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714Y1 -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714Y1
KR860002714Y1 KR2019840007553U KR840007553U KR860002714Y1 KR 860002714 Y1 KR860002714 Y1 KR 860002714Y1 KR 2019840007553 U KR2019840007553 U KR 2019840007553U KR 840007553 U KR840007553 U KR 840007553U KR 860002714 Y1 KR860002714 Y1 KR 860002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light beam
mirror
signal generator
scan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198U (ko
Inventor
정환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07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714Y1/ko
Publication of KR860003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 H01S3/139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by controlling the mutual position or the reflecting properties of the reflectors of the cavity, e.g. by controlling the cavity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제1도는 종래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3a도, 제3b도는 초음파 광변환 장치의 개념 구성도.
본 고안은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각 광주사점의 시각점 및 종지점을 일정하게 하여 영상의 찌그러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기준 시각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각각의 광주사점의 시각 검지기를 사용하여 매번의 광 주사시마다 레이저 광속(光束)이 피주사면에 주사되기 전에 주사시작 검지기를 스쳐지나가면서 주사하도록 하므로서, 주사 시작 검지기에서 광주사 시작을 규정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주사 시작 검지기를 사용하면 각각의 주사선의 시작점들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나 주사도중 회전다면경의 회전속도가 변화될뿐 아니라 최전다면경의 경면 왜곡으로 인하여 각각의 주사선의 길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주사종지점의 위치는 일치하지 않게되어 불규칙적인 톱니 모양이 된다.
따라서 주사 종지점 부근에서는 기록 영상이 찌그러지거나 왜곡되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의 것으로서는 주사광속을 반거울 등과 같은 장치로 독립주사광속과 보조 주사광속으로 나누어 보조 주사광속을 피주사면에 닿기 직전에 수광 제어부로 반사시켜 주사시작점들과 주사종자점들의 위치를 각각 일치시켜 왜곡이나 찌그러짐이 없는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한 장치가 있으나, 보조 주사광속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반거울 및 수광제어부에 감지시키기 위한 반사거울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운반도중의 진동 및 외부적인 충격에 매우 약하게된다는 결점이 있다.
이것은 광속에 대한 굴절체 즉 렌즈인 경우에는 진동에 의하여 어느정도 기울어져도 광속의 진행 방향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거울과 같은 반사체인 경우에는 진동에 의한 기울어짐 각도에 대하여 광속은 2배만큼 진행 방향이 달라지는 것이 기인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광속주사 시작점들과 종지점들을 일치시켜서 왜촉과 찌그러짐이 없는 기록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의하여 광속주행 경로가 바뀔수 있는 거울등의 반사체의 사용 갯수를 감축한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 시간 신호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초음파 광변조기에서 발생되는 비회절 광을 보조광속으로 사용하고 보조광속의 광도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기준시각 신호 발생 회로를 부가하여 기준시각신호로서 광변조기 구동장치를 동기시켜 고품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 시각 신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종래 레이저 광주사 시스테에서는 레이저 발생장치(1)에서 발생된 레이저 광이 초음파 광변조기(2)를 통하여 피주사면(5)에 조사된다.
이때 주사검출기(6)를 거쳐서 레이저 광이 피주사면(5)에 주사되도록 하면 주사검출기(6)에서의 출력신호로서 시각신호 발생기(7)를 제어한다. 시각신호 발생기(7)의 출력은 초음파 광변조기(2)의 구동장치(8)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레이저 광속주사 시작점이 주사검출기(6)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일정하게 되나, 주사 종지점은 제1(a)도의 부분에서처럼 불규칙적으로 되어 영상이 왜곡되거나 찌그러지게 되는 것이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구성을 설명하면, 초음파 광변조기(2)에서의 비회절 광속을 보조 주사광속으로하여 회전다면경(3)에서 독립 주사광속과 동일하게 반사시켜 보정 랜즈(4)에서 평행 광속으로 하되 피주사면(5) 바로위에서 반사거울(9)로 반사시켜서 격자(9')를 통하여 광검지기(10)에 입사시키고, 광점기지(10)의 출력에서 나타나는 보조 주사광속의 광도 변화를 기준신호 보상회로(11)에서 보상하여, 보상회로(11)의 출력으로 시각신호 발생기(7)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2 : 영상 신호 입력 단자, 13 : 반사경 이다. 이러한 작용 효과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에는 제3도와 같은 초음파 광변조기(2)에서 발생되는 비회절 광속을 사용하지 않고 차단막(14)으로서 차단시켰었다.
