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361Y1 -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361Y1
KR870000361Y1 KR2019830000245U KR830000245U KR870000361Y1 KR 870000361 Y1 KR870000361 Y1 KR 870000361Y1 KR 2019830000245 U KR2019830000245 U KR 2019830000245U KR 830000245 U KR830000245 U KR 830000245U KR 870000361 Y1 KR870000361 Y1 KR 870000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ylinder
sorting
guid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811U (ko
Inventor
류우이찌 이마무라
간소오 시마사끼
사도루 야하시
Original Assignee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세이레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간다 시나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세이레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간다 시나가스 filed Critical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811U/ko
Priority to KR2019860019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6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using 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도면은 본고안의 실시에 도면으로서,
제 1 도는 그 회전선별정미기 전체의 외측면도.
제 2 도는 동일한 후면도.
제 3 도는 동일한 평면도.
제 4 도는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5 도는 동일한 후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P부분의 확대측면도.
제 7 도는 동일한 후면도.
제 8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Q부분의 확대평면도.
제 9 도는 동일한 내부를 옆쪽에서 관찰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벼껍질제거부 B : 풍력선별부
10 : 요함부 13, 14, 18 : 수납안내통
46 : 입력축 a : 1차선별통체
b : 2차선별통체 c : 회전선별부
본고안은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방형상 상자체의 풍력선별부 윗면에 벼껍질 제거부와 내주면에 여러개의 요함부를 형성설치한 회전선별통체내에 수납안내통을 갖춘 회전선별부를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한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 상기한 벼껍질제거부에서 회전선별부쪽으로 전동하는 것에 벼껍질제거부와 회전선별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이용하여 전동하는 것에 의하여 기체의 각 부분을 효율좋게 또 간결한 구조로 하여 전동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동부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크게 된다던가 중량이 크게 되는 일없이 기체전체에 밸런스가 된 전동을 할 수 있는 회전선별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에 대하여 실시예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A)는 벼탱크(1)와 1쌍의 벼껍질제거용 로울(2)을 수장축가한 벼껍질제거부, (B)는 장방형상 상자틀에 형성한 풍력선별부로서, 앞쪽 끝에 흡인기(3)를 갖추어 흡인통로(4)를 형성하는 접동낙하미 풍력선별부(B1)와 후단부에 압풍용 풍구(5)를 보유하여서 압풍로(6)를 형성한 현미풍력선별부(B2)를 연통하여 흡인기(3)와 압풍용 풍구(5)의 흡인풍과 압풍이 압풍로(6)에서 흡인풍로(4)내를 흡송하도록 구성한다.
(7)은 접동낙하미안내통, (8)은 2차선별곡립안내통, (9) 는 현미안내통이다.
(C)는 회전선별부로서, 모두 내주면에 다수의 요함부(10)를 형성 설치하여 그 한쪽끝을 공급측(X)으로 하고, 다른쪽끝을 배출측(Y)으로 되도록 여러개의 전륜(11)에 의하여 지지수납하여서 회동가능하게 옆으로 가로지른 1차선별통체(a)와 2차선별통체(b)를 상하로 설치하고, 상기한 벼껍질제거부(A)는 장방형상상자체의 풍력선별부(B)에 있어서의 접동낙하미풍력선별부(B1)쪽 윗면에, 또 이회전선별부(C)는 배출측(Y)을 앞쪽에 공급측(X)을 뒷쪽으로 한 전후방향으로 현미풍력선별부(B2)쪽 윗면에 재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1차선별통체(a)내에는 공급측(X)에서 배출측(Y)에 걸쳐서 접동낙하미공급안내통(12)과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이 병행하여 옆으로 설치되며, 각안내통(12), (13), (14)에는 스크류우 콘베이어(15)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접동낙하미공급안내통(12),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은 1차선별통체(a)의 회동방향(제 5 도에 화살표(ㄱ)로서 표시한다) 아래쪽에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을 윗쪽에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을, 이 재선별 곡립수납안내통(14)과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의 사이에 있어서의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의 아래쪽에 접동낙하미공급안내통(12)을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과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은 1차선별통체(a)의 회동에 따라서 요함부(10)에 끼어 떠올려지고 윗쪽에 이르러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는 곡립을 받아들이도록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앙각(仰角))을 갖게하여 개구하고, 그 낙하하는 곡립이 대향하는 사면(13a)에 있어서의 공급측(X), 즉 기체의 윗쪽의 적당한 곳에 곡립의 낙하위치 지시마아크(M)를 첩착하여, 접동낙하미공급안내통(12)의 공급측(X)에는 공급구(16)를 설치한다.
