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028Y1 - 식모포(植毛布) - Google Patents

식모포(植毛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028Y1
KR870000028Y1 KR2019840002964U KR840002964U KR870000028Y1 KR 870000028 Y1 KR870000028 Y1 KR 870000028Y1 KR 2019840002964 U KR2019840002964 U KR 2019840002964U KR 840002964 U KR840002964 U KR 840002964U KR 870000028 Y1 KR870000028 Y1 KR 870000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t
woolen
layer
foll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405U (ko
Inventor
홍중표
Original Assignee
홍중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중표 filed Critical 홍중표
Priority to KR2019840002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028Y1/ko
Publication of KR850008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모포(植毛布)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한 식모포의 일부 단면예시도로서 식모부분을 특히 확대표시하고 기타부분은 극히 약시적으로 도시하였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기포(基佈) S : 습식발포층
1 : 습식발포층(S)의 미세요입부
2 : 상기 미세요입부(1)(1)사이의 발포층(S)의 표면부
3 : 식모용 접착제 F : 상기 요입부(1) 속에 식모된 식모털
f : 상기 표면부(2) 위에 식모된 식모털
본 고안은 식모털이 빠지지 않게 개량된 구조의 식모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식모포는 기포(B) 위에 식모용 접착제(3)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그위에 나일론플록킹 섬유를 전기식모한 것이므로 털이 접착제충 깊숙히 식모되지 않아 외력등을 받으면 식모털이 쉬이 빠지거나 식모된 뿌리부분이 약하여 탄력성의 결핍으로 눕
혀진 식모털의 원위치복귀력이 약하여 사용도중 외관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위 습식발포지에 식모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습식발포층의 표면에 무수하게 요설(設)된 미세요입부속에 식모털이 깊이 들어가서 식모되도록 하였는바, 첨부된 예시도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식모용 기포(B)의 위에 습식발포층(S)를 형성하고 그위에 공지의 식모용 접착제(3)을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 공지의 전기식모를 행하여 주로 상기한 습식발포층(S)의 표면에 무수하게 요설된 미세요입부(1) 속깊이 식모털(F)가 식모되도록 하여 본고안의 식모포를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 습식발포지(S)라 함은 예를들면 나일론 6의 폐설물을 메타놀-염화칼슘의 포화용액에 용해시키고 기포(B) 위에 도포시킨 것을 수중에 일정시간 침지시켜 염화칼슘미립자를 용출시켜 염화칼슘이 용출된 부분에 무수한 미세요입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준비된 습식발포지의 표면에는 무수한 미세요입부(1)이 밀집하여 요설되어 있어 이속에는 다른 표면부(2)보다 많은 식모용 접착제(3)이 고여있게 되므로 이속에 식모된 털(F)는 습식발포지(S+B)의 진동 내지 요동으로 이요입부(1)의 거의 저면까지 깊이 그 뿌리가 박히게 되어 표면층(2) 위에 식모된 털(f) 보다 깊게 식모될 수 있어 이 식모털(F)에 외력이 가하여져서 이 식모털(F)가 일단 눕혀져도 표면부(2)의 식모털(f) 보다 원상복귀력이 좋아 쉬이 원상으로 복귀할 수가 있어, 사용도중 종래처럼 외관을 손상시킬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염화칼슘의 입도와 그 혼입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요입부(1)의 수나 크기를 표면부(2)보다 많고 크게 형성시킬수가 있으므로 전체식모밀도로 미루어보아 표면부(2)의 식모털(f)가 종래처럼 쉬이 빠져나가도 요입부(1) 속의 식모털(F)가 더 많이 잔존되어있어 전체면에서 볼 때 오래사용하여도 식모효과가 종래처럼 단시일내에 감퇴되는 결함이 없다.
또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식모후 쉐어링을 행하여 식모털이 노출부가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동일한 길이의 식모털을 사용하는 경우 쉐어링을 하지 않으면 긴털(표면부 2 위에 식모된 털 f)와 짧은 털(요입부 1 속에 식모된 털 F)가 교호 식모된 불규칙한 식모포도 얻을 수 있어 특수외관용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식모포는 습식발포층(S)가 내수성인 나일론 6의 코오팅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식모포로 봉제완구나 봉제인형등을 만들면 그 내부로 침수되지 않아 표면을 씻어도 내부가 침수되어 부식되거나 변질되거나 또는 세탁후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등의 여러가지 실용적인 이점을 나타낼 수가 있다.

Claims (1)

  1. 전기식모식으로 식모포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상의 식모용 기포(B) 위에 습식발포층(S)를 형성학 그 위에 공지의 식모용접착제(3)을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 공지의 전기식모를 행하여 주로 상기한 습식발포층(S)의 표면에 무수하게 요설된 미세요입부(1) 속깊이 식모털(F)가 식모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포.
KR2019840002964U 1984-04-03 1984-04-03 식모포(植毛布) KR870000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964U KR870000028Y1 (ko) 1984-04-03 1984-04-03 식모포(植毛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964U KR870000028Y1 (ko) 1984-04-03 1984-04-03 식모포(植毛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405U KR850008405U (ko) 1985-11-15
KR870000028Y1 true KR870000028Y1 (ko) 1987-01-28

Family

ID=1923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964U KR870000028Y1 (ko) 1984-04-03 1984-04-03 식모포(植毛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0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405U (ko) 198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33704T1 (de) Trockenes putztuch
ATE28663T1 (de) Zusammensetzungen zum reinigen bzw. konditionieren von gewebe.
US4091491A (en) Skin care mitt
ATE174489T1 (de) Flachwischbezug für die fussbodenreinigung
KR870000028Y1 (ko) 식모포(植毛布)
US4306555A (en) Applicator swab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70335A (en) Porous coated pile fabric
JPS603776Y2 (ja) スポンジ束子
US2856938A (en) Dental cleaners
JP3030830U (ja) 絹糸ブラシ
CN207607189U (zh) 一种沙发面料
JPH0244235B2 (ja) Nuigurumigangu
US1662470A (en) Imitation fur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S5927772Y2 (ja) 洗濯用ブラシ
JPH06133893A (ja) ボデー洗い具
JPS6342940Y2 (ko)
JPS59141584U (ja) 毛皮織物地
JPH0327513Y2 (ko)
JP3020643U (ja) タオル
JPH0335195Y2 (ko)
JPH06128850A (ja) ボディタオル
JPH0614898B2 (ja) ボディーシャンプーを含む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0596Y2 (ko)
JP3010658U (ja) 着色布帛
JPH1043085A (ja) 洗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