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155Y1 -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 Google Patents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155Y1
KR860003155Y1 KR2019840005297U KR840005297U KR860003155Y1 KR 860003155 Y1 KR860003155 Y1 KR 860003155Y1 KR 2019840005297 U KR2019840005297 U KR 2019840005297U KR 840005297 U KR840005297 U KR 840005297U KR 860003155 Y1 KR860003155 Y1 KR 860003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all
connecting body
plat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749U (ko
Inventor
강인식
Original Assignee
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식 filed Critical 강인식
Priority to KR2019840005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155Y1/ko
Publication of KR860000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7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제 1 도는 본고안의 선풍기 연결몸체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고안의 선풍기를 입식으로 설치·사용하는 상태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고안의 선풍기를 벽식으로 설치·사용하는 상태의 측면도.
제 4 도는 본고안의 선풍기 연결몸체를 벽에 부착시킬 수 있는 벽걸이판의 사시도.
제 5(a) 도, 제 5(b) 도는 본고안의 선풍기를 입식으로 설치했을 때의 각도 조절상태의 단면도로서,
제 5(a) 도는 선풍기헤드를 내렸을 때이고,
제 5(b) 도는 선풍기헤드를 올렸을 때이며,
제 6(a)도, 제 6(b) 도는 본고안의 선풍기를 벽식으로 설치했을 때의 각도조절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 6(a) 도는 선풍기헤드를 올렸을 때이고,
제 6(b) 도는 선풍기헤드를 내렸을 때이다.
본고안은 선풍기를 바닥에 세워 설치하거나 벽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입식과 벽식을 겸할 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고안은 선풍기 헤드를 크램프로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붙잡아 줄 수 없는 중형, 대형의 선풍기헤드부를 회동시켜 주는 조작과 바닥에 세운 입식 좌대 또는 벽에 부착한 벽걸이판에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한 대의 선풍기로서 기존 입식과 벽식 두 대의 선풍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물론, 주위환경과 필요에 따라서 입식 또는 벽식으로 설치·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소·중·대형 선풍기는 주로 입식과 벽식으로 확실하게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선풍기로 입식과 벽식 두 대의 선풍기로 겸해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었으며, 특히 종래의 중형, 대형의 선풍기는 설치상태가 입식, 벽식 및 천정식으로 확실하게 구별되어 있어 그 설치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본고안은 중형 또는 대형의 선풍기를 필요에 따라 세워 설치하거나 벽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대의 선풍기로서 두 대의 선풍기 구입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선풍기헤드(1)축(1')을 회전 가능하게 붙잡아 주는 것에 있어서, 상기축(1')의 삽지구(2) 양측에 부착시킨 조절구(3)의 양측판(3')(3")에 호형장공(4)과 내측으로 돌출시킨 암나사부(5)(5')를 형성하고, 축공(6)(6')사이에 간격유지원통(7)을 삽치시킨 다음, 이를 연결몸체(8)의 양측지지판(8'),(8")의 상단에 천설한 축공(9),(9')과 외축으로 돌출시킨 암나사부(10) 및 호형장공(11)에 보울트축(12)과 보울트(13),(14)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고, 또 연결몸체(8)의 하단에 체착공(15),(15')이 천공된 부착편(16),(16')을 옆으로 돌설하며, 연결몸체(8)의 후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킨 콘트롤박스(17)를 길게 늘어뜨릴 수 있게 도선(18)을 연결몸체(8) 내부(8"')에 약 60㎝ 정도의 여유를 두었으며, 또한 연결몸체(8)를 벽(W)에 설치할 수 있게 벽(W)에 부착시킨 "L"자형 삽지돌편(19),(19")와 저지돌편(19"')을 양측과 하단에 돌설한 벽걸이판(19)을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2'는 삽지구(2) 옆에 돌설시킨 회전작동간(20) 연결부, 21,21'는 입식 좌대와 상측 부착판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을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식좌대(21)를 이용하여 입식으로 사용코자 할 경우에는 입식좌대(21)의 부착판(21')에 연결몸체(8)의 하단 부착편(16)(16')을 얹어놓고 보울트 등으로 체결한 다음, 조절구(3)의 양측판(3'),(3") 사이에 간격유지원통(7)을 끼운 상태로 연결몸체(8)의 상단에 삽치시켜 보울트축(12)으로 이들을 체결하고 이어서 일측 지지판(8')에 외측으로 돌설시킨 암나사부(10)를 통해 보울트(13)를 나착하여 주면 보울트(13)는 조절구(3)의 일측판(3')의 호형장공(4)에 삽치되므로서 조절구(3)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그 다음에 연결몸체(8)의 타측지지판(8"')에 천공된 짧은 호형장공(11)과 조절구(3)의 타축판(3")에 내측으로 돌출된 하측 암나사부(5')를 일치시키고 보울트(14)를 호형장공(11)을 통해 암나사부(5')에 나착시켜 주게 되면 선풍기헤드(1)는 전방을 향하는 입식 선풍기가 되는데, 이때 선풍기헤드(1)의 각도는 제 5(a) 도, 제 5(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암나사부(5')에 꽉 나착된 보울트(14)을 약간 나해한 후 선풍기헤드(1)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음으로서 선풍기헤드(1)의 각도조절은 조절구(3)타측(3")에 천공된 호형장공(4)의 이동폭만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풍기를 입식 선풍기로 사용하다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식 선풍기로 사용코져 할 경우에는 입식좌대(21)의 부착판(21')에 체결하였던 연결몸체(8)의 부착편 (16),(16')을 떼어낸 다음, 앞서 적당한 위치의 벽에 부착시켜 놓았던 벽걸이판(19)의 양측 "L"자형 