(17)은 회전선별부(C)의 배출측(Y), 즉 벼탱크(1)의 윗쪽에 설치한 접동낙하미탱크로서, 그 윗부분은 기체의 왼쪽에 입설한 양곡기(D)의 윗부분에, 아래부분은 상기한 접동낙하미공급안내통(12)의 시단부에 각각 연통시키고 있으며, 양곡기(D)의 아래부분은 풍력선별부(B)의 접동낙하미안내통(7)에 연통하고 있다.
또, 상기한 2차선별통체(b)내에는 1차선별통체(a)와 동일하게 공급측(X)에서 배출측(Y)에 걸쳐서 스크류우 콘베이어에 설치된 재최종선벽곡립수납안내통(18)을 옆으로 설치하며, 또한 상기한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과 동일하게 앙각을 갖게하여 개구하고 있다.
(E)는 종선에 의한 쌀선별기로서, 회전선별부(C)의 공급측(X)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윗부분과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의 종단부와는 배출통(19)에서, 또 아래부분은 수납통(20)에 의하여 2차선별통체(b)내의 재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8)의 시단부에 각각 연통되며,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내의 현미가 재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8)에 이르는 사이에 있어서 작은 곡립의 것은 제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1차선별통체(a)의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의 종단부는 아래부분이 2차선별통체(b)의 공급측(X)에 끼워넣은 공급통(21)에서 2차선별통체(b)내와 연통하여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로(14)내의 곡립은 2차선별통체(b)에서 재차 선별작용을 받록 하고 있다.
그리고, 1차선별통체(a)의 배출측(Y)끝은 벼탱크(1) 위에 면하게 하고, 2차선별통체(b)의 배출측(Y)끝은 경사지게 설치된 환원판(22)에서 접동낙하미안내통(7)에, 또 재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8)의 종단부는 유동통로(23)를 경유하여 현미풍력선별부(B2)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유하판(24)위로 통하고 있다.
다음에(25)는 압풍로(6) 아래쪽의 공간에 설치된 원동기이며, (26)은 벼껍질제거부(A)의 1쌍의 벼껍질제거용 로울(2)중의 고정 벼껍질제거용 로울축에 부착된 풀리와 원동기(25)의 풀리에 놓은 V벨트, (27)은 이 고정벼껍질제거용 로울축과 흡인기(3)축과 2차선별곡립안내통(8), 현미안내통(9)의 각 안내통내에 설치된 각각 그 스크류우 콘베이어축과 압풍용 풍구(5)축을 연동하는 V벨트. (28)는 접동낙하미안내통(7)의 스크류우콘베이어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V벨트.
(29)는 접동낙하미안내통(7)의 스크류우 콘베이어축에서 양곡기(D)의 바켓트에 부착된 벨트를 회동시키는 V벨트.
(30)은 기어박스(31)에 설치되는 베벨기어등에 의하여 벼껍질제거용로울(2)축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어박스(31)에서 뒷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된 회전선별부(C)전동용의 구동축이다.
그리고 상기한 2차선별통체(b)를 지지수납하여 회동시키는 전륜(11)의 1축은 배출측(Y)에서 앞쪽으로 향하도록 연결설치하며, 상기한 구동축(30)과 평행상태로서 대향설치시켜서 회전선별부의 입력축(46)으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32)는 이 구동축(30)에 설치된 분할풀리로서, 스프링(33)의 탄성압력에 의하여 여기에 걸어서 펼쳐놓은 V벨트의 긴장력의 강약에 따라서 유효지름이 변경가능하게 구성되며,
(34)는 구동축(3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텐션아암(35)에 부착된 텐션풀리로서, 전륜축 전동용 V벨트(36)가 분할풀리(32)와 텐션풀리(34)와 분할풀리(32)와 대향설치되도록 상기한 전륜(11)의 1축에 부착된 전동풀리(37)에 현가되어 회동하고 있다.