그 이유로서는 비회절 광속(W)을 입사광속(W0)에서 회절광속(독립주사 광속 : W1)을 제외한 광도를 갖기 때문에 영상 신호에 의한 변조가 있으면 비회절 광속의 광도가 심하게 변화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비록 비회절 광속이 다음과 같은 등식에 의하여 변화된다 할지라도 전혀 없게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비회절 광속을 보조주사 광속으로 유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W=W0-W1≠O ……(1)
이러한 보조 주사광속은 영상신호가 있는 경우에 항상 그 광도가 변화되나, 독립주사광속(회절광속)에 의한 변화분이 광검거지(Co)에서 전기적으로 항상 검출되므로 이 검출된 전기적 변화성분을 일정하게만하여 주면이 일정한 신호가 바로 시각신호발생기(7)를 일정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광검지기(10)에서 검출된 신호를 일정하게 하여주는 기준 신호보상회로(11)는 광검지기(10)에서의 검출신호의소인선 부분과 귀선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크기의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따라서 기준신호 보상회로(11)에서의 일정출력 신호는 시각신호 발생기(7)를 일정 레벨에서 균일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광변조기 구동장치(8)를 안정된 상태에서 구동하게 된다.
결국 레이저 광 독립 주사광속은 시작점과 종지점이 일정하게 되어져서 영상의 찌그러짐과 왜곡을 없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영상의 찌그러짐과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특히 회전다면경의 경면 왜곡등에 의한 오차를 자동 보상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충격에 약한 반사 거울등을 다수개 사용하지 않더라도 목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초음파 광변조기(2)에서의 비회절 광속을 보조 주사광속으로하고, 회전다면경(3)에서 독립주사광속과 동일하게 반사시켜 보정랜즈(4)에서 평행 광속으로하되, 피주사면(5) 바로위에서 반서거울(9)로 반사시켜서 격자(9)를 통하여 광검지기(10)에서 입사시키고, 광검지기(10)의 출력에서 나타나는 보조 주사광속의 광도변화를 기준신호 보상회로(11)에서 보상하여, 보상회로(11)의 출력으로 시각 신호발생기(7)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이저 광주사게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장치.
KR2019840007553U 1984-08-03 1984-08-03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KR860002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553U KR860002714Y1 (ko) 1984-08-03 1984-08-03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553U KR860002714Y1 (ko) 1984-08-03 1984-08-03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198U KR860003198U (ko) 1986-03-31
KR860002714Y1 true KR860002714Y1 (ko) 1986-10-15

Family

ID=1923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553U KR860002714Y1 (ko) 1984-08-03 1984-08-03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7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198U (ko) 198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8064A (en) Real time grating clock for galvanometer scanners in laser scanning systems
US5026133A (en) Large format laser scanner with wavelength insensitive scanning mechanism
US4024341A (en) Method of picking out synchronizing light beam in light scanning systems
US4432598A (en) Image reading and recording apparatus and photodeflector therefor
US4602154A (en) Photodetector for generating position signals
JPS61502300A (ja) スキヤナ−用のクロック信号を発生する装置
US5159352A (en) Dynamic focusing system for use with discontinuous medium
US3787887A (en) Optical recorder with intensity control
JPS6244712A (ja) 同期信号発生方法
KR860002714Y1 (ko) 레이저 광주사 시스템의 기준시각 신호 발생 장치
GB2085580A (en) A Flying Spot Scanner
GB1345817A (en) Device for scanning or reproduction of images
JPS56146359A (en) Deflecting device of laser scan
US5216248A (en) Photodetector with mask for stable output signal
US5012464A (en) Computer-controlled laser imaging system with automatic beam start at line beginning
US3895317A (en) Control circuits
US4978975A (en) Laser scanning apparatus with deflector and receiver in an optically conjugate relationship
US4447134A (en) Grating signal system using zero order beam of acousto-optic modulator
JPS5893026A (ja) 同期光検出装置
JPS6031295B2 (ja) レ−ザコム装置
JPH0548461B2 (ko)
JPS6137606B2 (ko)
JPS6053853B2 (ja) レ−ザ−記録装置
JPS58100572A (ja) レ−ザ−記録装置
JPH0829712A (ja) 光ビーム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