1 (ko) 1987-03-07

Family

ID=2728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848A KR870000386B1 (ko) 1982-03-03 1983-03-02 계합기(係合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3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25A (ko) 198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5363A (en) Plastic pipe beam support
US5022614A (en) One piece conduit clip
DE9421899U1 (de) Fugenabdeckvorrichtung
EP0782652B1 (en) Suspension system for false ceilings
CA2823847A1 (en) Deck board mounting clip
US6540432B2 (en) Structural fastener system
EP3143218B1 (en) Clamping element; floors or walls formed by such clamping elements, boards and beams
US20190316351A1 (en) Ceiling structure with increased work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4599010A (en) Anchoring device
DE3019303A1 (de) Rohr-klips
US4207014A (en) Hollow rod joint connection
KR870000386B1 (ko) 계합기(係合器)
US3564666A (en) Device for the temporary fastening of parts on a substructure by means of screws
US8444341B2 (en) Device for the forced locking of two elements oriented orthogonally to one another
US325767A (en) Thomas w
CA1146624A (en) Fittings for adjustably connecting front panels to furniture components
EP0121619A1 (en) Screw couplings
US7032867B2 (en) Cable clamp
CH561659A5 (en) Lift running rail attachment - using a support element with bearing sections having adjustable spring loaded clamps
DE20215867U1 (de) System zur Festlegung flächiger Solarkomponenten
US3422925A (en) Rope connector
JPH0114447B2 (ko)
JPH0222243B2 (ko)
SE543349C2 (en) Lamp mount assembly, and lamp assembly comprising lamp mount assembly
EP0040180A1 (de) Montagegest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