이들 벼껍질제거부(A)에서 회전선별부(C)에의 전동부는 벼껍질제거부(A)와 회전선별부(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내에 설치한다.
(38)은 기체의 왼쪽에 설치한 변속박스로서, 아래쪽끝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 또는 전도가 자유롭게 되며 또한 안내판(39)에 형성설치된 계지부(40)에 걸어맞춤이 이탈가능한 변속레버(41)를 설치하고, 이 변속레버(41)의 적당한 곳과 상기한 텐션아암(35)의 선단부를 와이어(42)로서 연결하고 있다.
또, (43)은 회전선별부(C)의 공급측(X)에 있어서 1차, 2차 선별통체(a)(b)를 지지수납하여 회동시키는 각 전륜(11)축과,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 접동낙하미공급안내통(12), 최종선별 곡립수납안내통(13) 및 재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8)의 각 안내통에 설치된 스크류우콘베이어축을 연동하는 1가닥의 V벨트이며, (44)는 공급측(X)의 1차선별통체(a)내의 윗부분에 대응하는 기벽을 설치한 부분에 붙였다. 떼였다 하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된 투명체이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동기(25)의 동력은 V벨트(26), (27), (28), (29)를 개재하여 벼껍질제거부(A), 풍력선별부(B), 양곡기(D)에 전달됨과 아울러, 구동축(30)에서 벼껍질 제거부(A)와 회전선별부(C)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공간내부에 있어서 전륜축 전동용 V벨트(36)를 개재하여 회전선별부(C)를 회동시킨다.
여기서 벼탱크(1)에 공급되는 벼는 1쌍의 벼껍질 제거용로울(2)에 의하여 접동낙하되어 흡인풍로(4)에서 풍선되어서 2차선별곡립의 벼껍질 및 분진은 제거되어 접동낙하미안내통(7)에 집합하여 스크류우 콘베이어에 의하여 기체의 왼쪽으로 이송되어 양곡기(D)로서 접동낙하탱크(17)에 인양된다.
이 인양된 접동낙하미(벼와 현미의 혼합곡립)은 접공낙하미탱크(17)의 아래부분에서 접동낙하미공급안내통(12)에서 1차선별통체(a)내를 뒷쪽으로 운반되어 공급구(16)에서 이 선별통체(a)의 내주면에 떨어져 들어간다.
이 떨어져 들어간 벼와 현미의 혼합곡립은 화살표(ㄱ) 방향으로 회동하는 1차선별통체(a)의 요함부(10)에 의한 떠올려지는 작용에 의하여 공급구(16)에서 떨어져 들어간 싯점에 있어서는 약간 융기상태를 나타내나, 점차로 회동방향쪽으로 편재하여 공급측(X)에서 배출측(Y)으로 향하여 이행하여 그 사이에 곡립형상의 대소나 표면의 활도(滑度)의 차이에 의하여 주로 현미는 아래층으로 침강하고, 벼는 윗층으로 떠오르면서 요함부(10)에 끼여 있는 현미는 떠올려져 윗쪽에 이르러 요함부(10)에서 이탈하여 화살표(ㄱ')에서 표시하는 큰 포물선에서 (ㄴ')에서 표시하는 포물선의 범위에서 낙하하여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 또는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내로 낙하하여 들어간다.