삽지돌편(19'),(19")사이로 부착편(16),(16')을 삽치시켜 주게 되면 연결몸체(8)의 벽설치는 간단하게 끝이 나게 되는데, 입식으로 사용할 때의 선풍기헤드(1)는 연결몸체(8)와 거의 90각도를 유지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벽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조절구(3)의 타측판(3")의 내측으로 돌출된 하축 암나사부(5')에 나착되어 있는 보울트(14)를 완전 나해하여 탈리시킨 후 삽치구(2) 자체를 연결몸체(8) 후측으로 완전히 회동시켜서 조절구(3)의 타측판(3")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측 암나사부(5)가 연결몸체(8) 타측 지지판(8")의 호형장공(11)과 일치되게 하고, 이어서 나해하였던 보울트(14)를 재차 호형장공(11)을 통해 상측 암나사부(5)에 나착시켜 주게 되면 선풍기헤드(1)는 기존의 벽식 선풍기와 같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 또한 전술한 입식 좌대(21)에 설치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제 6(a)도, 제 6(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14)를 약간 나해하여 선풍기헤드(1)를 상·하로 회동시킨 후 보울트(14)를 꽉 조여주는 작업으로 각도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선풍기헤드(1)를 벽(W)에 부착된 벽걸이판(19)에 걸어 설치했을 때에는 콘트롤박스(17)가 연결몸체(8) 후방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서 선풍기 조작이 불편하고 또 선풍기가 벽(W)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더욱 조작이 어려워지는데,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17)에 연결된 도선(18)의 약 60㎝정도 길이를 연결몸체(8)의 내부(8")에 내장하여 놓아 주었다가 선풍기를 벽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연결몸체(8)를 벽걸이판(19)에 설치하기 전에 먼저 연결몸체(8)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콘트롤박스(17)를 해체한 후 연결몸체(8) 내부(8")에 여유를 두었던 도선(18)을 길게 뽑아내어 콘트롤박스(18)를 밑으로 늘어뜨려 놓은 다음 연결몸체(8)를 벽걸이판(19)에 설치하게 되면 선풍기의 작동이 간편해지는 것이며, 늘어뜨린 콘트롤박스(17)를 벽(10)에 고정 부착시켜 놓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식이나 벽식으로 선풍기헤드(1)를 설치해 놓고 그 각도의 조절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각도조절된 선풍기헤드(1)가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울트축(12), 보울트(14)를 꽉 조여주면 중량이 무거운 중·대형 선풍기헤드(1)라 해도 조절한 각도를 충분히 지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연결몸체를 바닥에 세워 설치해 놓은 입식 좌대에 부착시키거나 미리 벽에 부착시킨 벽걸이판에 삽치, 설치해 놓으면서 연결몸체 상단에 삽설된 조절구를 회동조작하는 간단한 구조로 한 대의 선풍기를 입식과 벽식으로 병용해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선풍기헤드(1)축(1')을 회전 가능하게 삽지구(2)에 삽치하고 연결몸체(8)의 저부 부착편(16),(16')을 입식좌대(21) 또는 벽걸이판(19)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연결몸체(8)의 양측 지지판(8'),(8") 상단에 간격유지원통(7)이 삽치된 조절구(3)의 양축판(3'),(3")을 삽입하고 보울트축(12)으로 체결하되, 일측 지지판(8') 내면에 접하는 일측판(3')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암나사부(10)와 일치하도록 호형장공(4)을 천공하고, 타측지지판(8") 내면에 접하는 타측판(3")에는 호형장공(11)과 일치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시킨 두 개의 암나사부(5) 또는 (5')를 선택하여 보울트(14)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여서 된 입식과 벽식을 겸할 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KR2019840005297U 1984-06-05 1984-06-05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KR860003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297U KR860003155Y1 (ko) 1984-06-05 1984-06-05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297U KR860003155Y1 (ko) 1984-06-05 1984-06-05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749U KR860000749U (ko) 1986-02-15
KR860003155Y1 true KR860003155Y1 (ko) 1986-11-13

Family

ID=1923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297U KR860003155Y1 (ko) 1984-06-05 1984-06-05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1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749U (ko) 198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0511A (en) Light fixture
US6205615B1 (en) Door closer
CZ151598A3 (cs) Připevňovací destička pro zavěšení částí nábytku
CA1044674A (en) Fluorescent lamp fixture having biasing means used in the mounting of the lamp fixture
KR860003155Y1 (ko) 입식과 벽식을 겸할수 있는 선풍기의 연결몸체
US1647187A (en) Junction box for portable lights
KR200163909Y1 (ko) 낚시받침판의 각도조절대 압지장치
JPS6322900Y2 (ko)
JPS5838942Y2 (ja) エアコン室外ユニツトの吊下装置
JP2568229Y2 (ja) 吊りボルト付設具
JPH0116860Y2 (ko)
JPH0615067Y2 (ja) 懸吊支持金具
JPS5847610Y2 (ja) 照明器具の取付具
JPH0536892Y2 (ko)
KR200310644Y1 (ko) 모니터용 경사 조절장치
KR910005650Y1 (ko) 액자 설치틀
JPH0326753Y2 (ko)
JP2541155Y2 (ja) 直付け型照明器具
JPS5841610Y2 (ja) 照明器具
JPH0356618Y2 (ko)
JPH0613932Y2 (ja) 軒樋支持装置
JPS5843134Y2 (ja) 照明器具
JP2769224B2 (ja) 扉体へのランナーの取り付け構造
JPS6331291Y2 (ko)
JPS5910652Y2 (ja) コ−ド吊り下げ灯のコ−ド長さ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