벼는 주로 윗층에 떠있고, 또한 곡립의 형상이 크기 때문에 요함부(10)에 끼여들어가기 어렵고, 또는 끼여들어간 경우에도 빠지기 용이하므로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에까지 이르는 일도 없고 들어올려진 것이라도 화살표(ㄷ')에 표시한 바와같이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내로 떨어져 들어가는 것으로 되며, 현미중의 작은 곡립은 요함부(10)에 깊이 끼여서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제일 윗부분까지 들어올려져서 화살표(ㄹ')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가장 큰 포물선을 그리고 낙하위치 지시마아크(M)에 부딪쳐서 최종선별 곡립수납안내통(13)내에 이른다. (제 5 도 참조)
또, 요함부(10)에 끼이지 않고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내에까지 이르지 않은 벼는 회동방향(ㄱ)과는 반대방향으로 무너지도록 유동하여 이 상태를 반복하면서 배출측(Y)으로 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에는 현미의 정상적인 곡립과 작은 곡립이,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에는 약간의 벼를 포함한 현미의 혼합곡립이 떠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내의 현미는 스크류우콘베이어(15)에서 뒷쪽으로 이송되어 종단부에서 배출통(19)을 경유하여 쌀선별기(E)에 이르러 여기서 작은 곡립은 제거되고, 정상적인 곡립은 수납통(20)에서 2차선별통체(b)내의 재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8)으로 유입된다.
또, 상기한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내의 혼합곡립은 동일하게 뒷쪽으로 이송되어 종단부에서 공급통(21)을 경유하여 2차선별통체(b)의 공급측(X)내 주면상으로 공급된다.
이 공급된 혼합곡립은 1차선별통체(a)와 동일하게 제 5 도 화살표(ㄴ)에 표시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요함부(10)에서 떠올려지는 선별작용을 반복시키는 것이다.
이 요함부(10)에 의한 떠올려지는 작용은 1차선별통체(a)에 있어서는 벼만이 배출측(Y) 끝에서 제 4 도 화살표(ㄷ)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벼탱크(1)로 환원되어서 재벼껍질제거 작용을 받도록 하며, 2차 선별통체(b)에 있어서는 재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8)에는 현미만이 떨어져 들어가도록 한다.
그때문에 2차선별통체(b)의 배출측(Y) 끝에서 약간의 벼와 현미의 혼합곡립이 제 4 도 화살표(ㄹ)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환원판(22)위로 흘러내려가서 재차 풍력선별된후, 접동낙하미안내통(7)에 떨어져 들어가는 것으로 되어서 새로운 접동낙하미와 합류하고, 재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8)내의 현미는 유동통로(23)에서 유하판(24)을 경유하여 압풍로(6)에서 풍력선별되어 현미안내통(9)에 집합된후 옆쪽으로 이송되어서 슬로워에 의하여 소정의 장소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 재최종신별곡립수납안내통(18)에 각각 소망의 현미의 혼합곡립을 떨어뜨려넣으려면 각 수납안내통(13), (14), (18)의 받아들이는 쪽에 경사자세를 변경조절이 자유롭게 설치한 조절판(45)에 의하여 미세한 조절은 가능하나, 벼 및 현미의 형상이나 크기는 품종이나 비배관리, 기상조건등에 의하여 크게 달라진다.
지금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벼가 접동 낙하되어서 그 벼와 현미의 혼합곡립이 회전선별부(C)에 있어서의 1차선별통체(a)로 공급되면 전술한 요함부(10)의 떠올려지는 작용에의한 현미의 그려지는 포물선(ㄱ')-(ㄴ')과 (ㄹ') 및 포물선(ㄷ')은 각각 크게 혹은 반대로 적게 변동하고 있는것이 투명체(44)를 통하여 기체 뒷쪽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그것은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3),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4)에 소망의 현미, 벼와 현미의 혼합곡립을 떨어뜨려 넣을 수가 없어서 선별정밀도 및 능률의 저하에 관련된다.
즉, 제일 윗부분에까지 인양되어 가장 큰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위치 지시마아크(M)에 부딪치고 있었던 현미중의 작은 곡립은 이 낙하위치 지시마아크(M)의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하여, 윗쪽으로 빠지는 경우는 변속레버(41)를 뒷쪽으로 잡아 당겨서 와이어(42), 텐션풀리(34) 등을 개재하여 전륜축 전동용 V벨트(36)의 긴장정도를 강하게 하면 분할풀리(32)는 그 유효지름을 작게하여서 전륜(11)축을 경유하여 각 선별통체(a), (b)의 회전속도를 줄여 낙하위치 지시마아크(M)보다 윗쪽으로 빠지고 있었던 현미중의 작은 곡립은 그 포물선이 작게되어서 이 지시마아크(M)에 충돌하게 되며, 반대로 낙하 위치지시마아크(M)의 아래쪽으로 빠지는 경우는 변속레버(41)를 앞쪽으로 전도시키면 분할풀리(32)의 유효지름은 크게되어서 회전속도를 증가하여 낙하점은 수정되는 것이다.
또한, 변속레버(41)의 계지부(40)는 전후 방향으로 여러개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속도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장방형상 상자체의 풍력선별부 윗면에 벼껍질제거부와 내주면에 여러개의 요함부를 형성 설치한 회전선별통체내에 수납안내통을 갖춘 회전선별부를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한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 상기한 벼껍질제거부와 회전선별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벼껍질제거부에서 회전설별부족의 입력축에 전동하는 전동부를 설치하며 이 입력축에서 회전선별부의 각부분을 연결작동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한 공간부를 회전선별부에 대한 전동부의 설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전동부의 길이를 짧게하여 기체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동부의 주위가 벼껍질제거부와 풍력선별부 및 회전선별부로서 피복되 어있으므로 안전한 구조로 되며 게다가 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동부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크게 된다던가 중량이 크게되는 일없이 기체전체에 밸런스가 된 전동을 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Claims (1)

  1. 장방형상 상자체의 풍력선별부(B) 윗면에 벼껍질제거부(A)와 내주면에 여러개의 요함부(10)를 형성설치한 회전선별통체(a)(b)내에 수납안내통(13)(14)(18)을 갖춘 회전선별부(C)를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한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 상기한 벼껍질제거부(A)와 회전선별부(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벼껍질 제거부(A)에서 회전선별부(C)쪽의 입력축(46)에 전동하는 전동부를 설치하며 이 입력축(46)에서 회전선별부(C)의 각 부분을 연결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 전동장치.
KR2019830000245U 1982-01-25 1983-02-13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KR870000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9917U KR870000362Y1 (ko) 1982-01-25 1986-12-12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34430U JPS58137446U (ja) 1982-03-10 1982-03-10 回転選別籾摺機における選別筒体回転速度調節装置
JP34430 1982-03-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9917U Division KR870000362Y1 (ko) 1982-01-25 1986-12-12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811U KR840003811U (ko) 1984-08-22
KR870000361Y1 true KR870000361Y1 (ko) 1987-02-13

Family

ID=1241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245U KR870000361Y1 (ko) 1982-01-25 1983-02-13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58137446U (ko)
KR (1) KR870000361Y1 (ko)
PH (1) PH2145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37446U (ja) 1983-09-16
KR840003811U (ko) 1984-08-22
PH21458A (en) 1987-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15605B (zh) 双体环保船
CN210066686U (zh) 靠岸垃圾打捞装置
CN210047605U (zh) 一种用于河道水面垃圾打捞装置
CN107719593A (zh) 一种具备浮动式打捞运输结构的水面垃圾清扫船
CN202210969U (zh) 联合收割机的传动结构及脱粒分选结构
CN109516075A (zh) 一种物料输送用全自动斗提机
CN210557318U (zh) 一种新型链条刮板机
CN208853438U (zh) 固体废弃物分类回收装置
KR870000361Y1 (ko)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CN111318967A (zh) 石材用履带通过式抛丸机
US4441412A (en) Driving device of sorting cylinder for use in a rotary type rice hulling and sorting device
KR870000362Y1 (ko)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통체전동장치
CN112921935A (zh) 一种水面垃圾清扫无人船
CN220005122U (zh) 一种闭口螺母筛选机构及清洗系统
CN219424953U (zh) 一种大米加工用稻瘪分离装置
CN111771550A (zh) 一种新型高效风送型秸秆捡拾机
KR870000360Y1 (ko) 회전선별 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장치
CN208512026U (zh) 一种餐厨、生活垃圾固液分离机
CN208771859U (zh) 一种种子清理除尘装置
CN108662845A (zh) 一种可自动上下料的冷却装置
CN208499821U (zh) 一种煤灰输送装置
CN115450188B (zh) 一种河道漂浮杂物垃圾分离处理装置
CN207844929U (zh) 一种化肥原料斗提机
JP3909966B2 (ja) 籾摺選別機
CN207933102U (zh) 一种高效率的开排沉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11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